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932B1 -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 Google Patents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932B1
KR100847932B1 KR1020037008721A KR20037008721A KR100847932B1 KR 100847932 B1 KR100847932 B1 KR 100847932B1 KR 1020037008721 A KR1020037008721 A KR 1020037008721A KR 20037008721 A KR20037008721 A KR 20037008721A KR 100847932 B1 KR100847932 B1 KR 10084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sodium
film
carbonate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022A (ko
Inventor
푸-쟈 다니엘 짜이
브리짓 에이. 발로그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3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52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675Ester condensation polymer sheet or film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678Olefin polymer or copolymer sheet or film [e.g., polypropylene, polyethylene, ethylene-butylene copolym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6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s,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9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other than strand or fiber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a. 생분해성 부직 재료; 및 b.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는 체액과 같은 유체의 흡수용으로 의도된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통기성, 생분해성, 퇴비화가능한, 일회용 흡수 제품, 개인 위생 제품

Description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Breathable,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Laminates}
본 발명은 개인 위생 제품을 위한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미네이트는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는 체액과 같은 유체의 흡수용으로 의도된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사회에서 환경친화적인 개인 위생 제품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환경친화적인 개인 위생 제품은 환경적으로 자각있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장래에는 아마도 법률에 의해 요구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의 개인 위생 제품은 펄프, 초흡수체, 엘라스토머, 필름, 접착제 및 부직 성분으로부터 제조된다. 필름 및 부직물은 주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다. 사용 후, 제품들은 매립지에 버려지는데, 이들은 시간이 지나도 뚜렷하게 분해되지 않는다. 현재는 이러한 유형의 매립지 폐기가 허용되지만, 미래에는 아마도 매립지 공간이 부족해져서 이러한 방식으로 폐기하는 제품의 양을 제한하는 법규가 제정될 것이다. 미국에 비해 공간이 상당히 제한된 유럽 및 아시아에서는 이미 법규가 논의중이다. 이러한 면에서, 사용후 분해되는 개 인 위생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현재 많은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아 및 어린이 위생 분야에서는 기저귀 및 유아 배변훈련용 속팬츠가 일반적으로 재사용가능한 천 흡수 용품을 대체해 오고 있다. 다른 대표적인 일회용 흡수 제품으로는 여성 위생 제품, 예를 들면 생리대 또는 탐폰, 성인 실금용 제품, 및 보건 위생 제품, 예를 들면 수술용 드레이프 또는 상처 드레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일회용 흡수 제품은 일반적으로 액체-투과성 표면시트, 유체 흡수층, 흡수 구조물 및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를 포함한다. 이들 제품은 보통 제품을 착용자에 꼭 맞추기 위한 몇몇 유형의 체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통상 사용 동안에 물, 뇨, 월경 또는 혈액과 같은 1종 이상의 액체 배설물을 받아 들인다. 이 때문에, 일회용 흡수 제품의 외부 커버 재료는 통상적으로 충분한 강도 및 처리 용량을 나타내어 착용자가 사용하는 동안에 일회용 제품이 그의 일체성을 보유하고 제품으로 배설되는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액체 불용성 및 액체-불투과성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비록 현재의 일회용 아기 기저귀 및 다른 일회용 흡수 제품들이 일반적으로 대중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들 제품은 특정 영역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일회용 흡수 제품은 폐기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일회용 흡수 제품을 변기를 통해 수세시켜 하수 시스템으로 보내려는 시도들은 흔히 변기 또는 변기와 하수 시스템을 연결하는 관을 막히게 한다. 특히, 일회용 흡수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외부 커버 재료는 변기를 통해 아래로 수세시켰을 때 일반적으로 붕해되거나 또는 분산되지 않아서 일회용 흡수 제품이 이러한 방식으로 버려질 수 없도록 한다. 일회용 흡수 제품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켜 변기 또는 하수관을 막히게 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외부 커버 재료를 매우 얇게 제조한다면, 외부 커버 재료는 대표적으로 외부 커버 재료가 착용자에 의한 정상적인 사용 응력을 받을 때 찢어지거나 또는 터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고체 쓰레기 처리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쓰레기매립지가 계속해서 가득차게 되면서, 일회용 제품에서 원료 감소, 일회용 제품에 보다 많은 재활용가능한 및(또는) 분해가능한 성분의 혼입 및 쓰레기매립과 같은 고체 쓰레기 처리 시설 내로의 유입 이외의 수단에 의해 폐기처리될 수 있는 제품의 고안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 중에는 그의 일체성 및 강도를 보유하지만, 사용 후에는 재료가 보다 효율적으로 폐기될 수 있는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 재료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일회용 흡수 제품은 퇴비화에 의해 용이하게 및 효율적으로 폐기처리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일회용 흡수 제품은 일회용 흡수 제품이 분해될 수 있는 액체 하수 시스템으로 용이하게 및 효율적으로 폐기처리될 수 있다.
비록, 분해가능한 일성분 섬유가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의 사용시에 문제점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공지된 분해가능한 섬유들은 통상 양호한 열 치수 안 정성을 갖지 못하여 섬유들이 일반적으로 열 결합 또는 적층과 같은 공정후반의 열 처리 과정 동안 중합체 사슬 이완에 기인한 심각한 열 수축을 일으킨다.
대조적으로, 폴리올레핀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은 통상적으로 양호한 열 치수 안정성을 나타내지만, 역시 이들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 섬유는 전형적으로 소수성이고, 이 때문에 불량한 습윤성을 나타내므로, 체액과 같은 유체의 흡수용으로 의도된 일회용 흡수 제품 중에 이들이 사용되는 것이 제한된다. 비록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 섬유의 습윤성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은 추가되는 비용, 일시성 또는 영구성, 및 독성과 같은 추가의 문제점들을 가져온다. 또한, 폴리올레핀 섬유는 일반적으로 생붕해가능하거나 또는 퇴비화가능하지 않다.
부가적으로, 통기성은 개인 위생 용품에서 중요한 면이다. 예를 들어, 기저귀에서 통기성은 기저귀를 착용하는 아기에게 상당한 피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수증기가 외부 커버로 투과되어 아기의 피부가 건조해져서 기저귀 발진이 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 위생 제품을 위한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는 체액과 같은 유체의 흡수용으로 의도된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생분해성이지만 쉽게 제조되며 목적하는 최종 구조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에 관한 것이다. 재료가 세균, 진균 또는 조류와 같은 자연 발생적 미생물의 작용으로부터 분해되는 경우, 상기 재료는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생분해성 퇴비화가능성을 다양한 상이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 방법 중 하나는 ASTM 시험 방법 5338.92이다.
본 발명의 한 면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충전 재료를 포함하는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한 실시태양은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PBS)를 포함하지만, 또다른 실시태양은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 공중합체 (PBS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개인 위생 제품에서 외부 커버로 사용된다. 라미네이트는 다량 (즉, 중량 기준으로 50 % 이상)의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도록 고안된다. 또한, 상기 재료들은 매우 통기성이므로 상기 재료는 라미네이트의 착용자가 더욱 편안하도록 만든다. 마지막으로, 라미네이트는 제1 생분해성 부직 재료, 및 충전 재료를 갖는 제2 생분해성 필름의 2개의 층으로 구성되므로 비교적 제조가 간단하다.
상기 라미네이트가 간단한 2층 구조이기 때문에, 이들은 열 결합, 접착제 결합 또는 압출 적층 등의 다양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재료는 기저귀, 성인 실금용 제품, 유아 배변훈련용 속팬츠 및 여성 위생 제품 등의 다양한 개인 위생 용품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생분해성이지만 쉽게 제조되며 목적하는 최종 구조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미네이트는 다양한 생분해성 중합체, 유기 및 무기 충전재로부터 다양한 필름 또는 라미네이트 형성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라미네이트는 착용자에게는 편안하지만 생분해되거나 퇴비화될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개인 위생 용품과 같은 최종 구조물의 폐기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실질적으로 생분해성인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2개의 층을 적층하여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재료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2개의 층은 생분해성 부직 재료 및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포함하며, 다양한 상이한 적층 공정을 사용하여 이들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층이 생분해성 부직 재료이고 다른 재료가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인 2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재료를 제공한다. 생분해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필름에 통기성을 부가하므로 라미네이트 전체에도 통기성을 부가하는 무기물과 같은 재료로 충전된다. 이 때문에, 전체 라미네이트는 매우 통기성이다. 부가적으로, 라미네이트가 2개의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라미네이트는 실질적으로 생분해성이다. 따라서, 상기 라미네이트는 다른 통상적인 제품과 같거나 더 양호한 성능의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제공한다.
생분해성의 부직 재료 및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은 얻어진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가 50 중량% 초과의 생분해성 중합체로 구성되도록 선택된다. 이 때문에, 얻어진 라미네이트는 생분해성일 것이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재료는 생분해성 부직 재료인 제1층을 포함한다. 생분해성 부직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다량의 생분해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생분해성 중합체는 다양한 유기 및 무기 생분해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이드 (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발레레이트 (PHB-PHV), 폴리카프로락톤 (PCL), 술폰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들의 블렌드 및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및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코-아디페이트 등을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생분해성 부직 재료내의 생분해성 중합체 중 하나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를 사용한다.
생분해성 부직 재료는 생분해성 중합체 또는 중합체로부터 섬유를 형성한 후 이들 섬유를 부직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생분해성 중합체를 이용한다. 이 때문에, 생분해성 중합체는 섬유 가공에 적절한 점도 범위를 갖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점도 범위는 생분해성 부직 재료에서 사용한 각 생분해성 중합체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일단 섬유를 형성하여, 이들은 스펀본드 공정, 멜트블로운 공정, 에어레이드 공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부직 공정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부직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재료는 또한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인 제2층을 포함한다. 생분해성 부직물과 함께, 생분해성 필름은 다양한 유기 및 무기 생분해성 중 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생분해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들은 생분해성 부직 재료에 이용된 상기 기재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은 또한 충전 재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충전 재료는 유기 또는 무기 충전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별개의 입자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유기 충전 재료는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금속 탄산염, 금속 황산염, 각종 점토, 실리카, 알루미나, 미분된 금속, 유리 미소구체 또는 부귤라 (vugular) 공극-함유 입자를 포함한다. 특히 적합한 충전 재료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탄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탄산바륨, 고령토, 탄소,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이산화 티타늄을 포함한다. 또다른 무기 충전재는 높은 종횡비를 갖는 입자, 예를 들어 활석, 운모 및 규회석을 갖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적합한 유기 충전 재료는 예를 들어 라텍스 입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입자, 펄프 분말, 목재 분말, 셀룰로오스 유도체, 키틴, 키토산 분말, 고결정질의 분말, 고용융 중합체, 고가교결합된 중합체의 비드, 유기실리콘 분말, 및 부분적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초흡수체 중합체의 분말 등,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전 재료들은 인성, 연성, 불투명도, 증기 수송률 (통기성), 수분산성, 생분해성, 유체 부동화 및 흡수, 피부 건강, 및 필름의 기타 유리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재는 탄산칼슘이다.
충전 재료는 생분해성 중합체 기재 수지에 혼합되어 필름내 미소다공성 구조를 생성한다. 이러한 미소다공성 구조는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에 통기성을 부가한다. 통기성은 충전재를 첨가한 후 필름을 연신시켜 기공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미소다공성 구조를 부가하기 위해서는, 충전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미립자이며 그 크기가 약 0.1 내지 약 50 미크론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충전재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약 1 미크론 내지 약 8 미크론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크기가 약 1 미크론이다.
충전재는 가공을 돕는 재료로 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스테아르산, 베헨산 또는 임의의 다른 가공 보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가소화제, 가공 보조제, 유동성 개질제, 항산화제, UV 광 안정화제, 안료, 색제, 미끄럼 부가제, 블록방지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충전재와 블렌딩하기 전 또는 후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은 약 30 내지 약 10 중량%의 생분해성 중합체, 약 70 내지 약 10 중량%의 유기 또는 무기 충전재, 및 약 0 내지 약 25 중량%의 임의의 부가적인 첨가제를 함유한다.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은, 압출 공정을 사용하여 충전재와 생분해성 중합체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필름으로 변환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을 캐스트 블로운, 블로운 필름,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을 사용하여 변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캐스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을 엠보싱시키거나, 또는 엠보싱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단일층일 수 있거나, 또는 공압출된 필름의 각 층이 상기 기재된 재료로 구성되기만 한다면 공압출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형성되면, 상기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은 수증기가 필름을 통해 통과할 수 있는 미소다공성 구조를 가지므로 비충전 필름에 비해 필름의 통기성이 강화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연신시켜 필름의 통기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연신시에 필름의 생분해성 중합체 부분이 충전 재료로부터 천천히 떨어져나가 충전 재료에 의해 야기된 미소기공이 커지므로, 이로 인해 필름을 통과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증가하며 필름의 통기성이 강화된다.
연신으로 인해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은 바람직한 통기성, 수분산성 및(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에 단축 연신 작업 또는 이축 연신 작업 등의 선택된 다수의 연신 작업을 수행한다. 연신 작업은 다공성 필름에 특이한 다공성 형태를 제공하여 필름을 통한 수증기 이동을 강화할 수 있고, 물의 접근성을 개선하며 필름의 분해성을 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원래 길이의 약 100 내지 약 500 %로 연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원래 길이의 약 100 내지 약 300 %로 연신된다.
연신 작업 도중 중요한 파라미터는 연신 인장비, 연신 변형 속도, 및 연신 온도를 포함한다. 연신 작업 동안, 충전재로 충전된 필름을 임의로 가열하여 바람직한 연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연신은 각종 상이한 연신 공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공정은 필름을 종방향으로만 배향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배향기 (MDO)를 사용한다. MDO는 8개의 롤을 포함하며, 각 롤은 가열될 수 있으며 상이한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에는 롤의 각 세트 사이마다 7개의 잠재적인 연신 영역이 있 다. 선 속도, 롤들간의 인장비, 및 롤 온도는 개별적으로 조절되어 필름의 다공성 구조 및 얻어지는 특성을 조작할 수 있다.
연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인자는 사용한 충전재의 양, 필름에 대한 바람직한 수증기 투과율, 및 최종 필름의 목적 두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재 및 연신을 사용함으로써, 수증기 투과율이 약 3000 g/m2/24 hr 이상인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연신 동안, 필름 샘플을 임의로 가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신은 생분해성 중합체의 용융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과도하게 높은 온도는 목적하는 미소기공의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저온에서의 연신은, 연신하는 동안에 충전재 입자가 더욱 효과적으로 탈결합되도록 하여 미소기공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생분해성 부직 재료 및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선택하여 형성한 후, 이들을 적층하여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를 제조한다. 열 결합 공정, 접착제 적층 공정 또는 압출 적층 공정 등의 각종 적층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라미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접착제 적층 공정을 선택한다면, 사용하는 바람직한 접착제는 생분해성 접착제이어야 한다.
적층 공정은 바람직한 결합 요건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은 열 결합 공정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상기 공정에서, 생분해성 부직 재료 및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2개의 가열된 칼렌더 롤 사이의 가압 닙을 통과시킨다. 바람직한 박리 강도, 정수압 내성, 통기성 및 외관 기준을 충족시키는 한 다양한 열 결합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준은 하기와 같다: 박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STP 571W 시험 방법을 기준으로 약 35 그램 이상이다. 정수압은 바람직하게는 RTM-4507 시험 방법을 기준으로 약 60 mba 이상이다. 통기성은 WVTR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1000 g/m2/24 h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0 g/m2/24 hr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00 g/m2/24 hr이상이다. 외관에는 바람직하게 눈에 보이는 구멍 또는 주름이 없다.
본 발명의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는 각종 상이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기저귀, 여성 위생 용품, 성인 실금용 제품 및 유아 배변훈련용 속팬츠 등의 개인 위생 제품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예시되며, 상기는 그의 범위를 어떠한 방법으로든 제한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한 후에는 다양한 다른 실시태양, 변형 및 동등물을 가질 수 있음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며, 상기는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주제 및(또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안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를 위해, 하기 공정 조건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14 개의 배럴이 있고 총 가공 구역 길이가 1338 mm인 ZSK-30 동시-회전 이축 압출기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 (Werner & Pfleiderer) 제품)를 사용하였다. 제1 배럴을 가열하지 않고 물로 냉각시켰다. 블렌딩하는 조성물에 따라, 압출기의 나사 디자인을 변형하였다. 몇몇 경우, ZSB-25 이축 측방 공급기 (역시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 제품)를 사용하여 압출기의 배럴 8에 CaCO3 충전재를 공급하였다. 압출기로부터 나온 중합체 스트랜드를 공냉식 벨트 또는 이중 벨트 냉각기 (샌드빅 프로세스 시스템즈 (Sandvik Process Systems) 제품) 상에서 응고시켰다. 각 경우, 공냉식 시스템으로 냉각을 달성하였다.
필름 가공을 위해, 간극이 0.02" (0.0508 cm)이며 수냉식 EM50 규소 엠보싱 롤을 갖는 36" (91.44 cm) 필름 다이를 사용하였다. 상기 필름 셋업을 버지니아주 뉴포트 뉴스 소재의 헌츠만 패키징 (Huntsman Packaging)에 배치하였다. 압출기 나사 속도 및 권취 속도를 각 조성물에 대해 필요에 따라 조절하였다. 작동하는 동안 필름 가공 조건, 즉 용융 온도, 용융 압력, %토크, 및 정성 관측을 모니터링하였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를 위해, 하기 공정 조건을 사용하여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의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 부분을 MDO를 사용하여 연신시켰다.
MDO 온도 프로파일
롤 1 롤 2 롤 3 롤 4 롤 5 롤 6 롤 7 롤 8
120 °F (48.9 ℃) 150 °F (65.6 ℃) 150 °F (65.6 ℃) 150 °F (65.6 ℃) 150 °F (65.6 ℃) 70 °F (21.1 ℃) 70 °F (21.1 ℃) 150 °F (65.6 ℃)

MDO 인장률
작동 인장률 (%) 전체 선속도 (ft/min)
드라이브 1 드라이브 2 드라이브 3 드라이브 4 드라이브 5 드라이브 6 드라이브 7
1 100 155 131 270 100 100 30

MDO 유닛을 나오면, 연신된 필름을 한 세트의 칼렌더 롤을 통과시켜 필름을 또다른 기판에 열결합시켰다. "베이비 오브젝츠 (baby objects)" 결합 패턴을 사용하였다. "베이비 오브젝츠"는 현재 하기스 (HUGGIES(R)) 수프림 기저귀 외부 커버에 사용되는 결합 패턴이다. 베이브 오브젝츠 패턴이 새겨진 강철 롤을 칼렌더 장치의 최상부 위치에 놓고, 패턴이 없는 강철 모루 롤을 바닥에 놓았다. 오일-가열된 칼렌더 롤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스펀본드를 칼렌더 롤 전에 필름 웹의 윗면에 공급하였다. 조작자 특정 압력 (operator specified pressure)에서 가열된 롤들 사이에서 스펀본드와 필름을 니핑 (nipping)하여 결합시켰다.
하기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는 상이한 기초 중량의 BAU 스펀본드와 적층된 49 % 탄산칼슘 충전된 필름을 함유하였다. 필름은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 공중합체 (PBSA)를 포함하였다. 일본 도꾜 소재의 쇼와 하이폴리머 코., 엘티디. (Showa Highpolymer Co., Ltd.)로부터 바이오놀레 (BIONOLLE(R))란 명칭으로 입수가능한 PBSA를 얻었다. 부직물은 41.7 %의 바이오놀 레 1020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중합체 (PBS), 41.7 %의 바이오놀레 3020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코-아디페이트 중합체 (PBSA), 14.7 %의 아디프산을 포함하며, 사용한 재료의 2 %는 습윤제 (오클라호마주 툴사 소재의 페트롤라이트 코포레이션 (Petrolite Corporation)의 상표명 유니톡스 (UNITHOXTM) 480 에톡실화 알코올)이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직 재료를 약어 "BAU"로 언급할 것이다.
실시예 A 내지 D는 비교예이다. 실시예 A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직물을 사용하지만, 필름은 100 % 바이오놀레 3001이었다. 실시에 B는 하기스 기저귀로부터의 통기성 연신 열 라미네이트 (BSTL) 외부 커버이었다. 실시예 C에서는 고통기성 외부 커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D는 폴리비닐 알코올 (PVOH) 필름을 함유하였다. 그러나, 필름을 만족스럽게 변형시킬 수 없었으므로 추가의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필름 설명 부직물 설명
실시예 중합체 충전재 (중량%) 예비-연신 두께 (mil) 예비-연신 폭 조성물 기초 중량 (osy)
1 바이오놀레 3001 49 2.1 17 인치 (43.18 cm) BAU 0.9 20 인치 (50.8 cm)
2 바이오놀레 3001 49 2.1 13 인치 (33.02 cm) BAU 0.75 14 인치 (35.56 cm)
3 바이오놀레 3001 49 2.1 13 인치 (33.02 cm) BAU 0.9 14 인치 (35.56 cm)
4 바이오놀레 3001 49 2.1 13 인치 (33.02 cm) BAU 1.2 14 인치 (35.56 cm)
A 바이오놀레 3001 0 1.8 17 인치 (43.18 cm) BAU 0.9 20 인치 (50.8 cm)
B K-C 헌츠만 50 N/A N/A PP 0.7 N/A
C K-C 헌츠만 58 N/A N/A PP 0.6 N/A
D PVOH N/A N/A N/A N/A N/A N/A

이어서, 필름을 하기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가공성; 수증기 투과율 (WVTR) 및 분해성. 각 라미네이트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한다.
물리적 특성
실시예 가공성 WVTR (g/m2/24 hr) 분해성
1 양호 3250 70 중량% 초과 생분해성; 15 % 초과 불활성
2 양호 3300 65 중량% 초과 생분해성; 20 % 초과 불활성
3 양호 3140 70 중량% 초과 생분해성; 15 % 초과 불활성
4 양호 3960 70 중량% 초과 생분해성; 15 % 초과 불활성
A 양호 1350 85 중량% 초과 생분해성
B 양호 4100 분해성이 아님
C 양호 1500 분해성이 아님
D 불량 N/A N/A

각 조성물의 가공성을 정성 기초로 분석하였다. 조성물이 혼합될 수 있고, 필름으로 캐스팅될 수 있고, 별다른 어려움 없이 연신 및 적층될 수 있다면 양호한 가공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A 내지 C는 가공성이 양호하였다. 비교예 D는 가공성이 불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을 상당히 얇은 필름으로는 캐스팅할 수 없었다. 얻어진 필름은 부서지기 쉬웠으며 겔을 함유하였다. PVOH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생분해성 중합체라고 결정하였다.
샘플의 통기성을 하기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물이 담겨진 컵을 3 인치 (7.62 cm) 직경의 시험 절편으로 밀봉하고 오븐 중에 24 시간 동안 두었다. 컵 어셈블리의 중량을 24 시간이 지나기 전 및 후에 측정하였다. 중량 손실은 시 험 재료를 통해 이동된 수분의 양과 동등하였다. 상기 정보로부터 재료에 대한 WVTR 값을 계산한다. 컵 시험은 오직 5,000 g/m2/24 hr 미만의 WVTR 값에서만 유효하다.
현재의 BSTL 외부 커버는 약 1500 g/m2/24 hr의 WVTR 값을 가지지만, 차세대 고통기성 외부 커버는 약 3800 g/m2/24 hr의 WVTR 값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모두가 현재의 BSTL 필름보다 높은 WVTR 값을 갖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WVTR 값은 3140 내지 3960 g/m2/24 hr의 범위였다.
비교예 A는 1350 g/m2/24 hr의 통기성을 가졌다. 상기 필름은 바이오놀레 중합체를 함유하지만 충전재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필름 연신 단계 동안에 다공성 구조가 생성되지 않았다. 측정된 통기성은 바이오놀레 재료의 고유의 통기성 특성으로 인한 것이었다. 생분해성 외부커버 고유의 통기성은, 충전하고 연신한 경우에만 통기성인 폴리올레핀 외부 커버에 대해 이점을 제공한다.
ASTM 시험 방법 5338.92를 사용하여 분해성을 측정하였다. 재료가 세균, 진균 또는 조류와 같은 자연 발생적 미생물의 작용으로부터 분해된다면 상기 재료는 생분해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분해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각 재료의 50 % 이상이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해야 하였다. 현재 유럽 법규는 재료의 최소 90 중량% 또는 각 유기 성분의 60 %가 6 개월내에 생분해된다면 상기 재료가 생분해성이라고 간주한다고 지정하고 있다. 또한, 제품 조성의 50 중량% 이하가 무기 화합 물로 구성될 수 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들은 본 발명이 그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변형 및 변화를 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기재한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25)

  1. a.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이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발레레이트, 술폰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생분해성 부직 재료; 및
    b.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이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발레레이트, 술폰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원래 길이의 100 내지 500 %로 연신된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포함하고,
    3000 g/m2/24 hr를 초과하는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 재료가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를 포함하는,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이 점토, 실리카, 알루미나, 미분된 금속, 유리 미소구체, 탄산칼슘, 황산바륨, 탄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탄산바륨, 고령토, 탄소,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타늄, 활석, 운모, 규회석, 라텍스 입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입자, 펄프 분말, 목재 분말, 셀룰로오스 유도체, 키틴, 키토산 분말, 유기실리콘 분말, 폴리아크릴산, 황산마그네슘,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황산나트륨, 황산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충전재를 포함하는,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내에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내에 3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원래 길이의 100 내지 500 %로 연신하는 단계; 및
    이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이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발레레이트, 술폰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생분해성 부직 재료와 상기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적층하여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는 3000 g/m2/24 hr를 초과하는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것인,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 재료가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이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발레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술폰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들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이 점토, 실리카, 알루미나, 미분된 금속, 유리 미소구체, 탄산칼슘, 황산바륨, 탄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탄산바륨, 고령토, 탄소,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타늄, 활석, 운모, 규회석, 라텍스 입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입자, 펄프 분말, 목재 분말, 셀룰로오스 유도체, 키틴, 키토산 분말, 유기실리콘 분말, 폴리아크릴산, 황산마그네슘,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황산나트륨, 황산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충전재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내에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내에 3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 재료 및 충전된 생분해성 필름을 열 결합 공정을 사용하여 적층하는 방법.
KR1020037008721A 2000-12-28 2001-12-13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KR10084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52,017 2000-12-28
US09/752,017 US6838403B2 (en) 2000-12-28 2000-12-28 Breathable, biodegradable/compostable laminates
PCT/US2001/047492 WO2002053376A2 (en) 2000-12-28 2001-12-13 Breathable, biodegradable/compostable lamin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022A KR20040037022A (ko) 2004-05-04
KR100847932B1 true KR100847932B1 (ko) 2008-07-22

Family

ID=2502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721A KR100847932B1 (ko) 2000-12-28 2001-12-13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38403B2 (ko)
KR (1) KR100847932B1 (ko)
AU (1) AU2002228920A1 (ko)
BR (1) BR0115826A (ko)
DE (1) DE10197110B3 (ko)
GB (1) GB2386342B (ko)
MX (1) MX252144B (ko)
WO (1) WO200205337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98B1 (ko) 2009-10-20 2010-11-05 동양메이저 주식회사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KR20180110732A (ko) 2017-03-30 2018-10-11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생분해도 퇴비화 조건 시험에 사용하는 표준퇴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7394B2 (en) * 2002-03-01 2007-11-20 Bio-Tec Biologische Naturverpackungen Gmbh & Co. Kg Biodegradable films and sheets suitable for use as coatings, wraps and packaging materials
US7241832B2 (en) * 2002-03-01 2007-07-10 bio-tec Biologische Naturverpackungen GmbH & Co., KG Biodegradable polymer blends for use in making films, sheets and other articles of manufacture
US20030162013A1 (en) * 2001-04-23 2003-08-28 Topolkaraev Vasily A. Articles comprising biodegradable films having enhanced ductility and breathability
US20040260034A1 (en) 2003-06-19 2004-12-23 Haile William Alston Water-dispersible fibers and fibrous articles
US20110139386A1 (en) * 2003-06-19 2011-06-16 Eastman Chemical Company Wet lap composition and related processes
US7687143B2 (en) 2003-06-19 2010-03-30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8513147B2 (en) 2003-06-19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s produced from multicomponent fibers
US7892993B2 (en) 2003-06-19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20050209374A1 (en) * 2004-03-19 2005-09-22 Matosky Andrew J Anaerobically biodegradable polyesters
US7619132B2 (en) * 2004-12-30 2009-11-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egradable breathable multilayer film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60149199A1 (en) * 2004-12-30 2006-07-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egradable breathable multilayer film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966419B1 (en) * 2005-12-15 2010-09-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multicomponent fibers
US20090291110A1 (en) * 2006-01-30 2009-11-26 Colbert Johnson One swipe anti-bacteria disposable toilet seat wipe
US7635745B2 (en) * 2006-01-31 2009-12-22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 recovery
AU2006341586B2 (en) 2006-04-07 2011-05-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nonwoven laminate
EP2041341B1 (en) 2006-07-14 2010-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for use in nonwoven webs
WO2008008067A1 (en) 2006-07-14 2008-01-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 for use in nonwoven webs
KR101297865B1 (ko) * 2006-07-14 2013-08-1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부직 웹에 사용하기 위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AU2006347731B2 (en) * 2006-08-31 2012-09-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ly breathable biodegradable films
WO2008073099A1 (en) * 2006-12-15 2008-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polyesters for use in forming fibers
BRPI0622175A2 (pt) * 2006-12-15 2011-12-27 Kimberly Clark Co Ácidos polilÁticos biodegradÁveis para uso na formaÇço de fibras
WO2009024836A1 (en) * 2007-08-22 2009-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omponent biodegradable filaments and nonwoven webs formed therefrom
KR20100098529A (ko) * 2007-12-13 2010-09-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폴리락트산 및 폴리에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생분해성 섬유
US8227658B2 (en) * 2007-12-14 2012-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lm formed from a blend of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US7998888B2 (en) * 2008-03-28 2011-08-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moplastic starch for use in melt-extruded substrates
KR100952543B1 (ko) * 2008-05-07 2010-04-1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슬립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US8338508B2 (en) * 2008-05-14 2012-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sensitive film containing an olefinic elastomer
US8147965B2 (en) * 2008-05-14 2012-04-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sensitive film contain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MX2010013139A (es) * 2008-05-30 2011-03-04 Kimberly Clark Worldwide Incorporated Fibras de acido polilactico.
US8470222B2 (en) 2008-06-06 2013-06-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ers formed from a blend of a modified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and thermoplastic starch
US8841386B2 (en) * 2008-06-10 2014-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ers formed from aromatic polyester and polyether copolymer
US8759279B2 (en) * 2008-06-30 2014-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ragranced biodegradable film
US8188185B2 (en) * 2008-06-30 2012-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packaging film
US8927617B2 (en) * 2008-06-30 2015-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ragranced water-sensitive film
US8283006B2 (en) * 2008-12-18 2012-10-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jection molding material containing starch and plant protein
US8329601B2 (en) 2008-12-18 2012-12-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and renewable film
US8512519B2 (en) 2009-04-24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s for paper strength and process
AU2010265939A1 (en) 2009-06-26 2012-02-02 Metabolix, Inc. PHA compositions comprising PBS and PBSA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US8292863B2 (en) * 2009-10-21 2012-10-23 Donoho Christopher D Disposable diaper with pouches
CN105330876B (zh) 2010-01-12 2018-04-10 绿岩有限责任公司 仿纸膜和其制备方法
US8936740B2 (en) 2010-08-13 2015-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dified polylactic acid fibers
US10753023B2 (en) 2010-08-13 2020-08-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ughened polylactic acid fibers
US9273417B2 (en) 2010-10-21 2016-03-01 Eastman Chemical Company Wet-Laid process to produce a bound nonwoven article
US20120139151A1 (en) * 2010-12-02 2012-06-07 Chen Yu-Ying Additive type bio-decomposable composite preparation method
US8461262B2 (en) 2010-12-07 2013-06-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olylactic acid fibers
US8604123B1 (en) 2011-07-13 2013-12-10 C-Stone Llc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with calcium carbonate and methods and products using same
CN103030940B (zh) * 2011-09-29 2016-02-24 上海林静医疗器械有限公司 降解型一次性咬口器及制备方法
CN103030952B (zh) * 2011-09-29 2016-06-08 上海林静医疗器械有限公司 输液器三通阀/加药器用可降解材料及制法
CN103030942B (zh) * 2011-09-29 2016-06-08 上海林静医疗器械有限公司 降解型一次性压舌板及制备方法
CN103030946B (zh) * 2011-09-29 2016-06-08 上海林静医疗器械有限公司 降解型一次性输液器夹子及制法
US8840757B2 (en) 2012-01-31 2014-09-2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to produce short cut microfibers
US10858762B2 (en) 2012-02-10 2020-1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newable polyester fibers having a low density
US8980964B2 (en) 2012-02-10 2015-03-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newable polyester film having a low modulus and high tensile elongation
US9040598B2 (en) 2012-02-10 2015-05-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newable polyester compositions having a low density
US8975305B2 (en) 2012-02-10 2015-03-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igid renewable polyester compositions having a high impact strength and tensile elongation
US8637130B2 (en) 2012-02-10 2014-0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lded parts containing a polylactic acid composition
US20130210621A1 (en) * 2012-02-10 2013-08-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Film Formed from a Renewable Polyester
EP3424990B1 (en) 2012-06-05 2021-05-05 CJ CheilJedang Corporation Biodegradable polymer blends
US9303357B2 (en) 2013-04-19 2016-04-05 Eastman Chemical Company Paper and nonwoven articles comprising synthetic microfiber binders
BR112016002218B1 (pt) 2013-08-09 2021-1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terial polimérico anisotrópico
MX364108B (es) 2013-08-09 2019-04-11 Kimberly Clark Co Técnica para controlar selectivamente la porosidad de un material polimérico.
US9605126B2 (en) 2013-12-17 2017-03-28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ncentrated sulfopolyester dispersion
US9598802B2 (en) 2013-12-17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ulfopolyester concentrate
WO2016085712A1 (en) 2014-11-26 2016-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nealed porous polyolefin material
WO2017087658A1 (en) 2015-11-17 2017-05-26 Cj Research Center, Llc Polymer blends with controllable biodegradation rates
CN108382034B (zh) * 2017-12-25 2019-10-22 福建恒安卫生材料有限公司 一种柔软彩色透气膜
SI25912A (sl) * 2019-11-14 2021-05-31 Tosama Higienski vložek
DE102021210038A1 (de) 2021-09-10 2023-03-16 Ralf Kibele Trocknungsmittel, Feuchteschutz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ocknungskörper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644A (ja) * 1996-02-15 2000-04-18 クロペイ プラスチック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繊維不織布及び熱可塑性フイルムの布状微多孔質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3327A (en) 1990-02-16 1991-10-30 Procter & Gamble Biodegradable, liquid-impervious sheet laminate
JP2647262B2 (ja) * 1991-08-07 1997-08-27 クロペイ コーポレイション 生物分解性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95748A (ja) * 1995-04-25 1996-11-12 Daicel Chem Ind Ltd 生分解性高透湿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33520B1 (fr) 1995-04-26 1997-06-06 Fiberweb Sodoca Structure composite biodegradable non tisse/film
JP3572162B2 (ja) * 1996-02-29 2004-09-29 三菱化学株式会社 生分解性多孔質フィルム
US5851937A (en) * 1997-03-27 1998-12-2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Cloth-like totally biodegradable and/or compostable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1148436A (ja) * 1997-08-05 1999-02-23 Shin Etsu Polymer Co Ltd 農業用生分解性シート
EP1216135B1 (en) 1999-09-14 2003-05-14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High speed method of making plastic film and nonwoven laminates
BR0115472A (pt) 2000-11-22 2003-08-19 Clopay Plastic Prod Co Filme termoplástico biodegradável respirável ao ar e ao vapor de umidade e respectivo método de produção a alta velocida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644A (ja) * 1996-02-15 2000-04-18 クロペイ プラスチック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繊維不織布及び熱可塑性フイルムの布状微多孔質積層体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98B1 (ko) 2009-10-20 2010-11-05 동양메이저 주식회사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KR20180110732A (ko) 2017-03-30 2018-10-11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생분해도 퇴비화 조건 시험에 사용하는 표준퇴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97110B3 (de) 2012-08-30
BR0115826A (pt) 2006-05-02
WO2002053376A2 (en) 2002-07-11
DE10197110T1 (de) 2003-12-11
US20020123290A1 (en) 2002-09-05
MX252144B (es) 2007-12-04
KR20040037022A (ko) 2004-05-04
GB0314983D0 (en) 2003-07-30
GB2386342B (en) 2004-08-18
MXPA03005863A (es) 2003-09-10
US6838403B2 (en) 2005-01-04
AU2002228920A1 (en) 2002-07-16
WO2002053376A3 (en) 2003-01-03
GB2386342A (en)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932B1 (ko)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AU750714B2 (en) Microlayer breathable films of degradable polymers and thermoplastic elastomers
KR100563799B1 (ko) 적층체 및 필름용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공중합체 및폴리락트산 중합체 조성물
US6586354B1 (en) Microlayer breathable hybrid films of degradable polymers and thermoplastic elastomers
CA2463806C (en) Polyhydroxyalkanoate copolymer/starch compositions for laminates and films
US6261674B1 (en) Breathable microlayer polymer film and articles including same
KR101249120B1 (ko) 고도 통기성 생분해성 필름
AU740500B2 (en) Water degradable microlayer polymer film
US20020143136A1 (en) Polyhydroxyalkanoate copolymer and polylactic acid polymer compositions for laminates and films
US20070049888A1 (en) Absorbent core comprising a multi-microlayer film
KR20060128870A (ko) 통기성 필름을 위한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
AU2002341940A1 (en) Polyhydroxyalkanoate copolymer/starch compositions for laminates and films
KR101718671B1 (ko) 지속성 있는 중합체 필름
KR20070120488A (ko) 보다 높은 가공성을 갖는 다층 필름 구조물
KR100540961B1 (ko) 통기성 미세층 중합체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물품
KR20060109890A (ko) 생분해성 및 통기성 중합체 필름
JP3155351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30252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0888B2 (ja) 吸水性物品用バックシート
EP1340480B1 (en) Transpirant biodegradable film and absorbent sanitary articles incorporating it
EP1340479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film for absorbent sanitary articles and nappies containing it
MXPA06005197A (en) Biodegradable and breathable polymer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