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27B1 -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 Google Patents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27B1
KR100846427B1 KR1020060102363A KR20060102363A KR100846427B1 KR 100846427 B1 KR100846427 B1 KR 100846427B1 KR 1020060102363 A KR1020060102363 A KR 1020060102363A KR 20060102363 A KR20060102363 A KR 20060102363A KR 100846427 B1 KR100846427 B1 KR 100846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long holes
bracket
til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823A (ko
Inventor
성 종 홍
동 익 김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틸트방향으로 제1장공(11a)(12a)이 각각 형성된 제1,2날개브라켓(11)(12)을 가지는 메인브라켓(10); 제1,2날개브라켓(11)(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텔레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21a)(22a)을 각각 가지며 일측이 부분 절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2탄성브라켓(21)(22)이 형성된 컬럼하우징(20); 컬럼하우징(20)에서 텔레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장공(21a)(22a)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장공(31a)(32a)이 형성된 슬라이딩컬럼(30); 슬라이딩컬럼(3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링(40);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1a)(21a)(31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회동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컬럼(30)의 텔레위치 및 컬럼하우징(20)의 틸트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레버캠부재(60); 및 제2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2a)(22a)(32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축지지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tilting and telescop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스티어링 컬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컬럼하우징과 슬라이딩컬럼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메인브라켓 11, 12 ... 제1,2날개브라켓
11a, 12a ... 제1장공 20 ... 컬럼하우징
21, 22 ... 탄성브라켓 21a, 22a ... 제2장공
30 ... 슬라이딩컬럼 31a, 32a ... 제3장공
40 ... 고정링 51, 52 ... 제1,2밀착편
60 ... 레버캠부재 61 .. 제1축부재
62 ... 제1캠 63 ... 제2캠
64 ... 레버 64a ... 손잡이
70 ... 축지지부재 71 .. 제2축부재
72 ... 축헤드
본 발명은 차량에서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틸트 및 텔레스코픽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은 가변 스티어링 휠의 일종으로서, 스티어링휠 각도를 가변시켜 운전자의 체격 및 운전자의 자세에 맞도록 하는 틸트 기능이나. 스티어링샤프트를 2중으로 하여 스티어링휠을 운전자쪽으로 당기거나 밀 수 있는 텔레스코픽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적인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은, 길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메인컬럼과, 그 메인컬럼으로부터 돌출되는 슬라이딩컬럼과, 양 단부가 절단되어 메인컬럼을 감싸는 컬럼브라켓과, 회동방향에 따라 컬럼브라켓을 조이는 레버캠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레버캠부재을 회동시킬 때 컬럼브라켓은 장공이 형성된 메인컬럼을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인컬럼은 슬라이딩컬럼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양 단부가 절단된 컬럼브라켓을 레버캠부재을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슬라이딩컬럼을 메인컬럼에 위치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컬럼브라켓의 탄성력이 작아지거나, 또는 주행중 차량 외 부의 충격에 의하여 컬럼브라켓이 벌어질 경우, 결과적으로 조임력이 느슨해지고 이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간이 지나거나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초기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컬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가 스티어링휠 측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틸트방향으로 제1장공(11a)(12a)이 각각 형성된 제1,2날개브라켓(11)(12)을 가지는 메인브라켓(10); 상기 제1,2날개브라켓(11)(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텔레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21a)(22a)을 각각 가지며 일측이 부분 절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2탄성브라켓(21)(22)이 형성된 컬럼하우징(20); 상기 컬럼하우징(20)에서 텔레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장공(21a)(22a)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장공(31a)(32a)이 형성된 슬라이딩컬럼(30); 상기 슬라이딩컬럼(3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링(40);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1a)(21a)(31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회동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컬럼(30)의 텔레위치 및 상기 컬럼하우징(20)의 틸트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레버캠부재(60); 및 상기 제2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2a)(22a)(32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축지지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캠부재(60)는, 상기 제1,2,3장공(11a)(21a)(31a)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4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축부재(61)와,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의 외측에서 상기 제1장공(11a)에 끼어져 비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축부재(61)가 관통되는 제1캠(62)과, 상기 제1축부재(61)에 대하여 회전될 때 상기 제1캠(62)을 상기 제1날개브라켓(11) 측으로 가압하는 제2캠(63)과, 상기 제1축부재(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캠(63)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캠(63)은 상기 레버(64)의 하단에 일체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64)의 손잡이(64a)는 스티어링(미도시)휠 측에 위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스티어링 컬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컬럼하우징과 슬라이딩컬럼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틸트방향으로 제1장공(11a)(12a)이 각각 형성된 제1,2날개브라켓(11)(12)을 가지는 메인브라켓(10)과; 제1,2날개브라켓(11)(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텔레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21a)(22a)을 각각 가지며 일측이 부분 절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2탄성브라켓(21)(22)이 형성된 컬럼하우징(20)과; 컬럼하우징(20)에서 텔레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장공(21a)(22a)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장공(31a)(32a)이 형성된 슬라이딩컬럼(30)과; 슬라이딩컬럼(3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링(40)과;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1a)(21a)(31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회동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컬럼(30)의 텔레위치 및 상기 컬럼하우징(20)의 틸트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레버캠부재(60)와; 제2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2a)(22a)(32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축지지부재(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텔레방향이라 함은, 슬라이딩컬럼(30)이 컬럼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텔레위치라 함은 슬라이딩컬럼(30)이 컬럼하우징(20)으로부터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위치를 의미한다. 또, 틸트방향이라 함은 텔레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컬럼하우징(20)이 움직이는 방향을 의미하고, 틸트위치라 함은 컬럼하우징(20)이 메인브라켓(10)의 제1장공(11a)(12a)을 따라 움직인 위치를 의미한다.
메인브라켓(10)은 제1,2날개브라켓(11)(12)을 가짐으로써, 단면이 전체적으 로 "ㄷ"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1,2날개브라켓(11)(12)에 형성된 제1장공(11a)(12a)은 틸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컬럼하우징(20)에 형성된 제2장공(21a)(22a)은 텔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장공(21)(22a)이 각각 형성된 제1,2탄성브라켓(21)(22)은 컬럼하우징(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때 제1,2탄성브라켓(21)(22)중 하나 또는 2개 모두의 일부분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하우징(20)으로부터 절개홈(21b)에 의하여 절개되어 있는데, 절개홈(21b)을 형성함으로써 절개홈(21b) 사이에 있는 탄성브라켓을 가압되었을 때 컬럼하우징(20)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압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탄성브라켓(21)만이 절개홈(21b)에 의하여 부분 절개되어 있다.
슬라이딩컬럼(30)에 형성된 제3장공(31a)(32a)은 텔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링(40)은 슬라이딩컬럼(30)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하며, 제3장공(31a)(32a)으로 연통되는 한쌍의 나사공(41a, 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공(41a, 42a)에는 후술하는 제1축부재(61) 및 제2축부재(71)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링(4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1a)(21a)(31a) 및 제1밀착편(51)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캠부재(60)이 체결되며, 상기 고정링(4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2a)(22a)(32a) 및 제2밀착편(52)을 관통하여 상기 축지지부재(70)가 체결되도 록 구성해도 좋다.
제1,2밀착편(51)(52)의 일측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슬라이딩컬럼(3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컬럼하우징(20)의 제1,2탄성브라켓(21)(2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편편한 면 또는 곡면이 가공 형성되도록 함이 좋다.
레버캠부재(60)는, 제1,2,3장공(11a)(21a)(31a) 및 제1밀착편(51)을 관통하여 고정링(4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축부재(61)와, 제1날개브라켓(11)의 외측에서 제1장공(11a)에 끼어져 비회전되게 설치되며 제1축부재(61)가 관통되는 제1캠(62)과, 제1축부재(61)에 대하여 회전될 때 제1캠(62)을 제1날개브라켓(11) 측으로 가압하는 제2캠(63)과, 제1축부재(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캠(63)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을 위하여, 제2캠(63)과 레버(64)를 독립적인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캠(63)이 레버(64)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레버(64)의 손잡이(64a)는 스티어링휠측을 향하고 있음으로써, 차량 내부의 공간을 넓힐 수 있다.
축지지부재(70)는, 제1,2,3장공(12a)(22a)(32a) 및 제2밀착편(52)을 관통하여 고정링(40)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2축부재(71)와, 제2축부재(71)와 일체화됨으로써 제2날개브라켓(12)의 외측을 지지하는 축헤드(72)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와 같은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의 동작을 설명한다.
평소에는 손잡이(64a)가 상방으로 위치되고, 이 경우 제2캠(63)은 제1캠(62) 을 제1날개브라켓(11) 측으로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제1날개브라켓(11)과 제2날개브라켓(12) 사이를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날개브라켓(11)(12)과 제1,2탄성브라켓(21)(22)을 상호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탄성 작용을 하는 제1,2탄성브라켓(21)(22)이 상기 슬라이딩컬럼(30)의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1a)(21a)(31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된 제1축부재(61)의 견인작동에 따라 일측으로 견인됨과 동시에 제2축부재(71)를 통해 타측에 고정된 상기 고정링(40)이 타원형으로 강제적인 형상 변형을 일으키면서 상기 제1날개브라켓(11)과 제2날개브라켓(12)에 조임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 브라켓들에 상호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틸트위치 및 텔레위치에서, 슬라이딩컬럼(30)과 컬럼하우징(20)은 위치고정 된 상태로 유지된다.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가변하고자 할 경우, 손잡이(64a)를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레버에 의하여 제2캠(63)이 회전되면서 제1캠(62)은 제1날개브라켓(11)을 더 이상 가압하지 못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제1날개브라켓(11)과 제2날개브라켓(12) 사이가 벌어지게 되면서, 제1,2날개브라켓(11)(12)에 밀착된 제1,2탄성브라켓(21)(22)이 자체 탄성작용에 의하여 벌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제1,2탄성브라켓(21)(22)은 조임작동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컬럼하우징(20)은 제1,2날개브라켓(11)(12) 사이에서 틸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또한 슬라이딩컬럼(30)은 컬럼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몰입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스티어링휠의 틸트 및 텔레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틸트 및 텔레위치가 확정되면, 레버의 손잡이(64a)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술한 메 커니즘에 의하여 틸트 및 텔레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컬럼에 따르면, 제1날개브라켓으로부터 제1,2,3장공을 관통하여 고정링에 체결되는 레버캠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슬라이딩컬럼의 텔레위치 및 컬럼하우징의 틸트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거나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초기 조임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조임력이 풀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캠부재의 레버가 스티어링휠측을 향함으로써, 차량 내부공간을 넓힐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틸트방향으로 제1장공(11a)(12a)이 각각 형성된 제1,2날개브라켓(11)(12)을 가지는 메인브라켓(10);
    상기 제1,2날개브라켓(11)(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텔레방향으로 형성된 제2장공(21a)(22a)을 각각 가지며 일측이 부분 절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2탄성브라켓(21)(22)이 형성된 컬럼하우징(20);
    상기 컬럼하우징(20)에서 텔레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장공(21a)(22a)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장공(31a)(32a)이 형성된 슬라이딩컬럼(30);
    상기 슬라이딩컬럼(3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링(40);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1a)(21a)(31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회동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컬럼(30)의 텔레위치 및 상기 컬럼하우징(20)의 틸트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레버캠부재(60); 및
    상기 제2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2a)(22a)(32a)을 관통하여 고정링(40)에 체결되는 축지지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4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 공(11a)(21a)(31a)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캠부재(60)이 체결되며,
    상기 고정링(4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2a)(22a)(32a)을 관통하여 상기 축지지부재(70)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캠부재(60)는,
    상기 제1,2,3장공(11a)(21a)(31a)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4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축부재(61)와,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의 외측에서 상기 제1장공(11a)에 끼어져 비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축부재(61)가 관통되는 제1캠(62)과, 상기 제1축부재(61)에 대하여 회전될 때 상기 제1캠(62)을 상기 제1날개브라켓(11) 측으로 가압하는 제2캠(63)과, 상기 제1축부재(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캠(63)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63)은 상기 레버(64)의 하단에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5. 삭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하우징(20)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컬럼(30)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한쌍의 제1,2밀착편(51)(52)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링(4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1a)(21a)(31a) 및 제1밀착편(51)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캠부재(60)이 체결되며,
    상기 고정링(4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날개브라켓(11)으로부터 제1,2,3장공(12a)(22a)(32a) 및 제2밀착편(52)을 관통하여 상기 축지지부재(70)가 체결되고,
    상기 제1축부재(61)는 상기 제1,2,3장공(11a)(21a)(31a) 및 제1밀착편(5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40)의 일측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020060102363A 2006-10-20 2006-10-20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00846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363A KR100846427B1 (ko) 2006-10-20 2006-10-20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363A KR100846427B1 (ko) 2006-10-20 2006-10-20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823A KR20080035823A (ko) 2008-04-24
KR100846427B1 true KR100846427B1 (ko) 2008-07-16

Family

ID=3957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363A KR100846427B1 (ko) 2006-10-20 2006-10-20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3847B1 (en) * 2010-09-28 2013-03-06 Kongsberg Power Products Systems AB Steering column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277A (en) * 1995-03-30 1998-08-04 Nsk Ltd. Tilt type steering apparatus
JP2004082868A (ja) 2002-08-27 2004-03-18 Nsk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277A (en) * 1995-03-30 1998-08-04 Nsk Ltd. Tilt type steering apparatus
JP2004082868A (ja) 2002-08-27 2004-03-18 Nsk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823A (ko)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3950B2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位置調整装置
JP2008055982A (ja) 可動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10418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ガタ防止構造
US9428212B2 (en) Steering device
KR101032983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846427B1 (ko)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JP2008030542A (ja)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PL1679244T3 (pl) Urządzenie do regulowania kąta pochylenia kolumny kierownicy
JP610329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762607B2 (ja) 切断機の案内装置
JP200513882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623401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426884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480034B2 (ja) チルト及びテレスコープ操向装置
JP469438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622769B1 (ko) 스티어링 컬럼 틸트레버 해제시 반발력 완화 구조
KR100738381B1 (ko) 텔레스코픽 부쉬를 구비하지 않는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200716862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66485B1 (ko) 지게차용 조향장치
JP6338925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804578B1 (ko) 양방향 캠을 구비한 조향장치
JP2002067976A (ja) 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00114610A (ko) 차량 조향장치용 텔레레치구조
KR101132488B1 (ko)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97000773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