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178B1 -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178B1
KR100847178B1 KR1020067026895A KR20067026895A KR100847178B1 KR 100847178 B1 KR100847178 B1 KR 100847178B1 KR 1020067026895 A KR1020067026895 A KR 1020067026895A KR 20067026895 A KR20067026895 A KR 20067026895A KR 100847178 B1 KR100847178 B1 KR 10084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broadcast signal
communication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771A (ko
Inventor
요시카츠 핫토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1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장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또는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송신 신호로서 수신 장치로 송신한다.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로 인가한다.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영상 음성 출력부에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장치로부터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가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 등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텔레비전 방송 등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그 방송 신호를 영상 및 음성으로서 출력하는 영상 음성 출력 장치를 각기 따로따로 구비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 장치로부터 영상 음성 출력 장치로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은, 선국 장치 및 표시 장치를 따로따로 구비하고, 선국 장치에 의해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선국하여, 이 선국된 방송 신호를 표시 장치에 무선 송신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58966 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선국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전원이 온(on)인 경우에는, 선국 장치와 표시 장치 사이에서 항상 무선 송신이 행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비디오 데크 및 DVD(디지털 범용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의 외부 장치를 표시 장치에 접속하여, 그 외부 장치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킬 때에도, 선국 장치와 표시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행해지게 된다. 그에 따라, 현재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과는 관계없는 무선 통신을 때문에 선국 장치에서 전력이 소비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방송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외부 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통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송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수신 장치로의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구비하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와,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부 신호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제 2 통신부로부터의 방송 신호 및 취득부로부터의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 선택부를 구비하고, 제 1 제어부는, 제 1 선택부에 의한 외부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의 방송 신호의 양이 제 1 선택부에 의한 방송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의 방송 신호의 양보다 적어지도록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의 수신부에 의해 방송 신호가 수신되고, 그 방송 신호는 제 1 통신부에 의해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제 1 통신부에 의해 수신 장치로 송신된 방송 신호는, 수신 장치의 제 2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장치에는 외부 장치를 접속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부 신호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다. 제 2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외부 신호는, 수신 장치의 제 1 선택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제 1 제어부는,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이, 제 1 선택부에 의해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보다 적어지도록,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의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저감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2) 제 1 제어부는,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수신 장치로의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대폭 저감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3) 송신 장치는, 정지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정지 화상 생성부와, 수신부로부터의 방송 신호 및 정지 화상 생성부로부터의 정지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 1 통신부로 출력하는 제 2 선택부를 더 구비하며, 제 1 제어부는,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제 2 선택부에 의해 정지 화상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통신부는, 제 2 선택부에 의해 출력된 정지 화상 신호를 수신 장치로 송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 정지 화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신호가 제 2 선택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수신 장치의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제 2 선택부에 의해 정지 화상 신호가 출력되고, 그 정지 화상 신호는, 제 1 통신부에 의해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즉, 수신 장치의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정지 화상 신호가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여기서, 정지 화상 신호의 양은 방송 신호의 양에 비해 적다. 따라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4) 송신 장치는, 무음 신호를 생성하는 무음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며, 제 1 제어부는,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제 2 선택부에 의해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통신부는, 제 2 선택부에 의해 출력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수신 장치로 송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신 장치의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제 2 선택부에 의해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가 출력되고, 그들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는, 제 1 통신부에 의해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즉, 수신 장치의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가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여기서, 정지 화상 신호의 양 및 무음 신호의 양은 방송 신호의 양에 비해 적다. 따라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5) 제 1 제어부는,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6) 수신부는, 방송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고, 제 2 통신부는, 부호화부에 의해 부호화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며, 수신 장치는,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복호화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제 2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방송 신호는 수신부의 부호화부에 있어서 부호화된 후에 제 1 통신부에 의해 송신 장치로 송신되고, 제 2 통신부의 복호화부에 있어서 복호화된다. 수신 장치의 제 1 선택부에 의해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복호화부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그에 따라,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7) 수신 장치는, 소정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될 신호의 전환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더 구비하고, 제 1 선택부는,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소정의 정보 신호를 소정 기간 출력한 후에 방송 신호를 출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보 신호 생성부에 의해 소정의 정보 신호가 생성된다.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 제 1 선택부로부터는, 방송 신호가 출력되기 전에 정보 신호가 소정 기간 출력된다.
이에 따라, 외부 신호와 방송 신호와의 전환시에, 제 1 선택부로부터 신호가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화상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는, 통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8) 소정 기간은, 지시부에 의해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되고 나서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기간이어도 좋다.
이 경우,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되고 나서 제 1 선택부에 의해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될 때까지, 제 1 선택부로부터 정보 신호가 출력된다. 그에 따라, 제 1 선택부로부터 신호가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화상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는, 통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9) 수신 장치는, 지시부에 의해 신호의 전환이 지시된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제 2 통신부는, 제어 신호를 송신 장치로 송신하며, 제 1 선택부는,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제 2 통신부에 의해 제어 신호가 송신 장치로 송신되고 나서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보 신호를 출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에 의해 그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그 제어 신호가 제 2 통신부에 의해 송신 장치로 송신된다. 제 1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 2 통신부에 의해 송신 장치로 송신되고 나서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될 때까지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외부 신호와 방송 신호와의 전환시에, 제 1 선택부로부터 신호가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화상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는 통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10) 수신 장치는, 지시부에 의해 신호의 전환이 지시된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제 2 통신부는, 제어 신호를 송신 장치로 송신하며, 제 1 통신부는,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 장치는, 제 1 통신부에 의한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며, 제 1 통신부는, 응답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를 수신 장치로 송신하고, 제 2 통신부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제 1 선택부는,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제 2 통신부에 의해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보 신호를 출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에 의해 그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그 제어 신호가 제 2 통신부에 의해 송신 장치로 송신된다. 제 2 통신부에 의해 송신된 제어 신호는, 송신 장치의 제 1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고, 그 수신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 생성부에 의해 응답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그 응답 신호는, 제 1 통신부에 의해 수신 장치로 송신되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 2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다. 제 1 선택부는, 상기 응답 신호가 제 2 통신부에 의해 송신 장치로 송신되고 나서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될 때까지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외부 신호와 방송 신호와의 전환시에, 제 1 선택부로부터 신호가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화상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는 통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 간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시청자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와의 통신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11) 정보 생성부는, 제 2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로부터 소정의 정보 신호를 추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용이하게 정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 장치로 정보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12) 정보 생성부는, 소정의 정보 신호를 미리 기억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보 생성부에 미리 정보 신호가 기억되기 때문에, 제 1 선택부로부터 확실하게 정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3) 소정의 정보 신호는, 정지 화상 신호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정지 화상 신호의 양은 적기 때문에,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신호를 방송 신호로 전환할 때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14) 수신 장치는, 소정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될 신호의 전환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더 구비하고, 제 1 제어부는,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제 1 선택부는,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소정의 정보 신호를 소정 기간 출력한 후에 방송 신호를 출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보 신호 생성부에 의해 소정의 정보 신호가 생성된다.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됨과 아울러, 수신 장치의 제 1 선택부에 있어서 방송 신호가 출력되기 전에 정보 신호가 소정 기간 출력된다.
이에 따라, 외부 신호와 방송 신호와의 전환시에, 제 1 선택부로부터 신호가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시부에 의해 외부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후에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보다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15) 제 1 통신부 및 제 2 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잇는 케이블 등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된다.
(16)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통신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 장치와 외부 장치가 접속 가능한 수신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송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부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 및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이,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보다 적어지도록,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이다.
이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가 수신됨과 아울러, 그 방송 신호가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가 수신된다. 또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부 신호가 취득된다. 방송 신호 및 외부 신호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이,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보다 적어지도록, 방송 신호의 송신이 제어된다.
이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송 신호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저감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17)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 장치로의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대폭 저감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18) 송신 장치에 있어서, 정지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정지하는 단계는, 정지 화상 신호를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정지 화상 신호가 송신된다. 여기서, 정지 화상 신호의 양은 방송 신호의 양에 비해 적다. 따라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19) 송신 장치에 있어서, 무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정지하는 단계는,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가 송신된다. 여기서, 정지 화상 신호의 양 및 무음 신호의 양은 방송 신호의 양에 비해 적다. 따라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통신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20)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부에 의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부에 의해 방송 신호가 수신된다.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21)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부호화부에 의해 방송 신호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부에 있어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호화부에 의해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 복호화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된 방송 신호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복호화된다.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복호화부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그에 따라,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a)는 제어 신호의 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응답 신호의 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디지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적합한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9는 디지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적합한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0은 디지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적합한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디지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적합한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실시예 1
(a)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은,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에 의해 구성된다.
송신 장치(100)는, 선국부(101), 복조부(102), 입력 전환부(103), MPEG 인코딩부(104), 송신 신호 처리부(105),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 수신 신호 처리부(107), 정지 화상 생성부(108), 무음 생성부(109), 제어부(110) 및 기억부(111)를 포함한다.
수신 장치(20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 수신 신호 처리부(202), MPEG 디코딩부(203), 입력 전환부(204), 영상 음성 출력부(205), 입력부(206), 제어부(207), 송신 신호 처리부(208), 기억부(209) 및 외부 신호 입력부(210)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100)의 선국부(101)는, 안테나(112)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날로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 중에서, 후술하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선국 신호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복조부(102)는, 선국부(101)에 의해 선택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영상 신 호(동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복조한다.
입력 전환부(103)는, 후술하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복조부(102)에 의해 복조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또는 후술하는 정지 화상 생성부(108)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신호 및 후술하는 무음 생성부(109)에 의해 생성된 무음 신호를 출력한다.
MPEG 인코딩부(104)는, 입력 전환부(103)의 출력 신호를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105)는, MPEG 인코딩부(104)에 의해 부호화된 신호 및 후술하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를 사전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1a)에 준거한 신호로 각각 변환함과 아울러 소정의 변조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는, 송신 신호 처리부(105)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수신 장치(2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로 송신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 신호로서 수신 신호 처리부(107)에 인가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107)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부터 인가된 수신 신호에 소정의 복조 처리 등을 실시하여 후술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
정지 화상 생성부(108)는, 후술하는 기억부(111)에 기억된 정지 화상 정보로부터 정지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또, 정지 화상 신호는 복조부(102)에 의해 복조된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하여도 좋다.
무음 생성부(109)는, 후술하는 기억부(111)에 기억된 무음 정보로부터 무음 신호를 생성한다. 또, 무음 신호는 복조부(102)에 의해 복조된 음성 신호로부터 생성하여도 좋다.
제어부(110)는, 수신 신호 처리부(107)에 의해 추출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응답 신호, 입력 전환 신호 및 선국 신호를 생성한다. 또, 응답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기억부(111)는, 송신 장치(100)의 내부 상태(각 구성부의 전원의 공급 상태 등), 수신 장치(200)에 관한 정보(기종 식별 코드, 각 구성부의 전원의 공급 상태 등), 정지 화상 정보 및 무음 정보 등을 기억한다.
수신 장치(2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는, 후술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208)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 장치(1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 송신함과 아울러,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 신호로서 수신 신호 처리부(202)에 인가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202)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로부터 인가된 수신 신호에 소정의 복조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거나 또는 부호화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분리하고, 또한 응답 신호를 추출한다.
MPEG 디코딩부(203)는, 수신 신호 처리부(202)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또는 부호화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신장 복호화한다.
입력 전환부(204)는, 후술하는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또는 후술하는 외부 신호 입력부(210)로부터 인가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이하, "외부 입력 신호"라고 칭함)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
영상 음성 출력부(205)는, 액정 모니터 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표시 장치 및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입력 전환부(204)로부터 인가된 영상 신호 또는 정지 화상 신호를 영상으로서 표시함과 아울러, 입력 전환부(204)로부터 인가된 음성 신호 또는 무음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입력부(206)는, 리모트 콘트롤 등의 입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환 정보 및 선국 정보를 제어부(207)에 인가한다. 또, 입력 전환 정보란, MPEG 디코딩부(203)의 출력 신호 및 외부 입력 신호 중 어느 쪽을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정보이며, 선국 정보란 안테나(112)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 중 어느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택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외부 신호 입력부(210)는, 비디오 데크 및 DVD 플레이어 등의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입력 전환부(204)에 인가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DVD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을 조작하여,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는 신호를 외부 입력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전환 정보를 제어부(207)에 인가한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텔레 비전 방송 신호의 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을 조작하여, 소망하는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정보를 제어부(207)에 인가한다.
제어부(207)는, 입력부(206)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환 정보 또는 선국 정보, 및 후술하는 기억부(209)에 기억된 송신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07)는, 상기 입력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 또, 제어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208)는,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사전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802.11a)에 준거한 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소정의 변조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기억부(209)는, 수신 장치(200)의 내부 상태(각 구성부의 전원의 공급 상태) 및 송신 장치(100)에 관한 정보(기종 식별 코드, 각 구성부의 전원의 공급 상태 등) 등을 기억한다.
(b) 제어 신호 및 응답 신호의 구성
여기서, 전술한 제어 신호 및 응답 신호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a)는 제어 신호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b)는 응답 신호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신호는 필드 F1∼F5를 갖는다.
필드 F1∼F5에는, 「종별」,「식별 번호」,「목적지(destination) 어드레스 」,「송신원 어드레스」 및 「제어 정보」가 각각 저장된다.
종별은, 신호의 종별(제어 신호)을 나타낸다. 식별 번호는, 각각의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번호이다. 목적지 어드레스는, 제어 신호의 송부처, 즉 송신 장치(100)의 어드레스 번호를 나타낸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에 어드레스 번호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송신원 어드레스는, 제어 신호의 송부원, 즉 수신 장치(200)의 어드레스 번호를 나타낸다. 제어 정보는, 입력 전환 정보 또는 선국 정보를 나타낸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응답 신호는 필드 F6∼F9를 갖는다.
필드 F6∼F9에는 「종별」,「식별 번호」,「목적지 어드레스」 및 「송신원 어드레스」가 각각 저장된다.
종별은, 신호의 종별(응답 신호)을 나타낸다. 식별 번호는, 각각의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번호이다. 응답 신호의 식별 번호로서는, 제어 신호의 식별 번호가 복사되어 이용된다. 목적지 어드레스는, 응답 신호의 송부처, 즉 수신 장치(200)의 어드레스 번호를 나타낸다. 응답 신호의 목적지 어드레스로서는, 제어 신호의 송신원 어드레스가 복사되어 이용된다. 송신원 어드레스는, 응답 신호의 송부원, 즉 송신 장치(100)의 어드레스 번호를 나타낸다. 응답 신호의 송신원 어드레스로서는, 제어 신호의 목적지 어드레스가 복사되어 이용된다.
(c) 입력 전환 처리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수신 장치(2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5 및 도 6은,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입력 전환 처리의 개시 시점에 있어서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1) 수신 장치의 동작
우선, 수신 장치(2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도 1 참조)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외부 입력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환 정보(이하, "외부 입력 전환 정보"라고 칭함)가, 입력부(206)로부터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207)는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2).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208)가,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 장치(1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 송신한다(단계 S3).
다음에, 제어부(207)는, 단계 S2에 있어서 생성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 신호 처리부(202)에 의해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 응답 신호가 추출되고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는 응답 신호가 추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응답 신호가 추출된 경우, 제어부(207)는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5).
다음에, 입력 전환부(204)는, 단계 S5에 있어서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외부 입력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단계 S6).
다음에, MPEG 디코딩부(203)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복호화한다(단계 S7).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1에 있어서,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국 정보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8). 선국 정보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207)는 선국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9).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208)가, 단계 S9에 있어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 장치(1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 송신한다(단계 S10). 이에 따라,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 선국이 지령된다.
그 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8(도 4 참조)에 있어서 선국 정보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c-2) 송신 장치의 동작
다음에,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10)(도 1 참조)는, 수신 신호 처리부(107)로부터,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1).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110)는 그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12).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105)가,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수신 장치(2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로 송신한다(단계 S13).
다음에, 제어부(110)가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하고, 그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부(103)가 정지 화상 생성부(108) 및 무음 생성부(109)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4).
다음에, 제어부(110)가, 단계 S14에 있어서 출력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를 MPEG 인코딩부(104), 송신 신호 처리부(105) 및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를 거쳐 수신 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S15).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1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11에 있어서,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국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6). 선국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110)는 선국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17).
다음에, 선국부(101)는, 단계 S17에 있어서 생성된 선국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단계 S18).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망하는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수신 장치(200)의 영상 음성 출력부(205)(도 1 참조)에 인가된다.
단계 S16(도 6 참조)에 있어서 선국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d)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외부 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 장치(200)로 송신된다. 이 경우,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간의 데이터 통신량이 대폭 저감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하여, 송신 장치(100)로부터 응답 신호가 송신되어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0)의 제어부(207)는,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간의 통신 상태를 확실히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상태를 표시 장치 등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의 통신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에 응답 신호가 인가된 후에, 단계 S5 및 단계 S6의 처리를 하고 있지만, 단계 S5 및 단계 S6의 처리를 한 후에, 단계 S4의 처리를 하여도 좋다.
또한, 단계 S4의 처리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즉, 단계 S4에 있어서 응답 신호가 추출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계 S5∼단계 S7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2) 실시예 2
(a)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도 1의 통신 시스템(1000)과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2000)은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400)에 의해 구성된다.
송신 장치(300)는, 선국부(101), 복조부(102), MPEG 인코딩부(104), 송신 신호 처리부(105),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 수신 신호 처리부(107), 제어부(110), 기억부(111) 및 전원 제어부(301)를 포함한다.
수신 장치(40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 수신 신호 처리부(202), MPEG 디코딩부(203), 입력 전환부(204), 영상 음성 출력부(205), 입력부(206), 제어부(207), 송신 신호 처리부(208), 기억부(209), 외부 신호 입력부(210) 및 전원 제어부(40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300)의 MPEG 인코딩부(104)는, 복조부(102)에 의해 복조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MPEG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한다.
제어부(110)는, 수신 신호 처리부(107)에 의해 추출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응답 신호, 전원 제어 신호 및 선국 신호를 생성한다.
전원 제어부(301)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선국부(101), 복조부(102) 및 MPEG 인코딩부(104)의 전원 제어를 한다.
수신 장치(400)의 제어부(207)는, 입력부(206)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환 정보 또는 선국 정보, 및 기억부(209)에 기억된 송신 장치(300)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07)는, 상기 입력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 신호 및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전원 제어부(401)는,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MPEG 디코딩부(203)의 전원 제어를 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a)에 도시한 제어 신호의 필드 F5에는, 제어 정보로서 선국 정보 또는 전원 제어 정보가 저장된다.
(b) 입력 전환 처리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20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수신 장치(4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9는 송신 장치(3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입력 전환 처리의 개시 시점에 있어서는, 텔 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MPEG 인코딩부(205)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b-1) 수신 장치의 동작
우선, 수신 장치(4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도 7 참조)는, 입력부(206)로부터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1).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207)는 전원 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22).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208)가,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 장치(3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 송신한다(단계 S23).
다음에, 제어부(207)는, 단계 S2에 있어서 생성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 신호 처리부(202)에 의해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4). 응답 신호가 추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는 응답 신호가 추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 응답 신호가 추출된 경우, 제어부(207)는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25).
다음에, 입력 전환부(204)는, 단계 S25에 있어서 생성된 입력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 입력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단계 S26).
다음에, 제어부(207)가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전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 제어부(401)가 MPEG 디코딩부(203)의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27).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2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21에 있어서,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단계 S8∼단계 S10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2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b-2) 송신 장치의 동작
다음에, 송신 장치(3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10)(도 7 참조)는, 수신 신호 처리부(107)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1). 전원 제어 신호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110)는 그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32).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105)가,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수신 장치(4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로 송신한다(단계 S33).
다음에, 제어부(110)가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전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 제어부(301)가 선국부(101), 복조부(102) 및 MPEG 인코딩부(104)의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34).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3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31에 있어서, 전원 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16∼단계 S18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3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c)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2000)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외부 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장치(300)의 선국부(101), 복조부(102) 및 MPEG 인코딩부(104)와, 수신 장치(400)의 MPEG 디코딩부(203)의 전원이 차단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400)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300)와 수신 장치(40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400)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하여, 송신 장치(300)로부터 응답 신호가 송신되어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400)의 제어부(207)는, 송신 장치(300)와 수신 장치(400) 간의 통신 상태를 확실히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상태를 표시 장치 등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송신 장치(300)와 수신 장치(400)의 통신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4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에 응 답 신호가 인가된 후에, 단계 S25 및 단계 S26의 처리를 하고 있지만, 단계 S25 및 단계 S26의 처리를 한 후에, 단계 S24의 처리를 하여도 좋다.
또한, 단계 S24의 처리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즉, 단계 S24에 있어서 응답 신호가 추출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계 S25∼단계 S27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3) 실시예 3
(a)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도 1의 통신 시스템(1000)과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3000)은,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500)에 의해 구성된다.
수신 장치(50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 수신 신호 처리부(202), MPEG 디코딩부(203), 입력 전환부(204), 영상 음성 출력부(205), 입력부(206), 제어부(207), 송신 신호 처리부(208), 기억부(209), 외부 신호 입력부(210) 및 정지 화상 추출부(50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장치(500)의 제어부(207)는, 입력부(206)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환 정보 또는 선국 정보, 및 기억부(209)에 기억된 송신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07)는, 상 기 입력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 신호, 정지 화상 추출 신호 및 정지 화상 송출 신호를 생성한다.
정지 화상 추출부(501)는,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추출 신호에 근거하여, MPEG 디코딩부(203)로부터 정지 화상 신호를 추출하고, 그 정지 화상 신호를 기억한다. 또한, 정지 화상 추출부(501)는,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송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된 정지 화상 신호를 입력 전환부(204)에 인가한다.
입력 전환부(204)는,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외부 신호 입력부(210)로부터 인가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외부 입력 신호), 또는 정지 화상 추출부(501)로부터 인가된 정지 화상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
(b) 입력 전환 처리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30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3은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b-1) 수신 장치의 동작
우선,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는, 우선, 도 3에서 설명한 단계 S1∼단계 S7과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어서, 제어부(207)가 정지 화상 추출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정지 화상 추출 신호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추출부(501)가 MPEG 디코딩부(203)로부터 정지 화상 신호를 추출하여, 그 정지 화상 신호를 기억한다(단계 S41).
다음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MPEG 디코딩부(203)의 출력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환 정보(이하, "방송 입력 전환 정보"라고 칭함)가, 입력부(206)로부터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2).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207)는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43).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208)가,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 장치(1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 송신한다(단계 S44).
다음에, 제어부(207)는, 단계 S43에 있어서 생성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 신호 처리부(202)에 의해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5). 응답 신호가 추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는 응답 신호가 추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45에 있어서, 응답 신호가 추출된 경우, 제어부(207)는, MPEG 디코딩부(203)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복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6).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복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 는 정지 화상 송출 신호 및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47). 또, 단계 S47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정지 화상 추출부(501)의 정지 화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환 신호가 생성된다.
다음에, 단계 S47에 있어서 생성된 정지 화상 송출 신호 및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추출부(501)가 정지 화상 신호를 입력 전환부(204)에 인가함과 아울러 입력 전환부(204)가 그 정지 화상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단계 S48). 그 후, 단계 S46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46에 있어서, MPEG 디코딩부(203)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복호화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7)는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49). 또, 단계 S49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환 신호가 생성된다.
다음에, 단계 S49에 있어서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부(204)가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단계 S50).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도 11의 단계 S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11의 단계 S1에 있어서,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단계 S8∼단계 S10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후,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도 11의 단계 S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b-2) 송신 장치의 동작
다음에,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는, 우선, 도 5에서 설명한 단계 S11∼단계 S15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제어부(110)는, 수신 신호 처리부(107)로부터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61).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110)는 그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62).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105)가, 단계 S62에 있어서 생성된 응답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수신 장치(2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로 송신한다(단계 S63).
다음에, 제어부(110)는,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하고, 그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부(103)가 복조부(102)에 의해 복조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64).
다음에, 제어부(110)가, 단계 S64에 있어서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MPEG 인코딩부(104), 송신 신호 처리부(105) 및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를 거쳐 수신 장치(500)로 송신한다(단계 S65).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도 13의 단계 S1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11에 있어서, 외부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16∼단계 S18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후,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1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c)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3000)에 있어서는, 도 1의 통신 시스템(1000)과 마찬가지로,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외부 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 장치(500)로 송신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500) 간의 데이터 통신량이 대폭 저감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500)에 정지 화상 추출부(50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 신호를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전환할 때에는,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 입력 전환부(103)의 출력 신호가,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전환된다. 이 때, 영상 신호는 정지 화상 신호에 비해 데이터량이 많아, 데이터 압축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입력 전환부(103)의 출력 신호가 영상 신호로 전환된 후, 그 영상 신호가 수신 장치(500)의 입력 전환부(204)에 인가될 때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수신 장치(500)의 입력 전환부(204)에 있어서,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 신호가 MPEG 디코딩부(203)의 출력 신호로 직접 전환되면,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영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게 된 다. 이 경우,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화상이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는 통신 시스템(3000)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어떤지 일순간 불안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 신호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전환될 때에, MPEG 디코딩부(203)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영상 신호가 복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정지 화상 추출부(501)의 정지 화상 신호가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된다. 그에 따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정지 화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화상이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는 통신 시스템(3000)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에 응답 신호가 인가된 후에, 단계 S46∼단계 S50의 처리를 하고 있지만, 단계 S45의 처리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즉, 단계 S45에 있어서 제어부(207)에 응답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계 S46∼단계 S50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4) 실시예 4
(a)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도 7의 통신 시스템(2000)과 다른 것은 이 하의 점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0)은,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600)에 의해 구성된다.
수신 장치(60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 수신 신호 처리부(202), MPEG 디코딩부(203), 입력 전환부(204), 영상 음성 출력부(205), 입력부(206), 제어부(207), 송신 신호 처리부(208), 기억부(209), 외부 신호 입력부(210), 전원 제어부(401) 및 정보 기억부(60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장치(600)의 제어부(207)는, 입력부(206)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환 정보 또는 선국 정보, 및 기억부(209)에 기억된 송신 장치(300)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07)는, 상기 입력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 신호 및 정보 송출 신호를 생성한다.
정보 기억부(601)는,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고,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정보 송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억된 소정의 정보를 정보 신호로서 입력 전환부(204)에 인가한다. 정보 기억부(601)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가족 사진을 기억시켜도 좋고,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프로그램 정보 등을 기억시켜도 좋으며, 입력 전환 처리 중인 것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정보를 기억시켜도 좋다.
입력 전환부(204)는,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외부 신호 입력부(210)로부터 인가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외부 입력 신호), 또는 정보 기억부(601)로부터 인가된 정보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
(b) 입력 전환 처리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수신 장치(6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7은 송신 장치(3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b-1) 수신 장치의 동작
우선, 수신 장치(6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600)에 있어서는, 우선, 도 8에서 설명한 단계 S21∼단계 S27과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는, 입력부(206)로부터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71).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207)는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72).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208)가, 제어부(207)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 장치(3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로 송신한다(단계 S73).
다음에, 제어부(207)는, 단계 S72에 있어서 생성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 신호 처리부(202)에 의해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74). 응답 신호가 추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는 응답 신호가 추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74에 있어서 응답 신호가 추출된 경우, 제어부(207)는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전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 제어부(401)가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단계 S75).
다음에, 제어부(207)는,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 공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76). 전원 공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7)는 정보 송출 신호 및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77). 또, 단계 S77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정보 기억부(601)의 정보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환 신호가 생성된다.
다음에, 단계 S77에 있어서 생성된 정보 송출 신호 및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정보 기억부(601)가 정보 신호를 입력 전환부(204)에 인가함과 아울러 입력 전환부(204)가 그 정보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단계 S78). 그 후, 단계 S76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76에 있어서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 공급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7)는, MPEG 디코딩부(203)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복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79).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복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77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79에 있어서, MPEG 디코딩부(203)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복호화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7)는 입력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80). 또, 단계 S80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입력 전환 신호가 생성된다.
다음에, 단계 S80에 있어서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부(204)가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한다(단계 S81).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도 15의 단계 S2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15의 단계 S21에 있어서, 외부 입력 정보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단계 S8∼단계 S10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후,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도 15의 단계 S2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b-2) 송신 장치의 동작
다음에, 송신 장치(300)에 있어서의 입력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장치(300)에 있어서는, 우선, 도 9에서 설명한 단계 S31∼단계 S34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제어부(110)는, 수신 신호 처리부(107)로부터,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91). 방송 입력 전환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어부(110)는 그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92).
다음에, 송신 신호 처리부(105)가, 단계 S92에 있어서 생성된 응답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가,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수신 장치(200)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로 송신한다(단계 S93).
다음에, 제어부(110)는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전원 제어 신호에 근 거하여 전원 제어부(301)가 선국부(101), 복조부(102) 및 MPEG 인코딩부(104)로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94). 그 후,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3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31에 있어서, 전원 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16∼단계 S18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후,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처리를 경유하여 단계 S3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c)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0)에 있어서는, 도 7의 통신 시스템(2000)과 마찬가지로,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외부 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장치(300)의 선국부(101), 복조부(102) 및 MPEG 인코딩부(104), 및 수신 장치(600)의 MPEG 디코딩부(203)의 전원이 차단된다. 그에 따라,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600)의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300)와 수신 장치(60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400)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600)에 정보 기억부(60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 신호를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전환할 때에는,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의 공급이 재개된다. 이 때,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 공급이 완료 될 때까지는 소정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600)의 입력 전환부(204)에 있어서,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 신호가 MPEG 디코딩부(203)의 출력 신호로 직접 전환되면,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MPEG 디코딩부(203)가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에 따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화상이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는 통신 시스템(4000)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어떤지 일순간 불안하게 된다. 그에 따라, 시청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 신호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전환될 때에,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 공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기억부(601)의 정보 신호가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된다. 그에 따라,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는 통신 시스템(4000)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MPEG 디코딩부(203)로의 전원 공급이 완료된 후에, MPEG 디코딩부(203)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복호화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기억부(601)의 정보 신호가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인가된다. 예컨대, 송신 장치(300)의 선국부(101), 복조부(102) 또는 MPEG 인코딩부(104)로의 전원 공급이 완료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가 수신 장치(600)에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7)에 응답 신호가 인가된 후에, 단계 S75∼단계 S81의 처리를 하고 있지만, 단계 S74의 처리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즉, 단계 S74에 있어서 제어부(207)에 응답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계 S75∼단계 S81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5) 외부 입력 전환 정보 및 방송 입력 전환 정보의 입력 방법
상기 실시예 1∼실시예 4에 있어서, 입력부(206)로부터의 외부 입력 전환 정보 및 방송 입력 전환 정보의 입력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리모트 콘트롤에 외부 입력 버튼 및 송신 장치 입력 버튼을 마련하고, 이들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외부 입력 정보 또는 방송 입력 전환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리모트 콘트롤에 1개의 입력 전환 버튼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입력 전환 버튼을 눌렀을 때의 수신 장치(200, 400, 500, 600)의 내부 상태에 근거하여 제어부(207)가 외부 입력 전환 정보 및 방송 입력 전환 정보 중 어느 쪽인가를 선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전환 버튼을 눌렀을 때에,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외부 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07)는 방송 입력 전환 정보를 선택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 전환 버튼을 눌렀을 때에, 영상 음성 출력부(205)에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인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07)는 외부 입력 전환 정보를 선택한다.
(6) 외부 기기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입력 방법의 다른 예
상기 실시예 1∼실시예 4에 있어서, 예컨대, 입력 전환부(103) 또는 MPEG 인코딩부(104)에 외부 기기를 더 접속하고, 그 외부 기기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입력 전환부(103) 또는 MPEG 인코딩부(104)를 거쳐 입력하여도 좋다.
(7) 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가 표시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영상 음성 출력부(205)의 구성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수신 장치(200, 400, 500, 600)가 비디오 테이프, DVD 또는 HD(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녹화 재생 장치인 경우에는, 영상 음성 출력부(205)는 영상 신호 출력 단자 및 영상 신호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이 경우, 표시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는 영상 신호 출력 단자 및 음성 신호 출력 단자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8) 정지 화상 추출부 및 정보 기억부에 대하여
도 10에서 설명한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 정지 화상 추출부(501)는,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정지 화상 신호가 복호화된 후에 그 정지 화상 신호를 추출 하여 기억하고 있지만, MPEG 디코딩부(203)에 의해 복호화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로부터 정지 화상 신호를 추출하여도 좋다.
또한,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는, 정지 화상 추출부(501) 대신에 도 14의 정보 기억부(601)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도 14의 수신 장치(600)에 있어서는, 정보 기억부(601) 대신에 도 10의 정지 화상 추출부(501)를 마련하여도 좋다.
(9)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날로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 디지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도 21은, 디지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적합한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실시예 1∼실시예 4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디지털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적용하는 경우, 도 1 및 도 10의 통신 시스템(1000, 3000)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100) 대신에 도 18 및 도 19에서 설명하는 송신 장치(700) 또는 송신 장치(700A)를 이용하면 되고, 도 7 및 도 14의 통신 시스템(2000, 4000)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300) 대신에 도 20 및 도 21에서 설명하는 송신 장치(800) 또는 송신 장치(800A)를 이용하면 된다.
이하, 도 18∼도 21의 각 송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700)가, 도 1 및 도 10의 송신 장치(100)와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장치(700)는, 선국부(701), 복조부(702), 오류 정정부(703), 분리부(704), MPEG 디코딩부(705), 입력 전환부(103), MPEG 인코딩부(104), 송신 신호 처리부(105),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 수신 신호 처리부(107), 정지 화상 생성부(108), 무음 생성부(109), 제어부(110) 및 기억부(111)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700)의 선국부(701)는, 안테나(706)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 중에서,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선국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복조부(702)는, 선국부(701)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생성한다.
오류 정정부(703)는, 복조부(702)에 의해 생성된 전송 스트림의 오류 정정을 한다.
분리부(704)는, 오류 정정부(703)에 의해 오류 정정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디지털 영상 신호 및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한다.
MPEG 디코딩부(705)는, 분리부(704)에 의해 분리된 디지털 영상 신호 및 디지털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 전환부(103)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MPEG 디코딩부(705)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정지 화상 생성부(108)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생성부(109)에 의해 생성된 무음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 장치(700)를 도 1 및 도 10의 송신 장치(100) 대신에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적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도 1 및 도 10의 통신 시스템(1000, 300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9의 송신 장치(700A)가, 도 18의 송신 장치(700)와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장치(700A)는, 복조부(702), 오류 정정부(703), 분리부(704) 및 MPEG 디코딩부(705)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선국부(701)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송신 신호 처리부(105)에 인가된다.
입력 전환부(103)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생성부(108)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신호 및 무음 생성부(109)에 의해 생성된 무음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송신 신호 처리부(105)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MPEG 인코딩부(104)에 의해 압축된 신호 또는 선국부(701)로부터 인가된 디지털 텔레비전을 선택하고, 선택한 신호 및 방송 신호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를 사전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802.11a)에 준거한 신호로 각각 변환함과 아울러 소정의 변조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 장치(700A)를 도 1 및 도 10의 송신 장치(100) 대신에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적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 서도, 도 1 및 도 10의 통신 시스템(1000, 300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800)가 도 7 및 도 14의 송신 장치(300)와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장치(800)는, 선국부(701), 복조부(702), 오류 정정부(703), 분리부(704), MPEG 디코딩부(705), MPEG 인코딩부(104), 송신 신호 처리부(105),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 수신 신호 처리부(107), 제어부(110), 기억부(111) 및 전원 제어부(301)를 포함한다.
선국부(701), 복조부(702), 오류 정정부(703), 분리부(704) 및 MPEG 디코딩부(705)는, 도 18에서 설명한 역할을 담당한다.
MPEG 인코딩부(104)는, MPEG 디코딩부(705)에 의해 생성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MPEG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한다.
전원 제어부(301)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선국부(701), 복조부(702), 오류 정정부(703), 분리부(704), MPEG 디코딩부(705) 및 MPEG 인코딩부(104)의 전원 제어를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 장치(800)를 도 7 및 도 14의 송신 장치(300) 대신에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적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도 7 및 도 14의 통신 시스템(2000, 400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800A)가 도 20의 송신 장치(800)와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장치(800)는, 복조부(702), 오류 정정 부(703), 분리부(704), MPEG 디코딩부(705) 및 MPEG 인코딩부(104)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선국부(701)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송신 신호 처리부(105)에 인가된다.
송신 신호 처리부(105)는, 선국부(701)로부터 인가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 및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를 사전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802.11a)에 준거한 신호로 각각 변환함과 아울러 소정의 변조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전원 제어부(301)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선국부(701)의 전원 제어를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 장치(800A)를 도 7 및 도 14의 송신 장치(300) 대신에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적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도 7 및 도 14의 통신 시스템(2000, 400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9)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와의 대응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국부(101), 복조부(102) 및 MPEG 인코딩부(104)가 수신부에 상당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106)가 제 1 통신부에 상당하며, 제어부(110) 또는 전원 제어부(301)가 제 1 제어부에 상당하고, 무선 신호 송수신부(201)가 제 2 통신부에 상당하며, 외부 신호 입력부(210)가 취득부에 상당하고, 입력 전환부(204) 및 제어부(207)가 제 1 선택부에 상당한다.
또한, 입력 전환부(103) 및 제어부(110)가 제 2 선택부에 상당하고, MPEG 인 코딩부(104)가 부호화부에 상당하며, MPEG 디코딩부(203)가 복호화부에 상당하고, 제어부(207) 및 전원 제어부(401)가 제 2 제어부에 상당하며, 정지 화상 추출부(501) 또는 정보 기억부(601)가 정보 생성부에 상당하고, 입력부(206)가 지시부에 상당하며, 제어부(207)가 제어 신호 생성부에 상당하고, 제어부(110)가 응답 신호 생성부에 상당한다.
또한, 선국부(701), 복조부(702), 오류 정정부(703), 분리부(704), MPEG 디코딩부(705), 입력 전환부(103) 및 MPEG 인코딩부(104)가 수신부에 상당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 등의 방송 시스템, 수신 장치 및 방송 방법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방송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외부 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수신 장치로의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부 신호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제 2 통신부로부터의 방송 신호 및 상기 취득부로부터의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해 출력될 신호의 전환이 지시된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한 상기 외부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의 상기 방송 신호의 양이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한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시에 있어서의 상기 방송 신호의 양보다 적어지도록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상기 수신 장치로의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정지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정지 화상 생성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의 상기 방송 신호 및 상기 정지 화상 생성부로부터의 상기 정지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통신부로 출력하는 제 2 선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정지 화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2 선택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정지 화상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무음 신호를 생성하는 무음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정지 화상 신호 및 상기 무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2 선택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정지 화상 신호 및 상기 무음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상기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방송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부호화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제 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상기 복호화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제 2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소정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될 신호의 전환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지시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소정의 정보 신호를 소정 기간 출력한 후에 상기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상기 지시부에 의해 상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되고 나서 상기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기간인 통신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지시부에 의해 신호의 전환이 지시된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지시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되고 나서 상기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지시부에 의해 신호의 전환이 지시된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제 1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응답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지시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상기 방송 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 2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 신호를 추출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소정의 정보 신호를 미리 기억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 신호는 정지 화상 신호인 통신 시스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소정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 출력될 신호의 전환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며,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지시부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소정의 정보 신호를 소정 기간 출력한 후에 상기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
  16.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 장치와 외부 장치가 접속 가능한 수신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부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및 상기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의 양이,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의 양보다 적어지도록,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제 어하는 단계
    를 구비한 통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장치로의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정지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정지 화상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무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정지 화상 신호 및 상기 무음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부에 의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부호화부에 의해 상기 방송 신호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호화부에 의해 상기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복호화부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통신 방법.
KR1020067026895A 2004-05-21 2005-05-19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084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895A KR100847178B1 (ko) 2004-05-21 2005-05-19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1544 2004-05-21
JPJP-P-2004-00151545 2004-05-21
KR1020067026895A KR100847178B1 (ko) 2004-05-21 2005-05-19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771A KR20070019771A (ko) 2007-02-15
KR100847178B1 true KR100847178B1 (ko) 2008-07-17

Family

ID=4164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895A KR100847178B1 (ko) 2004-05-21 2005-05-19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0169A (ja) * 1999-03-09 2000-09-22 Sharp Corp 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2111615A (ja) * 2000-10-03 2002-04-12 Sharp Corp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0169A (ja) * 1999-03-09 2000-09-22 Sharp Corp 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2111615A (ja) * 2000-10-03 2002-04-12 Sharp Corp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771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3604A1 (en) Record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Recording System
JP2005012652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システム
JP437791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317528B1 (ko) 복수의 모듈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828370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847178B1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4232452B2 (ja) 映像音声信号処理装置
US20050135786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003163854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535428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22771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877539B2 (ja) 放送受信装置
US20110298990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JP200217145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40247287A1 (en) Video signal output device and video signal output method
JP2007068042A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5348016A (ja) 放送受信移動端末
JP4762340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3888380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
JP200900523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
JP201111983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携帯端末装置
JP2008252832A (ja) 受信装置、データストリーム出力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装置の制御方法、データストリーム出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27229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412321B2 (ja) テレビ番組送信/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325011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