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415B1 -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415B1
KR100849415B1 KR1020060053412A KR20060053412A KR100849415B1 KR 100849415 B1 KR100849415 B1 KR 100849415B1 KR 1020060053412 A KR1020060053412 A KR 1020060053412A KR 20060053412 A KR20060053412 A KR 20060053412A KR 100849415 B1 KR100849415 B1 KR 100849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ier
deposit
settlement
envelope
confi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164A (ko
Inventor
강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102006005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41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슈퍼마켓이나 쇼핑몰, 대형 할인 매장 등과 같이 많은 수의 캐셔들이 순번으로 돌아가며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지불액을 계산처리하는 대형 마트에서 각 캐셔별 준비금 지급, 중간 입금 및 시재의 입금을 처리하여 일일매출 판매대금의 정산을 자동처리하는 동시에 확정하고 각 캐셔가 해당 정산 상황을 확인하여 확정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산 시스템, POS

Description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DITING OF HYPERMAKE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산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와 지폐 및 명세표 방출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출금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산 장치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영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슈퍼마켓이나 쇼핑몰, 대형 할인 매장 등과 같이 많은 수의 캐셔들이 순번으로 돌아가며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지불액을 계산처리하는 대형 마트에서 각 캐셔별 준비금 지급, 중간 입금 및 시재의 입금을 처리하여 일일매출 판매대금의 정산을 자동처리하는 동시에 확정하고 각 캐셔가 해당 정산 상황을 확인하여 확정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할인 매장 등의 판매점에서 각각의 캐셔는 잔돈 지급을 위한 준비금을 경리부에서 직접 수령한 후 근무를 개시하며, 자신의 근무시간이 종료하면 금전등록기에 보관하고 있던 매출금을 수거하여 경리부로 이동한 후 해당 경리부에 마련된 정산소 시스템에 자신의 마감 매출금의 액수를 입력해 인증대기 상태로 만들고 실물 현금은 경리부의 출납계원에게 제출하고 있다.
그러면 해당 경리부 출납계원은 이러한 캐셔의 매출 실물 현금을 헤아려 해당 캐셔가 제출한 매출금의 금액을 수작업으로 확인하여, 상기 인증대기 상태로 있는 캐셔 입력 마감 매출금의 액수와 비교해 정확히 일치하면 해당 캐셔의 마감 입력을 확정하게 된다.
따라서, 경리부에서는 권종별로 수십장씩 마련되는 준비금을 다수의 캐셔를 위해 미리 준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불가피하며, 캐셔들 역시 자신의 근무 마감시간에 자신의 매출금을 수작업으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이로인해 실제 근무 마감시간과 퇴근시간에 큰 차이가 나게 된다.
또한, 경리부에서는 캐셔의 근무 마감에 따라 입금되는 캐셔별 매출금을 일일이 재확인하여 해당 캐셔가 입력한 마감 매출금과 일치하는지 확인해 해당 캐셔의 마감상황이 정확한지 여부를 확정해야만 하기 때문에 업체의 근무시간 외에도 추가적인 인력이 근무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캐셔의 마감 정산확정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술한 수동적인 마감 절차들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이러한 캐셔의 마감 정산확정이 다음날에 완전히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캐셔들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마감 정산확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즉시 확인 할 수 없어 마감 이후에도 항시 불안한 마음을 가질 수 밖에 없고, 또한 업체의 입장에서도 캐셔들의 개별 마감에 대한 정산확정 완료 상황을 다음날이 되어야만 확인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캐셔의 의도적인 계산누락이나 도주 등의 상황에 대하여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형 슈퍼마켓이나 쇼핑몰, 대형 할인 매장 등과 같이 많은 수의 캐셔들이 순번으로 돌아가며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지불액을 계산처리하는 대형 마트에서 각 캐셔별 준비금 지급, 중간 입금 및 시재의 입금을 처리하여 일일매출 판매대금의 정산을 자동처리하는 동시에 확정하고 각 캐셔가 해당 정산 상황을 확인하여 확정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은, 다수의 캐셔들이 매장내 POS 단말기를 통해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지불액을 계산처리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내의 캐셔들의 실시간 매출현황을 캐셔별 POS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여 수집하고 해당 수집되는 캐셔별 매출현황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POS 서버; 매장에 배치되어 운영되며, 장치사용이 인증된 캐셔에게 외부로부터 수신된 캐셔의 준비금 출금 내역에 따라 당일 근무를 위한 지폐 및 동전의 준비금을 지급하고 해당 캐셔의 근무 중 입수된 지폐 및 동전을 중간 입금받고 캐셔의 근무 종료에 따른 시재를 입금받으며, 캐셔의 요청에 따른 지폐 또는 동전의 권종교환을 담당하며, 해당 준비금 지급,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에 따른 거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산 장치; 및 상기 POS 서버로부터 전송된 캐셔별 매출현황 데이터를 수신해 POS 판매내역 DB 에 저장하며, 상기 정산 장치를 통한 캐셔의 장치사용 인증 요청에 따라 내부 인증 관리부를 통해 해당 정산 장치에서 전송되는 캐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개시 및 장치사용 종료 여부를 결정해 해당 정산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며, 장치사용이 인증된 캐셔에 대한 준비금 출금 내역을 정산 장치로 제공하는 한편 캐셔로부터 입금되는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 내역에 관한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부 확정 처리부를 통해 상기 POS 판매내역 DB 에 저장된 동일 캐셔의 매출현황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여부를 결정해 관리하는 운영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산 장치는, 주제어 장치로서 상기 운영관리 서버와의 거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캐셔의 정산장치 사용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해 상기 운영관리 서버를 통한 캐셔 인증 과정을 지원하며, 준비금의 출금이나 지폐 교환 업무시 각 권종별 지폐를 방출하고 캐셔와의 거래에 따른 각종 명세표를 발행하는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의 제어에 따라 인증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해당 캐셔에게서 입금되는 지폐 및 봉투를 입금받아 저장하며, 해당 지폐의 입금액에 관한 정보를 주제어 장치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달하는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 및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의 제어에 따라 인증 캐셔의 준비금 출금시,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해당 캐셔에게 각 권종별 동전을 방출하고 또한 입금되는 동전을 입금받아 저장하며, 해당 동전의 출금 및 입금액에 관한 정보를 주제어 장치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달하는 동전 입출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는, 방출을 위해 준비된 각 권종별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 수납부; 상기 지폐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각 권종별 지폐를 외부로 지폐 방출부를 통해 방출시켜 캐셔에게 전달하는 지폐 처리부; 해당 정산 장치에 대한 캐셔의 사용 결과로서, 캐셔의 준비금 출금시 출금된 준비금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캐셔의 중간 입금시 입금된 캐셔매출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시재의 입금시 입금된 시재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봉투 입금시 봉투입금 항목 내역, 캐셔의 시재 입금에 따른 정산항목 내역, 캐셔의 동전 또는 지폐 입금 후 권종 교환시 교환 내역을 명세표에 인쇄하여 명세표 방출부를 통해 방출시켜 캐셔에게 제공하는 명세표 인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는, 해당 정산 장치를 상기 운영관리 서버와 연결시켜, 해당 정산 장치 사용을 위한 인증정보와 해당 정산 장치 사용에 따른 거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관리서버 인터페이스;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를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 및 동전 입출금장치와 연결시켜, 내부 기기 작동에 따른 거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기기연결 인터페이스; 상기 관리서버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영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캐셔의 캐셔인증 개시 및 캐셔인증 종료 과정을 지원하고,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 및 동전 입출금장치를 제어하여 캐셔의 지폐 및 봉투 입금 과정과 캐셔의 동전 입출금 과정을 지원하며, 캐셔와의 거래에 따라 상기 지폐 처리부 및 명세표 인쇄부를 제어하여 명세표의 출력 및 지폐의 방출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산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하고 해당 정산 장치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조작 및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폐 및 봉투입금장치는, 해당 봉투 입금장치를 상 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와 연결시켜 데이터 교환을 이루며, 내부 기기 작동에 따라 해당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에서 발생된 지폐 및 봉투 입금 현황 정보를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달하는 기기연결 인터페이스;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각 권종별 지폐를 일괄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지폐 입금부; 상기 지폐 입금부에 장착된 지폐들을 각 권종별로 분류하고 지폐를 권종별로 계수하는 지폐 감별 및 계수부; 상기 지폐 감별 및 계수부에서 계수된 각 권종별 지폐를 내부 권종별 수납함에 수납시키고, 소정 매수가 수납되면 해당 권종 지폐의 스택완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폐 일시 수납부; 상기 지폐 일시 수납부의 스택완료 신호에 따라 스택완료 신호가 발생된 권종의 수납함 지폐를 띠지로 묶어 하나로 묶음처리하는 묶음 처리부; 상기 묶음 처리부에 의해 묶음 처리된 지폐 묶음의 띠지에 묶음 일련번호 정보, 해당 지폐묶음 중 최초수납지폐의 수납시간 및 수납 캐셔 정보, 및 해당 지폐묶음 중 최종수납지폐의 수납시간 및 수납 캐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띠지 정보를 인쇄하는 띠지 인쇄부; 상기 띠지 인쇄부에 의해 띠지에 띠지 정보가 인쇄된 지폐 묶음을 이송하여 지폐 투척부를 통해 지폐 금고부에 투척해 저장시키는 지폐 이송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여 지폐의 입금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폐 및 봉투입금장치는,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봉투를 입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봉투 입금부; 상기 봉투 입금부를 통해 입금되는 봉투에 대 한 봉투입금정보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해당 봉투의 외면에 인쇄시키고, 해당 봉투를 지폐 금고부에 저장시키는 봉투입금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전 입출금장치는, 해당 동전 입출금장치를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와 연결시켜, 내부 기기 작동에 따라 해당 동전 입출금장치로부터 발생된 동전 출금 및 동전 입금 현황 정보를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송하고,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에서 송신된 동전 출금 명령을 수신하는 기기연결 인터페이스;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각 권종별 동전을 일괄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동전 입금부; 상기 동전 입금부에 수용된 동전들을 각 권종별로 분류하고 동전을 권종별로 계수하는 동전 감별 및 계수부; 상기 동전 감별 및 계수부에서 계수된 각 권종별 동전을 권종별로 수납하는 동전 수납부; 상기 동전 감별 및 계수부에서 거부된 동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전 반환부; 및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측의 동전 출금 명령에 따라, 상기 동전 수납부에 수납된 각 권종별 동전을 추출해 동전 방출부를 통해 캐셔에게 제공하는 동전 방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장에 배치되어 운영되며, 상기 운영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일일업무를 마감한 캐셔의 요청에 따라 해당 캐셔의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해당 운영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된 캐셔가 자신의 일일마감 정산의 확정 상태를 실시간 조회하도록 하여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상태, 일일마감 확정 실패 상태 및 일일마감 확정실패 내역을 실시간 제공하는 매장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은, (a) 정산 장치가 캐셔로부터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의 거래 중 어느 하나의 거래에 대한 거래요청을 받고, 해당 캐셔에게서 입력된 장치사용을 위한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개시 인증정보를 외부의 운영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개시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캐셔에게 정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의 거래 중 해당 캐셔가 선택한 거래의 수행을 준비하는 단계; (c) 캐셔에게서 캐셔의 근무 개시를 위한 준비금 출금의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운영관리 서버로 해당 인증 캐셔의 준비금 출금내역을 요청하고, 해당 캐셔의 준비금 출금 내역에 따라서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를 통해 준비금 중 각 권종별 지폐를 방출하고 동전 입출금장치를 통해 준비금 중 각 권종별 동전을 방출하여 해당 방출 내역을 저장하며, 해당 준비금 출금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d) 캐셔에게서 근무 중 발생한 지폐 및 동전에 대한 중간 입금의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캐셔로부터 입금되는 중간 입금의 지폐 및 동전을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와 동전 입출금장치를 통해 입금받고 해당 중간입금된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여 저장하며, 해당 중간 입금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e) 캐셔에게서 일일근무 종료에 따른 시재 입금의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캐셔로부터 입금되는 시재 입금의 지폐 및 동전 을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와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입금받고 해당 시재입금된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여 저장하며, 해당 시재 입금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f)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의 거래 중 해당 캐셔가 진행한 거래에 따라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g)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캐셔에게 장치사용 종료를 위한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캐셔에게서 입력된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를 외부의 운영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종료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캐셔의 정산 장치를 사용권한을 종료하고 다음 거래를 위한 대기 상태로 상태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캐셔에게서 지폐 또는 동전에 대한 교환 업무에 관한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교환대상 권종의 선택메뉴를 캐셔에게 제공해 캐셔에게서 선택된 권종의 교환대상액을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나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입금받고, 해당 캐셔에게서 선택된 권종의 교환희망액을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부나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방출하며, 해당 교환업무에 따른 거래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정산 장치가 관리서버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운영관리 서버로 해당 인증 캐셔의 일일 업무를 위한 준비금 출금내역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2)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준비금 출금내역 정보를 수신해, 준비금의 지폐 및 동전 출금 내역을 캐셔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c-3)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표시된 준비금 출금 내역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에 따라,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와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해당 준비금의 권종별 지폐와 권종별 동전을 방출시키는 단계; 및 (c-4)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방출된 준비금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확인에 따라, 명세표 인쇄부를 통해 해당 준비금 출금에 따른 명세표를 인쇄해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와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각각 입금되는 시재 입금의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는 단계; (e-2)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계수된 시재 입금의 지폐 및 동전 내역을 캐셔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e-2)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표시된 시재 입금 내역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에 따라, 시재 토탈 입금 내역을 저장하고 정산항목 명세표를 인쇄해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e-2) 단계 이후에, 상기 정산 장치가 인증 캐셔에게 봉투입금을 통한 시재 입금을 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인증 캐셔에게서 시재의 추가적인 봉투 입금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캐셔의 봉투입금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봉투입금 항목 입력란을 제공하고, 해당 인증 캐셔가 입력하는 봉투입금 항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인증 캐셔가 입력한 상기 봉투입금 항목 내역을 이용해 해당 봉투입금 항목을 저장하고, 캐셔가 입력한 봉투입금 내역이 인쇄된 봉투입금내역 인쇄 명세표 를 해당 인증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정산 장치가 제공된 봉투입금내역 인쇄 명세표의 봉투 삽입 및 봉투 기재사항을 안내하는 단계;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봉투입금내역 인쇄 명세표가 삽입된 봉투의 입금상황을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봉투입금에 따른 봉투 입금 명세표를 해당 인증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e-2) 단계의 시재 토탈 입금 내역 산정시 상기 봉투입금에 따른 봉투 입금액을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른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은, (A) 운영관리 서버가 일일 업무의 개시에 따라 POS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매장의 PO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매장내 캐셔들의 판매현황 정보를 수신해 POS 판매내역 DB에 저장해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매장에 구비된 정산 장치로부터 캐셔의 해당 정산 장치 사용을 위한 장치사용개시 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정산 장치로부터 장치사용 개시 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내부 인증 관리부를 통하여 해당 수신된 캐셔의 장치사용 개시 인증정보를 이용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을 승인하는 단계; (C)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장치사용 인증결과인 장치사용 승인정보를 해당 인증 요청 정산 장치에 통보해 해당 정산 장치를 장치사용 승인에 따른 장치사용 개시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D)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정산 장치에 대한 장치사용 승인에 따라, 해당 정산 장치의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의 캐셔 거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캐셔의 장치사용을 지원하는 단계; (E)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정산 장치를 통한 캐셔의 거래에 따른 거래 데이터를 정산 장 치로부터 수신해 정산거래 DB 에 저장해 등록시키는 단계; (F)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의 캐셔 거래 중 하나의 거래 완료에 따라 해당 거래 진행 캐셔의 거래 진행을 위한 장치사용인증 종료를 해당 거래 완료 정산 장치에 명령하는 단계; 및 (G)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거래 완료 정산 장치로부터 캐셔가 입력한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내부 인증관리부를 통하여 해당 수신된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를 이용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며,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를 승인해 해당 정산 장치를 장치사용 종료 승인에 따른 거래대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H)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캐셔의 장치사용 거래 중 해당 캐셔의 일일 업무 마감을 위한 시재의 입금이 이루어진 경우, 내부 확정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정산 장치에서 이루어진 캐셔의 토탈 입금 시재액과 매장 POS 서버에서 전송되어 상기 POS 판매내역 DB 에 누적된 해당 캐셔의 근무에 따른 POS 거래액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분석하는 단계; 및 (I)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비교분석된 캐셔의 일일마감 상태를 통해 해당 캐셔의 일일정산 확정 여부를 결정하고 확정 결과를 마감확정 DB 에 등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J)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매장 단말기로부터 캐셔가 자신의 일일마감 확정 상황을 조회하고자 하는 개인 확정상황 조회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K)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해당 매장 단말기을 통해 캐셔가 입력한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내부 인증관리부를 통하여 해당 수신된 캐셔의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이용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 계; (L)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수행 결과 인증된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기록을 상기 마감확정 DB 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M) 상기 검색결과,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상황이 확정인 경우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해당 확정 상황 정보를 즉시 해당 캐셔의 매장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N) 상기 검색결과,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상황이 확정실패인 경우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해당 확정 실패 및 확정실패 내역을 즉시 해당 캐셔의 매장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대형 슈퍼마켓이나 쇼핑몰, 대형 할인 매장 등과 같이 많은 수의 캐셔들이 순번으로 돌아가며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지불액을 계산처리하는 대형 마트에서 각 캐셔별 준비금 지급, 중간 입금 및 시재의 입금을 처리하여 일일매출 판매대금의 정산을 자동처리하는 동시에 확정하고 각 캐셔가 해당 정산 상황을 확인하여 확정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예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산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와 지폐 및 명세표 방출처리장치를 나 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출금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은 정산 장치(100), 운영관리 서버(200), 영업장 단말기(300), POS 서버(400) 및 다수의 POS 단말기(500)로 구성된다.
우선, 대형 마트에서 매장내의 캐셔들은 각각의 근무 위치에서 POS 단말기(500)를 통해 손님들이 구매하는 각종 물건의 가격을 산정하고 손님의 지불금을 받아 잔돈을 지급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POS 단말기(500)를 통한 캐셔들의 매출현황은 해당 매장을 관리하는 상기 POS 서버(400)에 기록 관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산 장치(100)는 해당 매장에 구비되어 캐셔들에게 당일 근무를 위한 준비금을 지급하고 각 캐셔의 근무 마감시 해당 캐셔의 마감 시재를 입금받게 되는 것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 그리고 동전 입출금장치(130)의 3개의 기능 장치로 분리되어 상호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게 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용어 중, 준비금 출금이라 함은 캐셔의 업무에 필요한 일정 금액의 준비금을 정산 장치(100)로부터 출금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데, 오천원권 지폐 7매, 천원권 지폐 52매, 오백원권 동전 50개, 백원권 동전 50개, 오십원권 동전 50개, 십원권 동전 50개일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입금이라 함은 캐셔의 근무 시간 중 지폐와 동전을 정산 장치 (100)에 입금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폐(만원권, 오천원권, 천원권)와 동전(오백원권, 백원권, 오십원권, 십원권)을 중간 입금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재 입금이라 함은 캐셔의 근무 종료 후 캐셔가 가지고 있는 모든 돈 즉 시재를 정산 장치(100)에 입금하여 마감 및 정산하는 거래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폐와 동전의 입금 외에도 수표(10만원권 등)와 상품권 등을 입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표와 상품권은 별도의 봉투에 담아 해당 봉투내 수표 또는 상품권 내역을 기록함으로써 입금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 업무라 함은 캐셔가 지폐와 동전을 이용하여 정산 장치(100)를 통해 원하는 권종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거래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하거나 지폐를 다른 권종의 지폐로 교환하거나 지폐를 지폐 및 동전으로 교환할 수 있고 또한 동전을 지폐로 교환하거나 동전을 지폐와 동전으로 교환하거나 동전을 다른 권종의 동전으로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는 주제어장치로서, 캐셔에게 전체 정산 장치(100)에 대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또한 준비금의 출금이나 지폐 교환 업무시 각 권종별 지폐를 방출하게 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이러한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는 주제어부(111),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12), 조작 및 확인부(113),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14), 데이터 저장부(115), 명세표 인쇄부(116a), 명세표 방출부(116b), 지폐 처리부(117a), 지폐 방출부(117b) 및 지폐 저장고(117b)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12)는 해당 정산 장치(100)를 외부의 운영관리 서버(200)와 연결시켜, 해당 정산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캐셔의 캐셔인증 개시과정이 해당 인증 서버(20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캐셔는 일일 거래를 위한 교환 준비금을 해당 정산 장치(100)에서 지급받기 위한 준비금 출금시나, 업무 중 발생된 입금 금액을 해당 정산 장치(100)에 입금하기 위한 중간 입금시나, 일일 업무를 종료하면서 보유한 모든 화폐를 해당 정산 장치(100)에 입금하기 위한 시재 입금시에, 해당 정산 장치(100)에서 상기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운영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캐셔 ID(사원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장치사용 인증 정보를 해당 운영관리 서버(200)에 전달하여 정당한 기기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받게 된다.
또한, 이러한 캐셔의 정산 장치(100) 활용 이후에도, 해당 캐셔는 상기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정산 장치(100)의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캐셔의 캐셔인증 종료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운영관리 서버(200)에서는 캐셔인증 개시과정을 거친 캐셔의 정보를 통해 해당 캐셔에게 지급되어야 하는 준비금의 출금내역에 관한 정보를 해당 정산 장치(100)에 제공하거나,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 또는 시재 입금 내역에 관한 정보를 가져가게 된다.
상기 조작 및 확인부(113)는 해당 정산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과 정보 표시를 담당하는 바, 터치 패널 방식의 디스플레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14)는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와 주변기기 즉,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와 동전 입출금장치간의 데이터 전송 연결을 담 당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15)는 해당 정산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바, 해당 정산 장치의 환경설정 정보, 현재 인증환경 정보, 캐셔 준비금 인출기록 정보, 캐셔 중간입금기록 정보, 캐셔 마감시재 입금기록 정보, 캐셔 교환기록 정보, 명세표 발행 정보, 지폐 저장현황 정보, 동전 저장현황 정보, 금고내 저장지폐 현황 정보 등을 포함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명세표 인쇄부(116a)는 해당 정산 장치(100)에 대한 캐셔의 사용 결과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캐셔의 준비금 출금시 출금된 준비금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캐셔의 중간 입금시 입금된 캐셔매출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시재의 입금시 입금된 시재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봉투 입금시 봉투입금 항목 내역, 캐셔의 시재 입금에 따른 정산항목 내역, 캐셔의 동전 또는 지폐 입금 후 권종 교환시 교환 내역 등을 명세표에 인쇄하여 명세표 방출부(116b)를 통해 방출해 캐셔에게 제공한다.
상기 지폐 처리부(117a)는 지폐 수납부(117b)에 수납되어 있는 각 권종별로 수납되어 있는 지폐(예컨데, 만원권, 오천원권, 천원권)를 상기 주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지폐 방출부(117c)를 통해 방출시켜 캐셔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폐 수납부(117b)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는 해당 정산 장치(100)의 관리 요원 등에 의해 미리 수납되어지는 것으로 이후 설명되는 지폐 입금 및 금고 저장과는 관계없는 단일의 지폐 출금 루트이다.
상기 주제어부(111)는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상기 각 부 구성에 대한 제어를 통해, 캐셔의 캐셔인증 개시 및 캐셔인증 종료 과정을 지원하고 캐셔와의 거래에 따른 명세표의 출력 및 지폐의 방출을 지원하게 되는 한편,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주변기기인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 및 동전 입출금장치(130)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주변장치로서,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해당 캐셔에게서 입금되는 지폐 및 봉투를 입금받아 저장하며, 해당 입금액에 관한 정보를 주제어 장치인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주변장치로 기술되지만, 해당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는 독립적인 지폐 금고부로도 활용 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상의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해당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는 제어부(121),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22), 지폐 입금부(123a), 지폐 감별 및 계수부(123b), 지폐 일시 수납부(123c), 묶음 처리부(123d), 띠지 인쇄부(123e), 지폐 이송부(123f), 지폐 투척부(123g), 봉투 입금부(124a), 봉투 입금 처리부(124b), 표식 인쇄부(124c), 지폐 금고부(125) 및 수거부(126)로 구성된다.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22)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14)와 연결되어, 해당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를 주제어장치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와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해당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로부터 발생된 지폐 및 봉투 입금 현황 정보가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주제어부(121)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지폐 입금부(123a)는 해당 기기의 사용자인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가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각 권종별 지폐를 일괄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태커(stacker) 방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폐 감별 및 계수부(123b)는 상기 지폐 입금부(123a)에 장착된 지폐들을 각 권종별로 분류(예컨데, 만원권, 오천원권, 천원권)하고 권종별 지폐의 수를 계수하여 상기 제어부(121)로 해당 지폐 입금 인식결과 정보(예컨데, 만원권 ** 장, 오천원권 ** 장, 천원권 ** 장)를 전달하며, 계수된 각 권종별 지폐를 지폐 일시 수납부(123c)에 권종별로 수납시킨다.
상기 지폐 일시 수납부(123c)는 각 권종별 수납함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권종별로 일정 이상의 매수가 수납되면 해당 권종 지폐의 스택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스택완료된 수납함 번호와 함께 상기 제어부(121)로 전송한다. 이때, 이러한 권종 지폐별 스택완료 신호는 각 권종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지만, 각 권종별로 200장의 지폐가 해당 권종 수납함에 수납되게 되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묶음 처리부(123d)는 상기 지폐 일시 수납부(123c)에 수납된 동일 권종의 지폐를 하나의 덩어리로 묶음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지폐 일시 수납부(123c)에서 스택완료 신호의 발생에 따라 제어부(121)에서 전달되는 묶음 처리신호 및 묶음 대상 수납함 번호를 전달받아 해당 수납함 번호에 해당하는 권종의 지폐들을 하나로 묶음처리하여 해당 묶음에 표식 띠지를 감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띠지 인쇄부(123e)에는 제어부(121)로부터 띠지 표식 정보가 전달되게 되어 해당 띠지에는 별도의 표식 정보가 인쇄되게 된다.
이때, 상기 묶음처리된 지폐 묶음의 띠지에 인쇄되는 표식 정보에는 묶음 일련번호와, 해당 지폐 묶음 중 최초 수납 지폐의 수납시간 및 수납 캐셔 정보 그리고 해당 지폐 묶음 중 최종 수납 지폐의 수납시간 및 수납 캐셔 정보가 인쇄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폐 묶음의 띠지 표식 정보를 통해 파손된 지폐의 출처(입금 캐셔)나 위조 지폐의 출처(입금 캐셔)를 역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띠지가 인쇄된 지폐 묶음은 지폐 이송부(123f)를 통해 기기내를 이동하여 지폐 투척부(123g)를 통해 지폐 금고부(125)에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봉투 입금부(124a)는 해당 기기의 사용자인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가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봉투를 입금할 수 있도록 슬롯 방식으로 구비된다. 이때, 입금되는 해당 봉투에는 수표 또는 상품권이 들어가게 되며, 해당 캐셔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입금되는 봉투내의 내용물(매수, 액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봉투입금 처리부(124b)는 상기 봉투 입금부(124a)를 통해 입금되는 봉투에 대한 봉투입금정보(매수, 액수, 입금캐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21)를 통해 전달받아 표식 인쇄부(124c)를 통해 해당 봉투입금정보를 인쇄시키고, 해당 봉투를 지폐 금고부(125)에 저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거부(126)는 해당 지폐 금고부(125)에 저장된 지폐 묶음 및 봉투가 관리요원 등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동전 입출금장치(130)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주변장치로서, 준비금 출금시,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해당 캐셔에게 각 권종별 동전을 방출하고 또한 입금되는 동전을 입금받아 저장하며, 해당 출금 및 입금액에 관한 정보를 주제어 장치인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로 전달하게 된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해당 동전 입출금장치(130)는 제어부(131),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32), 동전 입금부(133a), 동전 감별 및 계수부(133b), 동전 수납부(133c), 동전 반환부(133d), 동전 처리부(133c), 동전 방출부(133f)로 구성된다.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32)는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기기연결 인터페이스(114)와 연결되어, 해당 동전 입출금장치(130)를 주제어장치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와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해당 동전 입출금장치(130)로부터 발생된 동전 출금 및 동전 입금 현황 정보가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주제어부(121)로 전달되도록 하고,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에서 송신된 동전 출금 명령을 동전 입출금장치(130)의 제어부(131)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동전 입금부(133a)는 해당 기기의 사용자인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가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각 권종별 동전을 일괄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동전 수용함으로 구비된다.
상기 동전 감별 및 계수부(133b)는 동전 입금부(133a)에 수용된 동전들을 각 권종별로 분류(예컨데, 오백원권, 백원권, 오십원권, 십원권)하고 권종별 동전의 수를 계수하여 상기 제어부(131)로 해당 동전 입금 인식결과 정보(예컨데, 오백원권 ** 개, 백원권 ** 개, 오십원권 ** 개, 십원권 ** 개)를 전달하며, 계수된 각 권종별 동전을 동전 수납부(133c)에 권종별로 수납시킨다.
이때, 해당 동전 감별 및 계수부(133b)는 해당 동전 입금부(133a)에 투입된 동전에서 인식이 불가능한 동전(예컨데, 손상이 심한 동전이나 유사 동전류)은 별도로 취급하여 동전 반환부(133d)를 통해 즉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동전 수납부(133c)는 각 동전 권종별 수납함을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동전 수납부(133c)에 수납된 동전들은 이후 주제어 장치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캐셔의 준비금 출금시나 교환 업무시에 동전을 방출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131)가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에서 수신한 동전방출정보가 동전 처리부(133e)에 전달되면, 해당 동전 처리부(133e)가 동전 수납부(133c)에서 해당 동전방출정보에 따른 각 권종별 동전을 추출해 동전 방출부(133f)를 통해 방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제어 장치인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와 그 주변장치인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 및 동전 입출금 장치(130)로 이루어지는 정산 장치(100)는 해당 대형 마트내에 설치되어 각 캐셔들의 준비금 출금, 중간입금, 시재입금 및 교환업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캐셔의 정산 장치(100)를 통한 무인 거래 내역은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에 저장되어 관리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정산 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해당 정산 장치(100)의 주제어부(111)는 조작 및 확인부(113)을 통해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의 거래 메뉴들이 포함된 초기화면을 제공하고, 해당 정산 장치(100)를 사용하려 하는 캐셔로부터 해당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의 거래 메뉴들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10).
이때, 이러한 캐셔의 정보 확인 및 기기 조작은 터치 패널 방식의 디스플레이어인 조작 및 확인부(113)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바, 디스플레이와 캐셔 입력이 별도의 모듈을 통해 진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해당 정산 장치(100)의 주제어부(111)는 도 7b 및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캐셔의 정산 장치 사용을 위한 캐셔의 장치사용개시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증정보 입력창을 상기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제공한다(S12).
상기 주제어부(111)는 해당 인증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캐셔의 장치사용개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입력된 장치사용개시 인증 정보를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운영관리 서버(200)로 인증요청 정보로서 전송한다(S14).
이러한 캐셔의 장치사용개시 인증 정보의 전송 이후, 상기 주제어부(111)는 운영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인증요청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승인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개시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S16),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개시 승인이 떨어진 경우, 해당 캐셔의 거래메뉴 선택에 따라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의 거래 중 하나를 수행하게 된다.
우선, 준비금 출금 거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산 장치(100)의 주제어부(111)는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해당 운영관리 서버(200)로 해당 인증 캐셔의 일일 업무를 위한 준비금 출금내역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S21), 해당 운영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준비금 출금내역 정보를 수신하며(S22). 이를 도 7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및 확인부(113)에 표시시킨다(S23).
이때, 이러한 준비금 출금 내역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및 동전의 다양한 권종별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해당 주제어부(111)는 상기 제 S23 단계에서 표시된 준비금 출금내역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의사 선택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상기 제 S24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가 있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111)는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를 통해 해당 준비금 중 각 권종별 지폐를 방출하고 동전 입출금장치(130)를 통해 해당 준비금 중 각 권종별 동전을 방출하게 된다(S25).
이때, 이러한 지폐 및 동전의 준비금 방출 상황은 도 7e 내지 도 7h 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해당 캐셔에게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111)는 상기 제 S25 단계에서 방출된 준비금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확인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6), 해당 캐셔의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 명세표 인쇄부(116a)를 통해 해당 준비금 출금에 따른 명세표를 인쇄하고 명세표 방출부(116b)를 통해 해당 명세표를 방출하여 캐셔에게 전달하게 된다(S27).
이러한 명세표 방출 동작 역시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도 7i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인증 캐셔에게 안내된다.
다음으로, 중간 입금 거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산 장치(100)의 주제어부(111)는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캐셔가 입금하고자 하는 중간 입금 지폐 및 동전의 입금 방법을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표시하여 안내하고(S31), 이에 따라,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와 동전 입출금 장치(130)을 통해 각각 입금되는 중간 입금의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여(S32), 이러한 계수된 중간 입금 내역을 도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및 확인부(113)에 표시시킨다(S33).
이때, 이렇게 중간 입금되는 지폐 및 동전의 계수 상황은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해당 캐셔에게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111)는 상기 제 S33 단계에서 안내된 해당 인증 캐셔의 중간 입금액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확인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4), 해당 캐셔의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 명세표 인쇄부(116a)를 통해 해당 중간 입금에 따른 명세표를 인쇄하고 명세표 방출부(116b)를 통해 해당 명세표를 방출하여 캐셔에게 전달하게 된다(S35).
다음으로, 교환 업무 거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산 장치(100)의 주제어부(111)는 해당 캐셔의 교환 업무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 캐셔가 소지하고 있는, 즉 해당 캐셔가 정산 장치를 통하여 교환하고자 하는 대상인 해당 캐셔의 입금 권종을 선택할 수 있는 교환대상권종 선택 메뉴(지폐입금교환, 동전입금교환)를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표시하고, 해당 캐셔로부터 선택된 교환대상권종에 대한 지폐 또는 동전의 선택 메뉴를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수신한다(S41).
이때, 이러한 캐셔의 정산 장치(100)를 통한 지폐 및 동전의 교환 업무는 굳이 해당 캐셔가 상술한 장치사용 개시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가능하나, 캐셔 이외의 일반 고객의 사용을 제한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인증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정산 장치(100)의 주제어부(111)는 캐셔의 교환대상권종에 대한 선택에 따라 해당 캐셔가 입금하고자 하는 교환대상권종의 입금 방법을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표시하여 안내하고(S42), 이에 따라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 또는 동전 입출금 장치(130)을 통해 입금되는 교환대상권종을 계수하여(S43), 이러한 계수된 교환대상액의 내역을 조작 및 확인부(113)에 표시시킨다(S44).
이후, 해당 주제어부(111)는 상기 제 S44 단계에서 표시된 교환대상액의 내 역에 대한 해당 캐셔의 확인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
상기 제 S45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캐셔가 교환대상액의 내역을 확인한 경우, 상기 주제어부(111)는 도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캐셔의 입금 교환대상액을 통해 출금받고자 하는 교환희망권종의 각 권종별 출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교환희망권종 선택 메뉴 및 입력란을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표시하고, 해당 캐셔로부터 선택된 교환희망권종에 대한 지폐 또는 동전의 선택 사항을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수신해(S46), 해당 출금되는 교환희망액의 권종별 출금 내역을 도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및 확인부(113)에 표시한다(S47).
이후, 상기 주제어부(111)는 상기 제 S47 단계에서 안내된 해당 캐셔의 교환 업무에 따른 교환희망권종의 출금 내역에 대한 해당 캐셔의 확인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8).
상기 제 S48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캐셔의 확인이 있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111)는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110) 또는 동전 입출금장치(130)를 통해 해당 교환희망액에 따른 희망 권종의 지폐 또는 동전을 방출하게 된다(S49).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111)는 상기 제 S49 단계에서 방출된 교환희망권종의 교환액에 대한 해당 캐셔의 확인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0), 해당 캐셔의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 명세표 인쇄부(116a)를 통해 해당 교환 업무에 따른 명세표를 인쇄하고 명세표 방출부(116b)를 통해 해당 명세표를 방출하여 캐셔에게 전달하게 된다(S51).
다음으로, 시재 입금 거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산 장치(100)의 주제어부(111)는 해당 인증 캐셔가 입금하고자 하는 시재 입금 지폐 및 동전의 입금 방법을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표시하여 안내하고(S61), 이에 따라,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와 동전 입출금 장치(130)을 통해 각각 입금되는 시재 입금의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여(S62), 이러한 계수된 시재 입금 내역을 조작 및 확인부(113)에 표시시킨다(S63).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111)는 상기 제 S63 단계에서 안내된 해당 인증 캐셔의 시재 입금액 내역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의사 선택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4),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가 있으면 1차적인 지폐 및 동전을 통한 시재 입금을 마치게 된다.
그 후, 상기 주제어부(111)는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입금을 통한 시재 입금을 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뉴화면을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제공하여, 상술한 지폐 및 동전을 통한 시재 입금 외에 봉투를 통한 봉투 입금의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5).
여기에서, 봉투 입금이라 함은 시재 입금시 지폐와 동전의 입금 외에도 수표(10만원권 등)와 상품권 등을 봉투에 담아 입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표와 상품권은 별도의 봉투에 담아 해당 봉투내에 수표 또는 상품권 내역을 명세표로 기록함으로써 입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수표와 상품권 외에도 지폐 및 동전 입금시 반환된 금액을 봉투에 담아 입금할 수도 있다.
상기 제 S65 단계의 판단결과, 시재의 추가적인 봉투 입금이 선택된 경우, 상기 주제어부(111)는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캐셔의 봉투입금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봉투입금 항목 입력란을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표시하고, 이에 따라 해당 캐셔가 입력하는 봉투입금 항목 내역을 수신한다(S66).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111)는 해당 캐셔가 입력한 상기 봉투입금 내역을 명세표 인쇄부(116a)로 전달하여 해당 캐셔 입력 봉투입금 내역을 명세표에 인쇄하고 명세표 방출부(116b)를 통해 해당 봉투입금 내역 인쇄 명세표를 방출하여 캐셔에게 전달하게 된다(S67).
이때, 이렇게 캐셔에게 전달된 봉투입금 내역 인쇄 명세표는 해당 입금할 봉투에 삽입되는 용도로 쓰이게 되며, 이러한 삽입 과정 역시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안내되게 된다(S68).
즉, 캐셔는 방출된 봉투입금 내역 인쇄 명세표를 해당 봉투에 넣고 해당 봉투의 겉면에 사원번호와 금액을 기입한 다음 봉투 투입구에 넣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부(111)는 봉투입금 내역이 인쇄된 명세표가 삽입된 봉투의 입금상황을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120)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따라 명세표 인쇄부(116a)를 통해 해당 봉투입금에 따른 봉투 입금 명세표를 인쇄하고 명세표 방출부(116b)를 통해 해당 봉투입금 확인 명세표를 방출하여 캐셔에게 전달하게 된다(S69).
그 후, 상기 주제어부(111)는 조작 및 확인부(113)를 통해 상술한 지폐 및 동전 입금과 봉투 입금을 포함한 토탈 시재 입금 내역을 표시하고(S70), 해당 표시된 토탈 시재 입금 내역에 대한 해당 캐셔의 확인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71), 해당 캐셔의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 명세표 인쇄부(116a)를 통해 해당 시재 입금 거래에 따른 정산항목 명세표를 인쇄하고 명세표 방출부(116b)를 통해 해당 정산항목 명세표를 방출하여 캐셔에게 전달하게 된다(S72).
상술한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 중 하나의 거래에 대한 캐셔의 정산 장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주제어부(111)는 해당 거래에 관한 데이터를 운영관리 서버(200)에 보고하고(S80), 해당 거래 데이터 보고에 따라 운영관리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장치사용 인증 종료 명령를 수신받아 상기 조작 및 확인부(113)을 통해 장치사용 종료를 위한 인증 정보 입력창을 표시하게 된다(S82).
이후, 상기 주제어부(111)는 해당 인증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캐셔의 장치사용종료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입력된 장치사용종료 인증 정보를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운영관리 서버(200)로 인증요청 정보로서 전송하고(S86), 운영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인증요청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종료 승인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종료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S88),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종료 승인이 떨어진 경우, 해당 캐셔의 정산장치(100) 사용 거래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는 상기 정산 장치(100)와 연결되어 해당 정산 장치(100)를 통해 거래(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업무, 시재 입금)를 하고자 하는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캐셔의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정산 장치(100)에 제공하며 거래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시에 매장내 캐셔들의 매출현황에 관한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POS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하 는 한편,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시재 입금에 따라 캐셔별 일일마감 상황을 확정하고 해당 확정결과를 제공하게 되는 관리 장치로서, 그 구성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210), 데이터 저장장치(220), 외부 인터페이스(230), POS 인터페이스(240), 인증 관리부(250), 확정 처리부(260), 별도의 운영체제 및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대용량의 업무처리, 상호 정보교환시 수많은 수학적 계산을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바, 일반적으로 인텔사의 100MHz P54C, 모토롤라 120MHz 파워PC604 또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의166MHz 울트라SPARC-1 계열 이상의 중앙처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운영체제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23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정산 장치(100), 매장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POS 인터페이스(240)는 매장의 POS 서버(400)와 연결되어 해당 POS 서버(400)가 수집한 캐셔들의 매출현황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상기 인증 관리부(250)는 해당 정산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캐셔의 장치사용 인증 요청에 따라 전송되는 장치사용 인증정보를 통해 해당 캐셔가 정당한 장치 사용 가능자인지 여부를 판단해 해당 캐셔의 정산 장치 사용 개시 여부를 결정하고, 해당 캐셔의 정산 장치(100) 사용 종료시 전송되는 캐셔의 장치사용 인증 정보를 통해 해당 거래 데이터의 등록 여부를 결정해 해당 캐셔와의 거래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매장 단말기(300)를 통한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기록 확인시 전송되는 해당 캐셔의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통해 해당 캐셔가 확정상황 확인 가능자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확정 처리부(260)는 해당 캐셔가 일일 업무 마감에 따라 상기 정산 장치(100)를 통해 자신의 시재를 모두 입금하게 되면,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입금 데이터와 상기 POS 서버(400)로부터 전달된 해당 캐셔의 일일 판매내역 정보를 비교해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일일마감 확정 여부 결정시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 내역이 고려됨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일일마감 확정이라 함은, 해당 캐셔가 자신의 근무 위치에서 실제 판매한 판매내역과 해당 캐셔의 시재 입금내역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각 캐셔의 일일 업무 마감 상황이 올바른지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220)에는 캐셔관리 DB, 정산업무 DB, 인증정보 DB, POS 판매내역 DB, 캐셔 정산거래 DB 및 마감확정 DB 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오라클사가 제조한 데이터소프트웨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상기 DB 들을 생성하고 관리하게 위해 사용된다.
상기 캐셔관리 DB 는 각 캐셔의 성명, 근무처, 근무 POS 정보, 근무시간, 주소,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신상 정보와 회원에게 발급된 카드에 대한 회원카드번호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산업무 DB 는 매장별 근무 계획 정보, 캐셔별 준비금 지급 계획 정 보, 캐셔별 일일마감 기록 정보, 매장 판매 내역, 근무 기록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증정보 DB 는 상기 정산 장치(100)를 통해 캐셔가 거래(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업무, 시재 입금)를 개시하고 종료하기 위해 필요한 각 캐셔별 장치사용 인증 정보와 상기 매장 단말기(300)를 통해 캐셔가 자신의 일일마감 확정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각 캐셔별 확정확인 인증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장치사용 인증 정보 및 확정확인 인증 정보는 캐셔 ID(사원번호) 및 비밀번호일 수 있으며, 해당 장치사용 인증 정보 및 확정확인 인증 정보가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POS 판매내역 DB 는 상기 POS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캐셔의 근무 개시시간, 근무 마감시간, 판매내역 정보, 판매액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캐셔 정산거래 DB 는 상기 정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캐셔의 거래(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업무, 시재 입금) 결과인 준비금 인출기록, 중간 입금기록, 교환 기록, 마감 시재 입금기록을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감확정 DB 는 상기 POS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캐셔의 판매액 정보와 상기 정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캐셔의 일일마감 시재 입금액 정보를 비교한 결정인 각 캐셔별 일일 확정상태 정보가 저장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해당 운영관리 서버(60)는 상기 POS 서버(400)로부터 매장내 각 캐셔들의 판매내역 및 판매액 정보를 수신해 관리하며, 상기 정산 장치(100)의 캐셔 활용시 캐셔의 장치사용 인증개시와 장치사용 인증종료 과정을 통해 해당 캐셔의 정산 장치(100) 사용을 제한하는 동시에 캐셔의 정산 장치(100) 사용에 따른 거래 데이터를 관리해 각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여부를 실시간 결정하며, 캐셔의 일일마감 후 매장 단말기(300)를 통한 확정 상황 확인시 즉시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상황을 알려줘 판매액의 관리와 캐셔의 작업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수의 대형 마트 매장을 관리하는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는 각 매장의 일일 업무를 개시하기 위한 대기 상태이다(S100).
그리고,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각 매장의 업무 개시와 함께, 각 매장의 POS 서버(400)로부터 실시간으로 POS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매장내 캐셔들의 판매현황 정보가 전달되면 이를 수신하여 내부 데이터 저장장치(220)의 POS 판매내역 DB에 저장해 관리하게 된다(S102).
이때, 이러한 상기 제 S12 단계의 캐셔별 판매현황 정보 수신 및 등록 단계는 각 매장의 영업시간 동안 중단없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별도의 백업 시간을 통해 일일 업무가 종료된 이후 해당 거래 데이터를 마트 본사 DB로 백업 처리되게 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각 매장에 구비된 상기 정산 장치(100)로부터 캐셔의 해당 정산 장치(100) 사용을 위한 장치사용개시 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 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여기에서 이러한 장치사용개시 인증 요청신호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매장에 구비된 상기 정산 장치(100)의 지폐 및 명세표 방출 장치(110)에서 조작 및 화면부(113)의 초기화면(도 7a 참조)에 표시되는 메뉴인 '준비금', '교환업무', '중간입금' 및 '시재입금' 중 하나를 캐셔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정산 장치(100)에서 발생되어 해당 운영관리 서버(200)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제 S104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정산 장치(100)로부터 장치사용 개시 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해당 정산 장치(100)을 통해 캐셔가 입력한 장치사용 개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관리부(250)를 통해 해당 수신된 캐셔의 장치사용 개시 인증정보와 데이터 저장장치(220)의 인증정보 DB 에 저장된 해당 캐셔의 인증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06).
상기 인증 관리부(250)를 통한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10)는 해당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이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8), 인증이 실패된 경우, 해당 인증 요청 정산 장치(100)에게 해당 요청한 인증의 실패 상황과 이에 따른 캐셔의 장치사용 불가 상황을 통보하게 된다(S110).
반면, 상기 제 S108 단계의 판단결과,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을 승인하고 이러한 장치사용 승인정보를 해당 인증 요청 정산 장치(100)에게 통보함으로써 해당 정산 장치(100)는 장치사용 승인에 따른 장치사용 개시 상태에 있게 된다(S112).
이러한 운영관리 서버(200)가 해당 정산 장치(100)에서의 장치사용 개시 인증요청에 따라 장치사용 승인을 하게 됨으로써, 해당 정산 장치(100)는 준비금 출금(S120), 중간 입금(S130), 교환 업무(S140), 시재 입금(S150) 등의 캐셔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정산 장치(100)가 캐셔와의 거래 과정을 마치면 해당 거래 데이터를 운영관리 서버(200)에 보고하게 되는 바, 해당 운영관리 서버(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이러한 거래 데이터를 정산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거래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장치(220)의 캐셔 정산거래 DB 에 저장해 등록함으로써 해당 캐셔와의 거래를 끝내게 된다(S160).
이러한 정산 장치(100)를 통한 캐셔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해당 거래 진행 캐셔의 거래 진행을 위한 장치사용 인증을 종료하라는 의미의 장치사용 인증 종료를 해당 거래 완료 정산 장치(100)에 명령하게 된다(S162).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210)는 해당 거래 진행 정산 장치(100)로부터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4), 이러한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 관리부(250)를 통해 해당 수신된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와 데이터 저장장치(220)의 인증정보 DB 에 저장된 해당 캐셔의 인증정보 및 장치사용 개시시 사용된 인증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66).
상기 인증 관리부(250)를 통한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10)는 해당 장치사용 종료 인증이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68),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승인 상태를 종료하고 이러한 장치사용 승인 종료 상황을 해당 인증 요청 정산 장치(100)로 통보함으로써 해당 정산 장치(100)는 장치사용 승인 종료에 따른 장치사용 불가 상태에 있게 된다(S170).
상술한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캐셔가 거래시마다 장치사용 개시를 위한 인증 과정과 장치사용 종료를 위한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정산 장치 사용환경을 확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거래 이후, 상술한 거래에서 해당 캐셔의 일일 업무 마감을 위한 시재의 입금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내부 확정 처리부(260)를 통하여, 상기 정산 장치(100)에서 이루어진 캐셔의 입금 시재액과 매장 POS 서버(400)에서 전송되어 누적된 해당 캐셔의 근무에 따른 POS 거래액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분석하고(S172), 업무 마감된 해당 캐셔의 일일정산 확정 여부를 결정해 데이터 저장장치(220)의 마감확정 DB 에 등록시키게 된다(S174).
이때, 이러한 확정 처리부(260)를 통한 각 캐셔별 일일마감 확정 여부 결정시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 내역도 함께 고려됨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외부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접속되는 매장 단말기(300)로부터 캐셔가 자신의 일일마감 확정 상황을 조회하고자 하는 개인 확정상황 조회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76), 매장 단말기(300)를 통한 캐셔의 개인 확정상황 조회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매장 단말기(300)을 통해 캐셔가 입력한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관리부(250)를 통해 해당 수신된 캐셔의 확정확인 인증정보와 데이터 저장장치(220)의 인증정보 DB 에 저장된 해당 캐셔의 인증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캐셔에게 일일마감 확정상황에 대한 조회를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78).
이때, 상기 매장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되는 캐셔의 확정확인 인증정보는 정산 장치(100)을 통해 입력되는 장치사용개시 인증정보 및 장치사용종료 인증정보와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관리 서버(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확정확인 인증을 거친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기록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220)의 마감확정 DB 에서 검색하고(S180),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상황이 확정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82),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상황이 확정인 경우 해당 확정 상황 정보를 즉시 해당 캐셔의 매장 단말기(300)로 제공하여 주고(S186),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상황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해당 확정 실패 및 확정실패 내역을 즉시 해당 캐셔의 매장 단말기(300)로 제공함으로써(S184), 해당 캐셔가 자신의 일일 업무를 마치고 정산 장치(100)를 통해 시재 입금을 끝낸 이후 즉시 해당 매장 단말기(300)를 통해 자신의 일일마감 확정 상황을 바로 확인해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 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나타난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대형 슈퍼마켓이나 쇼핑몰, 대형 할인 매장 등과 같이 많은 수의 캐셔들이 순번으로 돌아가며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지불액을 계산처리하는 대형 마트에서 각 캐셔별 준비금 지급, 중간 입금 및 시재의 입금을 처리하여 일일매출 판매대금의 정산을 자동처리하는 동시에 확정하고 각 캐셔가 해당 정산 상황을 확인하여 확정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정산 시스템에 비해 캐셔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산 장치의 실시간 계수 기능과 운영관리 서버의 실시간 확정 기능을 통하여, 캐셔별 일일업무 마감과 각 캐셔별 일일마감액 확정을 위한 관리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정산 장치의 실시간 확정 조회 기능을 통해 캐셔 역시 자신의 업무 마감과 동시에 즉시 자신의 마감 확정상황을 조회해 확인할 수 있어서 안정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6)

  1. 다수의 캐셔들이 매장내 POS 단말기를 통해 고객의 물품구매에 따른 지불액을 계산처리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내의 캐셔들의 실시간 매출현황을 캐셔별 POS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여 수집하고 해당 수집되는 캐셔별 매출현황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POS 서버;
    매장에 배치되어 운영되며, 장치사용이 인증된 캐셔에게 외부로부터 수신된 캐셔의 준비금 출금 내역에 따라 당일 근무를 위한 지폐 및 동전의 준비금을 지급하고 해당 캐셔의 근무 중 입수된 지폐 및 동전을 중간 입금받고 캐셔의 근무 종료에 따른 시재를 입금받으며, 캐셔의 요청에 따른 지폐 또는 동전의 권종교환을 담당하며, 해당 준비금 지급,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에 따른 거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산 장치; 및
    상기 POS 서버로부터 전송된 캐셔별 매출현황 데이터를 수신해 POS 판매내역 DB 에 저장하며, 상기 정산 장치를 통한 캐셔의 장치사용 인증 요청에 따라 내부 인증 관리부를 통해 해당 정산 장치에서 전송되는 캐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개시 및 장치사용 종료 여부를 결정해 해당 정산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며, 장치사용이 인증된 캐셔에 대한 준비금 출금 내역을 정산 장치로 제공하는 한편 캐셔로부터 입금되는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 내역에 관한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부 확정 처리부를 통해 상기 POS 판매내역 DB 에 저장된 동일 캐셔의 매출현황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여부를 결정해 관리하는 운영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장치는,
    주제어 장치로서 상기 운영관리 서버와의 거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캐셔의 정산장치 사용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해 상기 운영관리 서버를 통한 캐셔 인증 과정을 지원하며, 준비금의 출금이나 지폐 교환 업무시 각 권종별 지폐를 방출하고 캐셔와의 거래에 따른 각종 명세표를 발행하는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의 제어에 따라 인증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해당 캐셔에게서 입금되는 지폐 및 봉투를 입금받아 저장하며, 해당 지폐의 입금액에 관한 정보를 주제어 장치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달하는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 및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의 제어에 따라 인증 캐셔의 준비금 출금시,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해당 캐셔에게 각 권종별 동전을 방출하고 또한 입금되는 동전을 입금받아 저장하며, 해당 동전의 출금 및 입금액에 관한 정보를 주제어 장치인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달하는 동전 입출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는,
    방출을 위해 준비된 각 권종별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 수납부;
    상기 지폐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각 권종별 지폐를 외부로 지폐 방출부를 통해 방출시켜 캐셔에게 전달하는 지폐 처리부;
    해당 정산 장치에 대한 캐셔의 사용 결과로서, 캐셔의 준비금 출금시 출금된 준비금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캐셔의 중간 입금시 입금된 캐셔매출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시재의 입금시 입금된 시재의 지폐 및 동전의 내역, 봉투 입금시 봉투입금 항목 내역, 캐셔의 시재 입금에 따른 정산항목 내역, 캐셔의 동전 또는 지폐 입금 후 권종 교환시 교환 내역을 명세표에 인쇄하여 명세표 방출부를 통해 방출시켜 캐셔에게 제공하는 명세표 인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는,
    해당 정산 장치를 상기 운영관리 서버와 연결시켜, 해당 정산 장치 사용을 위한 인증정보와 해당 정산 장치 사용에 따른 거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관리서버 인터페이스;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를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 및 동전 입출금장치와 연결시켜, 내부 기기 작동에 따른 거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기기연결 인터페이스;
    상기 관리서버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영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캐셔의 캐셔인증 개시 및 캐셔인증 종료 과정을 지원하고,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 및 동전 입출금장치를 제어하여 캐셔의 지폐 및 봉투 입금 과정과 캐셔의 동전 입출금 과정을 지원하며, 캐셔와의 거래에 따라 상기 지폐 처리부 및 명세표 인쇄부를 제어하여 명세표의 출력 및 지폐의 방출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산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하고 해당 정산 장치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조작 및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및 봉투입금장치는,
    해당 봉투 입금장치를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와 연결시켜 데이터 교환을 이루며, 내부 기기 작동에 따라 해당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에서 발생된 지폐 및 봉투 입금 현황 정보를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달하는 기기연결 인터페이스;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각 권종별 지폐를 일괄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지폐 입금부;
    상기 지폐 입금부에 장착된 지폐들을 각 권종별로 분류하고 지폐를 권종별로 계수하는 지폐 감별 및 계수부;
    상기 지폐 감별 및 계수부에서 계수된 각 권종별 지폐를 내부 권종별 수납함에 수납시키고, 소정 매수가 수납되면 해당 권종 지폐의 스택완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폐 일시 수납부;
    상기 지폐 일시 수납부의 스택완료 신호에 따라 스택완료 신호가 발생된 권종의 수납함 지폐를 띠지로 묶어 하나로 묶음처리하는 묶음 처리부;
    상기 묶음 처리부에 의해 묶음 처리된 지폐 묶음의 띠지에 묶음 일련번호 정보, 해당 지폐묶음 중 최초수납지폐의 수납시간 및 수납 캐셔 정보, 및 해당 지폐묶음 중 최종수납지폐의 수납시간 및 수납 캐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띠지 정보를 인쇄하는 띠지 인쇄부;
    상기 띠지 인쇄부에 의해 띠지에 띠지 정보가 인쇄된 지폐 묶음을 이송하여 지폐 투척부를 통해 지폐 금고부에 투척해 저장시키는 지폐 이송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여 지폐의 입금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및 봉투입금장치는,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봉투를 입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봉투 입금부;
    상기 봉투 입금부를 통해 입금되는 봉투에 대한 봉투입금정보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해당 봉투의 외면에 인쇄시키고, 해당 봉투를 지폐 금고부에 저장시키는 봉투입금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입출금장치는,
    해당 동전 입출금장치를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와 연결시켜, 내부 기기 작동에 따라 해당 동전 입출금장치로부터 발생된 동전 출금 및 동전 입금 현황 정보를 해당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로 전송하고,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에서 송신된 동전 출금 명령을 수신하는 기기연결 인터페이스;
    캐셔에게 개방되며, 해당 캐셔의 중간 입금시, 교환 업무시 또는 시재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각 권종별 동전을 일괄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동전 입금부;
    상기 동전 입금부에 수용된 동전들을 각 권종별로 분류하고 동전을 권종별로 계수하는 동전 감별 및 계수부;
    상기 동전 감별 및 계수부에서 계수된 각 권종별 동전을 권종별로 수납하는 동전 수납부;
    상기 동전 감별 및 계수부에서 거부된 동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전 반환부; 및
    상기 기기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측의 동전 출금 명령에 따라, 상기 동전 수납부에 수납된 각 권종별 동전을 추출해 동전 방출부를 통해 캐셔에게 제공하는 동전 방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장에 배치되어 운영되며, 상기 운영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일일업무를 마감한 캐셔의 요청에 따라 해당 캐셔의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해당 운영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된 캐셔가 자신의 일일마감 정산의 확정 상태를 실시간 조회하도록 하여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상태, 일일마감 확정 실패 상태 및 일일마감 확정실패 내역을 실시간 제공하는 매장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9. (a) 정산 장치가 캐셔로부터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의 거래 중 어느 하나의 거래에 대한 거래요청을 받고, 해당 캐셔에게서 입력된 장치사용을 위한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개시 인증정보를 외부의 운영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개시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캐셔에게 정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의 거래 중 해당 캐셔가 선택한 거래의 수행을 준비하는 단계;
    (c) 캐셔에게서 캐셔의 근무 개시를 위한 준비금 출금의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운영관리 서버로 해당 인증 캐셔의 준비금 출금내역을 요청하고, 해당 캐셔의 준비금 출금 내역에 따라서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를 통해 준비금 중 각 권종별 지폐를 방출하고 동전 입출금장치를 통해 준비금 중 각 권종별 동전을 방출하여 해당 방출 내역을 저장하며, 해당 준비금 출금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d) 캐셔에게서 근무 중 발생한 지폐 및 동전에 대한 중간 입금의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캐셔로부터 입금되는 중간 입금의 지폐 및 동전을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와 동전 입출금장치를 통해 입금받고 해당 중간입금된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여 저장하며, 해당 중간 입금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e) 캐셔에게서 일일근무 종료에 따른 시재 입금의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캐셔로부터 입금되는 시재 입금의 지폐 및 동전을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와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입금받고 해당 시재입금된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여 저장하며, 해당 시재 입금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f)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및 시재 입금의 거래 중 해당 캐셔가 진행한 거래에 따라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g)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캐셔에게 장치사용 종료를 위한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캐셔에게서 입력된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 보를 외부의 운영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캐셔에 대한 장치사용 종료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캐셔의 정산 장치를 사용권한을 종료하고 다음 거래를 위한 대기 상태로 상태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캐셔에게서 지폐 또는 동전에 대한 교환 업무에 관한 거래가 요청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교환대상 권종의 선택메뉴를 캐셔에게 제공해 캐셔에게서 선택된 권종의 교환대상액을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나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입금받고, 해당 캐셔에게서 선택된 권종의 교환희망액을 상기 지폐 및 명세표 방출부나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방출하며, 해당 교환업무에 따른 거래 내역을 명세표로 발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정산 장치가 관리서버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운영관리 서버로 해당 인증 캐셔의 일일 업무를 위한 준비금 출금내역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2)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준비금 출금내역 정보를 수신해, 준비금의 지폐 및 동전 출금 내역을 캐셔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c-3)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표시된 준비금 출금 내역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에 따라, 지폐 및 명세표 방출장치와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해당 준비금의 권종별 지폐와 권종별 동전을 방출시키는 단계; 및
    (c-4)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방출된 준비금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확인에 따라, 명세표 인쇄부를 통해 해당 준비금 출금에 따른 명세표를 인쇄해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와 동전 입출금 장치를 통해 각각 입금되는 시재 입금의 지폐 및 동전을 계수하는 단계;
    (e-2)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계수된 시재 입금의 지폐 및 동전 내역을 캐셔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e-2)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표시된 시재 입금 내역에 대한 해당 인증 캐셔의 동의에 따라, 시재 토탈 입금 내역을 저장하고 정산항목 명세표를 인쇄해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 정확인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2) 단계 이후에,
    상기 정산 장치가 인증 캐셔에게 봉투입금을 통한 시재 입금을 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인증 캐셔에게서 시재의 추가적인 봉투 입금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캐셔의 봉투입금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봉투입금 항목 입력란을 제공하고, 해당 인증 캐셔가 입력하는 봉투입금 항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산 장치가 해당 인증 캐셔가 입력한 상기 봉투입금 항목 내역을 이용해 해당 봉투입금 항목을 저장하고, 캐셔가 입력한 봉투입금 내역이 인쇄된 봉투입금내역 인쇄 명세표를 해당 인증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정산 장치가 제공된 봉투입금내역 인쇄 명세표의 봉투 삽입 및 봉투 기재사항을 안내하는 단계;
    상기 정산 장치가 상기 봉투입금내역 인쇄 명세표가 삽입된 봉투의 입금상황을 상기 지폐 및 봉투 입금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봉투입금에 따른 봉투 입금 명세표를 해당 인증 캐셔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e-2) 단계의 시재 토탈 입금 내역 산정시 상기 봉투입금에 따른 봉투 입금액을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
  14. (A) 운영관리 서버가 일일 업무의 개시에 따라 POS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매장의 POS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매장내 캐셔들의 판매현황 정보를 수신해 POS 판매내역 DB에 저장해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매장에 구비된 정산 장치로부터 캐셔의 해당 정산 장치 사용을 위한 장치사용개시 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정산 장치로부터 장치사용 개시 인증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내부 인증 관리부를 통하여 해당 수신된 캐셔의 장치사용 개시 인증정보를 이용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을 승인하는 단계;
    (C)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장치사용 인증결과인 장치사용 승인정보를 해당 인증 요청 정산 장치에 통보해 해당 정산 장치를 장치사용 승인에 따른 장치사용 개시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D)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정산 장치에 대한 장치사용 승인에 따라, 해당 정산 장치의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의 캐셔 거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캐셔의 장치사용을 지원하는 단계;
    (E)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정산 장치를 통한 캐셔의 거래에 따른 거래 데이터를 정산 장치로부터 수신해 정산거래 DB 에 저장해 등록시키는 단계;
    (F)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준비금 출금, 중간 입금, 교환 업무 및 시재 입금의 캐셔 거래 중 하나의 거래 완료에 따라 해당 거래 진행 캐셔의 거래 진행을 위한 장치사용인증 종료를 해당 거래 완료 정산 장치에 명령하는 단계; 및
    (G)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거래 완료 정산 장치로부터 캐셔가 입력한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내부 인증관리부를 통하여 해당 수신된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 인증정보를 이용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며, 해당 캐셔의 장치사용 종료를 승인해 해당 정산 장치를 장치사용 종료 승인에 따른 거래대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H)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캐셔의 장치사용 거래 중 해당 캐셔의 일일 업무 마감을 위한 시재의 입금이 이루어진 경우, 내부 확정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정산 장치에서 이루어진 캐셔의 토탈 입금 시재액과 매장 POS 서버에서 전송되어 상기 POS 판매내역 DB 에 누적된 해당 캐셔의 근무에 따른 POS 거래액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분석하는 단계; 및
    (I)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비교분석된 캐셔의 일일마감 상태를 통해 해당 캐셔의 일일정산 확정 여부를 결정하고 확정 결과를 마감확정 DB 에 등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J)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매장 단말기로 부터 캐셔가 자신의 일일마감 확정 상황을 조회하고자 하는 개인 확정상황 조회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K)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해당 매장 단말기을 통해 캐셔가 입력한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내부 인증관리부를 통하여 해당 수신된 캐셔의 확정확인 인증정보를 이용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L)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수행 결과 인증된 캐셔의 일일마감 확정 기록을 상기 마감확정 DB 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M) 상기 검색결과,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상황이 확정인 경우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해당 확정 상황 정보를 즉시 해당 캐셔의 매장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N) 상기 검색결과, 해당 캐셔의 일일마감 상황이 확정실패인 경우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해당 확정 실패 및 확정실패 내역을 즉시 해당 캐셔의 매장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방법.
KR1020060053412A 2006-06-14 2006-06-14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9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12A KR100849415B1 (ko) 2006-06-14 2006-06-14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12A KR100849415B1 (ko) 2006-06-14 2006-06-14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64A KR20070119164A (ko) 2007-12-20
KR100849415B1 true KR100849415B1 (ko) 2008-07-31

Family

ID=3913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412A KR100849415B1 (ko) 2006-06-14 2006-06-14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540A (ko) * 2010-07-19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업의 손실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그를 위한 매장 관리 서버 및 포스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31A (ko) * 2004-11-08 2006-05-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온라인 자동수납기기를 이용한 매출금 자동 정산 시스템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31A (ko) * 2004-11-08 2006-05-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온라인 자동수납기기를 이용한 매출금 자동 정산 시스템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64A (ko)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015B2 (en) Systems and computer-implemented processes for depositing, withdrawing, and reusing currency for purchase transactions using an intelligent teller machine
US8032415B2 (en) Immediate recognition of financial transactions
US8201680B1 (en) System and method of distributing currency
JP2010086202A (ja) レジ精算システム
US20020091603A1 (en) Payment instrument print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077680A (ja) 自動書類キャッシングシステム
JP4007842B2 (ja) 金融営業店における貨幣処理システム
US200201567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receiving cash, and cash dispenser and cash receiving machine for use in the system and method
JP2010086159A (ja) レジ精算システム
JP2010086162A (ja) レジ精算システム
JP2001195657A (ja) 自動精算システム
JP6513606B2 (ja) 精算システム
KR100849415B1 (ko) 대형 마트의 정산관리 및 확정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46079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5230169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釣銭機
KR20180134438A (ko) 금융기기 및 자동정산 서비스 시스템
JP7134281B2 (ja) 入出金管理システム、入出金管理装置及び入出金管理方法
JP2013003932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方法
JP2019207598A (ja) 自動取引装置、取引処理システムおよび取引処理プログラム
JP7149357B2 (ja) 金銭収受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230070996A1 (en) Cash depositing method and cash depositing system
KR20040039566A (ko) 무인 정산 시스템
KR20240068100A (ko) 지능형 자동 정산기기
IT201800000593U1 (it) Sistema per versamento, prelievo e ricircolo di denaro attraverso Cassa Sicura e “mini-ATM”
JP2018081579A (ja) 金銭収受装置、決済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