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853A -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853A
KR20030009853A KR1020010044503A KR20010044503A KR20030009853A KR 20030009853 A KR20030009853 A KR 20030009853A KR 1020010044503 A KR1020010044503 A KR 1020010044503A KR 20010044503 A KR20010044503 A KR 20010044503A KR 20030009853 A KR20030009853 A KR 2003000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earch
retrieved
mobile phone
sear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9853A/ko
Publication of KR2003000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메뉴검색방법에 있어서, 메뉴검색 모드(Mode)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메뉴의 전체 또는 일부의 글자나 숫자를 검색어로 입력하면, 입력된 상기 검색어가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검색된 적이 있으면 상기 검색결과 저장메뉴에서 검색을 하고, 검색된 적이 없으면 휴대폰에 입력되어있는 모든 메뉴에서 검색을 실시한 후, 검색된 메뉴의 최상위 메뉴부터 상기 검색된 메뉴까지 각 메뉴에 번호를 부가하여 트리(Tree)구조로 화면에 표시하게 되면, 방향키로 커서를 이동시켜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지시하고 지시된 상기 메뉴를 선택키로 선택하거나, 각 메뉴에 부가된 번호를 숫자키로 선택하여 메뉴를 실행함으로써, 복잡한 메뉴구조에서 원하는 메뉴를 빠르고 용이하게 검색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Method for searching menu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메뉴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의여러 가지 메뉴 중에서 특정 메뉴를 찾고자 할 때 메뉴검색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의 전체 혹은 일부의 글자나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이름의 메뉴 및 이와 유사한 이름을 가진 다수의 메뉴를 찾아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메뉴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의 기능은 단순히 전화기의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스케줄이나 전화번호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전자계산기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전자수첩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휴대폰 자체에 무선 네트워킹 구조를 탑재함으로써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검색, 전자메일 활용, 온라인 게임, 채팅 등이 가능해지는 등 휴대폰 기능의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휴대폰의 메뉴에 있어서도 구조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져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찾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게된다.
다음은 종래의 휴대폰에서의 메뉴선택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의 메뉴선택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100단계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메뉴키 입력 여부를 102단계에서 체크한다. 메뉴키 입력이 있는 경우, 104단계에서 제조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초기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커서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하는지를 106단계에서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108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의 해당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한다. 상기 108단계의 동작을 통해 원하는 해당 메뉴의 검색이 이루어지고, 110단계에서 원하는 메뉴의 선택이 있으면 112단계로 넘어간다. 그리고 상기 106단계에서 숫자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는, 표시되는 메뉴에 있어 지정된 인덱스 숫자의 해당 숫자를 입력한 경우가 되므로, 이 경우에는, 107단계에서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메뉴의 선택을 이루고, 상기 112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112단계에서는 선택된 메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휴대폰의 메뉴구성을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폰의 메뉴구성 테이블을 참조하여 종래의 메뉴검색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구성을 가진 휴대폰은, 메뉴키를 입력하게 되면 전화번호부, 네트워크, 수신상태, 전자수첩이라는 4개의 메뉴가 나타나고, 이 중에서 어느 한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속해있는 다수의 하위메뉴가 나타나며, 표시된 하위메뉴 중에서 또다시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게되면 선택된 하위메뉴에 속해있는 또 다른 하위메뉴들이 나타나게 되는 형식의 순차적 메뉴검색 방법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뉴구성을 가진 휴대폰을 실시예로 들어 메시지쓰기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메뉴키를 입력하여 나타난 도 3a와 같은 메뉴에서 방향키 또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메뉴를 선택하면 도 3b와 같은 하위메뉴가 나타나고, 도 3b의 메뉴에서 수신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면 도 3c와 같이 다음단계의 하위메뉴가나타나며, 도 3c의 메뉴에서 발신메시지를 선택하면 도 3d와 같은 실행메뉴가 나타나는데, 원하는 어느 하나의 실행메뉴를 선택하게되면 선택된 실행메뉴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메뉴검색 방법에 의한 메뉴검색은 하위메뉴의 종류와 단계가 많을수록 많은 키 조작이 요구되어 메뉴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원하는 실행메뉴가 어느 메뉴의 하위에 있는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 단 한번의 검색으로 원하는 메뉴를 찾은 경우이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실행메뉴가 어느 메뉴의 하위에 속해 있는지를 모르는 경우에는 최상위 메뉴에서 하위메뉴를 거쳐 실행메뉴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검색실행을 원하는 실행메뉴를 찾을 때까지 수 차례 반복해야 하므로 메뉴검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검색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에서의 메뉴를 검색하는 메뉴검색 방법에 있어서 찾고자하는 메뉴의 전체 또는 일부의 글자나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검색어와 일치하거나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메뉴를 검색하여 검색된 메뉴의 최상위 메뉴부터 검색된 메뉴까지 트리구조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복잡한 메뉴구조에서 원하는 메뉴를 단시간 내에 쉽게 찾을 수 있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의 메뉴선택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휴대폰의 메뉴구성을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뉴구성을 가진 휴대폰에 있어, 메시지쓰기 메뉴를 검색하는 종래의 메뉴검색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뉴구성을 가진 휴대폰에 있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뉴검색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커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은, 메뉴검색 모드(Mode)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메뉴의 전체 또는 일부의 글자나 숫자를 검색어로 입력하는 1단계와; 입력된 상기 검색어가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검색된 적이 있으면 상기 검색결과 저장메뉴에서 검색을 하고, 검색된 적이 없으면 휴대폰에 입력되어있는 모든 메뉴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2단계와; 검색된 메뉴의 최상위 메뉴부터 상기 검색된 메뉴까지 각 메뉴에 번호를 부가하여 트리(Tree)구조로 화면에 표시하는 3단계와; 방향키로 커서를 이동시켜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지시하고 지시된 메뉴를 선택키로 선택하거나, 각 메뉴에 부가된 번호를 숫자키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4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2단계에서, 메뉴 검색은, 입력된 검색어와 일치하거나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목을 가진 메뉴만 골라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입력된 검색어가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폰에 입력되어있는 모든 메뉴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메뉴검색 실시 후 입력된 검색어와 검색결과를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저장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400단계에서 메뉴검색 모드를 선택하여 검색어 입력창을 화면에 나타내고, 402단계에서 찾고자 하는 메뉴 제목의 전체 또는 일부의 글자나 숫자를 입력하면 404단계에서 입력된 검색어가 기존에 검색된 적이 있는 검색어인지를 판단하여, 입력된 검색어가 기존에 검색된 적이 있는 경우에는 406단계로 넘어가고, 기존에 검색된 적이 없는 경우에는 408단계로 넘어간다. 406단계에서는 입력된 검색어를 검색결과 저장메뉴에서 검색하여 412단계로 넘어가게 되는데,상기와 같은 검색방법을 사용하게되면 휴대폰에 입력된 모든 메뉴를 검색할 필요없이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저장된 검색결과만을 검색함으로써 검색시간을 단축하게된다. 408단계에서는 입력된 검색어가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없는 경우이므로 휴대폰에 입력되어있는 모든 메뉴를 검색하고, 410단계에서 검색결과를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저장하여 412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412단계에서 검색된 메뉴의 최상위 메뉴부터 상기 검색된 메뉴까지 각 메뉴에 번호를 부가하여 트리구조로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커서를 부가하여 나타내며, 상기 커서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트리구조로 구성된 메뉴와 활성화된 커서를 화면에 나타낸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키를 입력하는지 또는, 숫자키를 입력하는지를 414단계에서 판단하고,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416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의 해당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하여 해당 메뉴를 지시하고, 418단계에서 지시된 메뉴를 선택하게되면 422단계로 넘어간다. 그리고 상기 414단계에서 숫자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는, 420단계에서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번호가 부가된 메뉴의 선택을 이루고, 상기 422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422단계에서는 선택된 메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선택된 메뉴가 트리구조의 최하위에 위치한 실행메뉴인 경우에는 해당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가 하나 이상의 하위메뉴를 갖는 비 실행메뉴인 경우에는 상기 비 실행메뉴가 포함하는 하위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선택된 메뉴의 하위메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종래의 메뉴검색 방법과 같이 방향키와 숫자키를 사용하여 메뉴를 선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뉴구성을 가진 휴대폰에 있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뉴검색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메뉴검색 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화면에 나타나는 검색어 입력대기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메뉴모드 선택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메뉴검색 모드를 선택하는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쓰기'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의 검색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쓰기'라는 글자를 포함하는 메뉴는 메시지쓰기 메뉴와 메일쓰기 메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쓰기 메뉴는 네트워크 메뉴의 하위메뉴 중 하나인 메시지관리 메뉴에 속해있는 발신메시지 메뉴에 속해있고, 상기 메일쓰기 메뉴는 네트워크 메뉴의 하위메뉴 중 하나인 E-mail 메뉴에 속해있으므로, 검색결과를 도 5b와 같이 트리구조로 나타냄으로써 검색된 메뉴인 메시지쓰기 메뉴와 메일쓰기 메뉴의 메뉴구성상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와같이 트리구조로 나타내는 검색결과에는 검색된 메뉴인 상기 메시지쓰기 메뉴와 상기 메일쓰기 메뉴뿐만 아니라 상기 메시지쓰기 메뉴의 상위메뉴인 발신메시지 메뉴, 메시지관리 메뉴, 네트워크 메뉴와, 메일쓰기 메뉴의 상위메뉴인 E-mail 메뉴, 네트워크 메뉴도 함께 표시되므로 원하는 메뉴의 메뉴구성상의 위치를 인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에는 각 번호를 부가하여 숫자키를 조작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방향키로 이동되고 선택키로 메뉴를 선택하는 커서(3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방향키와 상기 선택키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c는 도 5b의 상태에서 실행메뉴인 메시지쓰기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메시지쓰기 메뉴의 해당동작인 메시지입력 대기상태로 진입한 형상을 나타낸다.
전체 메뉴에서 네트워크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네트워크 메뉴의 하위메뉴인 메시지관리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메시지관리 메뉴의 하위메뉴인 발신메시지 메뉴를 선택한 후, 상기 발신메시지 메뉴에 속해있는 메시지쓰기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메시지쓰기 기능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최상위 메뉴에서부터 최하위 메뉴인 실행메뉴까지 한 단계씩 순차적으로 메뉴를 선택해 나가는 종래의 메뉴검색 방법을 사용할 경우 다섯 단계를 거쳐야 상기 메시지입력 대기상태로 진입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메뉴검색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세 단계만에 상기 메시지입력 대기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된다.
도 5d는 도 5b의 상태에서 하위메뉴를 갖는 비 실행메뉴인 발신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발신메시지 메뉴에 속해있는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종래의 메뉴검색방법을 통해 발신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도 3d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즉, 도 3d와 마찬가지로 도 5d에서도 방향키를 이용해 커서(300)를 이동함으로써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숫자키를 이용해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을 이용하면 복잡한 메뉴구조에서 원하는 메뉴의 검색이 용이해지고, 입력된 검색어가 기존에 검색된 적이 있는 경우에는 검색결과 저장메뉴에서 메뉴를 검색함으로써 메뉴검색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에 있어서,
    메뉴검색 모드(Mode)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메뉴의 전체 또는 일부의 글자나 숫자를 검색어로 입력하는 1단계;
    입력된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메뉴검색을 실시하는 2단계;
    검색된 메뉴의 최상위 메뉴부터 상기 검색된 메뉴까지 각 메뉴에 번호를 부가하여 트리(Tree)구조로 화면에 표시하는 3단계;
    방향키로 커서를 이동시켜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지시하고 지시된 상기 메뉴를 선택키로 선택하거나, 각 메뉴에 부가된 번호를 숫자키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메뉴검색은, 상기 입력된 검색어와 일치하거나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목을 가진 메뉴만 골라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메뉴검색은, 입력된 상기 검색어가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검색된 적이 있으면 상기 검색결과 저장메뉴에서 검색을 하고, 검색된 적이 없으면 휴대폰에 입력되어있는 모든 메뉴에서 검색을 실시한 후 검색결과를 검색결과 저장메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KR1020010044503A 2001-07-24 2001-07-24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KR20030009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503A KR20030009853A (ko) 2001-07-24 2001-07-24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503A KR20030009853A (ko) 2001-07-24 2001-07-24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853A true KR20030009853A (ko) 2003-02-05

Family

ID=2771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503A KR20030009853A (ko) 2001-07-24 2001-07-24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985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08B1 (ko) * 2001-10-31 2004-07-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중 작업을 위한 디스플레이구현/전환 방법
KR100454968B1 (ko) * 2001-11-1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방법
KR100704694B1 (ko) * 2006-02-13 2007-04-27 드림소프트(주) 휴대용 단말기의 검색방법 및 장치
KR100755942B1 (ko) * 2005-08-22 2007-09-06 기가 바이트 커뮤니케이션즈 인코퍼레이티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91577B1 (ko) * 2006-06-07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명령어 입력창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364821B1 (ko) * 2006-12-04 201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숫자키를 이용한 목록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US9200368B2 (en) 2004-05-12 2015-12-01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uniformity control by gas diffuser hole desig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376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메뉴 탐색 방법
KR20000000518A (ko) * 1998-05-29 2000-01-15 허진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20000045785A (ko) * 1998-12-30 2000-07-2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기능 제공 방법
KR20020011194A (ko) * 2000-08-01 2002-02-08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선택 방법
KR20020027892A (ko) * 2000-10-06 2002-04-1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18A (ko) * 1998-05-29 2000-01-15 허진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20000003376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메뉴 탐색 방법
KR20000045785A (ko) * 1998-12-30 2000-07-2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기능 제공 방법
KR20020011194A (ko) * 2000-08-01 2002-02-08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선택 방법
KR20020027892A (ko) * 2000-10-06 2002-04-1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08B1 (ko) * 2001-10-31 2004-07-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중 작업을 위한 디스플레이구현/전환 방법
KR100454968B1 (ko) * 2001-11-1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방법
US9200368B2 (en) 2004-05-12 2015-12-01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uniformity control by gas diffuser hole design
US10262837B2 (en) 2004-05-12 2019-04-16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uniformity control by gas diffuser hole design
KR100755942B1 (ko) * 2005-08-22 2007-09-06 기가 바이트 커뮤니케이션즈 인코퍼레이티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04694B1 (ko) * 2006-02-13 2007-04-27 드림소프트(주) 휴대용 단말기의 검색방법 및 장치
KR100791577B1 (ko) * 2006-06-07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명령어 입력창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364821B1 (ko) * 2006-12-04 201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숫자키를 이용한 목록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757B2 (en) Facet-based interface for mobile search
KR101224421B1 (ko) 바이트-바이-바이트 비교를 사용한 오브젝트의 검색 및제공
US73082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ed interface design
US20070124149A1 (en) User-defined speech-controlled shortcut module and method thereof
CN100470536C (zh) 用于自动完成合成字符的方法和设备
US20080189658A1 (en)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JP2004505369A (ja) メニュー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改善したコンピュータ装置
US20120072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keyword list
US68954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searching for information from a sorted data set
JP449741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相手選択発信方法
JP2005006120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KR20030009853A (ko) 휴대폰에서의 메뉴검색방법
US20080104036A1 (en) Mobile phone capable of building a quick launch item according a search result and related method
CN1816067B (zh) 信息终端
JP4373453B2 (ja) 携帯電話
US8001467B2 (en) Method of inputting letter in mobile terminal through extraction of proposed letter set
KR100417194B1 (ko) 이동 전화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556923B1 (ko)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휴대폰의 메뉴 선택 방법
KR10061770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구성 방법
JP2006120021A (ja) 問題解決支援装置、問題解決支援方法、及び問題解決支援プログラム
KR200400155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이동 방법
KR10045496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방법
KR200400099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최근 메뉴 설정 방법
JP2006301801A (ja) 問題解決支援装置および問題解決支援方法
JP2005228263A (ja) 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電話帳表示装置及び中国語文字データベース検索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