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758B1 -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758B1
KR100845758B1 KR1020067004707A KR20067004707A KR100845758B1 KR 100845758 B1 KR100845758 B1 KR 100845758B1 KR 1020067004707 A KR1020067004707 A KR 1020067004707A KR 20067004707 A KR20067004707 A KR 20067004707A KR 100845758 B1 KR100845758 B1 KR 10084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interleaver
frequency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545A (ko
Inventor
후미유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인텔리전트 코스모스 겡큐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인텔리전트 코스모스 겡큐키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인텔리전트 코스모스 겡큐키코
Publication of KR2007000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Abstract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 가변 레이트 유저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술을 제공하는 것. 소정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된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을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부와, 이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의 병체 처리를 행하는 인터리버와, 이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가 구비되고, FFT 처리부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Q 포인트의 FFT 처리를 행하고, 인터리버는 FFT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Q 개의 데이터로부터 N (N>Q)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IFFT 처리부는 인터리버로부터 출력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N 포인트의 IFFT 처리를 행한다.
Figure R1020067004707
인터리버,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Description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TRANSMITTER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체 통신에 바람직한 송신 장치 및 이 송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그리고 이동체 통신에 바람직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로 대표되는 이동체 통신 산업의 발전은 비약적인 진보를 이루고 있다. 이 비약적 진보에 따라서, 이동체 통신에 의한 각종 서비스도 다종·다양화되어 있다. 특히, 앞으로의 이동체 통신의 요구는, 음성뿐만 아니라, 텍스트, 화상 등의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으로 이행하는 것이 필연적이고, 앞으로 더욱 예상되는 전송 정보량의 증대와도 더불어 전송 신호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동체 통신 환경 하에서는, 다수의 지연 패스의 존재에 의해 일어나는 멀티 패스 페이딩에 의하여 전송 특성의 열화가 야기된다. 특히, 고속 신호의 전송시에는, 멀티 패스 페이딩뿐만 아니라,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이 증대함으로써, 이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을 극복하는 기술이 불가결해 진다.
그런데, 휴대 전화 등으로 대표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오름 링크 (이동 국 → 기지국) 에서는, 다수의 이동국이 비동기 타이밍으로 동일 기지국에 액세스하기 때문에, 유저간 간섭이 발생한다. 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DS-CDMA (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 MC-CDMA (Multi Carrier-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 등의 전송 방식이 사용된다. 이들 전송 방식은, 각 유저에게 고유의 확산 부호를 부여하고, 송신 신호를 넓은 대역으로 확산시켜 통신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 유저간 간섭을 저감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송 방식은 한정된 대역에서의 확산 통신이기 때문에, 유저간 간섭이 잔류하여, 동시 통신 가능한 유저수를 제한하고 있다. 한편, 확산을 행하지 않고 각 유저에게 고유의 반송파 주파수를 부여하는 통신 (이른바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 FDMA) 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통신 방식에서는, 유저간 간섭은 발생하지 않지만,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상기 기술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을 극복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노려 스펙트럼 확산은 하지만, 주파수 상에서 각 유저를 직교화시킨다는 기술이 발표되었다 (비특허 문헌 1). 이 기술에서는, Q 개의 데이터 심볼로 이루어지는 송신 신호 블록을 L 회 반복하고 (즉 확산율은 L), 또한 그 반복 계열에 유저 고유의 주파수 오프셋을 부여하여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송신함으로써, 반복 주기의 역수 (예컨대 Q × L) 의 L 배의 주파수점마다 합계로 Q 개의 신호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이산 스펙트럼이 된다. 이 결과, 비어 있는 주파수점의 쌍이 L-1 개 존재하기 때문에, 합계로 최 대 L 유저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상에서 겹치지 않도록 하여 (즉 직교시켜) 배치하고 송신하여, 수신측에서는 유저간 간섭을 피하면서 패스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송신측의 기술에 대하여, 수신측에서는 수신 신호로부터 유저 고유의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한 후, 최소 평균 2 승 오차 추정 또는 정합 필터 검출을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 블록을 추정하는 것이 자주 행해진다. 최근에는, DS-CDMA 의 오름 링크에 이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비특허 문헌 2).
비특허 문헌 1 : M.Schnell and I. de Broeck, and U. Sorger, “A promising new wideband multiple-access Scheme for future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European Transactions on Telecommunications, VOl.10, No.4, July-Aug. 1999.
비특허 문헌 2 : 고토 요시카즈, 가와무라 데루히로, 아라타 히로유키, 사와바시 마모루, “오름 링크 가변 확산율·칩 반복 (VSCRF)-CDMA 브로드밴드 무선 액세스”, 신학기보, RCS2003-67, PP.91-98, 야마가타, 2003 년 6 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현재의 휴대 전화의 주류 기술은, 1990 년대의 디지털 통신 기술 (2G (제 2 세대 기술)) 이나,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으로 대표되는 2000 년대의 디지털 통신 기술 (3G (제 3 세대 기술)) 로, 앞으로, 제 4 세대의 디지털 통신 기술 (4G) 인 고속 디지털 통신 (예를 들어, 이동 : 100Mb/s, 정지 : 1Gb/s) 이나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예를 들어 텍스트, 음성, 화상 등의 동시 통신) 에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의 개시가 급무이다.
또한, 장래 (제 3 세대에서 제 4 세대에 걸쳐서의) 의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을 생각할 때,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술적인 과제는 많지만, 특히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변 레이트의 신호를 취급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송신 기술에서는, 데이터 블록의 반복과 주파수 오프셋을 부여한다는 조작으로 FDMA 통신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가변 레이트의 유저를 수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오차 최소 추정 또는 정합 필터 검출을 사용한 시간 영역 등화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파로에 지연 시간이 상이한 매우 많은 패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등화 처리가 복잡해져 버린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또한, 이제까지 취급된 데이터 변조 방식은, 싱글 캐리어 (SC) 전송이나 DS-CDMA 전송뿐으로, 적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 가변 레이트 유저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시함과 함께, 이 기술 적용의 사고 방식을 일부의 전송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고, 모든 전송 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개시하는 것으로, 그 결과, 장래의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의 이행을 유연하고 또한 적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및 이 송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그리고 이동체 통신에 바람직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기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에 관련된 송신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체(竝替; rearrangement ) 처리를 행한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터리버와, 상기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 의 발명에 의하면, 인터리버에서는 데이터 심볼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체 처리를 행한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간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고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2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을 상기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로부터 N (N>Q)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FFT 처리부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Q 포인트의 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IFFT 처리부는, 상기 인터리버로부터 출력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N 포인트의 I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에는, 상기 FFT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인터리버·메모리가 구비되고, 상기 FFT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Q 포인트의 데이터가 상기 인터리버·메모리의 소정의 위치에 기입되고, 그 소정의 위치에 기입된 Q 개의 데이터와, 그 Q 개의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위치 이외의 위치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N 개의 데이터가 상기 인터리버로부터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소정의 N 개의 데이터가 상기 IFFT 처리부에 대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확산 신호 (확산율이 1 인 경우를 포함한다)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멀티캐리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OFDM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1 에 관련된 송신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가변 데이터 레이트의 데이터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2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수신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심볼을 복원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심볼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체 처리를 행한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터리버와, 상기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시간 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부와,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체 처리를 행한 디·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인터리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3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을 상기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디·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4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인터리버는, 입력된 N 개의 데이터로부터 Q (Q<N)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5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의 FFT 처리부는, 수신하여 시리얼 패럴렐 변환된 N 개의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N 포인트의 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6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의 IFFT 처리부는, 상기 디·인터리버로부터 출력된 Q 개의 병체 처리 데이터에 대하여 Q 포인트의 I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7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인터리버에는, 상기 수신 장치의 FFT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디·인터리버·메모리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 장치의 FFT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N 포인트의 데이터가 상기 디·인터리버·메모리의 소정의 위치에 기입되고, 그 소정의 위치에 기입된 N 개의 데이터의 중에서, 처리 대상의 데이터로서 소정의 위치에 기입되어 있는 Q 개의 데이터가 상기 디·인터리버로부터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8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소정의 Q 개의 데이터가 상기 수신 장치의 IFFT 처리부에 대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9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확산 신호 (확산율이 1 인 경우를 포함한다)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0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멀티캐리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1 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OFDM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2 에 관련된 통신 방법은,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을 행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을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FFT 처리 단계와,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병체 처리를 행하는 인터리브 처리 단계와,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3 에 관련된 통신 방법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브 처리 단계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로부터 N (N>Q)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4 에 관련된 통신 방법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을 행하는 송신 단계와,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해 송신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의 복원을 행하는 수신 단계를 구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심볼을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FFT 처리 단계와,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인터리브 처리를 행하는 인터리버와,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FFT 처리 단계와,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병체 처리를 행하는 디·인터리브 처리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5 에 관련된 통신 방법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브 처리 단계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로부터 N (N>Q)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인터리브 처리 단계는, 입력된 N 개의 데이터로부터 Q (Q<N)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확산 신호의 데이터 심볼을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에서 병체 처리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판독 처리) 를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 유저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상에서 직교시키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도 1 은, 실시형태 1 의 송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송신계 블록도이다.
[도 2] 도 2 는, 실시형태 1 의 수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수신계 블록도이다.
[도 3] 도 3 은, 인터리버·메모리에의 유저 할당의 실시예 (동일 데이터 레이트)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도 4 는, 송신계에 있어서의 인터리버·메모리에의 기입 처리의 개념 및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의 개념을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 도 5 는, 수신계에 있어서 디·인터리버·메모리에의 기입 처리의 개념 및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의 개념을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도 6 은, 송신계에 있어서의 인터리버·메모리에의 기입 처리의 개념 및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의 개념을 주파수축 상에 표현한 설명도이다.
[도 7] 도 7 은, 인터리버·메모리에의 유저 할당의 기타 실시예 (가변 데이터 레이트)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 도 8 은, 인터리버·메모리에의 유저 할당의 기타 실시예 (랜덤 할당)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 도 9 는, 실시형태 2 의 송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송신계 블록도이다.
[도 10] 도 10 은, 실시형태 2 의 수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수신계 블록도이다.
[도 11] 도 11 은, 실시형태 3 의 송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송신계 블록도이다.
[도 12] 도 12 는, 실시형태 3 의 수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수신계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51, 61 S/P 변환부
12, 22, 33, 42, 62 FFT 처리부
13, 32, 56 인터리버
14, 24, 57 IFFT 처리부
15, 25, 34, 44, 58, 66 P/S 변환부
23, 43, 63 디·인터리버
521, 52Q 복제부
531, 53Q 확산 처리부
641, 64Q 역확산 처리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송신 장치 및 이 송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그리고 이들 장치 등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특징)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관련된 송신 장치, 이 송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또는 본 발명을 사용한 통신 방법이 갖는 특징에 관하여 열거한다.
본 발명은,
(1) 특정한 전송 방식 (예를 들어 SC 전송, DS-CDMA 전송, OFDM 전송, MC-CDMA 전송 등) 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전송 방식을 완전히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수단 (또는 처리 방법) 의 개념을 일반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앞으로 새로운 전송 방식이 출현하더라도, 그들 전송 방식에 대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다.
(2) 또한, 주파수축 상의 처리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 유저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상에서 직교시키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도 얻을 수 있다.
(3) 수신측에서는,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주파수 영역 등화 처리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4) 각 유저의 데이터 레이트가 동일하지 않은, 다양한 전송 레이트의 통신을 동시에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유연성이 증가한다.
(5) 각 유저에게 할당하는 주파수 성분 또는 서브캐리어를 소정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고, 또는 통신마다 다이나믹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의 보전성이 향상한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DS-CDMA 전송, OFDM 전송 및 MC-CDMA 전송에의 적용에 관련된 3 개의 실시형태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DS-CDMA 전송에 대한 적용)
도 1 은, 실시형태 1 의 송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송신계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송신계에서는, DS-CDMA 전송을 위하여 소정의 변조가 실시된 Q 개의 심볼 열로 이루어지는 심볼 데이터 (d0, d1, …, dQ -1) 가 입력된다. 또, 이 「심볼 데이터」 라는 표현은,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서 말하는 부분의 「데이터 심볼」 과 동일한 것이지만, 기타 출력과의 표현의 통일상 이와 같은 표현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송신계에는, 시리얼 전송된 심볼 데이터 (di) 를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는 S/P (시리얼/패럴렐) 변환부 (11) 와, 이 패럴렐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 (FFT :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는 FFT 처리부 (12) 와, FFT 처리부 (12) 의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후술하는 인터리브 처리 (송신계 기입 처리/송신계 판독 처리) 를 행하는 인터리버 (13) 와, 인터리버 (13) 의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역푸리에 변환 (IFFT :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는 IFFT 처리부 (14) 와, IFFT 처리부 (14) 의 출력 데이터를 시리얼화한 송신 데이터 (S0, S1, …, SN -1) 로 변환하는 P/S (패럴렐/시리얼) 변환부 (15) 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 는, 실시형태 1 의 수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수신계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수신계에서는, 송신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가 행해진 수신 데이터 (S0, S1, …, SQ -1) 가 입력된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수신계에는, 시리얼 전송된 수신 데이터 (Si) 를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는 S/P 변환부 (21) 와, 이 패럴렐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FFT 처리부 (22) 와, FFT 처리부 (22) 의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후술하는 디·인터리브 처리 (수신계 기입 처리/수신계 판독 처리) 를 행하는 디·인터리버 (23) 와, 디·인터리버 (23) 의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역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IFFT 처리부 (24) 와, IFFT 처리부 (24) 의 출력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 즉 원래의 심볼 데이터로 변환하는 P/S 변환부 (25) 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들 송신계 및 수신계의 동작에 관하여 도 1 및 도 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S/P 변환부 (11) 에 입력된 Q 포인트의 심볼 데이터 (di) 가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되고, FFT 처리부 (12) 에 대하여 출력된다. FFT 처리부 (12) 에서는, 입력된 심볼 데이터 (패럴렐 데이터) 의 처리 포인트수 (Q) 에 대응한 FFT 처리, 즉 Q 포인트의 FFT 처리가 행해지고, 시간 영역의 데이터가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인터리버 (13) 에 대하여 출력된다. 인터리버 (13) 에서는, FFT 처리부 (12) 의 출력 데이터 (Q 포인트 인터리브) 를 토대로 한 인터리브 처리 (송신계 기입 처리/송신계 판독 처리) 가 행해진다. 이들 송신계 기입 처리 및 송신계 판독 처리는, 인터리버 (13) 에 구비되는 인터리버·메모리 (도 3 등에 예시) 에 대한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소정의 판독 처리로서 행해진다. 또, 이들 소정의 기입 처리/판독 처리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1 의 인터리버 (13) 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처리가 행해진 출력 데이터가, N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로서 IFFT 처리부 (14) 에 대하여 출력된다. 즉, 인터리버 (13) 에서는, Q 포인트의 데이터로부터 N (N>Q) 포인트의 데이터에의 처리 포인트수의 변환 처리가 행해진다. IFFT 처리부 (14) 에서는, 입력된 패럴렐 데이터의 처리 포인트수 (N) 에 대응한 IFFT 처리, 즉 N 포인트의 IFFT 처리가 행해지고,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가 시간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P/S 변환부 (15) 에 대하여 출력된다. P/S 변환부 (15) 에서는, 이 시간 영역의 패럴렐 데이터가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된 송신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이 송신 데이터는 소정의 주파수대의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업 컨버전 처리 등의 소정의 변환 처리가 행해져, 도시를 생략한 안테나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멀티 패스에 의한 심볼 사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 인터벌이 삽입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수신계에서는, 상기 기술한 송신계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로부터 원래의 심볼 데이터가 복원된다. 즉, 도 2 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Si) 가 S/P 변환부 (21) 에 입력된다. 또, 이 수신 데이터는, 베이스밴드의 신호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전 처리나, 송신측에서 삽입된 가드 인터벌을 제거하기 위한 가드 인터벌 제거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이다. S/P 변환부 (21) 에서는, 입력된 N 포인트의 수신 데이터 (Si) 가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되어, FFT 처리부 (22) 에 대하여 출력된다. FFT 처리부 (22) 에서는, 입력된 심볼 데이터 (패럴 렐 데이터) 의 처리 포인트수 (N) 에 대응한 FFT 처리, 즉 N 포인트의 FFT 처리가 행해지고, 시간 영역의 데이터가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인터리버 (23) 에 대하여 출력된다. 디·인터리버 (23) 에서는, 송신계의 인터리버 (13) 에서 행해진 처리와는 반대의 처리, 즉, FFT 처리부 (22) 의 출력 데이터 (N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 를 토대로 한 디·인터리브 처리 (수신계 기입 처리/수신계 판독 처리) 가 행해진다. 이들 수신계 기입 처리 및 수신계 판독 처리는, 송신계와 동일하게, 디·인터리버 (23) 에 구비되는 디·인터리버·메모리 (도 4 등에 도시) 에 대한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소정의 판독 처리로서 행해진다. 또, 이들 소정의 기입 처리/판독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도, 송신계의 처리와 더불어 후술한다.
또한, 도 2 의 디·인터리버 (23) 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처리가 행해진 출력 데이터가, Q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로서 IFFT 처리부 (14) 에 대하여 출력된다. 즉, 디·인터리버 (23) 에서는, 송신계와는 반대의 처리인 N 포인트의 데이터로부터 Q 포인트의 데이터에의 처리 포인트수의 변환 처리가 행해진다. IFFT 처리부 (24) 에서는, 입력된 패럴렐 데이터의 처리 포인트수 (Q) 에 대응한 IFFT 처리, 즉, Q 포인트의 IFFT 처리가 행해지고,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가 시간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고, P/S 변환부 (25) 에서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되어 원래의 심볼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수신계에서는, 종래부터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FFT 처리를 사용한 주파수 등화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 한 수신계의 디·인터리브 처리를 행할 때에, 이 주파수 등화 처리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인터리브 처리를 주파수 등화 처리 전에 행해도 되고, 또는 주파수 등화 처리 후에 행해도 된다. 또한, 주파수 등화 처리로는, MC-CDMA 전송으로 잘 알려져 있는 최대비 합성 (MRC) 등화 처리, 등이득 합성 (EGC) 등화 처리, 또는 최소 평균 2 승 오차 합성 (MMSEC) 등화 처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한 송신계 및 수신계의 처리에 있어서, 인터리버 (13) 는 복수의 유저와 공용하는 주파수 영역 (N 포인트) 중 개별 유저에 대하여 소정의 주파수 영역 (Q 포인트) 을 할당하는 (즉, 인터리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디·인터리버 (23) 는 복수의 유저와 공용하는 주파수 영역 (N 포인트) 중에서 개별 유저에 대하여 할당된 소정의 주파수 영역 (Q 포인트) 을 선택하는 (즉, 디·인터리브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한번에 처리되는 데이터의 포인트수 (처리 포인트수) 에 주목하면, 송신계의 FFT 처리부 (12) 및 수신계의 IFFT 처리부 (24) 의 처리 포인트수는 모두 Q 포인트이고, 한편, 송신계의 IFFT 처리부 (14) 및 수신계의 FFT 처리부 (22) 의 처리 포인트수는, 모두 N 포인트라는 관계를 갖게 된다.
도 3 은, 인터리버·메모리에의 유저 할당의 실시예 (동일 데이터 레이트)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인터리버·메모리는, 가장 일반적인 Q 행 × (N/Q) 열의 블록·인터리버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신호 전송에 있어서, 유저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유저에게 할당하는 신호 스 펙트럼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각 유저가 점유하는 인터리버·메모리 상에서의 할당 위치가 유저 사이에서 겹치지 않도록 할당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유저에 대하여 열 단위의 할당을 행함으로써, L (= N/Q) 사람의 유저에 대하여, 동일 수의 Q 개의 주파수 위치의 할당을 행하고 있다.
도 4 는, 송신계에 있어서의 인터리버·메모리에의 기입 처리의 개념 및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의 개념을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심볼 데이터는, 도 1 에 있어서의 S/P 변환부 (11) 로부터 FFT 처리부 (12)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이하, 동일하게 도 4 에 나타내는 FFT 처리부 출력 데이터는, 도 1 에 있어서의 FFT 처리부 (12) 로부터 인터리버 (13)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고, 도 4 에 나타내는 IFFT 처리부 입력 데이터는, 도 1 에 있어서의 인터리버 (13) 로부터 IFFT 처리부 (14)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고, 도 4 에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는, 도 1 에 있어서의 IFFT 처리부 (14) 로부터 P/S 변환부 (15)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인터리버·메모리에서의 유저 할당은, 도 3 에 나타낸 실시예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터리버·메모리에의 기입 처리에 관하여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저 (1) 의 Q 포인트의 심볼 데이터 (d0, d1, …, dQ-1) 가 FFT 처리부 (12) 에 입력되고, FFT 처리부 (12) 에서 Q 포인트의 FFT 처리가 행해지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파수 영역의 FFT 처리부 출력 데이터 (f0,0, f1 ,0, …, fQ -1,0) 로서, 인터리버 (13) 에 대하여 출력된다.
인터리버 (13) 에서는, 인터리버 (13) 내의 인터리버·메모리에 대하여 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의 유저 할당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인터리버·메모리 상에서의 유저 (1) 에 관한 할당 위치 (1 열째) 에 대하여만 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만약 이 데이터가 유저 (2) 에 대한 데이터라면, 유저 (2) 에 관한 할당 위치 (2 열째) 에 대하여만 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동일하게,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에 관하여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인터리버 (13) 에서는 인터리버 (13) 내의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 행 단위의 열 방향 (즉, 횡 방향) 에 대한 판독 처리가 행해진다. 1 개 행의 판독이 종료하였으면, 다음의 행 (1 개 아래의 행) 의 좌단으로 이동하고, 그 위치로부터 열 방향에 대한 판독 처리가 행해진다. 이하, 동일한 판독 처리가 행해지고, 최하 행 (즉, (Q-1) 행째) 의 판독 처리가 행해져, 일련의 판독 처리가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판독 처리에서는 인터리버·메모리 상의 모든 주파수 데이터가 판독되기 때문에, Q × (N/Q) = N 개의 데이터가 판독되게 된다. 이 판독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 도 4 에 나타내는 IFFT 처리부 입력 데이터 (f0 ,0, f0 ,1, …, f0 ,Q-1, f1 ,0, f1 ,1, …, f1 ,Q-1, …, fQ -1,0, fQ -1,1, …, fQ -1,Q-1) 이다. 이 IFFT 처리부 입력 데이터는, 도 1 의 IFFT 처리부 (14) 에 출력되고, IFFT 처리부 (14) 에서 N 포인트의 IFFT 처리가 행해져,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은 송신 데이터 (S0, S1, …, SN -1) 로서, P/S 변환부 (15) 에 대하여 출력된다.
도 5 는, 수신계에 있어서의 디·인터리버·메모리에의 기입 처리의 개념 및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의 개념을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와 동일하게, 도 5 에 나타내는 각 데이터와 도 2 에 나타내는 처리부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는, 도 2 에 있어서의 S/P 변환부 (21) 로부터 FFT 처리부 (22)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이하, 동일하게, 도 5 에 나타내는 FFT 처리부 출력 데이터는, 도 2 에 있어서의 FFT 처리부 (22) 로부터 디·인터리버 (23)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고, 도 5 에 나타내는 IFFT 처리부 입력 데이터는, 도 2 에 있어서의 디·인터리버 (23) 로부터 IFFT 처리부 (24)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고, 도 5 에 나타내는 심볼 데이터는, 도 2 에 있어서의 IFFT 처리부 (24) 로부터 P/S 변환부 (25)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디·인터리버·메모리에서의 유저 할당은, 도 4 의 인터리버·메모리에 대한 유저 할당과 동일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으로, 디·인터리버·메모리에의 기입 처리에 관하여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N 포인트의 수신 데이터 (S0, S1, …, SN -1) 가 FFT 처리부 (22) 에 입력되고, FFT 처리부 (22) 에서 N 포인트의 FFT 처리가 행해져,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파수 영역의 FFT 처리부 출력 데이터 (f0 ,0, f0 ,1, …, f0 ,Q-1, f1 ,0, f1 ,1, …, f1 ,Q-1, …, fQ -1,0, fQ -1,1, …, fQ -1,Q-1) 로서, 디·인터리버 (23) 에 대하여 출력된다.
디·인터리버 (23) 에서는, 디·인터리버 (23) 내의 디·인터리버·메모리에 대한 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이 기입 처리는, 송신계에서의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에 대응하고 있고, 이 판독 처리와 반대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디·인터리버 (23) 에서는, 디·인터리버 (23) 내의 디·인터리버·메모리에 대하여 행 단위의 열 방향 (즉, 횡 방향) 에 대한 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1 개 행의 기입이 종료하였으면, 다음의 행 (1 개 아래의 행) 의 좌단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로부터 열 방향에 대한 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이하, 동일한 기입 처리가 행해지고, 최하 행 (즉, (Q-1) 행째) 의 기입 처리가 행해져, 일련의 기입 처리가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기입 처리에서는, 디·인터리버·메모리 상의 모든 주파수 데이터가 기입되기 때문에, Q × (N/Q) = N 개의 데이터가 기입되게 된다.
동일하게,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에 관하여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5 의 예에서는, 도 4 에 나타낸 유저 할당에 있어서 유저 (2) 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 에 있어서, 디·인터리버 (23) 는, 디·인터리버 (23) 내의 디·인터리버·메모리에 기입된 데이터로부터 유저 (2) 의 데이터가 기입된 2 열째의 데이터만을 행 방향 (하향) 으로 판독한다. 따라서,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는 주파수 영역의 Q 개의 데이터이고, 이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 도 5 에 나타내는 IFFT 처리부 입력 데이터 (f0 ,1, f1 ,1, …, fQ -1,1) 이다. 이 IFFT 처리부 입력 데이터는, 도 2 의 IFFT 처리부 (24) 로 출력되고, IFFT 처리부 (24) 에서 Q 포인트 의 IFFT 처리가 행해져, 심볼 데이터 (d0, d1, …, dQ -1) 로서 도 2 에 나타내는 P/S 변환부 (25) 에 대하여 출력된다.
도 6 은, 송신계에 있어서의 인터리버·메모리에 대한 기입 처리의 개념 및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판독 처리의 개념을 주파수축 상에 표현한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FFT 처리부 (12) 에 입력되는 Q 포인트의 심볼 데이터 (도 4 에 나타낸 유저 (1) 의 심볼 데이터를 상정) 의 FFT 인터벌을 (T) 로 하면, FFT 처리부 (12) 에서는, 1/T 의 주파수 간격으로 배열되는 주파수 계열의 데이터 (f0 ,0, f1,0, f2 ,0, …, fQ -1,0) 가 생성되어, 인터리버 (13) 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 인터리버 (13) 에 있어서의 기입 처리, 또한 인터리버 (13) 로부터의 판독 처리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현재, 동시에 통신하고 있는 유저가 유저 (1) 만인 경우에는, 인터리버 (13) 로부터 IFFT 처리부 (14) 에 대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파수 성분 사이에 (N/Q-1) 개의 “0” 의 주파수 성분이 배열되는 주파수 계열의 데이터 (f0 ,0' 0, …, 0, f1 ,0' 0, …, 0, …, fQ -1,0' 0, …, 0) 가 생성되어, IFFT 처리부 (14) 에 대하여 출력된다.
도 6 에 있어서, 심볼 데이터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어느 대역에 모여서 존재하기 때문에, 이 대역에 강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모든 심볼 데이터에 영향이 나타나, 신호의 복원이 곤란해진다. 한편, 인터리버 (13) 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 즉 IFFT 처리부 (14) 에의 입력 데이터는 도 6 과 같이 광범위하게 분산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부의 데이터에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이 나타났다고 해도, 전체적으로 보면 큰 영향이 없어,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국한할 수 있다.
도 7 은, 인터리버·메모리에의 유저 할당의 기타 실시예 (가변 데이터 레이트)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에서는, 동일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하는 복수 유저에 대한 인터리버·메모리에의 할당예를 나타냈으나, 도 7 은 상이한 (임의의)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하는 복수 유저에 대한 인터리버·메모리에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인터리버·메모리는 도 3 과 동일한 Q 행 × (N/Q) 열의 블록·인터리버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에서는, 유저 (1) 가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레이트의 2 배의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을 행하는 유저 (2) 에 대하여, 유저 (1) 의 2 배 (2 열분) 의 영역을 할당하고 있다. 한편, 유저 (1) 의 1/2 의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을 행하는 유저 (3) 에 대해서는, 유저 (1) 의 절반 (1 열, Q/2 행) 의 영역을 할당하고 있다. 또, 인터리버·메모리에서의 유저 (1∼3) 에 대한 할당은, 도 3 및 도 7 에서는 연속한 영역에 대하여 행하고 있지만, 이 할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 에 있어서 유저 (3) 와 동일하게 유저 (1) 의 1/2 의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을 행하는 유저 (4) 와 같이, 흩어져 있는 영역에 할당해도 된다. 요컨대, 동시에 통신하는 각 유저에 대한 할당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할당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8 은 인터리버·메모리에의 유저 할당의 기타 실시예 (랜덤 할당)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면의 유저 (1) 및 유저 (2) 에 대한 할당예와 같이, 각각의 행마다 소정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수신측에서는, 할당 정보를 토대로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면 된다. 또, 할당 정보는 미리 정하여 두거나, 또는 어떠한 수단으로 전달하여 두면 된다. 예를 들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대한 통신이면, 이동국 측에서 인터리버·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인지를 기지국 측으로부터 지시해 두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송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확산 신호의 심볼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에서 병체 처리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판독 처리) 를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 유저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상에서 직교시키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주파수 영역 등화 처리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유저의 데이터 레이트가 동일하지 않은, 다양한 전송 레이트의 통신을 동시에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각 유저에게 할당하는 주파수 성분 통신마다 다이나믹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의 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터리브 처리, 또는 디·인터리브 처리의 개념의 DS-CDMA 전송에의 적용예에 관하여 설명해 왔지만, SC 전송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SC 전송은 DS-CDMA 전송의 특별한 경우 (즉 확산율이 1) 인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술한 구성와 동일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9 는, 실시형태 2 의 송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송신계 블록도이고, 도 10 은, 실시형태 2 의 수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수신계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 1 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인터리브 처리 및 디·인터리브 처리의 DS-CDMA 전송계에의 적용예에 관하여 설명해 왔지만, 실시형태 2 에서는, OFDM 전송계에의 적용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송신계에는, OFDM 전송을 위하여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펙트럼을 갖는 OFDM 심볼 데이터 (a0, a1, …, aQ-1) 를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는 S/P 변환부 (31) 와, 이 패럴렐 데이터를 토대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인터리브 처리를 행하는 인터리버 (32) 와, 인터리버 (32) 의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역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IFFT 처리부 (33) 와, IFFT 처리부 (33) 의 출력 데이터를 시리얼화한 송신 데이터 (S10, S11, …, S1N -1) 로 되돌리는 P/S 변환부 (34) 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10 에 나타내는 수신계에서는, 송신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가 행해진 수신 데이터 (S10, S11, …, S1Q -1) 를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는 S/P 변환부 (21) 와, 이 패럴렐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FFT 처리부 (42) 와, FFT 처리부 (22) 의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디·인터리브 처리를 행하는 디·인터리버 (43) 와, 디·인터리버 (23) 의 출력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 즉 원래의 심볼 데이터로 변환하는 P/S 변환부 (44) 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들 송신계 및 수신계의 동작에 관하여, 도 9 및 도 1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 에 있어서, S/P 변환부 (31) 에 입력된 Q 포인트의 심볼 데이터 (ai) 가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되어, 인터리버 (32) 에 대하여 출력된다. 실시형태 1 에서 취급하는 DS-CDMA 신호는 시간 영역의 신호로서 취급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의 FFT 처리가 필요하였지만, OFDM 신호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FFT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인터리버 (32) 에 입력할 수 있다. 인터리버 (32) 에서는, S/P 변환부 (41) 의 출력 데이터 (Q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 를 토대로 한 인터리브 처리 (송신계 기입 처리/송신계 판독 처리) 가 행해진다. 이들 인터리브 처리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인터리버 (32) 에 구비되는 인터리버·메모리에 대한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소정의 판독 처리로서 행해진다.
또한, 도 9 의 인터리버 (32) 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처리가 행해진 출력 데이터가, N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로서 IFFT 처리부 (33) 에 대하여 출력된다. 즉, 인터리버 (32) 에서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Q 포인트의 데이터가 N (N>Q) 포인트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IFFT 처리부 (33) 에서는, N 포인트의 IFFT 처리가 행해지고,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가 시간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P/S 변환부 (34) 에 대하여 출력된다. P/S 변환부 (34) 에서는, 시간 영역의 패럴렐 데이터가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된 송신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이 송신 데이터는, 멀티 패스에 의한 심볼 사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 인터벌 삽입 처리나, 소정의 주파수대의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업 컨버전 처리 등의 소정의 변환 처리가 행해져, 도시를 생략한 안테나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수신계에서는, 송신계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로부터 원래의 심볼 데이터가 복원된다. 즉, 도 10 에 있어서 다운 컨버전 처리나, 가드 인터벌 제거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에 의해서 생성된 수신 데이터 (S1i) 가 S/P 변환부 (41) 에 입력된다. S/P 변환부 (41) 에서는, N 포인트의 수신 데이터 (S1i) 가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되어, FFT 처리부 (42) 에 대하여 출력된다. FFT 처리부 (42) 에서는 N 포인트의 FFT 처리가 행해지고,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인터리버 (43) 에 대하여 출력된다. 디·인터리버 (43) 에서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송신계의 인터리버 (32) 에서 행해진 처리와는 반대의 처리, 즉, S/P 변환부 (41) 의 N 포인트의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한 디·인터리브 처리 (수신계 기입 처리/수신계 판독 처리) 가 행해진다. 이들 디·인터리브 처리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디·인터리버 (43) 에 구비되는 디·인터리버·메모리 (도 4 등에 예시) 에 대한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소정의 판독 처리로서 행해진다. 디·인터리버 (43) 에서는, 소정의 판독 처리가 행해진 출력 데이터가 Q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로서 P/S 변환부 (44) 에 대하여 출력된다. P/S 변환부 (44) 에서는, 디·인터리버 (43) 로부터의 출력 데이터 (패럴렐 데이 터) 가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되어, 원래의 OFDM 심볼 데이터가 생성된다.
서두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로서, 주파수축 상의 처리의 개념을 받아들임으로써, 다수 유저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상에서 직교시키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한편, OFDM 전송의 개념에는 주파수축 상의 처리의 사고 방식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과 도 9, 또는 도 2 와 도 10 을 비교하여 보아도 분명하듯이, 송신계 또는 수신계에 있어서 FFT 처리부 또는 IFFT 처리부의 어느 하나가 불필요하고, 시스템 구성이 간소화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의하면 확산 신호의 심볼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에서 병체 처리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판독 처리) 를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 유저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상에서 직교시키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주파수 영역 등화 처리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유저의 데이터 레이트가 동일하지 않은, 다양한 전송 레이트의 통신을 동시에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각 유저에게 할당하는 서브캐리어를 통신마다 다이나믹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의 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1 은 실시형태 3 의 송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송신계 블록도이고, 도 12 는 실시형태 3 의 수신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수신계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 1, 2 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인터리브 처리 및 디·인터리브 처리의 DS-CDMA 전송계, 또는 OFDM 전송계에의 적용예에 관하여 설명해 왔지만, 실시형태 3 에서는, MC-CDMA 전송계에의 적용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송신계에는, MC-CDMA 전송을 위한 심볼 데이터 (b0, b1, …, bQ -1) 를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는 S/P 변환부 (51) 와, 이 패럴렐 데이터 각각을 소정의 수만큼 복제하는 복제부 (521∼52Q) 와, 복제부 (521∼52Q) 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처리부 (531∼53Q) 와, 실시형태 1, 2 와 동일한 인터리브 처리를 행하는 인터리버 (56) 와, 인터리버 (56) 의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역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IFFT 처리부 (57) 와, IFFT 처리부 (57) 의 출력 데이터를 시리얼화한 송신 데이터 (S20, S21, …, S2N -1) 로 되돌리는 P/S 변환부 (58) 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12 에 나타내는 수신계에서는, 송신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가 행해진 수신 데이터 (S20, S21, …, S2Q -1) 를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는 S/P 변환부 (61) 와, 이 패럴렐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FFT 처리부 (62) 와, FFT 처리부 (62) 의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실시형태 1, 2 와 동일한 디·인터리브 처리를 행하는 디·인터리버 (63) 와, 디·인터리버 (63) 의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원래의 확산 신호로 되돌리는 역확산 처리부 (641∼64Q) 와, 역확산 처리부 (641∼64Q) 의 출력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 즉 원래의 심볼 데이터로 변환하는 P/S 변환부 (66) 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들 송신계 및 수신계의 동작에 관하여, 도 11 및 도 1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 에 있어서, S/P 변환부 (51) 에 입력된 Q 포인트의 심볼 데이터 (bi) 가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되어, 복제부 (521∼52Q) 에 대하여 출력된다. 복제부 (521∼52Q) 에서는, 심볼 데이터가 각각 SF 개 (SF : 확산율) 복제되어, 확산 처리부 (531∼53Q) 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 도 11 에서는, 확산율 (SF) 을 Q 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SF = Q). 확산 처리부 (531∼53Q) 에서는, 입력된 각각의 심볼 데이터가, 예를 들어 W-H 계열 부호 등의 직교 확산 부호 계열 [Ci(0)∼Ci(Q-1), i = 0∼(Q-1)] 이 곱해진 확산 신호가 생성되어, 인터리버 (56) 에 대하여 출력된다. 인터리버 (56) 에서는, 확산 처리부 (531∼53Q) 의 출력 데이터 (Q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 를 토대로 한 인터리브 처리 (송신계 기입 처리/송신계 판독 처리) 가 행해진다. 이들 인터리브 처리는, 실시형태 1, 2 와 동일하게, 인터리버 (56) 에 구비되는 인터리버·메모리에 대한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소정의 판독 처리로서 행해진다.
또한, 도 11 의 인터리버 (56) 에 있어서, 소정의 판독 처리가 행해진 출력 데이터가, N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로서 IFFT 처리부 (57) 에 대하여 출력된다. IFFT 처리부 (57) 에서는, N 개의 서브캐리어를 토대로 한 N 포인트의 IFFT 처리가 행해지고,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가 시간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P/S 변환부 (58) 에 대하여 출력된다. P/S 변환부 (58) 에서는, 시간 영역의 패럴렐 데이터가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된 송신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이 송신 데이터는, 실시형태 2 와 동일하게, 가드 인터벌 삽입 처리나 업 컨버전 처리 등의 소정의 변환 처리가 행해져, 도시를 생략한 안테나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수신계에서는, 송신계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로부터 원래의 심볼 데이터가 복원된다. 즉, 도 12 에 있어서, 다운 컨버전 처리나 가드 인터벌 제거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에 의해서 생성된 수신 데이터 (S2i) 가 S/P 변환부 (61) 에 입력된다. S/P 변환부 (61) 에서는, N 포인트의 수신 데이터 (S2i) 가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되어, FFT 처리부 (62) 에 대하여 출력된다. FFT 처리부 (62) 에서는, N 포인트의 FFT 처리가 행해지고,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인터리버 (63) 에 대하여 출력된다. 디·인터리버 (63) 에서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송신계의 인터리버 (56) 에서 행해진 처리와는 반대의 처리, 즉, S/P 변환부 (61) 의 N 포인트의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한 디·인터리브 처리 (수신계 기입 처리/수신계 판독 처리) 가 행해진다. 이들 디·인터리브 처리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디·인터리버 (63) 에 구비되는 디·인터리버·메모리 (도 5 등에 예시) 에 대한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의 소정의 판독 처리로서 행해진다. 디·인터리버 (63) 에서는, 소정의 판독 처리가 행해진 출력 데이터가, Q 포인트의 패럴렐 데이터로서 역확산 처리부 (641∼64Q) 에 대하여 각각 출력된다. 역확산 처리부 (641∼64Q) 에서는, 각각 SF 개의 서브캐리어 송신계에서 사용된 직교 확산 부호 계열 [Ci(0)∼Ci(Q-1), i = 0∼(Q-1)] 과 복소 공액인 직교 확산 부호 계열 [Ci *(0)∼Ci *(Q-1), i = 0∼(Q-1)] 을 곱하여 가산하는 역확산 처리가 행해져, 처리 결과가 P/S 변환부 (66) 에 대하여 출력된다. P/S 변환부 (66) 에서는, 이 출력 데이터 (패럴렐 데이터) 가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되어, 원래의 심볼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MC-CDMA 전송은, 주파수 영역에서 확산 처리를 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고, OFDM 전송과 동일하게 주파수축 상의 처리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계에 있어서의 인터리브 처리 및 수신계에 있어서의 디·인터리브 처리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고,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국한 가능한 시스템 구성을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송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확산 신호의 심볼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에서 병체 처리 (소정의 기입 처리 또는 판독 처리) 를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 유저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상에서 직교시키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주파수 영역 등화 처리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유저의 데이터 레이트가 동일하지 않은, 다양한 전송 레이트의 통신을 동시에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각 유저에게 할당하는 서브캐리어를 통신마다 다이나믹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의 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3 을 통하여, 인터리버·메모리로서 가장 일반적인 Q 행 × (N/Q) 열의 블록·인터리버의 개념을 나타내어 설명해 왔지만, 이 블록·인터리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콘볼루션 인터리버 등의 기타 개념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송신 장치 또는 통신 시스템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 또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용하고, 특히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이 문제가 되는 육상 이동용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 또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최적이다.

Claims (25)

  1.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심볼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체 처리를 행한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터리버와,
    상기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터리버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로부터 N (N>Q)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을 상기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FFT 처리부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Q 포인트의 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FFT 처리부는, 상기 인터리버로부터 출력된 N 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N 포인트의 I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에는, 상기 FFT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인터리버·메모리가 구비되고,
    상기 FFT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Q 포인트의 데이터가 상기 인터리버·메모리의 소정의 위치에 기입되고,
    그 소정의 위치에 기입된 Q 개의 데이터와, 그 Q 개의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위치 이외의 위치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N 개의 데이터가 상기 인터리버로부터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소정의 N 개의 데이터가 상기 IFFT 처리부에 대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확산 신호 (확산율이 1 인 경우를 포함한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멀티캐리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OFDM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가변 데이터 레이트의 데이터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2.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수신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심볼을 복원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심볼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체 처리를 행한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터리버, 및
    상기 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시간 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부, 및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체 처리를 행한 디·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인터리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인터리버는, 입력된 N 개의 데이터로부터 Q (Q<N)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심볼을 상기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디·인터리브 처리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삭제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의 FFT 처리부는, 수신하여 시리얼 패럴렐 변환된 N 개의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N 포인트의 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의 IFFT 처리부는, 상기 디·인터리버로부터 출력된 Q 개의 병체 처리 데이터에 대하여 Q 포인트의 IFFT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인터리버에는, 상기 수신 장치의 FFT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디·인터리버·메모리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 장치의 FFT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N 포인트의 데이터가 상기 디·인터리버·메모리의 소정의 위치에 기입되고,
    그 소정의 위치에 기입된 N 개의 데이터 중에서, 처리 대상의 데이터로서 소정의 위치에 기입되어 있는 Q 개의 데이터가 상기 디·인터리버로부터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인터리버·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소정의 Q 개의 데이터가 상기 수신 장치의 IFFT 처리부에 대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확산 신호 (확산율이 1 인 경우를 포함한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멀티캐리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이 OFDM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2.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을 행하는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심볼을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FFT 처리 단계,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의 병체 처리를 행하는 인터리브 처리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 단계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로부터 N (N>Q)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3. 삭제
  24. 소정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심볼을 토대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을 행하는 송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해 송신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의 복원을 행하는 수신 단계를 구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심볼을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 단계;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의 인터리브 처리를 행하는 인터리브 처리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처리 단계;
    그 변환된 주파수 영역 데이터의 병체 처리를 행하는 디·인터리브 처리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 단계는, 입력된 Q 개의 데이터 심볼로부터 N (N>Q)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인터리브 처리 단계는, 입력된 N 개의 데이터로부터 Q (Q<N)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5. 삭제
KR1020067004707A 2003-10-10 2004-10-08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0845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2782A JP3877215B2 (ja) 2003-10-10 2003-10-10 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JP-P-2003-00352782 2003-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545A KR20070005545A (ko) 2007-01-10
KR100845758B1 true KR100845758B1 (ko) 2008-07-11

Family

ID=3443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707A KR100845758B1 (ko) 2003-10-10 2004-10-08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3748B2 (ko)
EP (1) EP1679813A1 (ko)
JP (1) JP3877215B2 (ko)
KR (1) KR100845758B1 (ko)
CN (1) CN1868156B (ko)
WO (1) WO20050367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62B1 (ko) 2005-09-02 2012-11-05 텍트로닉스 인터내셔널 세일즈 게엠베하 스펙트럼 분석기에 대한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215B2 (ja) * 2003-10-10 2007-02-07 株式会社インテリジェント・コスモス研究機構 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272404B1 (ko) 2004-10-15 2013-06-07 티큐 델타, 엘엘씨 임펄스 잡음 존재 하에서의 디엠티 심볼 반복
US7715460B2 (en) 2005-04-22 2010-05-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Hybri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d method
KR100724949B1 (ko) * 2005-05-03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와제어 정보의 다중화 방법 및 장치
USRE47633E1 (en) 2005-06-22 2019-10-01 Odyssey Wireless Inc. Systems/methods of conduct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ing a smartphone
US7876845B2 (en) 2005-06-22 2011-01-25 Eices Research,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or methods providing low interference, high privacy and/or cognitive flexibility
US8670493B2 (en) 2005-06-22 2014-03-11 Eices Research, Inc. Systems and/or methods of increased privacy wireless communications
US8233554B2 (en) 2010-03-29 2012-07-31 Eices Research, Inc. Increased capacity communications for OFDM-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methods/devices
US8050337B2 (en) 2005-06-22 2011-11-01 Eices Research, Inc. Systems, methods, devices, and/or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devoid of cyclostationary features
US7756215B2 (en) 2005-06-24 2010-07-13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WO2007015317A1 (ja) * 2005-08-02 2007-02-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送信機、受信機、通信方法及び送受信システム
CN101263676A (zh) 2005-09-16 2008-09-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发送装置、无线接收装置、无线发送方法和无线接收方法
JP4766310B2 (ja) * 2005-09-27 2011-09-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4701964B2 (ja) 2005-09-27 2011-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ユーザ受信装置
JP4347300B2 (ja) * 2006-01-17 2009-10-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7808886B2 (en) * 2006-01-18 2010-10-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ilot signal in an FDMA communication system
GB2437582B (en) * 2006-04-24 2008-07-16 Nec Technologies Localised and distributed schedul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4844226B2 (ja) * 2006-05-10 2011-12-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マッピング方法
US8107552B2 (en) * 2006-06-28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fast fourier transform-based channel interleaver
DE102006038825A1 (de) * 2006-08-18 2008-02-21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Kg Funk-Kommunikationssystem, Netz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WO2008032805A1 (fr) * 2006-09-15 2008-03-20 Naoki Suehiro Procédé d'émission de données et émetteur de données
US8194750B2 (en) 2006-10-16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having a circulant bit interleaver for equal error protection (EEP) and unequal error protection (UEP)
US9130734B1 (en) * 2007-09-20 2015-09-08 Interstate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tone concatenate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JP5020043B2 (ja) * 2007-12-06 2012-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091194B1 (en) * 2008-02-12 2014-06-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ique
JP5096208B2 (ja) 2008-03-26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c−fdma送信装置及びsc−fdma送信信号形成方法
US9374746B1 (en) 2008-07-07 2016-06-21 Odyssey Wireless, Inc. Systems/methods of spatial multiplexing
US8693876B2 (en) 2009-01-23 2014-04-08 Ciena Corporation High speed signal generator
EP2445260B1 (en) 2009-06-16 2016-04-06 Sharp Kabushiki Kaisha Transmitter apparatus, receiver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20128039A1 (en) * 2009-07-16 2012-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for relay backhaul 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06790B2 (en) 2010-03-29 2017-10-31 Odyssey Wireless, Inc. Systems/methods of spectrally efficient communications
US9197327B2 (en) 2012-09-04 2015-11-24 Cisco Technology, Inc. Optical communication transmitter system
US9379830B2 (en) * 2013-08-16 2016-06-28 Arris Enterprises, Inc. Digitized broadcast signals
KR20160068888A (ko) 2013-11-11 2016-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1240083B2 (en) 2020-03-10 2022-02-01 Ntwine, Llc Bandwidth constrained communication systems with frequency domain information process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304A1 (fr) * 2000-12-05 2002-06-13 Fujitsu Limited Appareil et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30095T2 (de) * 1995-11-09 2004-07-08 Ntt Docomo, Inc. Sender-Empfänger für mobile Kommunikationsanordnung mit Duplex-Frequenzverschachtelung (FDD) und Duplex-Zeitverschachtelung (TDD)
JP3722969B2 (ja) * 1998-01-08 2005-11-30 株式会社東芝 再送制御方法及び再送制御装置
JPH11298436A (ja) * 1998-02-13 1999-10-29 Sony Corp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及び復調装置
JP4409048B2 (ja) * 2000-05-22 2010-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3607643B2 (ja) 2001-07-13 2005-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受信装置、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方法
JP2003032220A (ja) 2001-07-17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1453229A4 (en) * 2001-08-30 2007-07-11 Fujitsu Ltd MULTI-CARRIER CDM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WO2003021973A2 (en) * 2001-09-01 2003-03-13 Bermai, Inc. Ram-based fast fourier transform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557064B (zh) * 2001-09-18 2013-02-06 西门子公司 有扩展用户数据的传输系统中生成或处理ofdm符号的方法及通信系统设备
US7058134B2 (en) * 2001-12-17 2006-06-0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signal carrier time domain channel estimation
EP1328083B1 (en) 2002-01-11 2006-10-25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Pre-distortion method for an MC-CDMA uplink
JP2003258763A (ja) 2002-03-06 2003-09-12 Fujitsu Ltd マルチキャリアcdma受信装置及びその受信方法
US7418026B2 (en) * 2002-05-09 2008-08-26 Sony United Kingdom Limited Receiver for a multi-carrier modulated symbol
WO2004075451A1 (ja) * 2003-01-29 2004-09-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3877215B2 (ja) * 2003-10-10 2007-02-07 株式会社インテリジェント・コスモス研究機構 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8611284B2 (en) * 2005-05-3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upplemental assignments to decrement resources
US20070165730A1 (en) * 2006-01-17 2007-07-19 Motorola, Inc. Transmitte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304A1 (fr) * 2000-12-05 2002-06-13 Fujitsu Limited Appareil et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62B1 (ko) 2005-09-02 2012-11-05 텍트로닉스 인터내셔널 세일즈 게엠베하 스펙트럼 분석기에 대한 데이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8156A (zh) 2006-11-22
CN1868156B (zh) 2014-08-27
WO2005036790A1 (ja) 2005-04-21
US20070053449A1 (en) 2007-03-08
KR20070005545A (ko) 2007-01-10
US7903748B2 (en) 2011-03-08
JP2005117581A (ja) 2005-04-28
EP1679813A1 (en) 2006-07-12
JP3877215B2 (ja)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758B1 (ko) 송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0432073B1 (ko) 다중사용자확산스펙트럼통신시스템
US9197374B2 (en) Repetition coding for a wireless system
KR100740448B1 (ko) Ofdm 통신 시스템
JP5084051B2 (ja) 送受信装置、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方法
KR100755937B1 (ko) 펄스-정형 필터들을 사용하는 멀티캐리어-부호 분할 다중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개선된 성능을 위한 장치 및방법
US20100098042A1 (en) Using the same multiplexed radio resource for pilot and information signals
KR100811565B1 (ko)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218845B (zh) 多载波通信中的无线通信基站装置、无线通信移动台装置和导频信号序列分配方法
CN101682454B (zh) 发射和接收多载波扩频信号的方法,发射和接收设备
US20060140294A1 (en) Block modulation
WO2006086437A1 (en) Multipath interference reduction on pilot estimation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US768877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n MC-CDMA system
KR200000686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
CN1883137B (zh) 在无线多载波通信系统中接收宽带导频的方法和装置
JPWO2008155947A1 (ja) 受信機及び受信方法
KR20040035288A (ko) 수신성능을 향상시키는 다중 반송파 송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Ping A combined OFDM-CsDMA approach to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JP2005184812A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変調を使用して超広帯域信号を通信する方法および受信機
CN101116259A (zh) 在传统系统可互操作性下对导频估计的多径干扰抑制
CN101534279A (zh) 直接序列扩频级联频域正交码分复用收发装置、方法及系统
Steendam et al. The effect of carrier phase jitter on MC-DS-CDMA
WO2008029704A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ispositif de réception, système de communication,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KR100521402B1 (ko) 시간 영역의 병렬 간섭 제거 알고리즘을 통해 반송파주파수 옵셋을 보상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시스템의 수신장치
Sadough Ultra Wideband OFDM Systems: Channel Estimation and Improved dtection Accounting for Estimation Inaccura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