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43B1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43B1
KR100846243B1 KR1020070064970A KR20070064970A KR100846243B1 KR 100846243 B1 KR100846243 B1 KR 100846243B1 KR 1020070064970 A KR1020070064970 A KR 1020070064970A KR 20070064970 A KR20070064970 A KR 20070064970A KR 100846243 B1 KR100846243 B1 KR 10084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can
key input
key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6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다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및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중앙처리부는 현재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키입력부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1 스캔동작과, 상기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2 스캔동작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가 슬립 동작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슬립 모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키에 대해서만 스캔하고 그렇지 않은 그 외의 키들에 대하여는 스캔을 하지 않음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동작시 사용자가 단말기의 임의의 키를 무의식적으로나 장난으로 누르게 될 경우라도 해당 키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용 단말기, 휴대 단말기, 이동 통신 단말기, 핸드폰, 키패드, 슬립모드, 절전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Key Input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키 입력부의 회로 구성과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저장부
120 : 중앙 처리부 121 : 결정부
122 : 스캔 설정부 123 : 스캔부
124 :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
171 : 제1 키입력부 172 : 제2 키입력부
18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립(sleep)모드의 동작 시 전력의 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보통 외부시계기능을 가지고 있어 특정 키를 누르게 되는 경우 LCD 화면에 일정 시간동안 시계가 표시되는 기능이 구현되어있다. 하지만, 슬라이드형 단말기든 폴더형 단말기든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시계 기능을 위한 키 외에 다른 키들을 누르게 되면 아무 동작도 하지 않게끔 설계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알지 못하고 있지만 회로구조상 종래의 단말기들은 시계기능을 위한 키 외에 다른 키들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 다량의 전류가 소모될 수 밖에 없게끔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단말기 외부의 버튼을 누르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인지하지 못하지만 계속해서 배터리는 필요이상으로 전류가 소모되고 있는 것이 현 단말기들의 문제점이다.
또한, 가방속이나 주머니 속에서 키가 고정적으로 눌려져 있을 경우엔 더더욱 배터리가 다량으로 소비되어 단시간에 방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무의식적으로나 의도하지 않는 임의의 기능 키를 눌렀는데도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슬립(sleep)모드에서도 일정시간간격으로 키인식회로를 스캔(scan)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키인식회로는 매트릭스 구조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단말기가 사용중인 상태에서는 중앙처리부가 동작 중이기 때문에 키인식회로가 동작하는 데에 전혀 문제가 없다. 하지만 단말기를 사용 중이지 않을 때엔 단말기가 슬립(sleep)모드로 전환하게 되고 단말기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목적(Rx 신호 수신, 기지국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Tx송신 등등)외에는 전력소모가 이뤄지는 대부분의 동작들이 정지되게 된다. 이렇게 중앙 처리부가 현재 단말기의 모드가 슬립모드일 경우엔 특정 외부 인터럽트 없이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키 선택으로 인한 시계표시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정시간간격으로 키인식회로가 계속 스캔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인식회로가 매트릭스 구조이기 때문에 즉, 한 개의 키만 따로 스캔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시계표시기능 키 외의 키들을 선택하게되어도 중앙처리부에서 키 선택을 인식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전류가 소모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휴대 단말기가 슬립모드로 동작 시 필요치 않은 키입력에 의해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슬립모드로 동작 시 필요치 않은 키입력에 의해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다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슬립 모드 동작시, 상기 키입력부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1 스캔동작과, 상기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2 스캔동작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개별적인 키의 눌림 또는 터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키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키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 1 키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캔동작에는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제2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를 제외한 다른 키들에 상응하여 서로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키스위치와는 매트릭스상 분리되어 구성된 제2 키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캔동작은 상기 제1 스캔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슬립 모드 또는 대기모드의 실행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결정된 모드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1 선택신호와, 제1 스캔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의 입력 이 인식되는 경우 또는 결정된 모드가 상기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2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설정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선택된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여 임의의 키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키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이 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키입력도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은 다수의 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키입력을 처리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은 현재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키입력부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1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개별적인 키의 눌림 또는 터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키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스캔 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 1 키 스위치를 스캔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캔 동 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스캔 동작에는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제2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를 제외한 다른 키들에 상응하여 서로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키스위치와는 매트릭스상 분리되어 구성된 제2 키 스위치를 스캔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제1 스캔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2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여 임의의 키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인식된 해당 키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이 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키입력도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폰(PDA 폰) 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있어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부(110), 중앙 처리부(120), RF부(130), 음성 처리부(140), 스피커(150), 마이크로폰(160),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70) 및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10)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과 수신된 단문 메시지 및 전화번호 테이블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에는 각종 게임 응용 프 로그램,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MP3 재생 응용 프로그램, 카메라 촬영 응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10)는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처리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키입력부(170)중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1 스캔동작과, 제1 스캔 결과, 지정된 키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2 스캔동작을 수행한다.
중앙 처리부(120)는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여 임의의 키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슬립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키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120)는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이 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키입력도 인식되지 않는 경우 그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처리부(120)는 결정부(121), 스캔 설정부(122), 스캔부(123), 및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정부(121)는 중앙 처리부(120)에서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 또는 대기모드중에서 어떤 모드를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슬립 모드가 수행되면 단말기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목적(Rx 신호 수신, 기지국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Tx 송신 등등)외에는 전력 소모가 이뤄지는 대부분의 기능들은 정지되게 된다.
스캔 설정부(122)는 결정부(121)에 의해 결정된 모드가 슬립 모드인 경우, 제 1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1 선택신호와, 스캔 결과 지정된 키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또는 결정된 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 제2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2 선택신호를 생성한다.
스캔부(123)는 제1 또는 제2 선택신호에 따라 키입력부(170)로부터 선택된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키입력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스캔부(123)는 키입력부(170)의 각 키들로부터 키입력이 있는지를 알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20ms 간격으로 주기적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12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키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 실행명령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플랫폼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124)는 MP3 파일을 재생시키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구동된 플랫폼을 통해 선택된 MP3 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다.
RF부(130)는 중앙 처리부(120)에 의해 제어된다. RF부(130)는 무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의 신호가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향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중앙 처리부(120)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RF부(130)에서 중앙 처리부(12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들이 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RF부(130)는 중앙 처리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 처리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40)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 처리부(1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음성 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160)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140)는 RF부(13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150)로 출력하고, 스피커(SPK)(150)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키입력부(170)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로 구성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중앙 처리부(120)로 출력한다. 이때, 키입력부(170)의 키중에서 상기 지정된 키는 슬립 모드에서 스캔 대상이 된다. 상기 지정된 키 외에 다른 키들은 슬립 모드에서 스캔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때, 지정된 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슬립모드시에 외부시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정시간간격의 키 스캔이 꼭 필요하다. 예를 들어, 따라서 불필요한 키동작에 의한 전력소모를 막기 위해서는 슬립 모드시에 필요한 키와 불필요한 키들을 분리하고 키인식 알고리즘을 별도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키 그룹의 분리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분리할 수 도 있고, 하드웨어적으로도 분리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키입력부(170)는 개별적인 키의 눌림 또는 터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키스위치를 포함하는 키패드 또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키입력부(170)의 키스위치들은 슬립 모드시에 제1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1 키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키입력부(171)와, 제1 스캔동작에서는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2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지정된 키를 제외한 다른 키들에 상응하여 배열된 제2 키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2 키입력부(1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캔동작 시에 제2 스위치들뿐만 아니라 제1 키스위치도 스캔된다. 이를 위해 제1 키스위치와 제2 키스위치들은 분리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단말기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또한 수신 단문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입력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회로는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들의 슬라이드부에 구현된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스위치의 배치를 보여준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위치한 키배열도 다수 존재하지만, 도 2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키들을 선택했을 경우 전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이동 통신 단말기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키회로 구성을 도 시하였다. 도 2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키회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키 입력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 키 회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키 입력 방법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앙 처리부(120)는 키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기위해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20ms 주기로 스캔을 한다. 예를 들어, 20ms 주기로 B1~B4를 체크하여 해당 라인의 키(Key)가 A1~A3 라인(line)과 쇼트(short)가 되어있는지 체크를 하게 된다.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속도가 아무리 빠르다고 해도 20ms 미만으로 누를 수는 없기에 사용자가 임의로 불특정키를 여러 차례 선택하더라도 단말기들은 정확히 해당 키 인식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부(미도시됨)를 올려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사용할 때는 모든 키들이 특정 목적들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지만 슬라이드부를 내려서 단말기를 닫고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로 전환된 경우 단말기의 수많은 기능 중에 외부시계표시기능 같은 특정기능을 위해서만 키인식을 위한 스캔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키입력부(171)와 제2 키입력부(172)를 분리하여 매트릭스로 구성하면 불필요한 키 눌림에 의한 전류가 소모되 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키입력부(171)는 키스위치(SW106)로서 상기 지정된 키에 상응하는 OK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키는 제2 키입력부(172)는 예를 들어 키스위치(SW101):TU, 키스위치(SW102):KEY/MP3, 키스위치(SW103):MSG/CLR, 키스위치(SW104):STO, 키스위치(SW105):SND, 키스위치(SW107):MENU, 키스위치(SW108):UP, 키스위치(SW109):DOWN, 키스위치(SW110):LEFT, 키스위치(SW111):RIGHT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키매트릭스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되는 제1 키입력부(171)의 OK 버튼만 따로 다른 제2 키입력부(172)를 구성하는 각 키스위치들의 키매트릭스와 분리하여 구성하고 키 스캔은 B5 라인만 20ms 주기로 진행하고 B1~B4 라인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스캔을 중지하고 슬립 모드가 해제될 경우에만 스캔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 모드에서의 스캔 동작으로 B1~B4 라인은 스캔하지 않고 제1 키입력부(171)의 스캔을 위하여 B5 라인만 20ms 주기적으로 스캔을 수행하는 것은 제1 스캔동작이라 하고, B1~B5 라인 모두 스캔하는 것을 제2 스캔동작이라 한다.
이와 같이 슬립 동작시에 제1 스캔동작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임의의 키를 무의식적으로나 장난으로 선택하게 될 경우라도 지정된 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지정된 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의 입력은 중앙 처리부에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지정된 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들의 키 눌림에 의한 배 터리 소모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대조적인 구조를 가지는 비교예의 경우, 슬립 모드에 꼭 필요한 동작이 설정된 키(도 3의 OK 버튼)와 그 외의 키들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하여 모든 키가 같은 매트릭스로 구성되어있으면 불필요한 키가 눌렸을 경우에 해당 키에 설정된 키가 실행되지는 않더라도 해당 키에서 발생된 전류신호가 중앙 처리부에 전달되어 처리됨에 따라 결국 다량의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입력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정부(121)는 중앙 처리부(120)에서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 또는 대기모드중에서 어떤 모드를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 결정부(121)에 의해 슬립 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의 하나가 중앙 처리부(120)의 동작 모드로 결정되면, 스캔 설정부(122)는 결정된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
결정부(121)에 의해 결정된 모드가 슬립 모드인 경우, 제 1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1 선택신호를 생성한다(S3).
이에 따라, 스캔부(123)는 제1 선택신호에 따라 제1 키입력부(171)에 상응하는 B5 라인을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20ms 간격으로 스캔하는 제1 스캔동작을 수행한다(S4).
스캔부(123)에 의해 제1 스캔이 수행되는 동안에, 스캔 설정부(122)는 지정 된 키, 즉 제1 키입력부(171)의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판단 결과 제1 키입력부(171)로부터의 키입력이 있는 경우 스캔 설정부(122)는 제1 키입력부(171) 및 제2 키입력부(172)에 대한 스캔동작을 위한 제2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2 선택신호를 생성한다(S6).
이에 따라, 스캔부(123)는 제2 선택신호에 따라 제1 키입력부(171) 및 제2 키입력부(172)에 상응하는 B1~B5라인을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20ms 간격으로 스캔하는 제2 스캔동작을 수행하여 제1 키입력부(171) 및 제2 키입력부(172)로부터의 키입력을 인식한다(S7).
스캔부(123)에 의해 제2 스캔이 수행되는 동안에, 스캔 설정부(122)는 지정된 키, 즉 제1 키입력부(171) 또는 제2 키입력부(172)로부터 임의의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
판단 결과 제1 키입력부(171) 또는 제2 키입력부(172)로부터의 키입력이 있는 경우, 스캔 설정부(122)는 이를 결정부(121) 및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124)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결정부(121)는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124)는 해당 키의 기능을 수행한다(S9).
한편, 스캔 설정부(122)는 단계 S8에서의 판단 결과, 제1 키입력부(171) 또는 제2 키입력부(172)로부터 어떠한 키입력도 없는 경우 스캔 설정부(122)는 제1 키입력부(171)만에 대한 스캔동작을 위한 제1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1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S6의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에 따라, 슬립모드에서 제1 스캔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주기적으로 스캔되는 제1 키입력부와 슬립 모드시 스캔하지 않는 제2 키입력부로 구분하여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의 중앙 처리부는 동작모드가 슬립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슬립 모드인 경우 제1 키입력부로부터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제 1 스캔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제1 스캔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제1 키입력부가 아닌 제2 키입력부의 다른 키들이 눌린다고 하더라도 제2 키입력부의 키입력은 중앙 처리부에 입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슬립 동작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슬립 모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키에 대해서만 스캔하고 그렇지 않은 그 외의 키들에 대하여는 스캔을 하지 않음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임의의 키를 무의식적으로나 장난으로 누르게 될 경우라도 해당 키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해당 키의 입력이 중앙 처리부에 전달되지 않아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다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및
    슬립 모드 동작시, 상기 키입력부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1 스캔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 2 스캔동작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개별적인 키의 눌림 또는 터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키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키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 1 키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캔동작에는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제2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를 제외한 다른 키들에 상응하여 서로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키스위치와는 매트릭스상 분리되어 구성된 제2 키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캔동작은 상기 제1 스캔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슬립 모드 또는 대기모드의 실행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결정된 모드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1 선택신호와, 제1 스캔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또는 결정된 모드가 상기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스캔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2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설정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선택된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여 임의의 키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키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이 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키입력도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을 재수행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는 외부 시계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이며,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슬라이드형 단말기 외부의 슬라이드부의 키입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다수의 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키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키입력부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1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제2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개별적인 키의 눌림 또는 터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키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스캔 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 1 키 스위치를 스캔하고,
    상기 제2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스캔 동작에는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제2 스캔동작에 의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를 제외한 다른 키들에 상응하여 서로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키스위치와는 매트릭스상 분리되어 구성된 제2 키 스위치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여 임의의 키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인식된 해당 키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 및 그 외의 키들에 대해서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이 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키입력도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에 대해서만 키입력 여부를 스캔하는 동작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KR1020070064970A 2007-06-29 2007-06-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KR10084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970A KR100846243B1 (ko) 2007-06-29 2007-06-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970A KR100846243B1 (ko) 2007-06-29 2007-06-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243B1 true KR100846243B1 (ko) 2008-07-16

Family

ID=3982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970A KR100846243B1 (ko) 2007-06-29 2007-06-29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2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557A (ko) * 2001-01-08 2002-07-13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557A (ko) * 2001-01-08 2002-07-13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0990B2 (ja) 携帯端末
JP4584025B2 (ja) 機能表示装置、及び、機能表示プログラム
JP2007189753A (ja) 電話機
US20030119543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terchangeable user input module
JP2005102320A (ja) 無線電話機
JP3658182B2 (ja) 携帯電話端末
KR100846243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KR2009002292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된 이벤트의 처리 방법
KR100835962B1 (ko) 단말기의 입력신호 제어 방법
KR200600565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5451581B2 (ja) 携帯電話端末の消費電力を低減する方法
KR1004482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JP4563615B2 (ja) 携帯端末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2003316500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19980075312A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단말기
JP4531293B2 (ja) 携帯端末及び機能選択方法
KR2005007947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절전모드 전용키를 이용한 절전모드전환방법
KR10077088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JP2009182978A (ja) 携帯電話機
US2010032680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wo keypads
KR1008890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
KR20110133283A (ko)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JP2007201940A (ja) 移動通信端末、操作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600736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