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96B1 -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96B1
KR100846496B1 KR1020060097411A KR20060097411A KR100846496B1 KR 100846496 B1 KR100846496 B1 KR 100846496B1 KR 1020060097411 A KR1020060097411 A KR 1020060097411A KR 20060097411 A KR20060097411 A KR 20060097411A KR 100846496 B1 KR100846496 B1 KR 10084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images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875A (ko
Inventor
심정현
정승녕
김상룡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96B1/ko
Priority to US11/892,534 priority patent/US8213996B2/en
Priority to CN2007800368295A priority patent/CN101536498B/zh
Priority to PCT/KR2007/004246 priority patent/WO2008041797A1/en
Priority to EP07808044A priority patent/EP2080371A4/en
Publication of KR2008003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은, 단말기가 자신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보다 많은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더라도, 그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를 다른 영상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크롤과 같은 번거로움을 가능한 겪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the display butt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저장된 배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저장된 배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자신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보다 많은 영상을 표시하고자 할 수 있다. 예컨대,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사용자는 그 단말기에 어떠한 음악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는 그 단말기에 저장된 음악 파일들의 제목들을 표시하고자 한다. 이 때, 단말기에는 총 20개의 음악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반면, 단말기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제목의 개수는 최대 5개라면,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방향키와 같은 버튼을 조작하며 그 20개의 제목을 스크롤(scroll)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화 걸기 기능,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및 동영상 파일 재생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사용자는 그 단말기가 어떠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는 그 수행 가능한 기능들을 나타내는 영상들을 표시하고자 한다. 이 때, 단말기는 총 6가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단말기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개수는 최대 3개라면,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방향키와 같은 버튼을 조작하며 그 6개의 기능을 스크롤하게 된다.
결국, 단말기가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개수가 많을수록, 또한, 단말기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가 적을수록, 사용자는 더 오랜 시간의 스크롤을 통한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한다. 각자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던 다수의 단말기의 기능들을 하나의 단말기가 모두 갖게 될 수록, 하나의 기능의 세부 내용이 보다 복잡해질수록,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상에서 추후 검색 가능한 파일들을 단말기에 많이 저장해 놓을수록, 단말기가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개수는 증가하게 된 다. 또한, 단말기가 소형화될수록, 단말기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컨버젼스(convergence)화와,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memory)의 고집적화와, 단말기의 휴대 용이성을 강조한 소형화가 최근의 추세임을 감안할 때, 그러한 번거로움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가 자신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보다 많은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더라도, 그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를 다른 영상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크롤과 같은 번거로움을 가능한 겪지 않도록 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가 자신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보다 많은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더라도, 그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를 다른 영상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크롤과 같은 번거로움을 가능한 겪지 않도록 하는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가 자신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보다 많은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더라도, 그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를 다른 영상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크롤과 같은 번거로움을 가능한 겪지 않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영상을 배치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배치한 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을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분석된 선택 빈도수에 상응하여 배치시키는 상기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영상 각각의 선택 빈도수를 분석하는 (a)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을 상기 분석된 결과에 상응하여 배치한 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영상 각각의 선택 빈도수를 분석하는 (a)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을 상기 분석된 결과에 상응하여 배치한 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b)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 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표시부(110), 제어부(140), 영상 저장부(150), 및 배치정보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10), 제어부(140), 및 배치정보 저장부(160)는 단말기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영상 저장부(150)는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단말기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표시부(11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예를 들어, 액정 판넬(LCD: Liquid Crystal Displayer))들로 구현될 수 있고, 그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표시부(11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표시부(110)는 메인 표시부(120), 및 서브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든 영역은 일부 영역과 다른 일부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이 경우, 그 일부 영역은 메인 표시부(120)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그 다른 일부 영역은 서브 표시부(130)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때, 그 일부 영역은 그 다른 일부 영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말기는 표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이하, '디스플레이 버튼')들과 표시 기능을 갖지 않는 버튼(이하, '표시불가 버튼')들을 함께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n, 및 N은 1≤n≤N (단, N은 2이상의 정수)인 정수이다.
이 경우, 서브 표시부(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 즉, 제1 디스플레이 버튼(130-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버튼(130-N)과 일체화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 각각은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며, 그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은 최대 N개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은, 선택 가능한 영상들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선택은 단말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은 메인 표시부(120)가 표시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이 표시된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단말기에 그러한 선택을 지시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을 조작함으로써 단말기에 그러한 선택을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버튼의 조작이란, 버튼을 가압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버튼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은 서브 표시부(130) 특히,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이 표시하는 영상들 중 하나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을 조작함으로써 단말기에 그러한 선택을 지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이하, '동시 표시 가능 개수')는 표시부(110)의 하드웨어적 속성에 따라 고정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동시 표시가능 개수는 N+1 개 이다. 이 때, 메인 표시부(120)는 한 개의 영상만을 표시한다고 가정되었다.
한편,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개수(M, 단, M은 M>N인 정수)는 동시 표시가능 개수를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단말기의 컨버젼스화, 단말기에 탑재된 메모리의 고집적화, 단말기의 소형화에 힘입어, 더욱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개수가 동시 표시가능 개수를 초과한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에 접촉함으로써,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모두를 스크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이 일렬로 배열되고, 사용자는 그 디스플레이 버튼들을 한 쪽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문지르거나 다른 한 쪽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문지름으로써,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모두를 스크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은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touch sensor)와 일체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각의 디스플레이 버튼은 터치 센서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개수가 동시 표시가능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에 접촉함으로써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모두를 스크롤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달리, 방향키와 같은 스크롤(scroll)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 표시하고자 하 는 복수의 영상 모두를 스크롤할 수도 있다. 이 때, 스크롤 버튼은 표시불가 버튼(예를 들어, 화살표가 표기된 표시불가 버튼)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버튼(예를 들어,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는 표시불가 버튼인 스크롤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모두를 스크롤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40)는 표시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영상 저장부(150)는 표시부(110)가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영상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선택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표시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제어 신호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들)의 표시를 지시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표시제어 신호는 영상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버튼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들)의 표시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이 때, 버튼이란 '어느 특정 영상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를 의미할 수도 있고 '스크롤을 위해 조작된 스크롤 버튼'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버튼의 조작된 결과란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 130-n, ..., 130-N)과 복수의 표시불가 버튼들(특히, 스크롤 버튼들) 중 어느 버튼이 어떻게 조작되었는가' 및 '현재의 조작이 있기 직전에 조작된 버튼은 어느 버튼인가'라는 물음들에 대한 답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제3 디스플레이 버 튼(130-3)이 순간적으로 한 번 가압되었으며 직전에 가압된 버튼은 제2 디스플레이 버튼(130-2)임', '현재 제7 디스플레이 버튼(130-7)이 1초이상 계속적으로 무엇인가와 접촉되고 있으며 직전에 접촉된 버튼은 제1 디스플레이 버튼(130-1)임', '현재 상측(↑) 방향키가 순간적으로 한 번 가압되었으며 직전에 가압된 버튼 역시 상측 방향키임'은 그러한 '버튼의 조작된 결과'의 일 례들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독출된 영상 데이터와 생성된 표시제어 신호를 표시부(11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1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표시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표시부(120)는 표시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버튼들(130-1,..., 130-n,..., 130-N)은 표시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영상(정확하게는, M개의 영상)을 표시한다. 앞서 언급한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은, 표시부(110)가 표시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을 의미한다.
결국,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은,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표시불가 버튼이 조작될 때마다, 버튼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갱신된다.
한편, 표시제어 신호는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을 어떻게 배치한 채 표시할지'에 관한 정보(이하, '배치정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제어 신호가 갖는 배치정보는 단말기가 출시될 당시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배치정보이다.
따라서, 표시제어 신호에만 응답하여 동작하는 표시부(110)는 표시하고자 하 는 복수의 영상을 항상 획일적으로 배치한 채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동시 표시가능 개수는 3개이고, 표시제어 신호는 9개의 영상(영상 a, 영상 b, 영상 c, 영상 d, 영상 e, 영상 f, 영상 g, 영상 h, 영상 i)을 a, b, c, d, e, f, g, h, i의 순으로 배치한 채 표시할 것을 지시한다면, 표시부(110)는 언제나 영상 a, 영상 b, 영상 c를 최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예를 들어, 하측(↓) 방향키)을 순간적으로 한 번 가압하면, 표시부(110)는 영상 b, 영상 c, 영상 d를 표시하게 되고,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를 순간적으로 한 번 더 가압하면, 표시부(110)는 영상 c, 영상 d, 영상 e를 표시하게 되고, 이와 같은 원리로, 표시부(110)는 영상 g, 영상 h, 영상 i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을 획일적으로 배치한 채 그 중 적어도 일부(정확하게는, 동시 표시가능 개수 만큼의 영상)를 표시하는 표시부(110)는, 어떠한 사용자(예를 들어, 영상 h를 주로 선택하는 사용자)에게는 번거로운 스크롤을 요구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안한다.
제어부(140)는 앞서 언급한 표시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배치제어 신호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치제어 신호란,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을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의 '분석된 선택 빈도수'에 상응하여 배치시키는 신호를 의미한다. 결국, 배치정보는 배치제어 신호에도 담겨 있다. 하지만, 배치제어 신호가 갖는 배치정보는 표시제어 신호가 갖는 배치정보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가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의 선택 빈도수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의 개시와 종결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구비된 분석지시 버튼(미 도시)을 조작함으로써 단말기에 지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분석지시 버튼(미 도시)을 조작함으로써, 제어부(140)가 그러한 분석을 개시할 것을 단말기에 지시하고, 이 후, 단말기를 일주일 동안 자유로이 사용하다, 분석지시 버튼을 재차 조작함으로써, 제어부(140)가 그러한 분석을 종결할 것을 단말기에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의 지난 일주일 동안의 평균적인 선택 빈도수를 분석한다. 분석 기간은 일주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분석된 선택 빈도수는 분석 기간이 길수록 보다 신뢰도 높은 수치가 된다. 한편, 분석지시 버튼(미 도시)은 표시불가 버튼의 일종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을 그와 같이 분석된 선택 빈도수에 따라 배치시키는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배치제어 신호는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분석된 선택 빈도수들의 크기순으로 배치시킨다. 앞서 언급한 예시에서, 영상 a, 영상 b, 영상 c, 영상 d, 영상 e, 영상 f, 영상 g, 영상 h, 영상 i 각각의 선택 빈도수가 (3번/일주일), (1번/일주일), (2번/일주일), (4번/일주일), (0번/일주일), (0번/일주일), (10번/일주일), (60번/일주일), (40번/일주일)이라고 분석되었다면, 배치제어 신호는 영상 a 내지 영상 i를 h, i, g, d, a, c, b, e, f의 순으로 배치할 것을 지시한다.
제어부(140)는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한 경우, 그 생성된 배치제어 신호를 표 시제어 신호 및 독출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표시부(11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10)는 표시제어 신호와 배치제어 신호 모두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이 때, 배치정보는 표시제어 신호에도 담겨 있고, 배치제어 신호에도 담겨 있으나, 표시부(110)는 배치제어 신호가 갖는 배치정보만을 고려하고, 표시제어 신호가 갖는 배치정보는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1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 즉,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을 배치제어 신호에 따라 배치한 채, 그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을 표시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40)가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면, 생성된 배치제어 신호는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배치정보 저장부(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치정보 저장부(160)는 생성된 배치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배치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나타난 배치제어 신호를 표시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에서, 식별번호 220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표시부(120)의 일 구현례를 의미하고, 식별번호 230 내지 236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표시부(130)의 일 구현례를 의미하고, N=4이고, 동시 표시가능 개수는 5이다.
또한, 식별번호 260 내지 267은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식별번호 260 내지 267이 나타내는 영상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다. 다만, 그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개수는 설명의 편의상 언제나 8개라고 가정한다.
도 2b는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이 표시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2c는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이 배치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에 대한 설명의 편의상, 단말기(210)는 전화 걸기 기능,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 녹음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사진 촬영 기능, 사진 재생 기능, 동영상 촬영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을 모두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때, 단말기(210)는 복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표시부(220)와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는 동일 계층(level)에 속하는 복수의 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10)가 하나의 기능을 수행 중인 경우, 메인 표시부(220)는 그 수행 중인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고,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는 '그 밖에 수행 가능한 기능들' 즉, '그 수행 중인 기능과 동시에 수행 가능한 기능들'을 나타내는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210)가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메인 표시부(220)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고, 제1 디스플레이 버 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전화 걸기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0),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 사진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3),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 동영상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5), 동영상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6), 인터넷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7)의 총 8개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한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220)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가 4개이므로,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된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 중 4개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전화 걸기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0),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 사진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3)을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단 한 번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 사진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3),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을 표시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한 번 더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 사진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3),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 동영상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 상(265)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리에 따르면, 전화 걸기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0),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 사진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3)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이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 동영상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5), 동영상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6), 인터넷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7)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하측 방향키(250)의 순간적인 가압이 총 4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버튼 입력 체계는, 표시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기인한다.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주로 전화를 건다거나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사용자는 그러한 버튼 입력 체계에 불편을 거의 느끼지 않겠지만,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주로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는 사용자는 그러한 버튼 입력 체계에 상당한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은 제어부(140)가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즉, 제어부(140)는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 각각의 선택 빈도수를 분석하고, 그 8개의 영상을 그 분석된 선택 빈도수들의 크기순으로 재배치시키는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일,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 각각의 선택 빈도수가 '5번/일주일, 60번/일주일, 40번/일주일, 10번/일주일, 20번/일주일, 20번/일주일, 100번/일주일, 70번/일주일'(이 때, 분석 기간은 일주일로 제한되지 않음)이라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 채 그 8개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한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동영상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6), 인터넷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7),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을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단 한 번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인터넷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7),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를 표시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한 번 더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리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동영상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5), 사진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3), 전화 걸기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0)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10)는 복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예시에서, 사용자가 음악 파일을 재생 중인 단말기(210)에 저장된 사진들을 감상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상측 방향키(240) 또는 하측 방향키(250)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 중 하나의 버튼이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을 표시하도록 한 뒤, 그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을 선택하면 된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220)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 레이 버튼(236)은 표시하고자 하는 사진들 중 4개의 사진을 표시한다. 만일,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이 사진a(260), 사진 b(261), 사진 c(262), 사진d(263), 사진 e(264), 사진 f(265), 사진 g(266), 사진 h(267)의 총 8개의 사진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그 8개의 사진(260 내지 267)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 채, 이 중 4개의 사진을 표시한다. 다만, 제어부(140)가 그 8개의 사진(260 내지 267)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시키는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7)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그 8개의 사진(260 내지 267) 중 4개의 사진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표시부(220)와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가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이 속한 계층(level)의 개수는 복수이다. 구체적으로,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는 메인 표시부(220)가 표시하는 영상이 속한 계층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표시부(220)는 단말기(210)가 현재 수행 중인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고,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는 '그 현재 수행 중인 기능의 하위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과 '계층변경 요구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층변경 요구영상은, 선택될 경우 서브 표시부(230 내지 236)가 메인 표시부(220)에 표시된 영상과 동일 계층에 속한 영상들을 표시하게 됨을 나타내는 영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단말기(210)가 사진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메인 표시부(220) 는 단말기(210)에 구비된 렌즈(미 도시)를 통해 보여지는 단말기(210) 외부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고,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단말기(210)에 구비된 배터리(battery)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0), 단말기(210)에 구비된 메모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1), 단말기(210)에 저장된 사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262), 셔터(shutter)의 개폐 속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3), 줌인(zoom in)을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4), 줌아웃(zoom out)을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5), 플래쉬(flash)의 온(on)/오프(off) 여부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6), 촬영할 사진의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7)를 표시하고자 하고,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계층변경 요구영상을 표시하고자 한다.
이 경우, 메인 표시부(220)는 그 외부의 영상을 표시하고,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계층변경 요구영상을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가 3개이므로,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된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 중 3개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단말기(210)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0), 단말기(210)에 구비된 메모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1), 단말기(210)에 저장된 사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262)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단 한 번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단말기(210)에 구비된 메모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1), 단말기(210)에 저장 된 사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262), 셔터의 개폐 속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3)를 표시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한 번 더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단말기(210)에 저장된 사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262), 셔터의 개폐 속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3), 줌인을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4)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리에 따르면, 단말기(210)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0), 단말기(210)에 구비된 메모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1), 단말기(210)에 저장된 사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262)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이, 줌아웃을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5),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6), 촬영할 사진의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7)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하측 방향키(250)의 순간적인 가압이 총 5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버튼 입력 체계는, 표시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기인한다.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와 촬영할 사진의 해상도를 사진을 촬영할 때마다 설정하는 사용자는 그러한 버튼 입력 체계에 상당한 불편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은 제어부(140)가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즉, 제어부(140)는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 각각의 선택 빈도수를 분석하고, 그 8개의 영상을 그 분석된 선택 빈도수들의 크기순으로 재배치시키는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일,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 각각의 선택 빈도수가 앞서 언급한 예시에서와 같이 '5번/일주일, 60번/일주일, 40번/일주일, 10번/일주일, 20번/일주일, 20번/일주일, 100번/일주일, 70번/일주일'(이 때, 분석 기간은 일주일로 제한되지 않음)이라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 채 그 8개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한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6), 촬영할 사진의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7), 단말기(210)에 구비된 메모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1)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단 한 번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촬영할 사진의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7), 단말기(210)에 구비된 메모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1), 단말기(210)에 저장된 사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262)를 표시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하측 방향키(250)를 순간적으로 한 번 더 가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4)은, 단말기(210)에 구비된 메모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1), 단말기(210)에 저장된 사진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262), 줌인을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4)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리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버튼(237)은, 줌아웃을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5), 셔터의 개폐 속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3), 단말기(210)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숫자(260)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상측 방향키(240) 또는 하측 방향키(250)를 조작할 필요 없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을 조작하여(즉,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문자(266)를 선택하여),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을 한 번 조작할 때마다 플래쉬의 온/오프 여부는 토글(toggle)되며 설정된다.
한편, 사용자가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 이외의 다른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여, 단말기(210)가 사진 촬영 기능 이외에 어떠한 기능들을 갖는지 알고자 한다면,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을 조작할 수 있다(즉, 계층변경 요구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계층변경 요구영상이 선택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음악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0), 전화 걸기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1),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2), 녹음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3), 사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4), 동영상 촬영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5), 동영상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6), 인터넷 검색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267)의 총 8개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한다. 표시제어 신호에만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을 디폴트로 설정된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한 채, 그 8개의 영상 중 4개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표시제어 신호와 배치제어 신호 모두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1 디스플레이 버튼(230)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버튼(236)은, 그 8개의 영상(260 내지 267)을 배치제어 신호가 갖는 배 치정보에 따라 배치한 채, 그 8개의 영상 중 4개를 표시한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정보영상 제공부(302), 표시용영상 처리부(304), 및 표시용영상 표시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영상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버튼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 때,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에는 복수의 정보영상이 포함된다. 여기서, 정보영상이란 디스플레이 버튼(130-1, ..., 130-n, ..., 130-N 중 하나)이 표시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정보영상 제공부(302)는 제어부(140)로부터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와 '배치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정보영상을 그 입력된 배치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하고, 배치된 복수의 정보영상을 표시부(110)(상세하게는, 후술할 표시용영상 처리부(304))로 출력한다. 즉, 정보영상 제공부(302)는 복수의 정보영상 각각을 그 복수의 정보영상 각각의 분석된 선택 빈도수를 고려하여 배치한 채, 그 복수의 정보영상을 표시용영상 처리부(304)로 출력한다.
표시용영상 처리부(304)는 정보영상 제공부(302)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정보영상을 이용하여 표시용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표시용 영상이란 앞서 언급한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표시용영상 처리부(304)는 '정보영상 제공부(302)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정보영상'과 '메인 표 시부(120)에 표시될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용영상 표시부(306)는 표시용영상 처리부(304)로부터 표시용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정보영상 제공부(302), 표시용영상 처리부(304), 및 표시용영상 표시부(306)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사용자 인식부(310), 분석부(320), 재배치부(330), 재배치요부 검사부(340), 재인식여부 검사부(350) 및 독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310)는 단말기(210)를 사용 중인 사용자를 인식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21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고유의 아이디(ID)와 같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부여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단말기(210)에 입력하면, 사용자 인식부(310)는 그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matching)된 사용자가 단말기(210)를 사용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된다.
분석부(320)는 그 인식된 사용자가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을 어느 정도의 빈도수로 선택하는가를 어느 일정 기간동안 분석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석부(320)의 동작은 단말기(210)에 구비된 분석지시 버튼(미 도시)의 조작에 따라 개시되거나 종결된다.
재배치부(330)는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분석된 선택 빈도수들의 크기순으로 배치시키는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재배치요부 검사부(340)는 그 분석된 선택 빈도수가 임계치(이 때, 임계치는 미리 설정된 값임) 이상인 영상이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중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인지 검사한다.
예컨대,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이, 영상 a, 영상 b, 영상 c, 영상 d, 영상 e, 영상 f, 영상 g, 영상 h, 영상 i이고, 일주일동안 분석된 각각의 선택 빈도수가 (3번/일주일), (1번/일주일), (2번/일주일), (4번/일주일), (0번/일주일), (0번/일주일), (10번/일주일), (60번/일주일), (4번/일주일)이고, 임계치는 (5번/일주일)이고, 소정 비율은 0% 초과 및 30% 미만이라면, 재배치요부 검사부(340)는 그 분석된 선택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 영상(영상 g, 영상 h)이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영상 a, b, c, d, e, f, g, h, i)' 중 차지하는 비율(2/8= 25%)이 0% 초과 및 30% 미만의 값인지 검사한다. 그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이라고 검사된 경우에 한해, 재배치부(330)가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 비율로서 0% 초과를 요구하는 이유는,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구체적으로는, 선택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 영상)이 단 한개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40)가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소정 비율로서 30% 미만을 요구하는 이유도,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의 거의 대부분(구체적으로는, 30% 초과)이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구체적으로는, 선택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 영상)이라면, 표시부(110)가 표시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기인한 기존의 배치를 배치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따라 변경하더라도 그 변경의 실익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본 단락에서 언급된 0%, 30%는 설명의 편의상 도입된 수치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재배치부(330)가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면, 생성된 배치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는 그 인식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매칭되어 배치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이처럼, 그 인식된 사용자(예컨대, 사용자 A)에 매칭된 배치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저장된 바 있고, 추후, 사용자 A가 아닌 다른 사용자(예컨대, 사용자 B)가 단말기(210)를 사용하였고, 현재는 사용자 A가 단말기(210)를 사용한다고 할 경우, 사용자 인식부(310)는 단말기(210)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사용자 A라고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분석부(320), 및 재배치부(330)가 재차 동작한다면 이미 생성된 배치제어 신호를 반복하여 생성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210)는 재인식여부 검사부(350) 및 독출부(360)를 구비한다.
재인식여부 검사부(350)는 지금 인식된 사용자가 이전에도 인식된 바 있는지 검사한다. 만일, 이전에도 인식된 바 있다면, 배치정보 저장부(160)에 그 인식된 사용자에 매칭된 배치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독출부(360)는 입력단자 IN 1을 통해 배치정보 저장부(160)로부터 그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고, 출력단자 OUT 1을 통해 그 독출된 정보를 표시부(110)로 출력한다.
도 4는 저장된 배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를 다른 영상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들(제410~ 440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의 선택 빈 도수를 분석하고(제410 단계), 제어부(140)는 제410 단계에서 분석된 선택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 영상이 그 복수의 영상 중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인가 판단한다(제420 단계).
만일, 제420 단계에서 소정 비율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0)는 그 복수의 영상 각각을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한 채 그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제430 단계).
그에 반해, 제420 단계에서 소정 비율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410 단계에서 분석된 선택 빈도수를 고려하여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10)에 제공하고, 표시부(110)는 그 복수의 영상 각각을 배치제어 신호에 담긴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한 채 그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제440 단계).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에 제420 단계와 제430 단계는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저장된 배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에 의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표시부(110)가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를 다른 영상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들(제50~ 540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말기(210)를 사용 중인 사용자를 인식하고(제510 단계), 제어부(140)는 제510 단계에서 인식된 사용자가 단말기(210)에 이전에도 인식된 바 있는지 판단한다(제520 단계).
제520 단계에서 인식된 바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510 단계에서 인식된 사용자에 매칭된 배치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를 배치정보 저장부(160)에서 독출하고(제530 단계), 표시부(110)는 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각각을 제530 단계에서 독출된 정보에 나타난 배치정보에 따라 배치한 채 그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제540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은, 단말기가 자신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의 최대 개수보다 많은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더라도, 그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를 다른 영상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크롤과 같은 번거로움을 가능한 겪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로써, 사용자가 그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들 중 어느 한 영상을 선택하는 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은 상당 부분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그 사용자가 주로 선택하는 영상을 분석하므로, 단말기 사용자가 누구일지라도 그 사용자에게 최적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중 일부의 영상들은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을 통해 표시하면서 다른 일부의 영상(들)은 단말기에 구비된 메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말기가 동시에 수행 중인 복수의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그 버튼(들)과 메인 표시부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현재 수행 중인 기능들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4)

  1. 표시용 영상에 포함된 정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정보영상 각각을 상기 정보영상 각각의 분석된 선택 빈도수를 고려하여 배치한 채 출력하는 정보영상 제공부;
    상기 정보영상 제공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상기 정보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용 영상을 생성하는 표시용영상 처리부;
    상기 표시용영상 처리부로부터 상기 표시용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표시용영상 표시부; 및
    상기 정보영상 제공부, 상기 표시용영상 처리부, 및 상기 표시용영상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영상과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이 속한 계층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이 속한 계층과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이 속한 계층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중인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고, 상기 정보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중인 다 른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이 속한 계층과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이 속한 계층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중인 기능을 나타내고, 상기 정보영상은 상기 수행 중인 기능의 하위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계층변경 요구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정보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가능한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7.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영상을 배치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배치한 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복수의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을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분석된 선택 빈도수에 상응하여 배치시키는 상기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가 속한 계층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제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상기 분석된 선택 빈도수들의 크기순으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선택 빈도수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선택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 영상이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인지 검사하는 재배치요부 검사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배치제어 신호를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생성하는 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삭제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생성된 상기 배치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배치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나타난 상기 배치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버튼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생성된 상기 배치제어 신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인식된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배치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를 사용 중인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이전에 인식된 바 있는지 검사하는 재인식여부 검사부;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 중에서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나타난 상기 배치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버튼으로 출력하는 독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의한 선택 빈도수를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사용자 고유의 상기 배치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재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말기가 동시에 수행 중인 복수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표시용 영상에 포함된 정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위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상기 정보영상 각각을 상기 정보영상 각각의 분석된 선택 빈도수를 고려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b)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정보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용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표시용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영상과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이 속한 계층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위한 표시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이 속한 계층과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이 속한 계층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위한 표시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중인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고, 상기 정보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중인 다른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위한 표시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이 속한 계층과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이 속한 계층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위한 표시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상 이외의 상기 표시용 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중인 기능을 나타내고, 상기 정보영상은 상기 수행 중인 기능의 하위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위한 표시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계층변경 요구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정보영상은 상기 단말기가 수행 가능한 기능을 나타내는 영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위한 표시 방법.
  21.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영상 각각의 선택 빈도수를 분석하는 단계; 및
    (b)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을 상기 분석된 결과에 상응하여 배치한 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복수의 버튼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가 속한 계층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상기 분석된 선택 빈도수들의 크기순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은
    상기 (a) 단계 후에, 상기 분석된 선택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 영상이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4. 삭제
KR1020060097411A 2006-10-02 2006-10-02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KR10084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411A KR100846496B1 (ko) 2006-10-02 2006-10-02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US11/892,534 US8213996B2 (en) 2006-10-02 2007-08-23 Terminal and display method used in the terminal
CN2007800368295A CN101536498B (zh) 2006-10-02 2007-09-04 终端和终端中使用的显示方法
PCT/KR2007/004246 WO2008041797A1 (en) 2006-10-02 2007-09-04 Terminal and display method used in the terminal
EP07808044A EP2080371A4 (en) 2006-10-02 2007-09-04 TERMINAL AND DISPLAY METHOD USED ON THI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411A KR100846496B1 (ko) 2006-10-02 2006-10-02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875A KR20080030875A (ko) 2008-04-07
KR100846496B1 true KR100846496B1 (ko) 2008-07-17

Family

ID=3926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411A KR100846496B1 (ko) 2006-10-02 2006-10-02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13996B2 (ko)
EP (1) EP2080371A4 (ko)
KR (1) KR100846496B1 (ko)
CN (1) CN101536498B (ko)
WO (1) WO2008041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7243B2 (en) * 2011-02-28 2013-03-26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s for presenting a scrollable user interface
KR101825214B1 (ko) * 2011-06-17 2018-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494874B1 (ja) * 2013-08-09 2014-05-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270648B (zh) * 2017-06-12 2019-12-06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显示方法
CN113259310B (zh) * 2021-02-25 2023-04-07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推送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649A (ko) * 2000-12-27 2002-07-0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osd 제어방법
KR20050011049A (ko) * 2003-07-21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 빈도에 따른 메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74063A (ko)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3987B2 (ja) * 1992-12-08 2001-10-29 株式会社東京精密 アイコンの配置変更装置
CN1571560A (zh) * 2003-07-11 2005-01-2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手机操作介面智能调整系统及其方法
US20050044508A1 (en) * 2003-08-21 2005-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US7778671B2 (en) 2004-10-08 2010-08-17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US7429988B2 (en) * 2006-03-06 2008-09-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nient change of display characters on a handhel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649A (ko) * 2000-12-27 2002-07-05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osd 제어방법
KR20050011049A (ko) * 2003-07-21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 빈도에 따른 메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74063A (ko)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1673A1 (en) 2008-04-03
CN101536498B (zh) 2012-07-18
CN101536498A (zh) 2009-09-16
KR20080030875A (ko) 2008-04-07
US8213996B2 (en) 2012-07-03
WO2008041797A1 (en) 2008-04-10
EP2080371A1 (en) 2009-07-22
EP2080371A4 (en)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8711B2 (en) Multi-tasking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US9116610B2 (en) Imaging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US925077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s and method of inputting functions using display buttons
US5963204A (en) Electronic camera with reproduction and display of images at the same timing
KR100657520B1 (ko)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EP1674993B1 (en) User help f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icons set and used in the user interface of a digital camera
KR101434199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33664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data management method
EP1788798A1 (en) User interface method, system, and device in multitasking environment
US914853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0152168A (ja) 画像再生装置
US20080301169A1 (en) Electronic apparatus of playing and editing multimedia data
WO2007029393A1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メニュー操作受付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46496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JP4384165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1065277A (ja) 電子機器、画像表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5055098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07000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0006077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773056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1265477A (ja) 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表示画面を有する装置
JP2005284568A (ja) 電子機器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1272389A (ja) メニュー表示装置、ビデオカメラ、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6011067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표시방법
KR1007034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대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