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564B1 -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564B1
KR100849564B1 KR1020060130690A KR20060130690A KR100849564B1 KR 100849564 B1 KR100849564 B1 KR 100849564B1 KR 1020060130690 A KR1020060130690 A KR 1020060130690A KR 20060130690 A KR20060130690 A KR 20060130690A KR 100849564 B1 KR100849564 B1 KR 10084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oven
lock
gu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423A (ko
Inventor
방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5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8Stov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오븐잠금장치의 위치가 자유로워져서 오븐 제작의 편리성이 높아지고, 오븐잠금장치의 구비에 따른 냉각효율저하현상이 개선되고, 제품의 외관이 개선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오븐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는 자동잠금기구; 일 부분은 상기 자동잠금기구의 외부로 드러나는 해제부; 상기 해제부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해제부와 인접되는 판넬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부를 동작시키는 해제도구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포함되는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가 개시된다.
오븐, 잠금, 해제

Description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Locking apparatus for an oven and manual release apparatus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오븐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오븐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자동잠금기구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작동기 및 해제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수동으로 해제도구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수동으로 해제도구를 삽입한 다음에 해제도구에 의해서 해제부가 밀리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오븐잠금장치 5 : 가이드부 6 : 해제부
7 : 스페이서 8 : 안내홀 10 : 해제도구
11 : 가동부 12 : 해제핀 30 : 자동잠금기구
32 : 삽입홀
EP1498796A1
본 발명은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특정의 오븐 동작 시에 오븐도어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오븐도어가 잠겨진 상태에서 오븐도어가 수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오븐 도어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캐비티 내부에 고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고열에 의해서 내부에 놓여진 음식물이 조리되거나, 내부에 놓인 물품이 가열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 같은 오븐은 캐비티 내부에 고온환경이 조성되면,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는데, 이는 오븐이 동작 중인 사실을 간과한 사용자가 잘못해서 도어를 여는 경우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오븐의 잠금장치는 파이로리시스와 같은 오븐 캐비티의 청소를 위하여 극도의 고온환경이 조성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 필요성이 증대된다.
한편, 일단 오븐 잠금장치가 작동되고 난 다음이라도, 오븐의 온도가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오븐 잠금장치의 동작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오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오븐 캐비티가 고온으로 가열되면, 소모 전기량이 높고 오븐 내부를 흐르는 전기소모량이 높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제어 시스템의 다운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에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맨이 수동으로 오븐 잠금장치를 해제해야 한다. 이 를 위한 종래의 오븐에는 오븐 도어와 컨트롤 패널이 사이 간격부로 홀이 노출되도록 하고, 그 홀의 안으로 핀을 삽입하여 핀에 의해서 오븐 잠금장치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오븐잠금장치의 예는 유럽특허공개공보 EP01498796에 상세하게 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븐잠금장치는 오븐잠금장치에 제공되어 외부로부터 해제핀이 삽입되는 홀이 오븐잠금장치에 직접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오븐의 구조가 어떠한 형태로 변하더라도,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사이에 반드시 상기 홀이 놓이도록 오븐잠금장치의 위치를 제한하여야 한다. 이는 오븐의 설계에 있어서 많은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사이에 일정 폭의 갭이 제공되고 그 갭의 사이로 해제핀이 삽입되는 홀이 노출되어 외부에서 관찰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오븐의 외관이 훼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븐잠금장치는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사이 간격부에 놓이는데, 이는 캐비티의 외부 패널에 직접 닿는 위치이기 때문에, 캐비티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영향을 직접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오븐잠금장치의 오작동으로 이어져서 제어 시스템의 오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오븐잠금장치의 본체가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사이 간격부의 공기통로 상에 놓여서 상기 홀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배기되는 공기의 유로를 막아서 냉각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모든 단점을 극복하는 것으로서, 오븐의 잠금상태를 해 제하는 홀과 같은 구조가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고, 오븐잠금장치의 위치가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사이 간격부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및 서비스 맨의 편의성이 개선되고, 오븐 동작의 안정성과, 냉각효율이 개선되는 오븐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는,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는 자동잠금기구; 일 부분이 상기 자동잠금기구의 외부로 드러나는 해제부; 상기 해제부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해제부와 인접되는 판넬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부를 동작시키는 해제도구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오븐잠금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놓이는 작동기; 상기 작동기의 동작에 의해서 잠금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 가변기; 상기 위치 가변기의 이동 위치를 고정시키는 잠금부; 상기 위치 가변기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후크; 및 상기 잠금부의 인접위치에 놓이는 해제핀과, 사용자의 외력을 받아서 상기 해제핀에 의해서 상기 잠금부가 강제 운동되도록 하여 상기 잠금부의 잠금작용을 해제시키는 가동부가 제공되는 해제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븐잠금장치의 위치가 자유롭기 때문에 오븐 제작의 편리성이 높아지고, 오븐잠금장치의 구비에 따른 냉각효율저하현상이 개선되고, 제품의 외관이 개선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오븐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등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오븐의 부분 사시도로서, 도 1에는 오븐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오븐의 일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의 캐비티를 필요에 따라 개방시키는 오븐의 도어(1)와, 상기 도어(1)의 상측에 놓이는 컨트롤 패널(3)과, 캐비티의 외부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캐비티를 일정범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되는 외부패널(2)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패널의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는 오븐잠금장치(4)가 설치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븐잠금장치(4)는 상기 외부패널(2)의 상측으로 스페이서(7)에 의해서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설치된다. 그러므로, 오븐잠금장치(4)에 제공되어서 외부로부터 소정의 핀이 삽입되는 삽입홀(도 3의 32참조)은 상기 도어(1)와 상기 컨트롤 패널(3)의 사이 간격부를 통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상기 삽입홀(32)의 높이는 상기 컨트롤 패널(3)의 내부에서 일정거리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 판넬(3)과, 상기 도어(1)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판넬(3)의 하면에는 외부의 열이 콘트롤 판넬(3)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컨트롤 판넬(3)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넬(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판넬(2a)은 상기 외부패널(2)과 일체로서, 외부 패널(2)의 일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넬(2a)에는 일방향으로 꺾이는 양상으로 형성되는 안내홀(8)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안내홀(8)은 전후방향의 홀과 좌우방향의 홀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1)와 상기 컨트롤 판넬(3)의 사이 간격부를 통하여 소정의 해제도구(도 9의 10참조)를 삽입하는데, 상기 해제도구(10)의 끝단부는 절곡되어 있다. 상기 해제도구(10)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안내홀(8)의 좌우방향의 홀과 정렬되면, 사용자는 상기 해제도구(10)의 방향을 회전시켜서 해제도구(10)의 끝단부가 안내홀(8)의 좌우방향의 홀의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에는 해제도구(10)를 안쪽으로 더 밀어넣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해제도구(10)의 끝단부는 상기 오븐잠금장치(4)의 해제부(도 3의 6참조)를 밀게 되고, 상기 해제부(6)가 밀리게 되면 해제핀(도 3의 12참조)에 의해서 상기 오븐잠금장치(4) 내부의 잠금동작은 해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7)는 상기 오븐잠금장치(4)가 상기 외부패널(2)의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부품으로서, 상기 오븐잠금장치(4)과 대응되는 외부패널(2)의 상면에는 소정의 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3)에 의해서 외부패널(2)의 내부의 더운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스페이서(7)는 상기 오븐잠금장치(4)가 놓이는 위치를 적극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서, 상기 스페이서(7)의 높이가 조절되기만 하면, 오븐, 특히 오븐도어 및 컨트롤 패널의 구체적인 크기 및 사양과는 관계없이 오븐잠금장치(4)가 놓이는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오븐잠금장치(4)는 상기 해제도구(10)가 안내홀(8)의 내부에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있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높이의 자유도는 한층 더 개선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되는 오븐잠금장치(4)의 분해 사시도와, 도 4에 제시되는 자동잠금기구의 사시도에 의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잠금장치(4)에는 자동잠금기구(30)와, 상기 자동잠금기구(30)의 안으로 삽입되어 오븐잠금장치(4)의 수동해제동작을 발생시키는 해제핀(12)과, 상기 해제핀(12)이 고정되어서 상기 해제핀(12)과 함께 전후로 움직이는 가동부(11)와, 상기 가동부(11)의 전후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가 포함된다.
상기 자동잠금기구(30)는 EP01498796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내용을 그대로 원용할 수 있어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그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해제핀(12)의 일단부는 상기 오븐잠금장치(4)의 앞쪽에 형성되는 삽입홀(32)을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삽입홀(32)은 기존의 EP01498796에도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삽입홀(32)을 통하여 해제핀(12)은 일정거리 미리 삽입되어 있다.
상기 해제핀(12)과 상기 가동부(11)는 상기 오븐잠금장치(4)의 잠금동작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구로서, 해제부(6)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11)는 특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가동부(11)에는 상기 해제핀(12)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13)와, 상기 가이드부(5)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삽입부(14)와, 상기 해제도구(10)가 안내홀(8)에 삽입되기 위하여 회전될 때, 그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돌출부(17)가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삽입부(14)는 상기 가이드부(5)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5)가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14)에는 적어도 원형 삽입부(15)가 제공된다. 그리고,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하방향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4)에는 수평삽입부(1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5)에도 그와 유사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 삽입부(15)의 후방으로는 가이드 핀(18)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핀(18)의 후단부에는 걸림단(19)이 확장되는 양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핀(18)은 상기 가이드부(5)의 후단부에 있는 홀(51)에 삽입된 다음에, 상기 걸림단(19)이 확장되는 동작에 의해서 가이드 핀(18)은 상기 홀(51)에서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핀(18)의 외부에는 가이드 스프링(20)이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해제도구(10)에 의해서 해제부(6)가 후방으로 밀려서 잠금장치가 해 제되고 난 다음에 해제부(6)가 전방으로 밀려서 원래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국 상기 가이드 스프링(20)은 압축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해제부(6)에 의해서 수행되는 상기 자동잠금기구(30)에 대한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는, 본 발명의 오븐잠금장치의 전기적인 제어가 고장난 상태에서 유효하게 사용되는 것임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경우에는, 오븐의 온도 상태에 따라서 파이로리시스와 같이 오븐이 고열로 가열될 때에는 후크(31)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고, 온도가 내려갈 때에는 후크(31)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다.
도 4에는 상기 자동잠금기구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잠금기구(30)는 기구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33)와, 외부의 전기 신호에 의해서 동작되는 작동기(actuator)(37), 상기 작동기(37)의 전방에 형성되어 작동기(37)의 동작에 대응하여 전후로 움직이는 위치 가변기(34)와, 상기 위치 가변기(34)의 위치가 두 개의 고정적인 지점에서 움직이지 않고 지지되도록 하는 잠금부(35)와, 상기 위치 가변기(34)에 의해서 밀려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후크(31)가 포함된다. 상기 후크(31)의 단부는 도어(1)에 걸릴 수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도어(1)의 개방동작이 저지되도록 하는 것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몸체(33)의 전면에는 삽입홀(32)이 형성되어 상기 해제핀(12)이 그 안으로 삽입되는 것은 이미 설명된 바가 있다. 상기 해제핀(12)은 상기 잠금 부(35)의 인접위치에 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해제부(6)의 전체적인 동작에 의해서 상기 해제핀(12)이 후방으로 밀리면, 상기 해제핀(12)은 상기 잠금부(35)를 일방향으로 푸쉬하여 잠금부(35)가 잡고 있는 위치가변기(34)의 위치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러한 상기 해제핀(12)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부(35)에는 상기 해제핀(12)이 미는 동작을 상기 잠금부(35)의 회전운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핀 접촉부(3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작동기(37)는 오븐 캐비티의 온도변화 또는 파이로리시스의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된다. 예를 들어, 파이로리시스 버튼이 눌려지거나 오븐 캐비티의 내부 온도가 높아지면 작동기(37)의 앞쪽에 있는 푸쉬로드가 전방으로 밀려서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이로리시스 동작이 끝나거나 오븐 캐비티의 온도가 일정 수준이하로 내려가면 다시 한번 상기 푸쉬로드가 전방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러한 작동기(37)의 동작은 결국 자동잠금기구(37)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조절된다.
상기 자동잠금기구(30)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어 파이로리시스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작동기(37)의 푸쉬로드가 전방으로 밀린다. 상기 작동기(37)의 동작은 위치 가변기(34)를 거쳐서 후크(31)를 하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후크(31)가 하방으로 회전되면 도어(1)가 후크(31)에 의해서 걸리게 되고, 도어는 개방되지 못하고 잠기게 된다. 상기 위치 가변기(34)가 상기되는 첫번째 시퀀스를 거치면, 상기 잠금부(35)는 상기 후크(31)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 가변기(34)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후에, 예를 들어 파이로리시스의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작동기(37)의 푸쉬로드는 한번 더 전방으로 밀린다. 상기 작동기(37)가 위치 가변기(34)를 다시 한번 미는 두번째 시퀀스를 거치면 상기 잠금부(35)가 위치 가변기(3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작용은 종료되어서, 잠금부(35)에 의한 고정작용은 해제된다. 그러면, 위치 가변기(34)와 후크(31)는 내장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후크에 의한 도어 잠금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작동 중에서 파이로리스시스의 동작이 종료된 뒤에 제어상의 오류로 인하여 작동기(37)가 다시 작동하는 두번째 시퀀스가 수행되지 못해서, 도어를 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동작 상의 오류에 대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동기(37)의 동작오류가 발생되어서 자동으로 도어잠금이 해제되지 않을 때에는, 해제부(6)에 제공되는 해제핀(12)이 상기 핀 접촉부(36)를 밀어서 강제로 상기 잠금부(35)가 회전되도록 한다. 그래서, 두번째 시퀀스가 수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잠금부(35)가 상기 위치 가변기(34)를 잡고 있는 작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자동잠금기구(30)의 동작과, 상기 자동잠금기구(30)의 동작에서 에러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해제부(6)가 사용되는 형태를 동작 순서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자동잠금기구(30)의 설명은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의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 대하여 행하고,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본원발명의 인용문헌인 EP01498796를 인용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작동기 및 해제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작동기의 후크의 상호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작동기도 밀리지 않고 후크도 도어를 잡고 있지 아니한 상태이다. 이후에 파이로리시스가 시작되는 등과 같이 도어를 잠궈야 하면, 도 6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기(37)는 위치 가변기(34)를 밀어서 후크(31)를 도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후크(31)는 도어(1)를 잡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35)는 잠금부(35)와 위치 가변기(34)를 연결하는 스프링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 뒤에 작동기(37)가 후퇴하면, 위치 가변기(34)가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잠금부(35)를 인출시켜서 상기 잠금부(35)에 의해서 상기 위치 가변기(34)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는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과정은 상기되는 첫번째 시퀀스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에 파이로리시스가 종료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후크(31)에 의한 도어잠금을 해제해야 하는 때에는, 다시 한번 작동기(37)가 전방으로 푸쉬되어서, 상기 잠금부(35)가 위치 가변기(34)를 잡고있는 동작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35)는 잠금부(35)와 위치 가변기(34)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작동기(35)가 후방으로 완전히 후퇴되면, 상기 잠금부(35)와 상기 위치 가변기(34)를 연결하는 스프링에 의해서 잠금부(35)는 인입되어서, 도 5에 제시되는 원 상태로 회복된다. 이때 물론, 상기 후크(35)는 도어의 잠금작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상의 과정은 상기되는 두번째 시퀀스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37)가 전기적인 오류 또는 제어 오류에 의해서 동작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해제핀을 수동으로 밀어서 상기 핀 접촉부(36)를 강제로 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잠금부(35)는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두번째 시퀀스가 강제로 수행된다.
상기되는 동작에 있어서, 위치 가변기(34), 후크(31), 및 잠금부(35)의 작용은 각각의 부품을 지지하는 스프링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오븐잠금장치의 수동적인 해제과정 및 상기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의 작동을 평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수동으로 해제도구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수동으로 해제도구를 삽입한 다음에 해제도구에 의해서 해제부가 밀리는 동작을 보이고 있다. 상기 해제부가 밀리는 과정은 상기 해제핀(12)이 상기 핀 접촉부(36)를 밀어서 강제적으로 두번째 시퀀스가 수행되는 과정인 것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해제도구(10)를 도어와 컨트롤 패널(3)의 사이 간격부를 통하여 삽입한 다음에, 해제도구(10)의 절곡된 단부가 안내홀(8)과 정렬된 위치에서 해제도구(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상기 안내홀(8)은 사용자가 상기 해제도구를 정위치에 놓을 수 있는 동작을 가이드한다. 그 이후에, 도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도구(10)를 밀어서 상기 해제부(6)가 상기 해제도구(10)에 의해서 밀리도록 한다. 이 또한, 상기 해제도구(10)는 안내홀(8)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해제핀을 이용하여 해제 부(6)를 밀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해제도구(10)로 상기 해제부(6)를 미는 것은 해제핀(12)에 의해서 핀 접촉부(36)를 미는 것과 대응되는 것 임은 당연히 짐작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홀(8)이 형성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아니하고, 컨트롤 패널부(3)의 하측에 형성되는 어떠한 패널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해제도구(10)의 직경정도의 간격만이 있으면 되고, 그 이상의 간격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해제부(6)는 상기 가이드부(5)에 내장되는 가이드 스프링(20)에 의해서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도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제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안내홀(8)과 상기 해제도구(10)의 절곡단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시되기만 하면 되고,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은 직각으로 꺾인 형태로 제한된다는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가 제시됨이 없이, 상기 해제핀과 상기 몸체(33)와의 상호지지관계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상기 해제부(6)의 전후방향 이동이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굳이 상기 가이드부가 제시되지 않더라도 상기 해제핀이 올바른 위치 및 각도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상기 해제부가 정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 이로써,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의 동작이 완벽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는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간격부과 정렬되는 수준의 높이에 놓이지 않더라도, 끝 단부가 절곡되는 해제도구 및 해제부에 의해서 용이하게 수동으로 오븐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오븐의 설계에 있어서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사이에 간격을 반드시 제공해야 하는 등의 제약조건이 없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오븐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어와 컨트롤 패널 갭의 사이로 해제핀이 삽입되는 홀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오븐의 외관이 개선된다.
또한, 오븐잠금장치가 캐비티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오븐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영향을 덜 받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오븐잠금장치의 본체가 도어와 컨트롤 패널의 사이 간격부보다 상측에 놓이기 때문에, 도어의 냉각유로 및 캐비티를 냉각시킨 공기가 유출되는 경로를 넓게 확보할 수 있어서, 캐비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몸체;
    상기 몸체에 놓이는 작동기;
    상기 작동기의 동작에 의해서 잠금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 가변기;
    상기 위치 가변기의 이동 위치를 고정시키는 잠금부;
    상기 위치 가변기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후크; 및
    상기 잠금부의 인접위치에 놓이는 해제핀과, 사용자의 외력을 받아서 상기 해제핀에 의해서 상기 잠금부가 강제 운동되도록 하여 상기 잠금부의 잠금작용을 해제시키는 가동부가 제공되는 해제부가 포함되는 오븐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외력이 가하여 질때, 상기 해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오븐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해제부가 상기 잠금부를 해제하지 않는 방향으로 미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오븐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의 일 부분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외력을 받는 오븐잠금장치.
  5.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는 자동잠금기구;
    일 부분이 상기 자동잠금기구의 외부로 드러나는 해제부;
    상기 해제부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해제부와 인접되는 판넬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부를 동작시키는 해제도구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포함되는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은 상기 해제도구의 상기 판넬로의 삽입동작 또는 상기 해제도구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기구와 상기 판넬을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포함되는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KR1020060130690A 2006-12-20 2006-12-20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KR10084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90A KR100849564B1 (ko) 2006-12-20 2006-12-20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90A KR100849564B1 (ko) 2006-12-20 2006-12-20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423A KR20080057423A (ko) 2008-06-25
KR100849564B1 true KR100849564B1 (ko) 2008-07-31

Family

ID=3980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690A KR100849564B1 (ko) 2006-12-20 2006-12-20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2063A (en) 1988-05-20 1991-01-01 Kabushiki Kaisha Toshiba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a cooker using electromotive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JPH06137003A (ja) * 1992-10-26 1994-05-17 Sharp Corp ドアの係止構造
EP1498796A1 (en) 2003-07-17 2005-01-19 ELTEK S.p.A. Actuation and/or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having an improved actuation control system
KR20060097805A (ko) * 2005-03-07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도어 안전 잠금구조
KR20070053951A (ko) * 2005-11-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2063A (en) 1988-05-20 1991-01-01 Kabushiki Kaisha Toshiba Door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for a cooker using electromotive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JPH06137003A (ja) * 1992-10-26 1994-05-17 Sharp Corp ドアの係止構造
EP1498796A1 (en) 2003-07-17 2005-01-19 ELTEK S.p.A. Actuation and/or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having an improved actuation control system
KR20060097805A (ko) * 2005-03-07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도어 안전 잠금구조
KR20070053951A (ko) * 2005-11-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423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4990B2 (ja) 家電機器用ドアロック装置
US6315336B1 (en) Motorized self-cleaning oven latch
KR20120059539A (ko) 취출 기구, 인출 가이드 및 취출 시스템
JP2005045244A (ja) モジュール支持体に差し込んだり、これから引き出したりするための差込モジュール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KR101588748B1 (ko) 오븐
JP2013102142A (ja) 電気機器の筐体
JP2013530801A (ja) 排出装置及び引出し装置
KR100849564B1 (ko) 오븐의 잠금장치 및 수동 오븐잠금 해제장치
KR20150093657A (ko) 관성 차단 부재를 갖는 해제 핸들 어셈블리
JP4951797B2 (ja) インサイド操作装置
KR101310179B1 (ko) 도어락 장치
JP2009154788A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係止部構造
KR100715899B1 (ko) 차량 뒷좌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한 2단 록킹 장치
JP2003183926A (ja) 自動二輪車用安全ヘルメットのフェースシールドの引出し回転装置
JP5102382B2 (ja) テーブル
CN110462151A (zh) 用于家用电器尤其是烤箱的门锁定设备
JP5789324B2 (ja) セーフティロック装置
JP6959637B2 (ja) 燃料供給装置及びガスコンロ
JP6100103B2 (ja) コンソール用ドア装置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JP3966568B2 (ja) 多段引出し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施解錠装置
CN212277072U (zh) 一种定时器旋钮结构及烤箱
JP4260693B2 (ja) 光ファイバの保持機構
KR20180126679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