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950B1 -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 Google Patents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950B1
KR100846950B1 KR1020070058956A KR20070058956A KR100846950B1 KR 100846950 B1 KR100846950 B1 KR 100846950B1 KR 1020070058956 A KR1020070058956 A KR 1020070058956A KR 20070058956 A KR20070058956 A KR 20070058956A KR 100846950 B1 KR100846950 B1 KR 10084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duct
binding
duct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현태
Original Assignee
두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현태 filed Critical 두현태
Priority to KR102007005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부재를 권취하여 원통형의 에어덕트를 형성할 때 선행 덕트부재와 후행 덕트부재간의 중첩부위를 금속성 결착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에어덕트에서 금속성 결착구가 녹이 슬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성 결착구를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를 사용하여 피복하도록 하는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물, 부직포,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로 이루어진 덕트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후행 덕트부재의 가장자리가 선행 덕트부재 가장자리 위로 중첩됨과 아울러 상기 선행 덕트부재와 후행 덕트부재를 내측면에 심부재를 설치하고 외측면에서 금속재 결착구로 심부재를 밀착고정하여 원통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의 외표면에는 결착구 커버가 피복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에어덕트, 결착구, 보호커버, 녹

Description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Forming structure of flexible air duct using connector}
도 1은 종래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의 일부절결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의 일부 절결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a -- 선행 덕트부재, 20b -- 후행 덕트부재,
20 -- 덕트부재, 23 -- 심부재,
24 -- 결착구, 24a -- 결착홈
24b -- 입구 26 -- 결착구 커버
30 -- 에어덕트.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 혹은 지하 주차장과 같은 밀폐된 장소에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에어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띠형상의 부직포 또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이하 '덕트부재'라 함)를 가장자리가 중첩되게 나선형으로 연이어 권취하여 원통형의 에어덕트를 형성할 때 선행 덕트부재와 후행 덕트부재간의 중첩부위를 금속성 결착구를 이용하여 고정함에 있어서 금속성 결착구가 녹이 슬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성 결착구를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를 사용하여 피복하도록 하는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조기의 급,배기 통로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한 덕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단열을 요하는 곳에서는 내피 덕트와 외피 덕트를 각각 형성하면서 내피 덕트와 외피 덕트 사이에 유리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넣은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를 덕트부재로 사용하여 권취한 에어덕트는 외부 압력에 대한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그의 원통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를 중첩되게 권취하면서 중첩되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사이에 강선을 코일 형태로 삽입하면서 권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화이버 글래스 직물과 합성수지필름이 부착된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진 테이프를 일부 중첩시키면서 나선형 형태로 권취함과 아울러 중첩되는 부분에 는 원통형 형상의 유지를 위해 강선을 매입한 형태로 특수 열처리하여 접착한 에어덕트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에어덕트를 제작할 때에는 덕트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덕트부재와 덕트부재가 중첩되는 부분에 코일강선을 함께 매입하여 권취함으로써 원통형의 에어덕트를 제작하게 되는데, 완성된 에어덕트는 압축되면 코일강선에 의해 팽창력이 작용되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팽창력을 가지고 있고, 굴곡력과 신축력을 가지고 있어 시공이 편리하고, 소재가 가벼운 등의 장점이 있어 최근들어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의 에어덕트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취시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와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간의 중첩부위를 열융착시키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별도의 열융착수단을 구비한다거나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접착 전용의 특수접착제를 사용하여야 되었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되어 실용신안등록 제20-0227606호로 등록된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에어덕트(10)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선,후행 덕트부재의 결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10)를 형성하는 덕트부재(20)로써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혹은 합성수지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는데, 덕트부재(20)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에어덕트(10)를 형성할 때 테이프간의 중첩부위를 직접 접착시키지 않고 에어덕트(10)의 형상유지용으로 사용되는 코일강선(22)이 끼워질 수 있는 별도의 결착구(24)를 구비하여 코일강선(22)과 결착구(24)간의 끼움결합, 즉 결착구(24)의 입구(24b)를 통해 코일강선(22) 및 선,후행 덕트부재(20a)(20b)를 결착홈(24a)에 인입시켜 선, 후행 덕트부재(20a)(20b)간의 중첩부위를 결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착구조에서 사용되는 결착구(24)는 강한 결착력을 얻기 위하여 주로 금속성 재질의 결착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에어덕트(10)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길이가 긴 관계로 현장에서 시공시나 운반시 작업자가 에어덕트(10)를 끌고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결착구(24)는 에어덕트(10)에서 최외곽에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바닥과 접촉하여 긁힘이 발생하게 된다. 긁힘이 있는 부위는 공기와의 접촉시 쉽게 녹이 슬 뿐만 아니라 습기 등과의 접촉시 녹이 스는 진행속도는 더더욱 빨라져 결착력을 완화시키고, 나아가 미관을 해치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천정에는 각종 전선들이 복잡하게 배선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금속성 결착구를 사용한 에어덕트를 천정의 환기통로에 설치한 상태에서 피복이 벗겨진 전선과 접촉되는 경우 금속성 결착구가 도체역할을 하여, 누전, 감전 등의 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띠형상의 덕트부재를 가장자리가 중첩되게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선행 덕트부재와 후행 덕트부재간의 중 첩부위를 형상유지용 강선과 금속성 결착구를 이용하여 고정함에 있어서 금속성 결착구를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와 같은 비전도성 재질의 결착구 커버로 피복함으로써, 에어덕트를 끌고 다녀도 내측의 금속성 결착구가 손상되지 않아 녹이 슬지 않게 되고, 결착구 커버는 덕트소재의 색상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주위환경에 따른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는, 직물, 부직포,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로 이루어진 덕트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후행 덕트부재의 가장자리가 선행 덕트부재 가장자리 위로 중첩됨과 아울러 상기 선행 덕트부재와 후행 덕트부재를 내측면에 심부재를 설치하고 외측면에서 금속재 결착구로 심부재를 밀착고정하여 원통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의 외표면에는 결착구 커버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 커버는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 재질의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기 결착구의 외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구에 밀착된 상태로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 커버는 상기 결착구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의 일부 절결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와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30)는 선행 덕트부재(20a)의 가장자리 위로 후행 덕트부재(20b)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면서 반복적으로 권취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덕트부재(20)를 원통형으로 권취할 때 선행 덕트부재(20a)와 후행 덕트부재(20b)가 중첩되는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선행 덕트부재(20a) 가장자리의 저면에 심부재(23)를 위치시키고 그와 중첩되는 후행 덕트부재(20b) 가장자리의 상면에 결착구(24)를 배치하여 심부재(23)를 상기 선후행 덕트부재(20a)(20b)와 함께 상기 결착구(24)를 이용하여 밀착되게 조여 선후행 덕트부재(20a)(20b)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사용되는 심부재(23)는 강선, 합성수지, 화학사, 유리섬유 등 각종 재질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착구(24)는 심부재(23)와의 사이에 선,후행 덕트부재(20a)(20b)를 끼워 고정하는 구조로써, 결착구(24)에는 입구(24b)가 개방된 결착홈(24a)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4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선,후행 덕트부재(20a)(20b)가 끼워진 상태에서 거의 원형 또는 타원형을 유지하는 상태로 입구(24b)가 조여져 선,후행 덕트부재(20a)(20b)를 고정하게 된다.
특히 결착구(24)는 심부재(23)를 매개로 선,후행 덕트부재(20a)(20b)를 결착시킬 때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덕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력을 받더라도 선후행 덕트부재(20a)(20b)의 결착상태가 해지되지 않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결착구(24)의 외측으로는 결착구(24)의 외표면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결착구 커버(26)가 설치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결착구 커버(26)는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 재질의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기 결착구(24)의 외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릴에 권취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구 커버(26)를 결착구(24)의 외표면에 설치할 때는 결착구(24)를 이용하여 에어덕트(30)를 형성한 다음에, 릴로부터 결착구 커버(26)를 인출하면서 결착구(24)를 따라 결착구 커버(26)를 나선형으로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결착구 커버(26)를 결착구(24)에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로는 결착구(24)에 먼저 결착구 커버(26)를 코팅한 다음에, 결착구 커버(26)가 코팅된 결착구(24)를 에어덕트(30)에 결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착구(24)에 결착구 커버(26)를 설치하는 구조는 위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착구(24)에 결착구 커버(26)가 덧씌워져 결착구(24)의 외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구조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결착구(24) 자체를 합성수지와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착구 커버(26)는 에어덕트(30)의 시공시 작업자가 에어덕트(30)를 끌고다닐때 결착구(24)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에어덕트(30)가 눈에 잘 띠는 곳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미관을 고려해야되는 경우나, 전선과 접촉가능성이 있는 곳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결착구 커버(26)는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 등과 같은 비전도성이면서 색상표현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착구 커버(26)의 색상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착구 커버(26)와 덕트부재(20)를 동일한 색상으로 한다거나 혹은 미감상 대조되는 색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에어덕트(30)가 설치되는 곳과 조화가 잘되는 색상의 에어덕트(3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또는 합성수지 테이프와 같은 덕트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원통형의 에어덕트를 형성하면서 선행 덕트부재와 후행 덕트부재를 금속성 결착구로 결착시킨 에어덕트에서 금속성 결착구의 외표면을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로 이루어진 결착구 커버로 덧씌우거나 코팅처리 함으로써, 시공시 작업자가 에어덕트를 끌거나 혹은 배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에어덕트를 자주 끌고 다니는 곳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결착구 커버만 일부 손상될 뿐 결착구는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결착구의 긁힘에 녹슬음이 방지되고, 결착구의 표 면색을 덕트소재와 동일하거나 미감을 고려한 색상으로 선택할 수 있어 에어덕트가 노출되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 심미감을 줄 수 있으며, 결착구의 외표면이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어 천정 등에서 피복이 벗겨진 전선과 접촉되더라도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없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화학물을 다루는 장소에서 염산 등의 화학약품이 튀어 묻더라도 결착구 커버에 의해 결착구가 보호되므로 결착구가 부식되는 일이 없으며, 진공청소기의 사용에 의해 마찰이 발생되더라도 금속성 결착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결착구 커버가 닫게 되어 결착구의 긁힘에 녹슬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직물, 부직포,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로 이루어진 덕트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면서 후행 덕트부재의 가장자리가 선행 덕트부재 가장자리 위로 중첩됨과 아울러 상기 선행 덕트부재와 후행 덕트부재를 내측면에 심부재를 설치하고 외측면에서 금속재 결착구로 심부재를 밀착고정하여 원통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의 외표면에는 결착구 커버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 커버는 합성수지 또는 압축종이 재질의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기 결착구의 외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구에 밀착된 상태로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 커버는 상기 결착구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KR1020070058956A 2007-06-15 2007-06-15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KR10084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956A KR100846950B1 (ko) 2007-06-15 2007-06-15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956A KR100846950B1 (ko) 2007-06-15 2007-06-15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950B1 true KR100846950B1 (ko) 2008-07-17

Family

ID=3982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956A KR100846950B1 (ko) 2007-06-15 2007-06-15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95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6B1 (ko) * 2010-01-05 2010-06-29 두현태 파일직물을 이용한 에어덕트
KR101280229B1 (ko) 2011-04-27 2013-07-05 강덕례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제조장치
KR101990481B1 (ko) 2018-02-23 2019-06-18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플렉시블 이중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01788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개스킷, 그를 이용한 밀폐장치 및 방법
KR102035240B1 (ko) 2018-06-29 2019-11-15 (주)삼일강업 다이아몬드비딩이 구비된 덕트
KR102418718B1 (ko) * 2022-01-12 2022-07-07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어셈블리
KR20220117641A (ko) * 2021-02-17 2022-08-24 한국자동차연구원 부직포 시트를 이용한 주름관 덕트 및 그 성형 방법
KR20220131786A (ko) * 2021-03-22 2022-09-29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440A (en) 1980-10-14 1990-10-23 Andre James R Ribbed pipe
KR920000192Y1 (ko) * 1990-03-29 1992-01-15 김종영 공기덕트
JP2002005347A (ja) 2000-06-16 2002-01-09 Totaku Kogyo Kk 可撓性ホース
KR100517030B1 (ko) 2003-03-21 2005-09-27 김재상 후렉시블 닥트 호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440A (en) 1980-10-14 1990-10-23 Andre James R Ribbed pipe
KR920000192Y1 (ko) * 1990-03-29 1992-01-15 김종영 공기덕트
JP2002005347A (ja) 2000-06-16 2002-01-09 Totaku Kogyo Kk 可撓性ホース
KR100517030B1 (ko) 2003-03-21 2005-09-27 김재상 후렉시블 닥트 호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6B1 (ko) * 2010-01-05 2010-06-29 두현태 파일직물을 이용한 에어덕트
KR101280229B1 (ko) 2011-04-27 2013-07-05 강덕례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제조장치
KR101990481B1 (ko) 2018-02-23 2019-06-18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플렉시블 이중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01788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개스킷, 그를 이용한 밀폐장치 및 방법
KR102035240B1 (ko) 2018-06-29 2019-11-15 (주)삼일강업 다이아몬드비딩이 구비된 덕트
KR20220117641A (ko) * 2021-02-17 2022-08-24 한국자동차연구원 부직포 시트를 이용한 주름관 덕트 및 그 성형 방법
KR102457919B1 (ko) * 2021-02-17 2022-10-25 한국자동차연구원 부직포 시트를 이용한 주름관 덕트 및 그 성형 방법
KR20220131786A (ko) * 2021-03-22 2022-09-29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KR102533964B1 (ko) * 2021-03-22 2023-05-17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KR102418718B1 (ko) * 2022-01-12 2022-07-07 김진옥 플렉서블 덕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950B1 (ko)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US8178197B2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three surfaces for sealing distribution ducts
US20100300541A1 (en) HVAC branch line,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US8486525B2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two surfaces for sealing distribution ducts
EP3374682B1 (en) Pipe insulation assembly
KR101512589B1 (ko)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US8173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four surfaces for sealing distribution ducts
KR100955533B1 (ko) 공조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JP2010085059A (ja) 空調用ダクトの保温装置及び保温方法
KR200227606Y1 (ko)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JP3396624B2 (ja) 配管の保温装置
KR100835787B1 (ko) 플렉시블 덕트 및 그 제조 방법
US10816110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assembly for a line penetr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line penetration
JP2003241046A (ja) 光線路収納構造
KR200423734Y1 (ko) 전선 매설용 덕트
JP6401926B2 (ja) フレキシブルダクト
US1119900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vering and sealing gaps between adjacent surfaces
KR100954269B1 (ko) 덕트용 체결밴드
JP4279017B2 (ja) フレキシブルダクト
JP3077409U (ja) 配管用被覆シート材
JP2007110821A (ja) ケーブルの敷設構造、敷設方法及び緊結治具
JP2008118786A (ja) ケーブル保護管部材
JPH0620992U (ja) 配管の断熱材
KR20180000839U (ko) 전선 입선용 인출선
JPH07255115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