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703B1 -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703B1
KR100848703B1 KR1020070117397A KR20070117397A KR100848703B1 KR 100848703 B1 KR100848703 B1 KR 100848703B1 KR 1020070117397 A KR1020070117397 A KR 1020070117397A KR 20070117397 A KR20070117397 A KR 20070117397A KR 100848703 B1 KR100848703 B1 KR 10084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square
cylinder
paper cup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우
Original Assignee
양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우 filed Critical 양성우
Priority to KR102007011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8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closing, rim-rolling or corrugating; Fixing elements to tube ends
    • B31F1/0083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8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closing, rim-rolling or corrugating; Fixing elements to tube ends
    • B31F1/0087Rim-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형종이컵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옆지를 원통관 형태로 둥글게 말아 부친 원형통체의 상부를 말아서 컬링부를 형성한 뒤에, 이 컬링부를 형성한 원형통체를 각형몰드에 삽입시켜서 종이로 된 원형통체가 각형몰드의 형상대로 성형되면서 각형종이컵이 제조될 수 있게 함으로서, 각형종이컵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단된 옆지(1)를 둥글게 말아 부쳐서 원형통체(8)를 성형하는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원형통체(8)의 상부전둘레를 말아서 컬링부(5)를 형성하는 컬링공정(21)과, 원형통체(8)를 각형몰드(9)의 외측에 삽입하여 각형통체(10)를 성형하는 각형통체 성형공정(22)과, 각형통체(10)의 내측 하부에 각형밑지(11)를 삽입하는 각형밑지 삽입공정(23)과, 각형통체(10)의 하단부 전둘레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각형통체의 하단부가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를 감싸게 하는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과, 하향절곡부(3)를 감싼 각형통체 하단부를 압착하여 하향절곡부(3)와 각형통체 하단부가 결합되어 밑굽(6)을 형성하는 밑굽형성공정(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117397
각형종이컵, 원형통체, 옆지, 각형통체, 컬링부, 각형밑지, 밑굽, 각형몰드, 각형외부몰드

Description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process of square type paper cup}
본 발명은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형종이컵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옆지를 원통관 형태로 둥글게 말아 부쳐서 원형통체를 형성하고, 그 뒤에 원형통체의 상부를 말아서 컬링부를 형성하며, 이 컬링부를 형성한 원형통체를 각형몰드에 삽입시켜서 각관형태로 각형통체를 형성하고, 그 각형통체의 내측 하부에 각형밑지를 삽입시킨 뒤에 각형통체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어 넣어서 각형통체의 하단부가 각형밑지의 하향절곡부를 감싸서 결합되게 함으로서, 각형종이컵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형태로 감겨져 있는 종이원지를 풀어내면서 옆지(1)와 밑지(2)를 절단해내고, 그 옆지(1)를 둥글게 말아 부쳐서 테이퍼관 형태의 원형통체(4)를 형성하고, 원형으로 절단된 밑지(2)는 외주연 전둘레를 하측으로 절곡시켜서 하향절곡부(3)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원형통체(4)의 내측 하부로 밑지(2)를 삽입시킨 뒤에 원형통체(4)의 상부 전둘레를 외측으로 동그랗게 말아서 컬링부(5)를 형성하고, 하측은 원형통 체(4)의 하단부 전둘레를 내측으로 접어 넣으면서 원형통체(4)의 하단부가 옆지(2)의 하향절곡부(3)를 감싸면서 결합하여 밑굽(6)을 형성함으로서 종이컵(7)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종이컵(7)은 상부의 직경이 크고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테이퍼형으로 제작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종이컵(7)은 단면형상을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원형 종이컵이라고 칭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원형의 종이컵이 아닌 각형 종이컵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므로, 이제부터는 각형종이컵을 제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각형종이컵을 제조하는 데는 종이컵의 상부 전둘레에 외측으로 동그랗게 말려서 형성되는 컬링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서 각형종이컵을 실용화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외국에서 사각형의 종이컵을 일부 개발하고 있는데, 사각종이컵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옆지를 각형몰드를 이용하여 사각관형태로 말아 부쳐서 각형통체를 형성하고, 그 다음에 각형통체의 4개의 변(邊)과, 4개의 모서리부분을 외측으로 둥글게 마는 컬링공정을 시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컬링공정을 시행할 때는 4개의 변(邊)과, 4개의 모서리부분을 나누어서 4개의 변부분을 외측으로 동그랗게 말아서 빨대를 수평으로 배치한 것과 같은 형태로 일자형으로 수평하게 형성하고, 그 다음에 4개의 모서리부분을 외측으로 동그랗게 말아서 수평한 변부분의 컬링부와 모서리부분에서 동그랗게 말리는 모서리 컬링부가 연결되게 한다.
위와 같이 4개의 변과 4개의 둥근 모서리부분을 구분하여 별도로 각각 컬링부를 형성하고, 그 변부분의 컬링부와 모서리부분의 컬링부가 바르게 연결되게 컬링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모서리부분의 컬링부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4개의 변과 4개의 둥근모서리에 컬링부를 각각 형성하기 위한 기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게 되고, 각형종이컵을 성형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되게 되어 실질적으로 각형종이컵을 실용화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형종이컵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옆지를 원통관 형태로 둥글게 말아 부친 원형통체의 상부를 말아서 컬링부를 먼저 형성한 뒤에, 그 다음에 컬링부를 형성한 원형통체를 각형몰드에 삽입시켜서 종이로 된 원형통체가 각형몰드의 형상대로 성형되면서 각형종이컵이 제조될 수 있게 함으로서, 간편한 제조공정으로 각형종이컵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된 옆지를 둥글게 말아 부쳐서 원형통체를 성형하는 원형통체 성형공정과, 상기 원형통체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원형통체의 상부전둘레를 말아서 컬링부를 형성하는 컬링공정과, 상기 컬링공정에서 컬링부가 형성된 원형통체를 각형몰드의 외측에 삽입하여 각형통체를 성형하는 각형통체 성형공정과, 상기 각형통체 성형공정에서 성형된 각형통체의 내측 하부에 각형밑지를 삽입하는 각형밑지 삽입공정과, 상기 각형밑지 삽입공정에서 각형통체의 내측 하부에 삽입된 각형밑지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를 감싸기 위하여 각형통체의 하단부 전둘레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각형통체의 하단부가 각형밑지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를 감싸게 하는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과, 상기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에서 각형밑지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를 감싼 각형통체의 하단부를 압착하여 하향절곡부와 각형통체의 하단부가 결합된 밑굽을 형성하는 밑굽형성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은, 각형종이컵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옆지를 원통관 형태로 둥글게 말아 부친 원형통체의 상 부를 말아서 컬링부를 먼저 형성한 뒤에, 그 다음에 컬링부를 형성한 원형통체를 각형몰드에 삽입시켜서 종이로 된 원형통체가 각형몰드의 형상대로 성형되면서 각형종이컵이 제조될 수 있게 함으로서, 간편한 제조공정으로 각형종이컵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각형종이컵은 삼각부터 팔각, 구각은 물론이고 별모양으로도 종이컵을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미려한 종이컵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종이컵을 제조한 경우에 다수개의 각형종이컵을 포장박스에 담을 때 원형종이컵 보다 부피가 작아져서 포장박스의 제조비용의 절감과, 보관면적을 적게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물류 전반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통체 성형공정(22), 각형밑지 삽입공정(23),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이 순서대로 이루어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각형종이컵(12)이 제작된다.
상기 원형통체 성형공정(20)은 공지된 방법과 동일하게 롤형태로 보빈에 감겨진 종이컵원지를 풀어내면서 절단하여 옆지(1)를 구비하고,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된 옆지(1)를 둥글게 말면서 둥글게 말아서 겹쳐지는 옆지(1)의 측면을 접착제를 도포하며 부착하여 상하부가 개방된 원형통체(8)를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을 통하여 원형통체(8)를 형성하고 난 뒤에는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통체(8)의 상부전둘레를 말아서 컬링부(5)를 형성하는 컬링공정(21)을 수행하여 원형통체(8)의 상부 외주면에 컬링부(5)를 형성한다.
상기 컬링공정(21) 다음에는 각형통체 성형공정(22)이 이루어지는데, 이 각형통체 성형공정(22)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외주면에 컬링부(5)를 형성한 원형통체(8)를 각형몰드(9)의 외측에 삽입하여 종이재로서 원통관 형태로 형성한 원형통체(8)가 금속재로 제작한 각형통체(10)의 외측에 박히듯이 끼워짐에 따라 원통형이던 원형통체(8)가 각형몰드(9)의 형상대로 성형되어 각형통체(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원형통체(8)와 각형몰드(9), 각형통체(10)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역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 각형몰드(9)에 원형통체(8)를 끼울 때, 종이로 된 원형통체(8)가 각형몰드(9)의 외측에 박히듯이 끼워져 종이재로 형성되었던 원형통체(8)가 각형몰드(9)의 형상대로 각형통체(10)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원형통체(8)와 각형몰드(9), 각형통체(10)를 역테이퍼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설명한 부분이 있으나, 원형통체(8)와 각형몰드(9), 각형통체(10)를 상하부의 크기가 동일하게도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원형통체(8)와 각형몰드(9), 각형통체(10)를 상하부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몰드(원형 및 각형)의 외측에 끼운 종이로 된 통체(원 형 및 각형통체)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로 상부는 크고 하부는 조금 작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형통체 성형공정(22)에서 각형통체(10)를 형성하고 난 뒤에는 각형통체(10)를 각형몰드(9)에서 빼낸 뒤에 각형통체(10)의 내측 하부에 각형밑지(11)를 삽입시키는 각형밑지 삽입공정(23)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각형밑지(11)는 각형통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당연한데, 예를 들어 각형통체(10)의 형상이 사각이면 각형밑지(11)도 사각으로의 제작하는 것이 당연하고, 이 각형밑지(11)의 제작시점은 옆지(1)를 절단할 때부터 각형밑지 삽입공정(23) 이전이면 아무 때나 제작해도 무방하다.
위와 같이 각형밑지(11)의 제작시점을 옆지(1)를 절단할 때부터 각형밑지 삽입공정(23) 이전이면 아무 때나 괜찮다고 하는 것은, 각형종이컵(12)을 제조하는 기계를 설계할 때 각형밑지(11)의 제작시점을 설계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각형밑지의 제작시점이 각형밑지 삽입공정(23) 이전이면 아무 때나 해도 각형종이컵(12)을 제작하는데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각형밑지 삽입공정(23)은 도 2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형통체(10)의 내측 하부에 삽입구(13)등의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각형밑지(11)를 삽입시키는 것으로서, 각형밑지(11)가 각형통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h2)는 각형통체 하단부(10a)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각형밑지(11)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3)[이하“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라 칭한다]의 높이(h1)만큼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 2e 및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 부(3)의 높이(h1) 만큼의 높이(h2)로 각형통체 하단부(10a)가 더 내려와 있으므로, 이렇게 내려온 부분이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를 감싸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각형밑지 삽입공정(23)에서 각형통체(10)의 내측 하부로 각형밑지(11)를 삽입시킨 뒤에는 도 2e 및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 전둘레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가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를 감싸게 하는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과, 상기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에서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를 감싼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를 압착하여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와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가 결합된 밑굽(6)을 형성하는 밑굽형성공정(25)을 실행함으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각형종이컵(12)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상기 각형밑지 삽입공정(23)의 다음에 각형통체(10)의 하단부와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를 가열하여 각형통체(10)와 각형밑지(11)에 코팅된 합성수지코팅층을 녹이는 가열공정(26)이 추가되는 것으로서, 이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실시예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통체 성형공정(22), 각형밑지 삽입공정(23), 가열공정(26),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이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공정(26)에서 각형통체(10)의 하단부와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를 가열하는 것은, 각형밑지(11)와 각형통체(10)에 코팅된 합성수지코팅층이 녹신하게 녹을 정도의 열풍을 불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코팅층을 가열하는 것은 합성수지코팅층이 열풍에 녹신하게 녹아서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과 밑굽성형공정(25)시에 각형통체 하단부(10a)가 부드럽게 절곡이 잘되고 녹신하게 녹은 합성수지층끼리 부착되어 밑굽(6)을 든든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삼실시예는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이실시예의 여러 공정 중에 각형통체 성형공정(22)의 다음에 내측에 각형몰드(9)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외부에 각형외부몰드(14)를 삽입시켜 각형통체(10)를 2차로 성형하는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이 추가되는 것으로서, 삼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이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삼실시예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통체 성형공정(22),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 각형밑지 삽입공정(23), 가열공정(26),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이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삼실시예에서 추가되는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은 도 2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각형몰드(9)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외부에 각형외부몰드(14)를 삽입시켜서 나측의 각형몰드(9)와 외측의 각형외부몰드(14)의 사이에 끼인 각형통체(10)가 2차로 성형되어 온전한 각형종이컵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는 각형몰드(9)의 외측에 원형통체(8)를 빡빡하게 끼워서 원형통체가 각형몰드의 형상대로 각형통체(10)를 형성하는 것보다, 각형통체(10)의 내외부에 각형몰드(9)와 각형외부몰드(14)가 끼워져서 종이로 된 각형통체(10)의 내외측에서 각형몰드(9)와 각형외부몰드(14)의 형상대로 온전한 각형종이컵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은 도 7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삼실시예의 여러 공정 중에 밑굽성형공정(25)의 다음에 컬링부(5)의 상부와 외주연을 가압하여 컬링부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는 컬링부 수정공정(28)이 추가되는 것으로서, 사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사실시예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통체 성형공정(22),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 각형밑지 삽입공정(23), 가열공정(26),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 컬링부 수정공정(28)이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위의 일 내지 삼실시예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을 시작하여 밑굽성형공정(25)까지의 공정을 거쳐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각형종이컵(12)을 제조 완료하였을 때, 컬링공정(21)에서 형성한 컬링부(5)가 원형링 형태로 동그란 상태이었으나, 이 것을 각형통체 성형공정(22)에서 각형몰드(9)에 삽입하여 컬링부를 사각링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변(邊)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호형(弧形)으로 형성되면서 컬링부가 단면은 원형을 유지하고, 컬링부 중에서 모서리부분은 상하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위와 같이 컬링부의 형상이 변 부분에서는 전체적으로 호형이면서 단면은 원 형이고, 모서리부에서는 단면이 상하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컬링부를 옆에서 볼 때 변 부분은 낮고 모서리부분은 올라간 상태가 되어 각평통체일때 컬링부의 외관이 미려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실시예에서는 이를 수정 보완하고자 각형통체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컬링부(5)를 도 2h와 같이 형틀로서 가압하여 완만하게 호형으로 형성한 변 부분을 일자형으로 펴고, 모서리부분에서 단면이 상하로 길던 것을 원형에 가깝게 수정하여 각형종이컵(12)의 컬링부(5)를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오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밑지 홀딩공정(29),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이 순서대로 이루어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각형종이컵(12)이 제작된다.
위에서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일실시예와 도 8에 도시된 오실시예는 각형밑지(11)를 각형통체(10)에 삽입시키는 부분에 대한 공정이 다르고, 나머지인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은 양자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오실시예에서는 각형통체(10)를 형성하고 각형밑지(11)를 각형통체(10)에 삽입하는 방법이 일실시예와 다른데, 오실시예에서 컬링공정(21)의 다음에 도 2i와 같이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를 홀딩시키는 각형밑지 홀딩공정(29)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를 홀딩시키는 것은, 각형몰드(9)의 중앙에 하측까지 관통한 흡입구멍(9a)을 형성하여 이 흡입구멍(9a)으로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를 흡착하여 홀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를 홀딩시키는 것은 다른 예로서, 도 2i의 (나)와 같이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홈(9b)을 형성하여, 그 삽입홈(9b)으로 각형밑지(11)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홈(9b)의 상부에는 흡입구멍(9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취출구(9c)를 설치하여서 추후에 삽입홈(9b)에 삽입된 각형밑지(11)를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함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를 홀딩시킨 뒤에는 각형밑지(11)가 홀딩된 각형몰드(9)의 외측에 원형통체(8)를 삽입하여 원형통체(8)가 각형통체(10)의 형상대로 각형통체(10)를 성형하고,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가 이미 홀딩된 상태이므로 각형밑지(11)가 각형통체(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되게 하는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이 이루어진다.
이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 뒤에는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에서 각형밑지(11)가 각형통체(10)에 삽입된 깊이는 도 2d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설명과 같은 깊이로 삽입시킨다.
도 9에 도시된 육실시예는 오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상기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의 다음에 각형통체(10)의 하단부와 각형밑지(11)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3)를 가열하여 각형통체(10)와 각형밑지(11)에 코팅된 합성수지코팅층을 녹이는 가열공정(26)이 추가되는 것으로서, 육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오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육실시예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밑지 홀딩공정(29),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 가열공정(26),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의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공정(26)에서 각형밑지(11)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하부를 가열하는 것은, 각형밑지(11)와 각형통체(10)에 코팅된 합성수지코팅층이 녹신하게 녹을 정도의 열풍을 불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코팅층을 가열하는 것은 합성수지코팅층이 열풍에 녹신하게 녹아서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과 밑굽성형공정(25)시에 각형통체 하단부(10a)가 부드럽게 절곡이 잘되고 녹신하게 녹은 합성수지층끼리 부착되어 밑굽(6)을 든든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은 도 10에 도시된 칠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육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육실시예의 여러 공정 중에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의 다음에 내측에 각형몰드(9)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외부에 각형외부몰드(14)를 삽입시켜 각형통체(10)를 2차로 성형하는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이 추가되는 것으로서, 칠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육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칠실시예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밑지 홀딩공정(29),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 가열공정(26),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의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칠실시예에서 추가되는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은 도 2g를 참고하여 삼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팔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칠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칠실시예의 여러 공정 중에 밑굽성형공정(25)의 다음에 컬링부(5)의 상부와 외주연을 가압하여 컬링부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는 컬링부 수정공정(28)이 추가되는 것으로서, 팔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칠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팔실시예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컬링공정(21), 각형밑지 홀딩공정(29),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 가열공정(26),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 밑굽성형공정(25), 컬링부 수정공정(28)이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컬링부 수정공정(28)은 도 2h를 참고하여 사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컬링부 수정공정(28)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일 내지 팔실시예에서 제조하는 각형종이컵의 형상은 삼각부 터 팔, 구각은 물론이고 별모양과 같은 다각형의 종이컵을 제조할 수 있으며, 각형종이컵을 도면에 상광하협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하의 크기가 동일한 크기로도 제작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종래의 종이컵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에 의한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각형종이컵을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의 일 내지 팔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옆지 2 : 밑지
3 : 하향절곡부 4 : 원형통체
5 : 컬링부 6 : 밑굽
7 : 종이컵 8 : 원형통체
9 : 각형몰드 10 : 각형통체
11 : 각형밑지 12 : 각형종이컵
13 : 삽입구 14 : 각형외부몰드
20 : 원형통체 성형공정 21 : 컬링공정
22 : 각형통체 성형공정 23 : 각형밑지 삽입공정
24 :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 25 : 밑굽성형공정
26 : 가열공정 27 :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
28 : 컬링부 수정공정 29 : 각형밑지 홀딩공정
30 :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

Claims (13)

  1. 절단된 옆지(1)를 둥글게 말아 부쳐서 원형통체(8)를 성형하는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상기 원형통체 성형공정(20)에서 성형된 원형통체(8)의 상부전둘레를 말아서 컬링부(8)를 형성하는 컬링공정(21)과,
    상기 컬링공정(21)에서 컬링부(8)가 형성된 원형통체(8)를 각형몰드(9)의 외측에 삽입하여 각형통체(10)를 성형하는 각형통체 성형공정(22)과,
    상기 각형통체 성형공정(22)에서 성형된 각형통체(10)의 내측 하부에 각형밑지(11)를 삽입하는 각형밑지 삽입공정(23)과,
    상기 각형밑지 삽입공정(23)에서 각형통체(10)의 내측 하부에 삽입된 각형밑지(11)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3)를 감싸기 위하여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 전둘레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가 각형밑지(11)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3)를 감싸게 하는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과,
    상기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에서 각형밑지(11)의 하부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3)를 감싼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를 압착하여 하향절곡부(3)와 각형통체(10)의 하단부(10a)가 결합된 밑굽(6)을 형성하는 밑굽형성공정(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밑지 삽입공정(23)의 다음에 각형통체(10)의 하단부와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를 가열하여 각형통체(10)와 각형밑지(11)에 코팅된 합성수지코팅층을 녹이는 가열공정(26)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통체 성형공정(22) 다음에 내측에 각형몰드(9)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외부에 각형외부몰드(14)를 삽입시켜 각형통체(10)를 2차로 성형하는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밑굽형성공정(25) 다음에 컬링부(5)의 상부와 외주연을 가압하여 컬링부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는 컬링부 수정공정(28)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공정(26)은 각형밑지(11)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하부에 열풍을 불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밑지(11)가 각형통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h2)가 각형통체하단부(10a)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의 높이(h1)만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통체(8)와 각형통체(10), 각형몰드(9)의 형상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역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8. 절단된 옆지(1)를 둥글게 말아 부쳐서 원형통체(8)를 성형하는 원형통체 성형공정(20)과,
    상기 원형통체 성형공정(20)에서 성형된 원형통체(8)의 상부전둘레를 말아서 컬링부(5)를 형성하는 컬링공정(21)과,
    각형몰드(9)의 하측 저면에 각형밑지(11)를 홀딩시키는 각형밑지 홀딩공정(29)과,
    상기 각형밑지 홀딩공정(29)에서 각형밑지(11)가 홀딩된 각형몰드(9)의 외측에 원형통체(8)를 삽입하여 각형통체(10)를 성형하는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과,
    상기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에서 성형된 각형통체의 하단부(10a) 전둘레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각형통체 하단부(10a)가 각형밑지(11)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3)를 감싸게 하는 각형통체 하단부 절곡공정(24)과,
    상기 각형밑지(11)의 외주연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3)를 감싼 각형통체 하단부(10a)를 압착하여 하향절곡부(3)와 각형통체 하단부(10a)가 결합된 밑굽(6)을 형성하는 밑굽형성공정(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의 다음에 각형밑지(11)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하측을 가열하여 각형통체(10)와 각형밑지(11)에 코팅된 합성수지코팅층을 녹이는 가열공정(26)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밑지 삽입 및 각형통체 성형공정(30)의 다음에 내측에 각형몰드(9)가 삽입된 각형통체의 외부에 각형외부몰드(14)를 삽입시켜 각형통체(10)를 2차로 성형하는 각형통체 2차성형공정(27)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밑굽형성공정(25) 다음에 컬링부(5)의 상부와 외주연을 가압하여 컬링부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는 컬링부 수정공정(28)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공정(26)은 각형밑지(11)가 삽입된 각형통체(10)의 하부에 열풍을 불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밑지(11)가 각형통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h2)가 각형통체하단부(10a)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각형밑지(11)의 하향절곡부(3)의 높이(h1)만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KR1020070117397A 2007-11-16 2007-11-16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KR10084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97A KR100848703B1 (ko) 2007-11-16 2007-11-16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97A KR100848703B1 (ko) 2007-11-16 2007-11-16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703B1 true KR100848703B1 (ko) 2008-07-28

Family

ID=3982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397A KR100848703B1 (ko) 2007-11-16 2007-11-16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7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215A (ko) * 2012-05-03 2012-05-23 최병철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WO2015060628A1 (ko) * 2013-10-21 2015-04-30 최병철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019239A (ko) *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859249A (zh) * 2018-07-20 2018-11-23 浙江森盟包装有限公司 方形纸容器的折底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215A (ko) * 2012-05-03 2012-05-23 최병철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314B1 (ko) 2012-05-03 2017-02-03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WO2015060628A1 (ko) * 2013-10-21 2015-04-30 최병철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612050A (zh) * 2013-10-21 2016-05-25 崔炳喆 杯套制造装置及制造方法
KR20160019239A (ko) *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98199B1 (ko) 2014-08-11 2017-01-19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859249A (zh) * 2018-07-20 2018-11-23 浙江森盟包装有限公司 方形纸容器的折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703B1 (ko) 각형종이컵의 제조방법
JP4741397B2 (ja) 二重壁紙カップ
US8448783B2 (en) Packet and corresponding blank
US10099840B2 (en) Cup made of a paper material
EA017796B1 (ru) Бумажный стакан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80216670A1 (en) Bakeware having a flexibl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6176171A (ja) 造花、造花キット及び造花の製造方法
CN101327611A (zh) 碳纤维管件的成型方法
US20040043697A1 (en) Bra structure
JP2001192015A (ja) 紙製断熱カップとその製造方法
KR101952668B1 (ko) 코일하우징의 제작방법
JP2915898B1 (ja) 角缶の製造方法
KR101692222B1 (ko) 종이용기의 제조방법
KR20090049820A (ko) 보온단열용 2중종이용기
CN207375004U (zh) 一种铁盒新盒型
KR200437454Y1 (ko) 시신용 베개
KR20160000996A (ko) 골판지가 적용된 다겹 종이용기의 제조방법 및 골판지가 적용된 다겹 종이용기
CN113561571B (zh) 纸盖一体成型工艺
CN106418895A (zh) 一种鞋中底及该鞋中底的制作方法
JP2009262993A (ja) 紙製断熱カップ
JPH0625107U (ja) 紙蓋及び該紙蓋を用いた円筒状容器
CN117383029A (zh) 一种蚊香包装纸塑盒及其筒体的制作方法
JP2770246B2 (ja) 濾過用紙カ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5423B2 (ja) 紙製断熱カップとその製造方法
JPH03279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