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050B1 -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050B1
KR101638050B1 KR1020090124846A KR20090124846A KR101638050B1 KR 101638050 B1 KR101638050 B1 KR 101638050B1 KR 1020090124846 A KR1020090124846 A KR 1020090124846A KR 20090124846 A KR20090124846 A KR 20090124846A KR 101638050 B1 KR101638050 B1 KR 10163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e
user
portable terminal
low pow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027A (ko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050B1/ko
Priority to US12/968,701 priority patent/US9098275B2/en
Publication of KR2011006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oftware initiated power-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력 소모가 많은 고 성능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저 전력 모드가 활성화되는 과정; 상기 저 전력 모드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중 일부를 제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기 설정된 설정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 저력 모드를 실행하는 스위치를 외부에 실장하여 저 전력 모드를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 전력 모드 시 제한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어 저 전력 모드에서 기능 제한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배터리, 저 전력, 토글 스위치, 전력 제어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 성능의 휴대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과 함께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 예컨대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사진 촬영 기능, 음악 감상 기능,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능, 이메일(E-mail) 서비스 기능,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멀티 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표시부의 크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명암비, 휘도, 시야각, 응답 속도, 색 재현성 등이 향상된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와이파이(Wi-Fi) 모듈, 위치 찾기 서비스를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하는 고 성능의 휴대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고 성능의 휴대 단말기는 전류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고 성능의 휴대 단 말기에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 성능의 휴대 단말기에서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저 전력 모드를 용이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 전력 모드 시 제한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 전력 모드가 활성화되는 과정; 및 상기 저 전력 모드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중 일부를 제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기 설정된 설정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시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기 설정된 설정 값 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 저력 모드를 실행하는 스위치를 외부에 실장하여 저 전력 모드를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 전력 모드 시 제한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어 저 전력 모드에서 기능 제한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고성능의 휴대 단말기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 폰, 휴대 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 P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저 전력 모드"는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일반적인 사용 환경보다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설정된 모드이다. 상기 저 전력 모드는 휴대 단말기 제조 시 디폴트로 제공하는 설정 값이 적용되는 최소 전력 모드와 사용자가 설정하여 저장한 설정 값이 적용되는 사용자 전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50), 입력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메인 표시부(131) 및 보조 표시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140)는 스위치(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이하 기지국)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RF 수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시 전력 소모가 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및 화상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AM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140)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사용자 전력 모드 활성화 시 제한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메인 표시부(131)과 보조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부(131)는 비교적 큰 크기 예컨대 3인치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부(131)는 LCD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큰 AMOLE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부(131)는 저 전력 모드 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표시부(131)는 저 전력 모드 시 최소 밝기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밝기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부(132)는 비교적 작은 크기 예컨대 1인치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전력 소모가 작은 LC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부(132)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흑백 LC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부(131)는 최소 전력 모드 시 활성화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 전력 모드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140)는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종료 등을 요청하는 종료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의 버튼식 키패드, 쿼티 방식의 버튼식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40)는 스위치(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41)는 저 전력 모드를 활성화 하는 스위치이다. 이러한 스위치는 상기 저 전력 모드를 별도의 조작없이 빠르고, 용이하게 실행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41)는 노멀(Normal) 모드, 최소 전력 모드 및 사용자 전력 모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3단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141)는 3단계로 동작하는 토글 스위치, 슬라이딩 스위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멀 모드, 최소 전력 모드 및 사용자 전력 모드에 대한 설명은 제어부(110)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 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최소 전력 모드 시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되는 설정값(이하 최소 전력 모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사용자 전력 모드 활성화 시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되는 설정값(이하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부(120)는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저 전력 모드에서 제한되는 기능을 저장한 데이터로, 전원이 차단되는 장치(예컨대 카메라 모듈, 키 패드의 LED,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bro) 모듈, GPS 모듈, 터치 센서 모듈 등) 및 제한되는 기능(예컨대, 화상 통화, 멀티미디어(동영상, 음악) 재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값은 표시부(130)의 밝기, 벨소리 크기, 통화 음량 크기, 기지국 서칭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저 전력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최소 전력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전압의 임계치(예컨대 3.3V)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배터리의 잔량 즉, 배터리 전압을 다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레벨별로 제한되는 기능을 달리하여 매핑한 배터리 레벨별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배터리 전압이 3.3V 이하인 1레벨에서는 최소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3.3V 초과 3.8V 이하인 2레벨에서는 사용자 전력 모드로 동작하며, 3.8V 초과인 3레벨에서는 노멀 모드 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3 단계 이상으로 배터리 레벨을 분류하고, 각 레벨별로 제한되는 기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모드(노멀 모드, 최소 전력 모드, 사용자 전력 모드)에 따라 기 설정된 설정값을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 시킬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저 전력 모드에서 제한되는 기능을 저장한 데이터이다.
여기서, 상기 노멀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를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 사용하는 모드이다. 즉, 상기 노멀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기능 제한없이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전력 모드는 수신 기능(통화 요청, 문자 메시지 등)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제한하여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최소 전력 모드가 활성화 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표시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표시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키 패드의 LED(Light-Emitting Diode), 카메라 모듈(미도시), 와이파이(Wi-Fi) 모듈(미도시), 와이브로(Wibro) 모듈(미도시), 터치 센서 모듈(미도시),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미도시) 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기능(예컨대 화상 통화, 멀티 미디어 재생, 디지털 방송 재생 등)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소모가 큰 화상 통화 기능을 제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화상 통화가 제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0)에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상대방 단말기에게 화상 통화가 불가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3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부(131)와 보조 표시부(132)를 포함하는 경우 최소 전력 모드 구동 시 전력 소모가 적은 보조 표시부(131)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전력 모드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만을 제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모드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 취향에 따라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주기적으로 시각을 체크하여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저 전력 모드 구동 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구동 시간 동안 휴대 단말기(100)를 저 전력 모드(최소 전력 모드, 사용자 전력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치(예컨대 3.3V) 이하가 되는 경우 최소 전력 모드를 구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다수의 단계로 구분된 배터리의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레벨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배터리 레벨별 매핑 정보를 토대로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 절차를 완료하고, 대기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201 단계에서 저 전력 모드가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저 전력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한하여 일반적인 사용 환경보다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설정된 모드이다. 상기 저 전력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 제조 시 디폴트로 제공하는 최소 전력 모드 설정 값이 적용되는 최소 전력 모드와 사용자가 설정하여 저장한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 값이 적용되는 사용자 전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전력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에 실장된 스위치(141)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저 전력 모드를 별도의 조작없이 용이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41)는 노멀 모드, 최소 전력 모드, 사용자 전력 모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3단 토글 스위치 또는 3단 슬라이딩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 전력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203 단계로 진행하여 최소 전력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소 전력 모드인 경우 제어부(110)는 205 단계로 진행하여 최소 전력 모드 설정값을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전력 모드 설정값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203 단계에서 최소 전력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10)는 207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을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은 사용자가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209 단계에서 전력 모드가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모드가 변경되면, 제어부(110)는 2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변경된 전력 모드에 따른 설정값을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다. 반면에 전력 모드가 변경되지 않으면, 제어 부(110)는 211 단계로 진행하여 저 전력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노멀 모드가 실행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저 전력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209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고, 저 전력 모드가 종료되면 213 단계로 진행하여 노멀 모드 설정값을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215 단계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종료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201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예컨대 3.3V) 이하인 경우 최소 전력 모드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다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레벨별로 제한되는 기능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저 전력 모드 구동 시간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기(100)를 저 전력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의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화면 예시도 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301 단계에서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식별 부호 4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사용자는 메뉴 기능 실행 시 표시부(130)에 출력되는 메뉴 화면에서 입력부(140) 조작을 통해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401)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의 형성된 경우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401)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401)가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3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리스트 형태(이하 기능 리스트)로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식별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기능(블루투스, 메인 표시부, 보조 표시부 등)의 온(ON)/오프(OFF)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305 단계에서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특정 기능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40) 조작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특정 기능에 대한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기능의 오프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의 전원 차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07 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하여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하위 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315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상기 하위 메뉴가 존재하면, 제어부(110)는 309 단계로 진행하여 하위 메뉴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의 식별 부호 4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메인 표시부(131)를 온시키도록 선택한 경우 상기 메인 표시부(131)의 밝기를 선택하는 하위 메뉴 리스트(402)를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11 단계에서 특정 하위 메뉴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식별 부호 4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140) 조작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메인 표시부(131)의 밝기를 2 단계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13 단계에서 하위 메뉴 선택 완료 신호가 입력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하위 메뉴 선택 완료 신호는 확인 소프트키(450)에 할당된 입력부(140)의 특정키 입력 또는 확인 소프트키(450) 영역의 터치 감지 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하위 메뉴 선택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특정 기능 선택 화면을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하위 메뉴 선택 완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309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315 단계에서 특정 기능 선택 완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완료 신호는 도 4의 식별 부호 4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소프트 키(460) 영역 터치 감지 시 또는 저장 소프트 키(460)에 할당된 입력부(140)의 특정키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완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305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특정 기능 선택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31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을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는 저 전력 모드를 구동하는 구동 시간 설정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는 배터리 레벨별로 제한되는 기능을 다르게 설정하는 구 간별 기능 설정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간별 기능 설정 메뉴는 최소 전력 모드를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임계치 설정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온/오프하는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 저력 모드를 실행하는 스위치를 외부에 실장하여 저 전력 모드를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 전력 모드 시 제한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어 저 전력 모드에서 기능 제한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의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화면 예시도.

Claims (15)

  1.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 전력 모드가 활성화되는 과정;
    상기 저 전력 모드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중 일부를 제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기 설정된 설정값을 적용하는 과정; 및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과정;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기능에 대한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기능에 대한 온 또는 오프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으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능에 대한 오프는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의 전원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모드는
    통화 요청 및 문자 메시지 수신을 위한 최소 기능만 동작하는 최소 전력 모드;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값에 따라 동작하는 사용자 전력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배터리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최소 전력 모드가 활성화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단계로 구분된 배터리 레벨에 따라 제한되는 기능을 다르게 설정하여 배터리 레벨별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배터리 레벨별 매핑 정보를 추출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저 전력 모드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시 화상 통화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7.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시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기 설정된 설정 값을 적용하고,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전력 관리 메뉴 실행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기능에 대한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 기능에 대한 온 또는 오프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전력 모드 설정값으로서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기능에 대한 오프는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의 전원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저 전력 모드 활성화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노멀 모드, 수신 기능을 위한 최소 기능만 동작하는 최소 전력 모드 및 제한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전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3단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력 모드 시 제한하고자 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전력 관리 메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 전력 모드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저 전력 모드 구동 시간을 더 저 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다수의 단계로 구분된 배터리 레벨에 따라 제한되는 기능을 다르게 설정한 배터리 레벨별 매핑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최소 전력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 시 전원이 온되고, 상기 최소 전력 모드 시 전원이 오프되고, 상기 사용자 전력 모드 시 선택적으로 전원이 오프되며,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큰 메인 표시부; 및
    상기 최소 전력 모드 시 구동되고, 상기 메인 표시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며, 전력 소모가 적은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모드 시 화상 통화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KR1020090124846A 2009-12-15 2009-12-15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3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846A KR101638050B1 (ko) 2009-12-15 2009-12-15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968,701 US9098275B2 (en) 2009-12-15 2010-12-1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846A KR101638050B1 (ko) 2009-12-15 2009-12-15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027A KR20110068027A (ko) 2011-06-22
KR101638050B1 true KR101638050B1 (ko) 2016-07-08

Family

ID=4414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846A KR101638050B1 (ko) 2009-12-15 2009-12-15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98275B2 (ko)
KR (1) KR101638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8530B2 (en) * 2012-12-03 2016-07-19 Nec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20140267325A1 (en) * 2013-03-14 2014-09-1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detecting display properties
US9552042B2 (en) * 2013-08-02 2017-01-24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es on a touch-sensitive display
US10354579B2 (en) 2016-06-21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mporarily increased refresh rate for a display panel in low power mode
KR200491755Y1 (ko) * 2019-02-21 2020-06-04 이동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절약 장치
JP7172874B2 (ja) * 2019-06-21 2022-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672C (fi) * 1992-04-24 1997-07-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Radiojärjestelmä
EP0590837B1 (en) * 1992-09-29 1999-03-24 Nanao Corporatio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CRT display unit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5991883A (en) * 1996-06-03 1999-11-2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wer conservation method for a portable computer with LCD display
US6075925A (en) * 1997-02-13 2000-06-13 Hewlett-Packard Company Control panel for image forming devices
US6073187A (en) * 1997-06-20 2000-06-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ntrols and indicators available to a user for a secondary operational mode of a portable computer which is open or closed state of the computer case
JP2001255967A (ja) * 2000-03-13 2001-09-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US20030003972A1 (en) * 2001-06-29 2003-01-02 Sami Saba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mergency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0438563B1 (ko) * 2002-08-1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절전 방법
KR100498029B1 (ko) * 2003-01-29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제어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디바이스의 전원제어방법
WO2005008359A2 (en) * 2003-07-18 2005-01-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in wireless portable network system
KR20050043294A (ko) * 2003-11-05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005577A (ja) * 2004-06-16 2006-01-05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lanの省電力方法
KR101176487B1 (ko) * 2004-08-10 201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전원절약방법
US20070006162A1 (en) * 2005-06-30 2007-01-04 Nokia Corpo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software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a visual program representative
US7898500B2 (en) * 2006-05-22 2011-03-01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display within a primary display system
US20100167787A1 (en) * 2006-06-12 2010-07-01 Itamar Shmuel Weisbrod Mobile phone system and method
JP2008225648A (ja) * 2007-03-09 2008-09-25 Alps Electric Co Ltd 電源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電子機器の起動方法
KR101398478B1 (ko) * 2008-04-10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272996A (ja) * 2008-05-09 2009-11-19 Toshiba Corp 携帯端末
US9620072B2 (en) * 2009-01-15 2017-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isplay
KR101088180B1 (ko) * 2009-02-16 2011-12-02 한국과학기술원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된 절전 방법
US8364857B2 (en) * 2009-08-31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modem with CPU and auxiliary processor that shifts control between processors when in low power state while maintaining communication link to wireless network
US9693299B2 (en) * 2009-11-30 2017-06-27 Nokia Technology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operations in wireless network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027A (ko) 2011-06-22
US9098275B2 (en) 2015-08-04
US20110145762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7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US100339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terminal
WO2018121148A1 (zh) 一种通信资源选择方法,手持智能终端及接入设备
KR101638050B1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335549B2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is method
US200700699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e between head mounted display and handheld device
US201102964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a portable terminal
US20090197615A1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CN112424725B (zh)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和电子设备
US2017031806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commendation
US20200092476A1 (en) Mobile terminal-based dual camer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CN210041884U (zh) 终端设备
CN110661949A (zh) 显示面板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6131930A (zh) 一种WiFi网络接入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11371705B (zh) 一种下载任务执行方法及电子设备
CN112997471B (zh) 音频通路切换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KR20110056003A (ko) 휴대 단말기의 길 안내 방법 및 장치
CN107749277B (zh) 一种屏幕亮度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10117907A (ko) 휴대 단말기의 근접 센싱 방법 및 장치
CN106454953B (zh) 流量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9348016B (zh) 一种显示屏、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7391732B (zh) 应用程序的功能引导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1309133A (zh) 省电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0225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an accepted session
CN109361792B (zh)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