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063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063A
KR20050074063A KR1020040002284A KR20040002284A KR20050074063A KR 20050074063 A KR20050074063 A KR 20050074063A KR 1020040002284 A KR1020040002284 A KR 1020040002284A KR 20040002284 A KR20040002284 A KR 20040002284A KR 20050074063 A KR20050074063 A KR 2005007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election
menus
frequenc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701B1 (ko
Inventor
안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7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for indicating selection options for a communicat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를 산출하여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메뉴 리스트를 재배열하고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갯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메뉴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된 메뉴와 함께 상기 하나의 메뉴를 상기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한번이상 사용했던 메뉴 선택을 위해 거치는 단계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METHOD FOR COMPOSING MENU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하는 빈도수에 따라 그 메뉴 항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단순히 전화기의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스케줄이나 전화번호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전자계산기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전자수첩의 역할을 하는 새로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 무선 네트워킹 구조를 탑재함으로써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검색, 전자메일 활용, 온라인 게임, 채팅 등이 가능해지는 등 휴대폰 기능의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에 있어서도 구조가 점차 복잡해지고 다양해져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노력이 들게 된다.
한편,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여러 기능을 관리하는 메뉴 운용 방법은 '계층적 정적 메뉴'라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여기서, 계층적 정적 메뉴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생산시 구비된 메뉴로서, 여러 기능의 메뉴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어느 한 기능을 사용하려면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의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메뉴는 팝업(pop-up)메뉴의 계층적 구조 형태를 갖는데, 이는 어느 한 메뉴에 대한 부메뉴가 있고, 그 메뉴에 대한 또다른 부메뉴가 있어서 어느 하나의 메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접근해가는 계층적 구조를 뜻한다.
그러나, 여러 부가 기능들이 생겨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운용하는 프로그램도 그만큼 복잡해지고, 또한 그러한 많은 기능들을 관리하는 메뉴의 구성도 복잡해지게 되면, 그에 따라 사용자는 많은 기능들을 관리하는 메뉴의 구성 및 사용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메뉴 운용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대기 모드 상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100)단계에서 사용자의 메뉴키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메뉴키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110)단계로 진행하여 제품 출시 시 미리 정해진 초기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커서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120)단계에서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하는지를 판단하여 방향키 입력이 있는 경우 (13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해당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해당 메뉴의 검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나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14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해당 메뉴가 선택되면 (16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12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숫자키가 입력된 경우 표시되는 메뉴에 있어 지정된 인덱스 숫자의 해당 숫자를 입력한 경우가 되므로, 이러한 경우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15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메뉴의 선택을 이루고, (16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부가 기능을 표시하는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메뉴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그룹화하여 메인 메뉴와 그 하위 메뉴 관계로 매핑해야 한다. 왜냐하면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은 그 크기가 작아 보통 1라인에 8글자만을 표시할 수 있을 뿐, 모든 서비스 메뉴들을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없다. 즉, 사용자에 의해 메뉴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항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종래의 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따라서, 도 2(a)에 사용자가 메뉴 키를 눌렀을 때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기능의 메뉴 항목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았다면, 키 조작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기능의 메뉴 항목이 표시되는 도 2(b)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방법을 통해 메뉴 항목에 위치하는 커서를 이동시켜 전화번호부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 테이블을 참조하여 종래의 메뉴 검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면, 먼저 사용자는 메뉴키를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메뉴키 입력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일반 메뉴로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러 기능들의 메인 메뉴 항목들이 표시된다. 그 메인 메뉴 항목이 표시되는 화면에는 내 휴대폰, 전화번호부, 뮤직박스 등의 여러 메뉴가 표시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전화번호부 메뉴에 속해있는 다수의 하위메뉴가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하위메뉴에는 '1.최근발신번호', '2.최근수신번호', '3.전화번호찾기', '4.전화번호등록', '5.그룹편집'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사용자가 또다시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하위메뉴에 속해있는 또다른 하위 메뉴들을 표시하게 되는 형식의 순차적 메뉴 검색 방법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메뉴 검색 방법에 의한 메뉴 선택은 하위 메뉴의 종류와 단계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키 조작이 요구되어 메뉴 검색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항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기능의 메뉴 항목의 인덱스 번호가 높을 경우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기능의 메뉴 항목이 표시되지 않았다면, 해당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불필요한 키 조작이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매번 여러 단계들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의 메뉴 이용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항목으로 보다 빠른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메뉴 구조에서 메뉴 선택을 위해 거치는 단계를 최소화하여 원하는 메뉴 항목을 빠른 시간내에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할 때마다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를 산출하여 상기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메뉴 리스트를 재배열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메뉴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재배열된 메뉴를 표시하고,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갯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메뉴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로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배열된 메뉴와 함께 상기 하나의 메뉴를 상기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화면에 모든 메뉴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한된 크기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항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모든 메뉴를 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각 메뉴 항목마다 선택 빈도수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택 빈도수를 체크하여 그 선택 빈도수가 높은 메뉴순으로 한 화면에 표시하고, 그 나머지 메뉴들을 그룹화하여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라는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로 구성하여 즉, 하나의 폴더와 같은 개념으로 구성하여 그 선택 빈도수가 높은 메뉴순으로 표시하는 메뉴와 함께 한 화면에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메뉴 구성에서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했던 메뉴 또는 자주 사용하는 메뉴순으로 한 화면에 표시하고, 나머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들을 별도의 메뉴 그룹으로 관리한다. 그리고나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순으로 메뉴를 정렬함으로써 추후 이용시에 메뉴 선택을 위해 거치는 단계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메뉴 사용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메뉴 구성을 통해 복잡한 메뉴 구조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메뉴를 단시간 내에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구성 처리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부들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성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어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데이터 처리의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메뉴 선택에 따른 해당 기능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에 대한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할 때마다 각 메뉴 항목마다 그 사용 횟수를 계산하여 그 선택빈도수를 산출하고 이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각 메뉴 항목에 따라 그 선택빈도수가 산출되면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일정량의 메뉴 리스트와 그 나머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를 별도의 메뉴 그룹으로 관리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선택빈도수에 의한 메뉴 구성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되면 이를 일정량의 메뉴 리스트와 그 메뉴 리스트의 마지막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로 그룹화된 하나의 메뉴로 한 화면에 표시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에 의한 메뉴 키입력이 있으면 각 메뉴 항목별로 체크된 선택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뉴를 재배열하여 표시하고,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갯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메뉴는 그룹화하여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로 구성하여 재배열한 메뉴와 함께 한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의 갯수가 너무 많을 경우 스크롤하거나 다음 화면으로 넘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뉴 리스트를 일정 갯수로 제한하며, 그 범위를 벗어날 경우 표시하고 남은 나머지 메뉴들은 그룹화하여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로 그 메뉴 리스트와 함께 한번에 한 화면에 표시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그 메뉴 리스트는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를 제외하고,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를 산출하여 상기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재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메뉴 리스트는 각 메뉴 항목별로 가장 최근에 이용한 순서를 우선 순위로 하여 재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 화면 및 선택빈도수에 따라 구성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키입력부(220)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즉, 키입력부(220)는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입력부(220)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20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20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00)에 의해 처리된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및 기본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를 계산하고 그 선택빈도수별로 메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유지하는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 모드는 크게 일반 메뉴 모드와 단축 메뉴 모드로 구분된다. 여기서 일반 메뉴 모드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 초기에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선택빈도수를 체크할 수 없기 때문에 구비되는 기존의 메뉴 구성 방식을 뜻한다. 반면, 단축 메뉴 모드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 리스트를 별도의 메뉴 그룹인 하나의 메뉴로 하여 한 화면에 모든 메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구성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단축 메뉴 모드는 임의의 키 또는 그 기능을 설정하는 항목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구성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모든 메뉴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리스트의 일반 메뉴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들로 이루어진 비선호 메뉴가 구성된다. 이 때 별도로 저장되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 그룹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선호 메뉴'로 표기하기로 한다. 이러한 메뉴 구성은 사용자에 의해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선택빈도수를 카운트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뉴 구성은 이동 통신 단말기 개발 단계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메뉴들을 미리 통계를 낸 다음 우선 순위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일반 메뉴와 비선호 메뉴로 구성하여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 하나의 메뉴와 함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다고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들을 리스트화하여 하나의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있어, 여러 단계의 접근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에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빈도수가 높은 메뉴순으로 메뉴 구성을 재배열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먼저 메뉴 항목들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어부(200)는 (5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그 메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메뉴를 선택하는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뉴가 속한 그룹의 리스트가 소정 갯수 이상인지를 체크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200)는 화면에 표시해야 할 메뉴 항목의 갯수가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제한된 갯수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200)는 화면에 표시해야 할 메뉴 항목의 갯수가 한번에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갯수라고 판단하면 선택빈도수를 별도로 체크하지 않고 화면에 표시하면 된다.
한편, (510)단계에서 화면에 표시해야 할 메뉴 항목의 갯수가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제한된 갯수 이상이면 제어부(200)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뉴에 대해 선택빈도수를 체크하기 위하여 선택빈도수를 증가시켜 이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3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뉴가 속한 메뉴 그룹의 총 카운트 수를 증가시킨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540)단계에서 총 카운트 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선택된 메뉴가 속한 메뉴 그룹의 총 카운트 수를 체크하는 이유는 우선 순위에 따라 그 메뉴 그룹내의 메뉴 리스트를 재배열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선택 횟수가 일정 횟수 즉, 임계값 이상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특히 그 메뉴 그룹의 메뉴 리스트를 재배열하는데 있어서 우선 순위는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빈도수에 따라 정해진다. 즉,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가 높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으며, 그 메뉴 리스트의 재배열은 우선 순위가 높은순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540)단계에서 선택된 메뉴가 속한 메뉴 그룹의 총 카운트 수가 그 메뉴 그룹의 리스트를 재배열하기 가능한 임계값 이상이면 (55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550)단계에서 각 메뉴 항목별로 체크된 선택빈도수에 따라 선택빈도수가 높은순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속한 그룹의 메뉴 구성 즉, 메뉴 리스트를 재배열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한번 이상 선택된 메뉴에 대해서는 그 선택빈도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선택된 메뉴에 대해서는 제어부(200)가 선택빈도수를 증가하여 이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뉴 리스트 재배열은 한번에 화면에 표시해야하는 메뉴의 갯수가 너무 많을 경우 스크롤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그 갯수를 제한하는 것이며, 그 범위를 벗어날 경우 나머지 메뉴 항목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에 있어,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된 경우 메뉴 리스트 표시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배열된 메뉴 구성에 따른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선택빈도수가 높은 메뉴들이 표시되는 화면예시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트리 형식으로 이루어진 메뉴를 단계별로 선택해 최종 하위 메뉴를 이용할 경우, 제어부(200)는 (6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메뉴키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메뉴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사용자에 의해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현재의 모드가 일반 메뉴 모드인 경우 제어부(200)는 (620)단계로 진행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 메뉴 모드에 따른 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즉, 일반 메뉴 모드에 따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의 갯수가 너무 많을 경우 제어부(200)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갯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메뉴는 다음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61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200)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도 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한 메뉴 구성 재배열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메뉴 구성 재배열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0)는 통상적인 트리 구조의 고정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반면, 메뉴 구성 재배열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200)는 (640)단계로 진행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빈도수가 높은 메뉴순으로 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640)단계에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갯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메뉴 즉,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메뉴들은 그룹화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선호 메뉴(700)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메뉴키를 입력하면 제어부(200)는 선택빈도수가 높은순으로 소팅(sorting)한 메뉴 리스트와 함께 비선호 메뉴(700)를 한 화면에 표시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세팅하고 종료한다. 한편, 원하는 기능의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도 7(a)에서 비선호 메뉴(700)를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화면에 표시하지 않았던 그 나머지 메뉴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 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의 개수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정하거나 미리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설정된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최대 메뉴 갯수로 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축 메뉴 모드에서 한번에 표시해야 할 메뉴의 수가 너무 많아 한 화면에 모든 메뉴를 표시하기 어려울 경우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메뉴들을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하고 남은 나머지 메뉴들은 하나의 비선호 메뉴로 하여 차례대로 소팅된 메뉴 리스트와 함께 한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능의 메뉴들로 이루어진 비선호 메뉴를 두고 그 비선호 메뉴의 세부 항목들을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메뉴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뉴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찾기 위해 스크롤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키를 통해 메뉴 화면을 이동할 필요없이 평소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잡한 메뉴 구조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 항목들을 하나의 비선호 메뉴로 하여 기본 메뉴와 함께 구성하여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메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메뉴 구성 방법은 사용자가 한번 이상 사용했던 메뉴 선택을 위해 거치는 단계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
도 3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성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빈도수가 높은 메뉴순으로 메뉴 구성을 재배열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배열된 메뉴 구성에 따른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선택빈도수가 높은 메뉴들이 표시되는 화면예시도,

Claims (6)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할 때마다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를 산출하여 상기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메뉴 리스트를 재배열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메뉴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재배열된 메뉴를 표시하고,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 갯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메뉴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로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배열된 메뉴와 함께 상기 하나의 메뉴를 상기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리스트를 재배열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할 때마다 선택된 메뉴가 속한 메뉴 그룹의 항목수가 소정 갯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소정 갯수 이상인 경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선택빈도수를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메뉴가 속한 메뉴 그룹의 총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총 카운트 수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상기 선택된 메뉴가 속한 메뉴 그룹의 리스트를 재배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메뉴 리스트 재배열 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메뉴 그룹 중에서 임의의 메뉴를 선택받아 선택받은 메뉴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로 구성하는 과정과,
    단축 메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메뉴와 함께 그 메뉴가 속한 메뉴 그룹의 리스트를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그룹의 리스트는 상기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를 제외하고, 각 메뉴 항목별로 선택빈도수를 산출하여 상기 선택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재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그룹의 리스트는 상기 하나의 메뉴의 하위 메뉴를 제외하고, 각 메뉴 항목별로 가장 최근에 이용한 순서를 우선 순위로 하여 재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02284A 2004-01-13 2004-0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KR10061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284A KR100617701B1 (ko) 2004-01-13 2004-0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284A KR100617701B1 (ko) 2004-01-13 2004-0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063A true KR20050074063A (ko) 2005-07-18
KR100617701B1 KR100617701B1 (ko) 2006-08-28

Family

ID=3726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284A KR100617701B1 (ko) 2004-01-13 2004-0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11B1 (ko) * 2006-11-10 2008-03-3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맞춤형 메뉴 구성 방법
WO2008041797A1 (en) * 2006-10-02 200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display method used in th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97B1 (ko) * 2008-10-31 2010-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메뉴 구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418A (ko) * 2000-04-22 2001-11-08 강원희 사용횟수/최근사용순서를 기반으로 메뉴를 표시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335823B1 (ko) * 2000-09-05 2002-05-08 홍경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항목 설정 및 선택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1797A1 (en) * 2006-10-02 200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display method used in the terminal
KR100846496B1 (ko) * 2006-10-02 2008-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방법
US8213996B2 (en) 2006-10-02 2012-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display method used in the terminal
KR100817811B1 (ko) * 2006-11-10 2008-03-3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맞춤형 메뉴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701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1504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US9172789B2 (en) Contextual search by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3082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ed interface design
US7778671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US20040053605A1 (en) Computing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for menus
KR20130071529A (ko) 카테고리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07825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10045292A (ko) 리스트 검색 지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931089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qwerty key layout and method of setting and inputting symbol therein
KR10061770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US20080104036A1 (en) Mobile phone capable of building a quick launch item according a search result and related method
KR20030009853A (ko)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KR1003903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JP5363420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551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편집 방법
KR100656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이동 방법
KR10043406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최근 메뉴 설정 방법
KR20020061958A (ko) 복수의 개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한 멀티 비전 표시방법
US87072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67260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목록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위한 휴대용 단말기
EP3109755A1 (en) Activation of functions through dynamic association of attributes and functions and attribute-based selection of functions
KR2007011300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EP17646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JP5431407B2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311083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