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283A -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283A
KR20110133283A KR1020100052926A KR20100052926A KR20110133283A KR 20110133283 A KR20110133283 A KR 20110133283A KR 1020100052926 A KR1020100052926 A KR 1020100052926A KR 20100052926 A KR20100052926 A KR 20100052926A KR 20110133283 A KR20110133283 A KR 2011013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sensor
sensor unit
controller
acceleration
acceler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039B1 (ko
Inventor
심상보
금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가속도 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 알리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움직임 입력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움직임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종래의 만보계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보다 전류 소모를 절감시켜 만보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DOMETER FUNCTION FOR DECREASING CURRENT CONSUMPTION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최근 만보계(pedometer) 기능이 휴대 단말기에 도입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걸음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만보계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며, 가속도 센서가 생성하는 데이터 값을 통해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게 된다. 만보계 기능의 휴대 단말기에도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며, 휴대 단말기의 메인 프로세서는 가속도 센서가 생성하는 데이터 값을 판독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한다.
그런데 만보계 기능은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대기 상태(idle state)에서도 계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가 문제될 수 있다. 특히 메인 프로세서가 가속도 센서로부터 데이터 값을 판독하는 과정에서 전류 소모는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소모가 빠르게 진행되어 휴대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용량이 제한된 휴대 단말기에서 만보계 기능 실행 시 전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가속도 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 알리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움직임 입력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움직임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보계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입력 발생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가속도 센서부;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면 제어부 자체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고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알리며,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 자체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종래의 만보계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보다 전류 소모를 절감시켜 만보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17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부(13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가속도 센서부(130), 저장부(140), 입력부(150), 표시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고,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로의 물리적 접촉 또는 동작을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가속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며, 휴대 단말기(100)에 물리적 동작이 입력되면 동작 세기에 대응하는 x, y, z값을 갖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구동 시, 제어부(170)에 의해 구동 초기화 설정(initialization)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 입력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이 제어부(17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일반 모드(normal mode)와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에서 모드가 전환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일반 모드에서 제1샘플링(sampling)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전력 모드에서는 제2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2샘플링 주기는 제1샘플링 주기보다 긴 값에 해당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저전력 모드에서 제2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휴대 단말기(100)로의 움직임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부(130)는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의 x, y, z값이 기 설정된 임계 x, y, z 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100)로 움직임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속도 센서부(130)는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다시 제1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는 가속도 센서부(130) 자체의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일반 모드 상태에서 제어부(170)로부터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수신하면, 가속도 센서부(130) 자체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에 움직임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속도 센서부(130)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 후, 가속도 센서부(130)의 모드를 일반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는 모드 전환 없이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부(130)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의 x, y, z 값이 기 설정된 임계 x, y, z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때마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하게 된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만보계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가속도 센서부(130)가 움직임 입력 검출 시, 판단 기준이 되는 임계 x, y, z 값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제어부(170)가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는데 기준이 되는 임계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입력부(150)는 3*4 패드, Qwerty 패드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50)는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들(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DMB 방송 출력 기능 등)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키 입력 시, 만보계 기능 실행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표시부(16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60)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포함하는 만보계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메인 프로세서에 해당하며 베이스밴드 칩(baseband ch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70)는 만보계 기능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만보계 기능 수행 명령이 입력됨을 인식하면, 가속도 센서부(130)를 일반 모드로 구동시킨다. 이 때,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가 휴대 단말기(100)에 움직임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때 사용하는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을 가속도 센서부(130)에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가 생성하는 가속도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판독한다. 제어부(170)는 판독한 가속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걸음수를 연산하고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표시한다. 제어부(170)가 가속도 데이터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시키고, 제어부(170) 자체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 후,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를 다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가속도 센서부(130)도 다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 후,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가 생성하는 가속도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판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가 자체적으로 모드 전환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가속도 센서부(130)로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전송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수신한 후, 자체적으로 저전력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부(130)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가속도 센서부(130)의 모드 전환 없이, 제어부(170)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고, 제어부(17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가속도 센서부(130)에 알린다. 제어부(17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70) 자체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킨다. 만약 제어부(170)가 일반 모드 상태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170)의 일반 모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킨다.
이상으로 만보계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휴대 단말기(100)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만보계 기능 수행 시, 제어부(170)가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어부(170)가 판독된 가속도 데이터로 사용자의 걸음수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생략되어 있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만보계 기능 수행 명령 입력을 인식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에서 입력부(150)의 키를 통해 만보계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실행 키를 입력하면, 입력부(150)는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하며,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로부터 입력 신호 수신을 통해 만보계 기능 수행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한다.
만보계 기능 수행 명령의 입력을 인식하면, 제어부(170)는 202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를 구동시킨다.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인해 가속도 센서부(130)가 구동 중인 경우,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의 구동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70)는 가속도 데이터(130)를 일반 모드(normal mode)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를 구동할 때, 가속도 센서부(130)의 구동 초기화 설정(initializ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 초기화 설정 시, 제어부(170)는 저장부(140)로부터 가속도 센서부(130)가 휴대 단말기(100)로의 움직임 입력을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을 추출하여 가속도 센서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203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는 203단계에서 일반 모드로 구동하며 제1샘플링(sampling)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에 움직임이 입력되는 경우, 일정 값을 갖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0'값을 갖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가속도 데이터는 x, y, z 값으로 구성되며, x, y, z값은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움직임의 방향 및 세기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가속도 센서부(130)는 (0, 0, 0) 값의 가속도 데이터 값을 생성한다.
204단계에서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가 생성하는 가속도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판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16Hz 내지 20Hz의 주기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읽어온 가속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걸음수를 연산하고,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연산된 걸음수를 표시한다.
205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하여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가속도 센서부(130)는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임을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최초로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하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계속적으로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가 판독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판독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판단하고, 206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를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로 전환시킨다. 이 때, 제어부(170)는 본 발명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는 일반 모드와 저전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 설정될 수 있으며, 저전력 모드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는 일반 모드보다 샘플링 주기를 길게 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시킨 후, 207단계에서 제어부(170) 자체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70)는 일반 모드와 슬립 모드 사이에서 전환 설정될 수 있으며, 일반 모드에서 제어부(170)는 가속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며, 슬립 모드에서 제어부(170)는 가속도 데이터 판독 과정을 중지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저전력 모드로 전환된 후, 제1샘플링 주기보다 긴 제2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70)는 슬립 모드로 전환된 후, 제어부(17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가속도 센서부(130)로 알리고,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의 가속도 데이터 판독 과정을 중지한다.
이 후, 가속도 센서부(130)는 208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로의 움직임 입력을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면 휴대 단말기(100)로 움직임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2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의 x, y, z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 (xt, yt, zt)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은 가속도 센서부(130)가 최초 구동할 때 제어부(17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인 경우, 가속도 센서부(130)는 (0, 0, 0)인 가속도 데이터 값을 생성하며, 기 설정된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 (xt, yt, zt)과 비교하고, (xt, yt, zt) 이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움직임이 입력되면, 가속도 센서부(130)는 소정의 값을 갖는 가속도 데이터 값 (x1, y1, z1)을 생성한 후, 기 설정된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 (xt, yt, zt)과 비교한다. (x1, y1, z1)이 (xt, yt, zt)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가속도 센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에 움직임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후, 가속도 센서부(130)는 209단계에서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후, 210단계에서 제어부(170)의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킨다. 또한 제어부(170)는 211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킨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일반 모드로 전환된 후, 212단계에서 제1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70)는 일반 모드로 전환된 후, 213단계에서 가속도 데이터 판독 과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는 가속도 센서부(130) 자체의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206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전송하며, 가속도 센서부(130)는 명령 수신 후, 가속도 센서부(130) 자체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부(130)가 208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로의 움직임 입력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 후, 가속도 센서부(130) 자체를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가 가속도 센서부(13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211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는 모드 전환 없이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가 가속도 센서부(13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206단계는 생략되며, 제어부(170)는 207단계에서 제어부(170) 자체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 후 슬립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가속도 센서부(130)로 알린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휴대 단말기(100)로의 움직임 입력을 감지할 때마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70) 자체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며, 일반 모드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170)의 일반 모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하고 가속도 데이터 판독 과정을 중지하고,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 가속도 데이터 판독 과정을 개시하기 때문에, 제어부(170)가 지속적으로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면 가속도 센서부(130) 자체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17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301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만보계 기능 수행 명령이 입력됨을 인식하면, 302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를 구동시킨다. 가속도 센서부(130)의 모드는 일반 모드와 저전력 모드로 설정 가능하며, 제어부(170)는 302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구동시킨다. 이 때,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가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 검출 시 사용하는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을 저장부(140)로부터 추출하여 가속도 센서부(130)에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303단계에서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가 생성하는 가속도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판독한다. 제어부(170)는 판독한 가속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걸음수를 계산하고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출력한다.
304단계에서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읽어오는 가속도 데이터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후, 제어부(170)는 30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최초로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하면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판독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306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시키고, 307단계에서 제어부(170) 자체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 제어부(17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의 가속도 데이터 판독 과정을 중지한다.
이 후, 제어부(170)는 308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309단계에서 제어부(170) 자체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310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 후, 제어부(170)는 311단계에서 가속도 데이터 판독 과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가 자체적으로 모드 전환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70)는 30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306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수신한 후, 자체적으로 모드 전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부(130)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170)는 30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306단계를 생략하고, 307단계에서 제어부(170) 자체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고, 슬립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가속도 센서부(130)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308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309단계에서 제어부(170)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킨 후, 310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제어부(170)가 일반 모드 상태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170)의 일반 모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부(13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401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1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일반 모드로 구동되며, 일반 모드에서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1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후, 가속도 센서부(130)는 402단계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모드가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어부(170)로부터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수신하면, 자체적으로 모드를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저전력 모드로 전환한 후, 403단계에서 제2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2샘플링 주기는 제1샘플링 주기보다 긴 값에 해당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 이상의 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부(130)는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의 x, y, z값이 기 설정된 임계 x, y, z 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 가속도 데이터 값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가속도 센서부(130)는 405단계에서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가속도 센서부(130)는 406단계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일반 모드로 전환되고, 407단계에서 제1샘플링 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 센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가 아닌 자체적으로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30)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402단계 및 406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처리부
130 : 가속도 센서부
140 : 저장부
150 : 입력부
160 : 표시부
170 : 제어부

Claims (14)

  1. 가속도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가속도 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 알리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움직임 입력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움직임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 전환을 알리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하여 판독하면, 상기 제어부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 알리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 전환을 알리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입력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의 x, y, z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이전,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제1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수신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부가 상기 제1주기보다 긴 제2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8. 만보계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입력 발생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가속도 센서부;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면 제어부 자체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고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알리며,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 자체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x, y, z 값이 (0, 0, 0)인 가속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판독하면 상기 제어부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슬립 모드 전환을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지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부는
    생성된 가속도 데이터의 x, y, z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 후, 가속도 데이터 판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부는
    일반 모드에서 제1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제1주기보다 긴 제2주기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52926A 2010-06-04 2010-06-04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64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26A KR101647039B1 (ko) 2010-06-04 2010-06-04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26A KR101647039B1 (ko) 2010-06-04 2010-06-04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83A true KR20110133283A (ko) 2011-12-12
KR101647039B1 KR101647039B1 (ko) 2016-08-09

Family

ID=455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926A KR101647039B1 (ko) 2010-06-04 2010-06-04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660A (ko) * 2012-07-18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허브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811A (ko) * 2003-04-30 2004-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만보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044206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9267886A (ja) * 2008-04-26 2009-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端末及び移動端末の位置情報取得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プログラム
JP2009296097A (ja) * 2008-06-03 2009-12-17 Toshiba Corp 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811A (ko) * 2003-04-30 2004-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만보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044206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9267886A (ja) * 2008-04-26 2009-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端末及び移動端末の位置情報取得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プログラム
JP2009296097A (ja) * 2008-06-03 2009-12-17 Toshiba Corp 携帯端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660A (ko) * 2012-07-18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허브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10096135A (zh) * 2012-07-18 2019-08-06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传感器集线器的移动设备以及控制该设备的方法
US11194376B2 (en) 2012-07-18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with sensor hub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CN110096135B (zh) * 2012-07-18 2022-08-05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传感器集线器的移动设备以及控制该设备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39B1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519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otion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346236B2 (en) Method for switching call mode of a mobile device and related mobile device capable of switching call mode automatically
US20100079508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CN108900231B (zh) 动态天线调整方法及相关产品
KR20100032660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1171894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CN101931686A (zh) 可自动切换通话模式的移动装置及切换通话模式的方法
CN108881778B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视频输出方法及可穿戴设备
CN108833683B (zh) 动态天线调整实现方法及相关产品
KR20120061122A (ko)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20074648A (ko) 전자기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638050B1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18272B1 (ko) 단말기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647039B1 (ko)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JP5176395B2 (ja) 携帯電子機器
CN107391732B (zh) 应用程序的功能引导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2367425B (zh) 一种音量调节方法、装置及终端
JP5397244B2 (ja) 携帯端末
JP7026728B2 (ja) 電子機器
EP3499857A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132282B (zh)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应用处理器唤醒方法及装置
CN110618798A (zh) 多屏显示的方法、多屏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EP210147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995405B2 (ja) 携帯電子機器、表示切替方法及び表示切替プログラム
CN109167876B (zh) 信号处理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