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881B1 -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881B1
KR100770881B1 KR1020060104033A KR20060104033A KR100770881B1 KR 100770881 B1 KR100770881 B1 KR 100770881B1 KR 1020060104033 A KR1020060104033 A KR 1020060104033A KR 20060104033 A KR20060104033 A KR 20060104033A KR 100770881 B1 KR100770881 B1 KR 10077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c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voi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리적임 힘을 가하지 않고 음성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수신되는 호를 거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리성이 증대된다.
음성 인식, 수신거부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TERMINAL FOR REFUSING CALL RECEIVE BY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기본 통화 기능 이외에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관리, 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에서 작성되거나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나 음성 인식 기능 등의 부가 기능도 갖추게 되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기능 발달에 따른 사용자들의 휴대 단말기 사용도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무분별한 사용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무분별한 사용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회의 또는 정숙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에 호(call)가 수신되면 단말기 사이드에 구비된 키 등을 입력하여 호 수신을 거부함으로써 공공장소나 회의 중에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를 줄이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호 수신을 거부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사이드에 구비된 키를 물리적으로 눌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물리적임 힘을 가하지 않고 수신되는 호를 거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메모리(140), 무선송수신부(150) 및 오디오처리부(16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와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를 출력하기 위 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20)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부(120)는 무선송수신부(150)로 수신되는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며, 영상처리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2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무선송수신부(150)에 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오디오처리부(16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시지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메시지이거나 상기 음성인식 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해 선택된 각종 정보들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음성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인 것이 바람직하나, 특정 소리가 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30)에 의해 디지털 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무선송수신부(15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오디오처리부(16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5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60)는 무선송수신부(15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호 수신 거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S110). 상기 음성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특정 소리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정보로 변환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무선송수신부(150)에 호가 수신되는지 체크한다(S120).
제어부(130)는 무선송수신부(150)에 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한다(S130). 이 때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면 오디오처리부(160)의 마이크 전원을 구동시켜 음성 신호의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호 수신 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상기 호 수신 시 이를 알리는 착신음을 출력하면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140). 사용자는 상기 호를 수신거부하고 싶을 경우 휴대 단말기(100)가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된 후 예컨대,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와 같은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체크한다(S150).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호를 부재중 처리한다(S160).
한편, 제어부(!30)는 상기 S140 과정에서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 결과,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체크한다(S170). 즉,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정보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디지털화된 음성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정보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에만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 일치할 경우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예컨대,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를 무선송수신부(150)를 통해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S180). 이 때 제어부(130)는 상기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리적임 힘을 가하지 않고 음성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수신되는 호를 거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리성이 증대된다.

Claims (12)

  1. 음성 인식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또는 특정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방법.
  7.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또는 특정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호의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 수신 거부 의사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한 후,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060104033A 2006-10-25 2006-10-25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77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33A KR100770881B1 (ko) 2006-10-25 2006-10-25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33A KR100770881B1 (ko) 2006-10-25 2006-10-25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881B1 true KR100770881B1 (ko) 2007-10-26

Family

ID=3881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033A KR100770881B1 (ko) 2006-10-25 2006-10-25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8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632A (ko)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케이티 메시지 관리 및 전송 시스템에서의 수신자리스트 관리 방법
KR20060121024A (ko)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송수신 잠금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632A (ko)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케이티 메시지 관리 및 전송 시스템에서의 수신자리스트 관리 방법
KR20060121024A (ko)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송수신 잠금 이동통신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20060126125A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음성통화 방법
EP1739937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viding a remind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7088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JP2008258999A (ja) メール応答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05007395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호 신호 송수신방법
JPH11205863A (ja) 通話状態報知機能付き移動無線装置
JP2001251672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の通話方式
KR100606068B1 (ko) 휴대 단말기의 파워오프 제어방법
JP2001298521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100797485B1 (ko) 일시정지기능을 가진 휴대폰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KR101409587B1 (ko) 분실된 휴대 단말기 관리 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101155764B1 (ko) 고성 통화 억제기능을 갖는 단말기
KR1007133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3008696A (ja) 携帯電話装置
KR20100027690A (ko) 모드 변경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벨소리 모드로 수신 모드를 전환하는 전화 단말의 수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0300758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경보음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