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117B1 - 브라이들 유닛 - Google Patents

브라이들 유닛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117B1
KR100849117B1 KR1020037015772A KR20037015772A KR100849117B1 KR 100849117 B1 KR100849117 B1 KR 100849117B1 KR 1020037015772 A KR1020037015772 A KR 1020037015772A KR 20037015772 A KR20037015772 A KR 20037015772A KR 100849117 B1 KR100849117 B1 KR 10084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trip
starting position
bri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255A (ko
Inventor
슈바르쯔크리스토프
푈킹한스-요아힘
하인주잔네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1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1Level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 Roll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Tyre Moulding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스탠드에 배속되고, 스트립 진로 아래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롤 및 스트립 진로 위에 조정이 가능하게 배치된 다수의 롤을 구비하며, 조정이 가능한 롤이 구동 장치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스트립 쪽으로, 그리고 스트립으로부터 출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브라이들 유닛에 관한 것으로, 스트립(4)의 착색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롤 갭(9)과 권출 장치 사이의 간격이 연장되는 것을 수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롤 스탠드(1)의 롤 갭(9)에 가장 가까운 롤(11)은 보조 구동 장치(18)에 의해 스트립 진로 위 및/또는 아래의 출발 위치(12, 13)로부터 스트립(4) 쪽으로, 그리고 스트립(4)으로부터 각각의 출발 위치(12, 13)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브라이들 유닛{BRIDLE UNIT}
본 발명은 롤 스탠드에 배속되고, 스트립 진로 아래 및 위에 조정이 가능하게 배치된 다수의 롤을 구비하며, 그 롤이 구동 장치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스트립 쪽으로, 그리고 스트립으로부터 되돌아 출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브라이들 유닛(bridle unit)에 관한 것이다.
브라이들 유닛은 스트립을 안내하고 교정하며, 스트립 진로 위에 배치된 조정이 가능한 롤이 구동 장치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스트립 표면 쪽을 향해 작업 위치로 하강됨으로써 스트립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 작업 위치에서 교대로 만곡되는 스트립은 배속 롤 스탠드의 롤 갭에 가장 가까운 롤에서 롤 스탠드의 통과 라인의 높이로 브라이들 유닛을 떠난다.그러한 브라이들 유닛은 예컨대 JP-A-52 052852, JP-A-51 109264, 및 US-A-2,768,54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롤 스탠드의 롤 갭에 가장 가까운 롤이 스트립의 위로부터는 물론 그 아래로부터 조정될 수 있는 것이 US 특허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스트립의 착색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브라이들 유닛과 배속 롤 스탠드 사이에 추가의 착색 롤(coloring roll)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한 추가의 착색 롤 및 그 작업에 필요한 기계 장치는 롤 스탠드의 롤 갭과 스트립 권출 장치 사이의 간격을 연장시킨다. 그러나, 롤 갭과 권출 장치 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방법상의 단점, 특히 길이 공차가 커진다는 단점이 수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브라이들 유닛이 배속된 롤 스탠드와 함께 5롤 브라이들 장치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브라이들 유닛이 브라이들 모드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및 도3b는 도 1에 따른 브라이들 유닛이 스트립 상면을 착색 처리하기 위한 착색 모드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따른 브라이들 유닛이 스트립 하면을 착색 처리하기 위한 착색 모드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부호 부호의 설명
1 롤 스탠드
2 브라이들 유닛
3
4 스트립
5
6 지지 초크
7 롤 외피
8 통과 라인
9 롤 갭
10 -
11
12 11의 출발 위치
13 11의 출발 위치
14 3의 지지 프레임
15 14의 유압 실린더
16 3의 출발 위치
17 입사각
18 22의 유압 실린더
19 피스톤 로드
20 -
21 수직 가이드
22 11의 지지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 갭과 권출 장치 사이의 간격을 연장시키지 않고 스트립의 착색 처리를 할 수 있는 브라이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롤 스탠드의 롤 갭에 가장 가까운 롤이 디커플링(decoupling)되어 롤이 선택적으로 브라이들 롤로서 또는 착색 롤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사상을 기초로 하여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브라이들 유닛에서 롤 스탠드의 롤 갭에 가장 가까운 롤이 보조 구동 장치에 의해 스트립 진로 아래의 출발 위치 및 스트립 진로 위의 출발 위치로부터 스트립 쪽으로 이동될 수 있되, 브라이들 유닛이 스트립의 착색을 위해 사용될 시에 롤의 둘레부가 수평 통과 라인에 대해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스트립을 구부려서 통과 라인 위 또는 아래로 입사각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롤 갭에 가까운 롤이 스트립 진로 아래의 그 출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배치된 브라이들 롤의 높이로 유지될 경우, 그 롤은 종래의 형식대로 브라이들 롤로서 작업한다. 스트립은 롤 스탠드의 통과 라인의 높이로 브라이들 유닛을 떠난다.
롤 갭에 가까운 롤이 착색 롤로서 작업해야 할 경우에는 스트립이 롤 스탠드의 통과 라인에 대해 예각을 이룬 채로 브라이들 유닛으로부터 롤 갭으로 유입될 정도로 그 롤이 스트립 진로 위의 또는 아래의 출발 위치로부터 스트립 쪽으로 이동된다.
스트립 상부면의 착색 처리를 위해, 착색 롤은 롤 갭에 가까운 롤의 축선이 대략적으로 나머지 조정 가능한 롤의 축선 아래의 작업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스트립 진로 위의 출발 위치로부터 하강된다.
스트립 하부면의 착색 처리를 위해, 착색 롤은 롤 갭에 가까운 롤의 축선이 대략적으로 스트립 진로 아래에 배치된 롤의 축선 위에 위치될 때까지 스트립 진로 아래의 출발 위치로부터 상승된다.
롤 갭에 가까운 롤이 선택적으로 브라이들 롤로서 또는 착색 롤로서 사용될 수 있는 그러한 방안에 의거하여, 스트립의 착색 처리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도 롤 갭과 권출 장치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지 않게 된다.
롤 스탠드의 롤 갭에 가장 가까운 롤이 스트립 진로 위의 출발 위치와 스트립 진로 아래의 출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 스트립의 착색 처리 시에 통과 라인에 대한 상이한 입사각이 세팅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특징은 브라이들 모드에서는 물론 착색 모드에서도 브라이들 유닛을 상이한 두께의 스트립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방법 기술상 중요한 입사각은 통과 라인에 대해 +/- 14°사이에서 움직인다.
롤 갭에 가까운 롤의 임의의 중간 위치를, 특히 전산 처리 제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롤의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 검출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롤 갭에 가까운 롤용의 보조 구동 장치가 양쪽으로 구동될 수 있고 압력 매체에 의해 작동되는 특히 유압 실린더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롤 갭에 가까운 롤을 스트립 진로 위 및 아래의 출발 위치로부터 롤의 브라이들/착색 작업을 위한 임의의 중간 위치로 대체로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다른 기계적 구동 장치 또는 전기적 구동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이들 유닛은 다수의 롤을 구비한 브라이들 유닛이 필요한 동시에, 통과 라인으로부터 벗어난 스트립의 롤 스탠드로의 입사각이 요구되는 비철 금속 또는 강 압연용 롤 스탠드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롤 스탠드가 일 방향 롤 스탠드가 아니라 가역 롤 스탠드로서 구성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이들 장치가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부분적으로 도시된 롤 스탠드(1)에 배속된 브라이들 유닛(2)을 나타낸 것인데, 스트립 진로 위에 배치되는 브라이들 유닛(2)의 롤(3)은 도 1에 도시된 출발 위치로부터 그 롤(3)이 스트립(4)에 접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도 2b, 도 3b, 및 도 4b를 참조).
스트립 진로 아래에는 롤(3)과 엇갈린 채로 추가의 2개의 롤(5)이 지지 초크(chock)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데, 그 롤(5)의 롤 외피(7)는 도시를 생략한 스트립(4)의 도 1에 도시된 통과 라인(8)에까지 뻗어있다.
롤 스탠드(1)의 롤 갭(9)에 가장 가까운 브라이들 유닛(2)의 롤(11)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립 진로 아래의 출발 위치(12)로부터 도 3a에 도시된 스트립 진로 위의 출발 위치(13)까지 및 그 2개의 출발 위치(12, 13)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 통과 라인(8)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롤 갭에 가까운 롤(11)의 출발 위치(12)는 스트립 진로 아래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롤(5)의 위치에 해당되는 반면에, 롤 갭에 가까운 롤(11)의 출발 위치(13)는 스트립 진로 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롤(3)의 출발 위치에 해당된다(도 3a를 참조).
이후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이들 유닛의 상이한 작업 모드를 설명함에 있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기로 하는데, 도 2a, 도 3a, 및 도 4a는 각각의 작업 모드를 위해 스트립을 진입시키는 것을, 그리고 도 2b, 도 3b, 및 도 4b는 작업 모드 그 자체를 나타내고 있다.
브라이들 유닛이 도 2b에 따른 브라이들 모드로 작동될 경우에는 롤 갭에 가까운 롤(11)이 고정적으로 배치된 롤(5)의 높이로 그 출발 위치(12)에 유지된다. 지지 프레임(14)에 배치된 롤(3)은 유압 실린더(15)에 의해 출발 위치(16)로부터 스트립(4)의 상면 쪽으로 이동되어 스트립(4)이 롤(3, 5, 11)에 의해 교대로 만곡되었다가 통과 라인(8)의 높이로 롤 갭에 가까운 롤(11)을 떠나게 된다.
스트립(4)의 상면을 착색 처리하기 위해, 롤(3) 및 롤 갭에 가까운 롤(11)이 그 출발 위치(13, 16)로 각각 옮겨지고, 스트립(4)이 2개의 고정 롤(5)에 접하게 된다. 이어서, 롤(3)이 도 3b에 상응하게 스트립(4)의 상면 쪽으로 하강되어 스트립이 교대로 꺾여지게 된다. 착색 롤로서 작용하는 롤(11)은 롤(3)에 비해 약간 더 하강되어 롤 갭(9)으로 들어가는 스트립의 입사각이 통과 라인(8)과는 상이하게 세팅되도록 한다.
스트립(4)의 하면을 착색 처리하기 위해, 롤(3)이 그 출발 위치(16)로, 그리고 롤 갭에 가까운 롤(11)이 그 출발 위치(12)로 각각 옮겨지고, 스트립이 2개의 고정 롤(5) 및 롤 갭에 가까운 롤(11)에 접하게 된다. 이어서, 롤(3)이 도 4b에 상응하게 스트립(4)의 상면 쪽으로 하강되어 스트립이 교대로 만곡되게 된다. 착색 롤로서 작용하는 롤(11)은 롤(5)에 비해 약간 더 상승되어 롤 갭(9)으로 들어가는 스트립의 입사각이 통과 라인(8)과는 상이하게 세팅되도록 한다.
입사각을 예컨대 스트립 두께, 스트립 속도, 또는 스트립 재료에 맞춰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 갭에 가까운 롤(11)은 유압 실린더(18)에 의해 출발 위치(12, 13)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8)의 피스톤 로드(19)는 수직 가이드(21)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안내되는 지지대(22)에 맞물린다. 직각으로 형성된 지지대(22)는 유압 실린더(18)를 스트립 진로 위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브라이들 유닛(2)의 롤(3)용의 유압 실린더(15) 바로 옆에 배치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5, 18)가 공간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지지대(22)가 굽혀짐으로써, 지지대가 유압 실린더(18)의 피스톤 로드(19)의 직선 연장선상에 직선적으로 구성되는 경우보다 롤 스탠드(1)에 대한 간격이 더 작아질 수 있게 된다.
전술된 실시예는, 통과 라인(8) 방향으로 축선 간격에 있어 나머지 롤과 일치되는 롤 갭에 가까운 롤(11)이 스트립 진로 아래에 배치된 나머지 롤로부터 디커플링됨으로써, 특히 브라이들의 구조 길이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압연 공정에 해를 끼침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이들 유닛에 의해, 롤 갭(9)과 권출 장치 사이의 간격 연장이 수반되지 않게 된다.

Claims (5)

  1. 롤 스탠드에 배속되고, 스트립 진로 아래 및 위에 조정이 가능하게 배치된 다수의 롤을 구비하며, 그 롤이 구동 장치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스트립 쪽으로, 그리고 스트립으로부터 되돌아 출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브라이들 유닛에 있어서,
    롤 스탠드(1)의 롤 갭(9)에 가장 가까운 롤(11)은 보조 구동 장치(18)에 의해 스트립 진로 아래의 출발 위치(12) 또는 스트립 진로 위의 출발 위치(13)로부터 스트립(4) 쪽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브라이들 유닛이 스트립(4)의 착색을 위해 사용될 시에 롤(11)의 둘레부가 수평 통과 라인(8)에 대해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스트립(4)을 만곡시켜 통과 라인(8) 위 또는 아래로 입사각(17)을 형성하고,
    위치 검출기가 롤 스탠드(1)의 롤 갭(9)에 가장 가까운 롤(11)의 위치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이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롤 스탠드(1)의 롤 갭(9)에 가장 가까운 롤(11)은 스트립 진로 아래의 출발 위치(12)와 스트립(4) 사이 또는 스트립 진로 위의 출발 위치(13)와 스트립(4)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이들 유닛.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조 구동 장치(18)는 양쪽으로 구동될 수 있고 압력 매체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이들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실린더(18)의 피스톤 로드(19)는 롤 스탠드(1)의 롤 갭(9)에 가장 가까운 롤(11)용 지지대(22)에 맞물리고, 이 지지대(22)는 수직 가이드(21) 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이들 유닛.
KR1020037015772A 2001-06-27 2002-06-11 브라이들 유닛 KR100849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0969.4 2001-06-27
DE10130969A DE10130969A1 (de) 2001-06-27 2001-06-27 Bridleeinheit
PCT/EP2002/006354 WO2003002278A1 (de) 2001-06-27 2002-06-11 Bridle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255A KR20040015255A (ko) 2004-02-18
KR100849117B1 true KR100849117B1 (ko) 2008-07-30

Family

ID=768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772A KR100849117B1 (ko) 2001-06-27 2002-06-11 브라이들 유닛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299672B2 (ko)
EP (1) EP1417049B1 (ko)
JP (1) JP4372540B2 (ko)
KR (1) KR100849117B1 (ko)
CN (1) CN1234478C (ko)
AT (1) ATE287772T1 (ko)
BR (1) BR0209694B1 (ko)
CA (1) CA2449796C (ko)
CZ (1) CZ297376B6 (ko)
DE (2) DE10130969A1 (ko)
ES (1) ES2235062T3 (ko)
RU (1) RU2292248C2 (ko)
WO (1) WO2003002278A1 (ko)
ZA (1) ZA2003088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1580B3 (de) 2015-02-04 2016-06-02 Hydro Aluminium Rolled Product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ägewalzen eines Ban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9264A (ja) * 1975-03-24 1976-09-28 Hitachi Ltd Buraidorurooraashokosochi
JPS5252852A (en) * 1975-10-27 1977-04-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Entry guide for roll mil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8542A (en) * 1952-04-14 1956-10-30 Kaiser Aluminium Chem Corp Bridle roll assemblage
GB1147986A (en) * 1965-07-09 1969-04-10 United Eng Foundry Co Strip deflector means and control
JPS4910426B1 (ko) 1970-12-28 1974-03-11
US3733869A (en) * 1972-01-31 1973-05-22 Kaiser Aluminium Chem Corp Bridling attachment for a rolling mill
DE19851480B4 (de) * 1998-11-09 2007-09-13 Sms Demag Ag Positionsgeber zur Anstellhubwegmessung der Walzen eines Walzgerüs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9264A (ja) * 1975-03-24 1976-09-28 Hitachi Ltd Buraidorurooraashokosochi
JPS5252852A (en) * 1975-10-27 1977-04-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Entry guide for roll 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2132D1 (en) 2005-03-03
CA2449796A1 (en) 2003-01-09
RU2292248C2 (ru) 2007-01-27
JP4372540B2 (ja) 2009-11-25
CZ297376B6 (cs) 2006-11-15
EP1417049A1 (de) 2004-05-12
BR0209694B1 (pt) 2010-08-10
ZA200308883B (en) 2004-03-23
JP2004535301A (ja) 2004-11-25
CA2449796C (en) 2009-08-18
CZ20033452A3 (cs) 2004-12-15
EP1417049B1 (de) 2005-01-26
ES2235062T3 (es) 2005-07-01
CN1234478C (zh) 2006-01-04
US20040148994A1 (en) 2004-08-05
CN1520342A (zh) 2004-08-11
ATE287772T1 (de) 2005-02-15
US7299672B2 (en) 2007-11-27
BR0209694A (pt) 2004-09-14
WO2003002278A1 (de) 2003-01-09
DE10130969A1 (de) 2003-01-16
RU2004102049A (ru) 2005-06-20
KR20040015255A (ko)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7971C2 (ru) Горячая прокатка тонкой полосы
US4898013A (en) Installation for levelling a metal strip
KR930003981A (ko) 압연기 및 압연방법
CA2452336A1 (en) Thin-strip coiler comprising a flatness measuring roll
KR100849117B1 (ko) 브라이들 유닛
CN111715703B (zh) 一种粗轧轧制过程中的带钢翘头平整装置及方法
KR900000778B1 (ko) 로울 조체장치(roll 組替裝置)
EP0493775B1 (en) Guide device for shape rolling
KR100923547B1 (ko) 압연설비의 후판 안내용 높이 가변형 브리지 장치
KR100990866B1 (ko) 다중 롤을 포함하는 롤 스탠드에서의 롤 굽힘 장치
KR101079536B1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JP2974527B2 (ja) H形鋼の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および矯正設備列
JP3646216B2 (ja) ビレットのガイドレス連続圧延方法
CN1382536A (zh) 用于轨道形轧材的轧机机座
JPH0730168Y2 (ja) 竪型ルーパ設備
US3882708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tubes by helically winding a metal sheet
SU1063498A1 (ru) Проводка полосового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US3496748A (en) Mill apparatus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RU1827301C (ru) Непрерывный полосовой прокатный стан
GB2036621A (en) Rolling plant
KR20030023905A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SU1301518A1 (ru) Плитный настил прокат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
SU505450A1 (ru) Рабоча клеть ма тникового стана
RU56362U1 (ru) Гиб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олстолистового ст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