KR100849676B1 -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 Google Patents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676B1
KR100849676B1 KR1020020036392A KR20020036392A KR100849676B1 KR 100849676 B1 KR100849676 B1 KR 100849676B1 KR 1020020036392 A KR1020020036392 A KR 1020020036392A KR 20020036392 A KR20020036392 A KR 20020036392A KR 100849676 B1 KR100849676 B1 KR 10084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tissue paper
box body
box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256A (ko
Inventor
김정호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02003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6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슈종이를 한 장씩 연속하여 인출사용하는 티슈박스내로 티슈종이가 낙하되어 떨어지는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적재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최상층 티슈종이가 외부 노출되도록 상기 박스본체 상부면에 일정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추어 티슈종이를 연속적으로 한 장씩 인출하는 티슈박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근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티슈종이가 인출될 때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인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좌우양단에 갖추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티슈박스 내에 복수장 적재된 티슈종이를 외부로 인출하는 개구부에 탄성부재를 갖추어 인출대기하고 있던 티슈종이가 박스내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여러장의 티슈종이가 한꺼번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종이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티슈종이, 티슈박스, 개구부, 탄성부재, 고무줄, 고무밴드, 고정부재

Description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A PAPER DROP PREVENTING MEANS OF A TISSUE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에 고무줄을 채용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에 고무밴드를 채용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에 고정편을 채용한 평면도로서,
a)는 박스본체에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는 상태도,
b)는 고정편이 접혀져 고무밴드가 고정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에 고정편을 채용한 종단면도,
a)는 고정편이 접혀진 상태도,
b)는 고정편에 접착부재가 채용된 상태도,
c)는 고정편에 보강부재가 채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일반적인 티슈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1a .... 상부커버
6 ..... 탄성부재 6a,6b ... 제 1,2고무줄
6c .... 고무밴드 7 ..... 고정부재
7a,7b ... 접착부재 7c,7d ... 지지구
7e,7f ... 고정편 7g .... 접착부재
7h ..... 보강재 8 ..... 절취선
9,12 ... 개구부 10 .... 티슈박스
11 .... 박스본체 14 .... 차단부재
P ..... 인출통로 W ..... 일정간격
본 발명은 티슈종이를 한 장씩 연속하여 인출사용하는 티슈박스내로 티슈종이가 낙하되어 떨어지는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티슈박스 내에 복수장 적재된 티슈종이를 외부로 인출하는 개구부에 탄성부재를 갖추어 인출대기하고 있던 티슈종이가 박스내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여러장의 티슈종이가 한꺼번에 인출되지 않도록 개선한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슈박스(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박스본체(11)를 갖추며, 상기 박스본체(11)의 내부공간에 복수장의 티슈종이(미도시)가 적층 수납되고, 상기 박스본체(11)의 상부면에는 적층 수납된 티슈종이를 한 장씩 뽑아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거의 타원형으로 길게 절개된 개구부(12)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박스본체(11)의 개구부(12)를 통하여 노출되는 최상층의 티슈종이를 상부로 당기어 이를 외부로 인출하고, 적층 수납된 티슈종이의 겹침 수납에 의해서 또다른 티슈종이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12)를 통하여 인출되어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박스본체(11)내에 적층 수납된 티슈종이가 1/2 내지 2/3이상 사용하게 되면, 최상층의 티슈종이와 상기 개구부(12)간의 높이차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2)에 걸려서 인출대기하고 있던 티슈종이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상기 박스본체(11)내로 빠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티슈종이를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기 곤란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개구부(12)의 개구부위 전체를 차단하도록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인출 대기하는 티슈종이에 걸림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14a)이 절개된 부직포 또는 비닐과 같은 차단부재(14)를 상기 개구부(12)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상기 박스본체(11)의 밑면테두리를 오려 상기 박스본체(11)와 분리된 박스본체밑면을 위로 올려 상기 개구부(12)와 최상층 티슈종이간의 간격을 줄임으로서 티슈종이의 낙하를 방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개구부(12)에 부직포 또는 비닐과 같은 차단부재(14)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은 사용초기에는 상기 슬릿(14a)이 상기 차단부재(14)가 보유하고 있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비교적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인출대기하고 있는 티슈종이에 대한 충분한 걸림력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상기 슬릿(14a)이 점차 헐거워져 상기 티슈종이가 박스본체(11)내로 빠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상기 박스본체(11)내로 빠진 티슈종이를 손으로 꺼내면서 상기 슬릿(14a)이 더욱 헐거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한편, 헐거워진 슬릿(14a)에 의해서 여러장의 티슈종이가 한꺼번에 외부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밑면을 올려 상승시키는 방법은 올려진 박스본체밑면을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사용이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개구부에서 인출대기하고 있던 티슈종이가 박스본체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지지력을 유지함으로서 최하층에 잔류하는 마지막 한 장의 티슈종이까지 티슈 박스 안으로 떨어지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여러 장의 티슈종이가 한꺼번에 외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이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적재된 기존의 티슈박스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적재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최상층 티슈종이가 외부 노출되도록 상기 박스본체 상부면에 일정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추어 티슈종이를 연속적으로 한 장씩 인출하는 티슈박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근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티슈종이가 인출될 때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인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좌우양단에 갖추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1)는 티슈종이를 한 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때 인출대기중인 티슈종이가 티슈박스(10)의 박스본체(11)내부로 낙하되어 떨어지거나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한꺼번에 외부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박스본체(11)에 갖추어지거나 상기 박스본체(11)의 상부에 착탈이 용이하게 조립되는 상부커버(1a)에 갖추어지는 탄성부재(6)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박스본체(11)는 복수장의 티슈종이 또는 얇은 포장용지가 겹쳐 적재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질이 딱딱한 종이로 구성되는 수용부재이며,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원통체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1)의 상부면에는 상기 박스본체(11)내에 적재된 복수장의 티슈종이중 최상층 티슈종이를 외부로 일부 노출시킬 수 있도록 타원, 직사각형의 개구부(12)를 개구형성한다.
이러한 개구부(12)는 상기 박스본체(11)상부면에 미리 뚫어 놓은 복수개의 구멍에 의해서 형성되는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어 제거되는 박스본체(11)상부면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은 다양한 모양의 개구부(12)를 형성하도록 상기 박스본체(11)의 제작시 상기 박스본체(11)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2)를 형성하는 절취선은 좌우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원형, 직사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갖추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본체(11)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개구부(12)를 통한 티슈종이의 과도한 노출을 차단하면서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구부(12)전체를 덮는 차단부재(14)를 선택적으로 갖출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재(14)는 부직포 또는 비닐로 구성되며, 상기 박스본체(11)내의 티슈종이를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슬릿(14a)을 길게 절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14)는 본 발명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먼지의 유입이나 내부의 노출이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2)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는 상기 박스본체(11)내에 적재 수납된 티슈종이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유일한 인출통로(P)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부(12)의 중앙부근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6)의 선,후양단은 상기 티슈종이가 인출될 때 마찰력을 발생시킬수 있는 인출통로(P)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에 갖추어지는 고정부재(7)에 의해서 각각 확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는 상기 인출통로(P)를 통한 티슈종이의 인출시 상부로 당겨지는 인출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벌어진 다음, 상기 인출통로(P)에 인출대기하는 또다른 티슈종이의 하부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내측으로 복귀하도록 일정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고무소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7)는 상기 개구부(12)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탄성부재(6)를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박스본체(11)의 상,하부면중 어느 한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간격(W)을 갖는 인출통로(P)를 형성하도록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부근에 설치되는 고정부재(7)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확고히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제 1,2고무줄(6a)(6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7)는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부근에 상기 제 1,2고무줄(6a)(6b)의 선,후양단을 각각 부착할 수 있는 충분한 접착력을 발생시키는 접착제,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7a)(7b)로 갖추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2고무줄(6a)(6b)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인출통로(P)의 일정간격(W)은 상기 인출통로(P)를 통과하는 티슈종이와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제 1,2고무줄(6a)(6b)이 접할정도의 최소크기 내지 상기 개구부(12)의 좌우폭크기사이에 맞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출통로(P)의 크기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2고무줄(6a)(6b)의 선,후양단을 접착부재(7a)(7b)로서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부근에 각각 고정할 때 상기 제 1,2고무줄(6a)(6b)간의 간격(W)을 넓히거나 좁혀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일정간격(W)을 갖는 인출통로(P)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부근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7)에 양단이 걸리는 폐루프(loop)형 고무밴드(6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7)는 접착제,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7a)(7b)를 매개로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부근에 해당하는 박스본체(11)상부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단면상의 지지구(7c)(7d)로 갖추질 수 있으며, 상기 고무밴드(6c)의 양단을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부근에 각각 고정하도록 찍혀지는 스텝플러(stapler)의 철심과 같은 지지부재에 의해서 갖추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밴드(6c)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인출통로(P)의 일정간격(W)은 상기 인출통로(P)를 통과하는 티슈종이와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밴드부위가 접할정도의 최소크기에서 상기 개구부(12)의 좌우폭에 해당하는 최대크기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출통로(P)는 상기 고무밴드(6c)의 양단을 상기 지지구(7c)(7d)의 외경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 가변시킬 수 있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에 채용되는 고정편을 형성하는 상태와 이를 이용하여 고무밴드를 고정하는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고정부재(7)는 상기 개구부(12)를 개구형성하기 위하여 박스본체(11)의 상부면에 기가공된 절취선(8)을 따라 절개될 때 완전 절개되어 제거되지 않고 상기 박스본체(11)에 일체로 잔류하여 상기 개구부(12)의 좌우양단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고정편(7e)(7f)으로 갖추어진다.
이러한 고정편(7e)(7f)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고무밴드(6c)의 양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박스본체(11)의 내측 또는 외측중 어느 한방향으로 접어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에 각각 고무밴드(6c)의 양단을 각각 걸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7e)(7f)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고무밴드(6c)의 양단을 걸기 위해서 접혀진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접착제,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7g)로서 상기 박스본체(11)와 닿는 부위에 접착되 는 구성을 갖거나, 도 5(c)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힘변형을 장시간 유지하면서 접힘부위의 끊어짐을 방지하도록 종이판과 같은 보강재(7h)를 접힘면에 접착부재로서 부착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고무밴드(6c)의 인출통로(P)에 갖추어지는 일정간격(W)은 상기 고정편(7e)(7f)과 박스본체(11)사이를 연결하도록 잔류하는 네크부의 폭크기(W1)에 의해서 결정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를 일체로 채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티슈박스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적재수납되는 박스본체(11)에 탑재되는 상부커버(1a)를 갖추며, 상기 상부커버(1a)의 상부면에는 상기 박스본체(11)의 개구부(12)와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또다른 개구부(9)를 절개형성하고, 상기 상부커버(1a)의 개구부(9)좌우양단에는 중앙부근을 가로지르도록 탄성부재(6)를 갖추며, 상기 탄성부재(6)는 상기 개구부(12) 및 개구부(9)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티슈종이가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외부 인출되는 인출통로(P)를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부재(7)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는 상기 한쌍의 고무줄(6a)(6b)이나 고무밴드(6c)가 선택 적으로 상기 상부커버(1a)에 각각 동일하게 채용되며, 상기 탄성부재(6)를 상부커버(1a)에 고정하는 고정부재(7)도 상기 접착제(7a)(7b), 제 1,2고무줄(7c)(7d), 고정편(7e)(7f)등이 선택적으로 동일하게 채용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a)에는 상기 박스본체(11)상부에 외부 이탈없이 확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박스본체(11)의 외부면에 감기는 고정띠(9a)를 갖추며, 상기 상부커버(1a)는 외부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띠(9a)의 필요없이 상기 박스본체(11)의 상단에 끼워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한 연장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티슈종이 낙하방지구(1)의 각 인출통로(P)는 상기 개구부(12)에 차단부재(14)를 채용하는 경우, 상기 박스본체(11)내의 티슈종이를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14)의 슬릿(14a)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1)를 박스본체(11)에 채용하고, 상기 박스본체(11)내에 적재된 복수장의 티슈종이중 최상층의 티슈종이가 개구부(12)에 갖추어진 탄성부재(6)사이에서 외부로 일부 인출되어 대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티슈종이를 상부로 당기어 뽑으면, 상부로의 당김력에 의해서 상기 티슈종이는 탄성부재(6)의 인출통로(P)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는 일정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고무줄(6a)(6b)이나 고무밴드(6c)와 같은 고무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출통로(P)를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는 티슈종이와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좌우양측 폭방향으로 벌어지지만 상기 티슈종이 인출 완료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최상층 티슈종이의 외부 인출후 연속적으로 상기 인출통로(P)에 인출대기하게 되는 티슈종이는 상기 탄성부재(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지지되고, 고정부재(7)에 의해 좌우양단이 고정되는 탄성부재(6)의 탄성력은 장시간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박스본체(11)에 적재된 티슈종이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최상층의 티슈종이와 개구부(12)간의 높이차가 점점 커지는 것에 관계없이 상기 티슈종이를 하부로의 흘러내림 없이 확고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박스본체(11)내에 적재된 티슈종이를 최상층에서 최하층까지 뽑아서 사용하는 동안 상기 탄성부재(6)는 인출통로(P)가 헐거워지지 않도록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마지막 한 장까지 티슈종이를 하부로의 흘러내림 없이 전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탄성부재(6)의 인출통로(P)를 통하여 최상층의 티슈종이를 취부하여 인출할 때 이와 더불어 후속하여 인출되는 후속 티슈종이에는 마찰력이 전달되어 여러장의 티슈종이가 한꺼번에 외부 인출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인출되는 최상층의 티슈종이만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a)는 상기 박스본체(11)의 개구부(12)상에 상기 상부커버(1a)의 개구부(9)가 배치되도록 상기 박스본체(11)에 고정띠(9a)를 감아 장착하거나, 상기 상부커버(1a)의 외부테두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를 상기 박스본체(11)의 상부에 끼워 간편하게 조립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부커버(1a)의 개구부(9)에 설치된 탄성부재(6)가 상기 박스본체(11)의 개구부(12)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박스본체(11)내의 최상층 티슈종이는 상기 탄성부재(6)의 인출통로(P)를 통하여 한 장씩 연속하여 인출되고, 상기 탄성부재(6)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인출통로(P)에 인출대기하는 티슈종이를 잔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적재 수납되는 박스본체의 개구부에 티슈종이가 통과되는 통로를 항상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갖춤으로서, 인출대기 하고 있던 티슈종이가 박스본체내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떨어진 티슈종이를 다시 꺼내는 번거로움을 예방하여 사용상 편리하고, 여러장의 티슈종이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예방하여 티슈종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5)

  1.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적재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최상층 티슈종이가 외부 노출되도록 상기 박스본체 상부면에 일정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추어 티슈종이를 연속적으로 한 장씩 인출하는 티슈박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근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티슈종이가 인출될 때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인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좌우양단에 갖추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걸리는 폐루프(loop)형 고무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좌우양단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편을 상기 박스본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어 상기 고무밴드의 양단이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
  2. 복수장의 티슈종이가 적재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최상층 티슈종이가 외부 노출되도록 상기 박스본체 상부면에 일정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추어 티슈종이를 연속적으로 한 장씩 인출하는 티슈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의 상부에 탑재되며, 티슈종이가 배출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중앙부근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티슈종이가 인출될 때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인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좌우양단에 갖추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서 선후양단이 걸리는 폐루프(loop)형 고무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좌우양단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편을 상기 상부커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어 상기 고무밴드의 양단이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접힘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접착부재로서 상기 박스본체와 닿는 부위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접힘부위의 끊어짐을 방지하도록 종이판과 같은 보강재가 접힘면에 접착부재로서 부착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
  12. 삭제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에는 복수장의 얇은 비닐포장용지가 겹쳐 적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박스본체의 외부면에 감기는 고정띠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외부테두리에는 상기 박스본체의 상단에 끼워 사용할 수있도록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한 연장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 방지구.
KR1020020036392A 2002-06-27 2002-06-27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KR10084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92A KR100849676B1 (ko) 2002-06-27 2002-06-27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92A KR100849676B1 (ko) 2002-06-27 2002-06-27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450U Division KR200289661Y1 (ko) 2002-06-27 2002-06-27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56A KR20040001256A (ko) 2004-01-07
KR100849676B1 true KR100849676B1 (ko) 2008-08-06

Family

ID=3731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392A KR100849676B1 (ko) 2002-06-27 2002-06-27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957A (zh) * 2018-09-27 2019-01-18 天津市艳胜工贸有限公司 便于连续抽取的擦拭巾收纳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098U (ko) * 1979-12-27 1981-08-03
JPH11193082A (ja) * 1998-01-07 1999-07-21 Narimune Takahashi ティッシュ保持具及びティッシュ保持具付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196470Y1 (ko) * 2000-04-07 2000-09-15 원석희 화장지케이스의 화장지 인출구조
KR20010071177A (ko) * 1998-04-28 2001-07-28 데이비드 엠 모이어 티슈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098U (ko) * 1979-12-27 1981-08-03
JPH11193082A (ja) * 1998-01-07 1999-07-21 Narimune Takahashi ティッシュ保持具及びティッシュ保持具付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10071177A (ko) * 1998-04-28 2001-07-28 데이비드 엠 모이어 티슈 박스
KR200196470Y1 (ko) * 2000-04-07 2000-09-15 원석희 화장지케이스의 화장지 인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56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129B2 (en) Napki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with baffled dispensing aperture
US4574952A (en) Box containing facial tissues
US20090302084A1 (en) Adhesive tape cutter
US5593086A (en) Document holder with an extensible-retractable bag
US5897023A (en) Tissue dispensing carton
KR100849676B1 (ko)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KR200474895Y1 (ko) 티슈케이스
KR200289661Y1 (ko) 티슈박스의 티슈종이 낙하방지구
JP5279293B2 (ja) 衛生薄葉紙ディスペンサー
JP3180202U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の収納ケース
US3217372A (en) Data sheet binder
JPS59189813A (ja) 衛生用薄紙類収納器
JP2000052678A (ja) 古新聞・チラシ・古雑誌収納箱
JP6380878B1 (ja) ホルダー及びホルダー用材料シート
US4685821A (en) Document holder
KR100577863B1 (ko) 티슈 가이드 장치
JPS6193069A (ja) 衛生用薄紙類収納器
KR101959059B1 (ko) 티슈박스 어셈블리
JP2008007120A (ja) 衛生薄葉紙等の収納箱
KR20200118546A (ko) 탄력 밴드를 갖는 티슈 상자
JP3006049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ディスペンサー
JPH0337504Y2 (ko)
JPH0337503Y2 (ko)
KR200355844Y1 (ko) 띠지 케이스
JP2519470Y2 (ja) 結束装置の紐供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