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022B1 -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022B1
KR100845022B1 KR1020070108405A KR20070108405A KR100845022B1 KR 100845022 B1 KR100845022 B1 KR 100845022B1 KR 1020070108405 A KR1020070108405 A KR 1020070108405A KR 20070108405 A KR20070108405 A KR 20070108405A KR 100845022 B1 KR100845022 B1 KR 10084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horizontal line
shooting
line la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장
지기환
박현
강지훈
한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Priority to KR102007010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9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using electromagnetic excitation or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12Arrangements for exhibiting specific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H01B11/16Cables, e.g. submarine cables, with coils or other devices incorporated during cable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세로라인 레이져를 방사하여 세로 라인을 표시시키는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가로라인 레이져를 방사하여 가로 라인을 표시시키는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와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에 의해 구획된 분할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벽면 분할 촬영에서 다음 촬영 단계의 분할 영역 표시를 위해 상기 제 1 가로라인 레이져 또는 제 2 가로라인 레이져를 구동시켜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 방사각을 제어하여 제 1 가로라인 또는 제 2 가로라인을 이동시켜 촬영 영역을 재설정하는 촬영 컨트롤러; 및 벽면 분할 촬영에서 다음 촬영 단계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촬영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메인 카메라를 틸트시켜 자전시키는 틸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균열, 건축물

Description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CRACK MEASURE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CHECK-UP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 표면을 촬영하여 구조적 결함이나 균열 상태를 확인하는데 있어 촬영 대상 표면을 종횡으로 분할하는 수직 및 수평 라인 레이져를 해당 촬영 대상 표면에 방사하여 다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촬영 영역을 순차적으로 촬영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직 구조물은 건축 문화의 발전에 따라 많은 건축물들이 초고층으로 시공되거나, 교량이 계곡 등에 설치되는 경우 교각이 수십 미터로 시공되는 바, 그러한 구조물에 대한 안전 진단시 육안 검사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안전 진단은 육안 검사를 위하여 크레인이나 밧줄을 이용하여 건축물 및 교각에 대한 안전 진단을 실시하였으나 정밀한 안전 진단이 어렵고, 안전 진단 작업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육안 검사에 의한 수직 구조물의 전도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촬영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 부재를 이용하여 전도를 측정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 촬영 카메라 및 기타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그 부재에 대한 설치가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도 1에는 위에서 언급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직 구조물 촬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촬영 시스템은, 촬영 부재 및 모니터를 포함하는 수직 구조물의 안전 진단용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조물(100)의 상단에 앵커 볼트(150)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식 레일대(200); 상기 이동식 레일대(200)의 레일홈에 체결되는 롤러대(300); 상기 롤러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 롤러(360); 상기 회전 롤러(360)에 밀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는 조정 로프와 고정되는 한편, 2조가 절곡된 형태로, 내측에 프레임 연결대가 고정되어 카메라틀이 형성되고, 절곡된 위치에 카메라 체결대가 형성되어 촬영 카메라(460)가 고정되며, 로프 고리가 형성되고, 일측에 이동 바퀴가 체결되는 이동부재 프레임; 상기 이동부재 프레임의 카메라 체결대가 형성된 축으로 고정되고, 그 대향측에 회전 롤러가 설치된 롤러 체결대; 및 상기 회전 롤러(360)(560)에 밀착되어 이동부재 프레임(300)의 높이를 조정가능한 한편, 일측에 조정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 로프 고리에 연결 로프가 결합되어 이동부재 프레임과 고정되는 조정 로프;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촬영 시스템은 인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구조물에 대한 분할 촬영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중첩 또는 생략되는 구조물 표면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분할 촬영된 이미지들을 정확하게 결합하기가 어렵고, 실 제 촬영시에도 촬영 시스템을 설치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촬영 대상 표면을 종횡으로 분할하는 수직 및 수평 라인 레이져를 해당 촬영 대상 표면에 방사하여 다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촬영 영역을 순차적으로 촬영함으로써 정확한 대상물의 표면 분할 및 그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세로라인 레이져를 방사하여 세로 라인을 표시시키는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가로라인 레이져를 방사하여 가로 라인을 표시시키는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와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에 의해 구획된 분할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벽면 분할 촬영에서 다음 촬영 단계의 분할 영역 표시를 위해 상기 제 1 가로라인 레이져 또는 제 2 가로라인 레이져를 구동시켜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 방사각을 제어하여 제 1 가로라인 또는 제 2 가로라인을 이동시켜 촬영 영역을 재설정하는 촬영 컨트롤러; 및 벽면 분할 촬영에서 다음 촬영 단계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촬영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메인 카메라를 틸트시켜 자전시키는 틸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로라인 레이져는 다음 촬영 단계의 촬영 영역 설정시 이전 촬영 단계에서 하단 또는 상단 가로라인을 표시하는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만이 타 가로라인 레이져가 표시하는 가로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가로라인 레이져를 표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각 분할 촬영 단계별 가로라인 레이져 방사각은 메모리부에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분할 촬영 단계별 카메라 각은 메모리부에 셋팅되며, 해당 카메라 각은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 방사각의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부에는 촬영 영역 촬영시 메인 카메라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위한 줌 부가 구비되며, 틸트 동작에 따라 각 분할 촬영 단계마다 다른 촬영 거리를 가지게 되는 메인 카메라를 위해 각 분할 촬영 단계별 줌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부에는 촬영 영역 촬영시 플래쉬 광량을 제공하기 위한 플래쉬부가 구비되며, 틸트 동작에 따라 각 분할 촬영 단계마다 다른 촬영 거리를 가지게 되는 메인 카메라를 위해 각 분할 촬영 단계별 플래쉬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감시 카메라가 구비되며, 해당 감시 카메라는 감시 영상을 관리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방법은, (a) 촬영 대상 물인 건축물의 벽면을 다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여 촬영하기 위하여 촬영 프로세스 셋팅값을 설정하는 단계; (b)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부를 구동시켜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2개의 세로라인 V1 및 V2 을 표시시키는 단계; (c)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를 구동시켜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방사각에 따라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2개의 가로라인 H1 및 H2 을 표시시키는 단계; (d) 상기 2개의 세로라인 V1 및 V2 와 2개의 가로라인 H1 및 H2 에 의해 구획된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기셋팅된 촬영각에 따라 메인 카메라를 틸트시키는 단계; 및 (e)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카메라 줌 데이터에 따라 줌 부를 통해 해당 메인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고, 메인 카메라를 제어하여 해당 촬영 영역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e) 단계 이후에, 다음 분할 촬영 영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전 촬영 단계에서 하단 또는 상단 가로라인을 표시하는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만이 타 가로라인 레이져가 표시하는 가로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가로라인 레이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다음 분할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감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메인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관리자에 의해 촬영 프로세스 셋팅값이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카메라 플래쉬 데이터에 따라 플래쉬부를 구동시켜 조명을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은 건축물의 외벽 표면을 촬영하여 구조적 결함이나 균열 상태를 확인하는데 있어 촬영 대상 표면을 종횡으로 분할하는 수직 및 수평 라인 레이져를 해당 촬영 대상 표면에 방사하여 다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촬영 영역을 순차적으로 촬영하게 됨으로써 정확한 대상물의 표면 분할 및 그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벽면에 표시되는 2개의 가로라인 레이져와 2개의 세로라인 레이져의 교차구역으로 인하여 각 분할 촬영 영역이 정확하게 표시됨으로써 분할 촬영시 촬영 영역의 중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촬영 단계에 따른 다음 촬영 영역 재설정시 매번 2개의 가로 레이져 라인이 이동하는 2 라인 구동 방식이 아닌, 이전 촬영시 하단에 위치하던 가로 레이져 라인이 상단에 위치하던 가로 레이져 라인의 상부로 올라가는 1 라인 구동 방식이 사용됨으로써 가로 레이져 라인을 구동하는 전원 절감에도 유리하지만, 특히 분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후처리 접합 작업시 이미지의 상하면을 구획하는 경계면의 변화가 최소화되어 이미지 접합시 오차가 적고 경계가 정확해 이미지 접합에 크게 유리하다.
또한,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전체 촬영부가 지면에서 떨어진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촬영 이미지의 투영 왜곡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롤러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고 레귤레이터에 의해 전체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으며, 더군다나 리프트부가 펴져 장치가 상하로 길게 늘어져 서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힌지에 의해 지면을 따라 접히고 펴지는 암의 말단에 마련된 유동 레귤레이터가 펼쳐짐으로써 더욱더 안정된 장치 균형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당 관리 단말기가 벽면을 촬영하는 메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감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메인 카메라의 포커스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촬영 오차를 줄여 불필요한 반복 촬영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표면을 촬영하여 구조적 결함이나 균열 상태를 확인하는데 있어 촬영 대상 표면을 종횡으로 분할하는 수직 및 수평 라인 레이져를 해당 촬영 대상 표면에 방사하여 다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촬영 영역을 순차적으로 촬영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을 구동하는 전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을 구동하는 전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장치 는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제 1 베이스(10), 상기 제 1 베이스(10) 상에 구비되는 리프트부(30), 상기 리프트부(30) 상에 구비되어 리프트부(3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제 2 베이스(20), 상기 제 2 베이스(20) 상에 설치되어 대상물의 표면을 촬영하는 촬영부(40), 상기 촬영부(40)를 틸트시키는 틸트부(50), 상기 제 2 베이스(20) 상에 설치되어 촬영 대상물의 표면에 가로 라인을 형성시키는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 상기 제 2 베이스(20) 상에 설치되어 촬영 대상물의 표면에 세로 라인을 형성시키는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 상기 리프트부(30), 촬영부(40), 틸트부(50)와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를 제어하는 촬영 컨트롤러(80), 촬영을 위한 셋팅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부(82), 전체적인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4) 및 관리 단말기(90)로 구성된다.
즉, 전체적으로 해당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장치는 제 1 베이스(10)에 설치된 롤러(11)를 통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리프트부(30)에 의해 제 2 베이스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소정 높이에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촬영 준비를 마치게 되며, 실제 촬영시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는 촬영 대상물인 건물의 표면에 평행한 2 개의 세로 레이져 라인을 방사하여 표시시키며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는 촬영 대상물의 표면에 평행한 2개의 가로 레이져 라인을 방사하여 표시키키게 된다.
이러한 2개의 가로 레이져 라인과 2개의 세로 레이져 라인으로 인해 촬영 대상물의 표면에는 각 레이져 라인의 4개의 교차점으로 구획되는 사각형의 촬영 영역 이 표시되게 되며, 이러한 촬영 영역으로 포커스가 자동적으로 맞추어진 촬영부(40)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촬영되는 이미지는 2개의 가로 레이져 라인과 2개의 세로 레이져 라인으로 구획되는 사각형의 촬영 영역에 한정되며, 이러한 촬영 영역은 고정된 2개의 가로 레이져 라인을 따라 세로 레이져 라인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변화된다.
이때, 이러한 촬영 영역 재설정시 매번 2개의 가로 레이져 라인이 이동하는 2 라인 구동 방식이 아닌, 이전 촬영시 하단에 위치하던 가로 레이져 라인이 상단에 위치하던 가로 레이져 라인의 상부로 올라가는 1 라인 구동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1 라인 구동 방식은 가로 레이져 라인을 구동하는 전원 절감에도 유리하지만, 특히 분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후처리 접합 작업시 이미지의 상하면을 구획하는 경계면의 변화가 최소화되어 접합시 오차가 적고 경계가 정확해 이미지 접합에 크게 유리하다.
이러한 촬영 영역 지정 및 라인 구동 방식은 이하 관련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우선,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제 1 베이스(10)는 상기 리프트부(30)와 접하는 상부면을 가지며, 하단으로 4개의 롤러(11)가 구비된다. 해당 롤러(11)는 전체 장비를 자유롭게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해당 제 1 베이스(10)의 일측 양 모서리에는 고정 레귤레이터(12)가 구비된다. 또한 해당 제 1 베이스(10)의 타측 양 모서리에는 유동 레귤레이터(13)가 구비된다.
이러한 레귤레이터(12, 13)는 롤러(11)를 통해 이동하여 위치가 확정된 전체 장치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철심(14)의 하부에 마련된 평평한 지지판(15)을 지면에 맞닿게 하고 해당 철심(14)을 스크류 방식으로 지면측으로 밀고 고정시켜 작동하게 되며 각각의 레귤레이터(12, 13)는 별개로 작동함으로써 전체적인 수평은 맞추어지게 된다.
특히, 힌지(16)에 의해 지면을 따라 접히고 펴지는 암(17)의 말단에 마련된 유동 레귤레이터(13)는 그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되므로 암(17)을 장치의 바깥쪽으로 펼쳐 2개의 유동 레귤레이터(13)를 펼치는 경우 더욱더 안정된 장치 균형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더군다나, 본 발명의 측정 장치는 리프트부(30)에 의해 촬영 높이가 변화하는 즉 촬영시에는 촬영부와 지면이 멀어지는 상하로 길게 늘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유동 레귤레이터(13)의 균형 유지 기능은 더욱 중요하게 작용한다.
상기 제 1 베이스(10) 상에 구비되는 리프트부(30)는 다수의 관절바(31)가 X 자 모양으로 교차되고 관절바의 양끝단이 회전형 링크(32)에 의해 연결되어 자키 리프트 방식으로 관절바(31)가 세워져 펴지면서 상부에 놓인 제 2 베이스(20)를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펴진 상태의 리프트부(30)는 관절바(31)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33)에 의해 자세고정되어 상부에 놓인 상기 제 2 베이스(20)가 소정 높이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부에서 지지한다. 펴진 상태의 리프트부(30)와 접힌 상태의 리프트부(30)가 도 8의 (a)와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이스(20)는 지면 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더불 어 제 2 베이스(20) 상에 구비되는 촬영부(40) 역시 지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최근 건축물들은 고층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이러한 건축물들의 벽면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의 벽면을 촬영하게 되면 투영 왜곡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촬영 단면의 위치가 높게 있을 때 카메라는 아래에서 위를 바라봐야만 하고 이때 촬영된 이미지의 모양은 아래부분이 확장되고 윗부분이 축소되는 투영 왜곡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리프트부(30)를 이용하여 전체 촬영부(40)가 지면에서 떨어진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이러한 촬영 이미지의 투영 왜곡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리프트부(3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평판 형상의 제 2 베이스(20)의 상부에는 촬영부(40), 틸트부(50),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베이스(20) 상에 설치되어 대상물의 표면을 촬영하는 촬영부(40)는 실제 벽면 촬영을 하는 메인 카메라(42)가 하우징(41)에 수용되며, 하우징(41)의 상부에는 촬영 조명을 위한 플래쉬부(45)가 구비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우징(41)의 내부에는 해당 메인 카메라(42)의 뷰파인더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감시 카메라(43)가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해당 감시 카메라(43)의 포커스는 관리 단말기(90)와 연결된다.
따라서 해당 관리 단말기(90)는 감시 카메라(43)를 통해 현재 메인 카메 라(42)가 촬영하고자 하는 객체(벽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되며, 이를 작업자는 관리 단말기(9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줌부(44)는 해당 메인 카메라(42)의 촬영시 줌인/줌아웃을 위한 줌 서보모터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촬영부(40)는 벽면을 분할하여 촬영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틸트부(50)의 구동에 따라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 카메라(42)가 수용된 하우징(41)의 측면에는 회전바(51)가 결합되며, 이러한 회전바(51)는 틸트부(50)의 구동 모터(도면에 도시 않음)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해당 하우징(41)은 회전바(51)를 중심으로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41)에 수용된 메인 카메라(42)는 상하 방향으로 자전하게 되므로 수직 구조물의 전체 벽면을 수직 방향으로 자전하면서 피사체면(벽면)을 달리하여 전체 벽면을 분할해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메인 카메라(42)의 촬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와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와 연동되어 결정된다.
우선,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와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는 내부의 레이져 방사 램프(62a)에서 방사된 점 형의 레이져가 분산 렌즈(62b)에 의해 분산되면서 최종적으로 촬영 대상물인 벽면에서는 선 형상으로 표시되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분산 렌즈(62a)는 원통형의 라인 분산 렌즈이며 바람직하게는 90°내지 120°의 분산각을 갖는 것 이 좋다.
이때, 상기 레이져 방사 램프(62a)는 다양한 색상의 레이져 방사가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색 계열의 레이져 방사 램프인 것이 좋다. 왜냐하면, 실제 대부분의 건축 구조물의 벽면은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져 회색 계열을 가지게 되며 적색 계열의 레이져는 이러한 회색 계열과 좋은 배색을 이룬다. 특히 분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후처리 접합 작업시 이미지를 구획하는 이러한 적색 계열은 이미지 프로세싱 작업에서 인식률이 아주 높아서 레이져 구획 이미지의 확장 작업이나 레이져 구획 이미지의 수축 작업(촬영된 이미지의 투영 왜곡 발생시 필요한 사진 후처리 작업)에서 중요한 기준 라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는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각각 세로 라인(Vertical Line) V1 과 V2 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는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각각 가로 라인(Horizonntal Line) H1 과 H2 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형으로, 다음 세로 구역에 대한 촬영 작업시에는 전체 장치가 자세전환됨으로써 작업이 진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방, 후방 및 상방을 향하여 설치된 3개의 레이져 방사모듈로 구 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레이져 방사모듈에서 방사되는 라인 레이져의 방사각이 90°내지 120°이기 때문에 터널 내부 등과 같은 촬영 작업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3개의 레이져 방사모듈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자세 고정형인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와 달리 상기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는 상기 촬영부(40)의 메인 카메라(42)와 마찬가지로 틸트 동작에 의해 자전하여 자세 전환되게 된다.
즉, 실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은 세로 라인 V1 및 V2 와 가로 라인 H1 및 H2 가 교차하여 생성되는 사각형의 내부 공간이며, 이러한 사각형의 촬영 영역을 계획된 분할 영역으로 옮기기 위해 상기 가로 라인 H1 및 H2 가 교차하며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는 틸트 동작을 하게 되며, 이러한 틸트 동작에 따라 메인 카메라(42) 역시 연동하여 틸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해당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의 틸트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셋팅된 각도로 해당 가로라인 레이져부(60a, 60b)를 틸트 시키기 위해 설치대(61) 상의 구동 모터(63)가 회전력을 구동축(63a)에 전달하면, 구동축(63a)의 종단에 연결된 구동 풀리(63b)가 회전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해당 구동 풀리(63b)는 벨트(64)를 돌리게 된다. 그리고 해당 벨트(64)와 연동된 종동 풀리(65a)의 회전은 피동축(65b)에 전달되며 피동축(65b)의 일부에 형성된 웜(65c)의 회전에 따라 웜휠(65d)은 출력축(65e)을 통해 가로라인 레이져부(60a, 60b)를 자전시킴으로써 틸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의 틸트 동작에 따라 해당 촬영부(40) 역시 틸트부(50)에 의해 자전되는 틸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매 촬영시 2개의 가로라인 레이져부가 틸트될 필요는 없다.
즉, 첫번째 촬영에서 H1 이 하측에 표시되고 H2 가 상측에 표시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지면, 두번째 촬영에서는 H2 는 첫번째 촬영시의 위치에 고정되고 H1 만이 H2 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1 라인 교차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매 촬영시마다 굳이 2개의 가로라인 레이져부가 한꺼번에 이동하지 않으므로 가로 레이져 라인을 구동하는 전원 절감에도 유리하다.
더군다나, 일예로 상부로 틸트되며 분할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첫번째 촬영시의 상부 가로라인이 그대로 두번째 촬영에서 하부 가로라인으로 촬영되게 되므로 분할된 사진들을 접합하는 작업시에도 양측 사진의 접합 라인이 변하지 않아서 두개의 가로라인이 매번 옮겨지는 분할 사진들을 접합하는 작업에 비해 접합오차가 대단히 적어 정확한 이미지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할 촬영을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은 촬영 컨트롤러(80)의 제어하에 동작하 게 되며, 해당 촬영 컨트롤러(80)는 메모리부(82)에 저장된 셋팅값을 참조하여 각 부를 동작시킨다.
상기 메모리부(82)에는 분할 촬영의 전체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셋팅값이 저장되는데, 이러한 셋팅값은 촬영 단면폭(D), 촬영 단면 높이(h), 카메라 높이(H), 제 1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1),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2), 카메라의 촬영각(Ø), 분할 촬영의 개별 단계(n), 전체 분할 촬영 수(i), 줌 데이터(Z), 플레쉬 데이터(F)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단면폭(D)은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에서 방사된 가로 라인 H1 및 H2 으로 구획되는 촬영 영역의 단면 폭 값이다.
상기 촬영 단면 높이(h)는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에서 방사된 세로 라인 V1 및 V2 으로 구획되는 촬영 영역의 단면 높이 값이다.
상기 카메라 높이(H)는 리프트부(3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메인 카메라(42)의 높이 값이다.
상기 제 1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1)은 제 1 가로라인 레이져(60a)에서 방사되는 가로 라인 H1 의 방사각을 의미하며, 이러한 제 1 가로라인 레이져(60a)의 방사각은 분할 촬영의 단계별로 다수개 셋팅된다.
상기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2)은 제 2 가로라인 레이져(60b)에서 방사되는 가로 라인 H2 의 방사각을 의미하며, 이러한 제 2 가로라인 레이져(60b)의 방사각은 분할 촬영의 단계별로 다수개 셋팅된다.
이때, 상기 제 1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1)과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2)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 분할 촬영시 마다 단지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만이 방사각을 달리하도록 셋팅되어 한번의 분할 촬영에서 굳이 2개의 가로라인 레이져가 동시에 구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Ø)은 전체 촬영 단계별로 셋팅되는 메인 카메라의 포커스 각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촬영각(Ø)은 제 1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1)과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2)의 사이에 놓이게 된다.
상기 분할 촬영의 개별 단계(n)는 분할 촬영에 있어서 각 분할 촬영 단계 값을 의미한다.
상기 전체 분할 촬영 수(i)는 분할 촬영에 있어서 전체 분할 촬영 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줌 데이터(Z)는 분할 촬영에 있어서 각 분할 촬영시의 메인 카메라(42)의 줌 데이터를 의미한다. 실제 고정된 높이에서 메인 카메라(42)가 틸트 동작으로 회전하며 수직면을 분할하여 촬영하는 경우, 수평 각도의 촬영시에 비해 높거나 낮은 각도로 촬영이 진행되면 메인 카메라(42)와 촬영 대상물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러한 줌 데이터를 각 분할 촬영 단계마다 셋팅함으로써 전체 분할 촬영 이미지들이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래쉬 데이터(F)는 분할 촬영에 있어서 각 분할 촬영시의 플래쉬 부(44)의 플래쉬 광량을 의미한다. 실제 고정된 높이에서 메인 카메라(42)가 틸트 동작으로 회전하며 수직면을 분할하여 촬영하는 경우, 수평 각도의 촬영시에 비해 높거나 낮은 각도로 촬영이 진행되면 메인 카메라(42)와 촬영 대상물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러한 플래쉬 데이터를 각 분할 촬영 단계마다 셋팅함으로써 전체 분할 촬영 이미지들이 동일한 밝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촬영 컨트롤러(80)는 메모리부(82)에 셋팅된 카메라 높이(H) 값을 추출하여 리프트부(30)를 구동해 해당 리프트부(30)를 통해 제 2 베이스(20)를 들어올림으로써 제 2 베이스(20) 상의 메인 카메라(42)가 적정한 촬영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촬영 컨트롤러(80)는 촬영이 개시되면,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를 턴온시켜 촬영 대상물인 벽면에 가로 라인 H1 및 H2 를 표시시키고,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를 턴온시켜 촬영 대상물인 벽면에 세로 라인 V1 및 V2 을 표시시킨다.
이때, 이러한 세로 라인 V1 및 V2 의 사이 거리인 촬영 단면폭(D)은 고정형인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저부(70a, 70b)의 고정 위치에 의해 결정되며, 가로 라인 H1 및 H2 의 사이 거리인 촬영 단면 높이(h)는 유동형인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에 대하여 전달되는 제 1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1)과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2)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촬영 컨트롤러(80)는 촬영 대상물인 벽면에 가로 라인 H1 및 H2 과 세로 라인 V1 및 V2 이 표시되어 촬영 준비가 완료되면 해당 촬영 단계의 카메라의 촬영각(Ø)을 메모리부(82)에서 추출하여 틸트부(50)를 구동시켜 메인 카메라(42)의 촬영각을 제어하며, 동시에 해당 촬영 단계의 줌 데이터(Z) 및 플래쉬 데이터(F)를 추출하여 메인 카메라(42)의 촬영 줌 값과 플래쉬 광량을 셋팅하여 촬영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분할 촬영의 단계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 단말기(90)는 감시 카메라(43)를 통해 메인 카메라(42)의 촬영 객체(벽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82)의 촬영 셋팅값들을 설정 또는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부(84)는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제, 도 10의 흐름도를 통해 전체적인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을 다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여 촬영하기 위하여 촬영 단면폭(D), 촬영 단면 높이(h), 카메라 높이(H), 제 1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1),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2), 카메라의 촬영각(Ø), 분할 촬영의 개별 단계(n), 전체 분할 촬영 수(i), 줌 데이터(Z), 플레쉬 데이터(F)를 셋팅하여 메모리부(82)에 저장한다(S10).
이후, 촬영 컨트롤러(80)는 셋팅된 카메라 높이(H)에 따라 리프트부(30)를 구동하여 리프트부(30) 상에 있는 메인 카메라(42)의 촬영 높이를 고정시킨다(S12).
그리고, 고정형으로 제 2 베이스(20) 상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부(70a, 70b)를 구동시켜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2개의 세로라인 V1 및 V2 를 표시시킨다(S14).
또한, 촬영 컨트롤러(80)는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60a, 60b)를 구동시켜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제 1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1)과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방사각(θ2)에 따라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2개의 가로라인 H1 및 H2 을 표시시킨다(S16).
이에 따라, 해당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세로라인 V1 및 V2 와 2개의 가로라인 H1 및 H2 가 표시되게 되며, 이러한 4개의 레이져 라인에 의해 촬영 영역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촬영 영역이 결정되면, 상기 촬영 컨트롤러(80)는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카메라 촬영각(Ø)에 따라 해당 메인 카메라(42)가 레이져에 의해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생긴 상기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틸트부(50)를 제어하여 메인 카메라(42)가 수용된 하우징(41)을 틸트시킨다(S18).
여기에서, 이러한 메인 카메라(42)의 포커스 화면은 메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감시 카메라(43)에 의해 항상 관리 단말기(90)에 표시되게 되며, 관리자가 제어가 필요(포커스 오차, 레이져 구동 오차 등)하다고 판단되면(S20), 해당 관리자는 관리 단말기(90) 등을 통해 메모리부(82)에 저장되는 셋팅값을 재설정하게 된다(S22).
한편, 이와 같이 촬영 영역의 표시 및 카메라 틸트가 완료되면, 상기 촬영 컨트롤러(80)는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카메라 줌 데이터(Z)에 따라 줌 부(44)를 통해 해당 메인 카메라(42)를 줌인 또는 줌아웃시킨다(S24).
그리고 상기 촬영 컨트롤러(80)는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카메라 플래쉬 데이터(F)에 따라 플래쉬부(45)를 구동시켜 조명을 방출하는 동시에 메인 카메라(42)를 제어하여 해당 촬영 영역을 촬영한다(S26).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는 하나의 분할 이미지로서 저장되며(S28), 이후 해당 촬영 컨트롤러(80)는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부를 다음 단계의 방사각(θ)으로 틸트시켜 다음 촬영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32).
즉, 상향 분할 촬영인 경우 하단의 가로라인만을 이동시켜 상단에 새로운 촬영 영역을 표시키게 되며, 하향 분할 촬영인 경우 상단의 가로라인만을 이동시켜 하단에 새로운 촬영 영역을 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촬영 프로세스는 현재의 분할 촬영 개별 단계(n)가 예정된 전체 분할 촬영 수(i)에 이를 때까지 계속 자동 반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 구조물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을 구동하는 전체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을 구동하는 전체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레이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대상물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 및 촬영 대상물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프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11)

  1.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각각 세로라인 레이져를 방사하여 서로 평행한 세로 라인을 벽면에 표시시키는 자세 고정형의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각각 가로라인 레이져를 방사하여 서로 평행한 가로 라인을 벽면에 표시시키는 틸트 동작에 의한 자세 전환형의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와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교차에 의해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사각형으로 구획된 분할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벽면 분할 촬영에서 다음 촬영 단계의 분할 영역 표시를 위해 상기 제 1 가로라인 레이져 또는 제 2 가로라인 레이져를 구동시켜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 방사각을 제어하여 제 1 가로라인 또는 제 2 가로라인을 이동시키는 일 라인 구동 방식으로 다음 촬영 영역을 재설정하는 촬영 컨트롤러; 및
    벽면 분할 촬영에서 다음 촬영 단계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촬영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메인 카메라를 틸트시켜 자전시키는 틸트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라인 레이져는 다음 촬영 단계의 촬영 영역 설정시 이전 촬영 단계에서 하단 또는 상단 가로라인을 표시하는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만이 타 가로라인 레이져가 표시하는 가로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가로라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일 라인 레이져의 구동만으로 다음 분할 촬영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의 각 분할 촬영 단계별 가로라인 레이져 방사각은 메모리부에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각 분할 촬영 단계별 카메라 각은 메모리부에 셋팅되며, 해당 카메라 각은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져 방사각의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는 촬영 영역 촬영시 메인 카메라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위한 줌 부가 구비되며, 틸트 동작에 따라 각 분할 촬영 단계마다 다른 촬영 거리를 가지게 되는 메인 카메라를 위해 각 분할 촬영 단계별 줌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는 촬영 영역 촬영시 플래쉬 광량을 제공하기 위한 플래쉬부가 구비되며, 틸트 동작에 따라 각 분할 촬영 단계마다 다른 촬영 거리를 가지게 되는 메인 카메라를 위해 각 분할 촬영 단계별 플래쉬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감시 카메라가 구비되며, 해당 감시 카메라는 감시 영상을 관리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8. (a)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을 다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여 촬영하기 위하여 촬영 프로세스 셋팅값을 설정하는 단계;
    (b) 자세 고정형의 제 1 및 제 2 세로라인 레이져부를 구동시켜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2개의 고정된 세로라인 V1 및 V2 을 평행하게 표시시키는 단계;
    (c) 틸트 동작에 의한 자세 전환형의 제 1 및 제 2 가로라인 레이저부를 구동시켜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방사각에 따라 촬영 대상물인 건축물의 벽면에 2개의 가로라인 H1 및 H2 을 평행하게 표시시키는 단계;
    (d) 상기 2개의 세로라인 V1 및 V2 와 2개의 가로라인 H1 및 H2 의 교차에 의해 촬영 대상물의 벽면에 사각형으로 구획된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기셋팅된 촬영각에 따라 메인 카메라를 틸트시키는 단계; 및
    (e)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카메라 줌 데이터에 따라 줌 부를 통해 해당 메인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고, 메인 카메라를 제어하여 해당 촬영 영역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e) 단계 이후에,
    다음 분할 촬영 영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전 촬영 단계에서 하단 또는 상단 가로라인을 표시하는 하나의 가로라인 레이져만을 구동시켜 타 가로라인 레이져가 표시하는 가로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가로라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일 라인 레이져의 구동만으로 다음 분할 촬영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감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메인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관리자에 의해 촬영 프로세스 셋팅값이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해당 촬영 단계에 대하여 기셋팅된 카메라 플래쉬 데이터에 따라 플래쉬부를 구동시켜 조명을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균열 상 태 측정 방법.
KR1020070108405A 2007-10-26 2007-10-26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84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405A KR100845022B1 (ko) 2007-10-26 2007-10-26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405A KR100845022B1 (ko) 2007-10-26 2007-10-26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022B1 true KR100845022B1 (ko) 2008-07-08

Family

ID=3982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405A KR100845022B1 (ko) 2007-10-26 2007-10-26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0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063B1 (ko) 2011-06-21 2012-08-30 (주)엘씨씨코리아 방재모듈을 탑재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2735262A (zh) * 2012-06-21 2012-10-17 宁波舜宇测绘科技有限公司 激光标线仪精度检测装置
KR101567304B1 (ko) 2015-06-19 2015-11-09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구조물 이미지 캡쳐 장치
KR101920682B1 (ko) * 2018-08-03 2018-11-21 주식회사 아이씨피 길이측정 기능을 갖는 촬상장치
CN110260824A (zh) * 2019-06-14 2019-09-20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墙板凹槽边缘角度的获取装置和方法
KR20210078879A (ko) 2019-12-19 2021-06-29 박재민 벽면 균열 검출 로봇
KR20210083865A (ko) * 2019-12-27 2021-07-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콘크리트 균열 감지 시스템
KR20230017057A (ko) * 2021-07-27 2023-02-03 최경모 촬영 지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660A (ja) * 1999-11-11 2001-05-25 Keisoku Kensa Kk トンネルの内部壁面のひび割れ検出方法及びその表示方法
KR20040020261A (ko) * 2002-08-30 2004-03-09 한창수 영상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 탐지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660A (ja) * 1999-11-11 2001-05-25 Keisoku Kensa Kk トンネルの内部壁面のひび割れ検出方法及びその表示方法
KR20040020261A (ko) * 2002-08-30 2004-03-09 한창수 영상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 탐지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063B1 (ko) 2011-06-21 2012-08-30 (주)엘씨씨코리아 방재모듈을 탑재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2735262A (zh) * 2012-06-21 2012-10-17 宁波舜宇测绘科技有限公司 激光标线仪精度检测装置
KR101567304B1 (ko) 2015-06-19 2015-11-09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구조물 이미지 캡쳐 장치
KR101920682B1 (ko) * 2018-08-03 2018-11-21 주식회사 아이씨피 길이측정 기능을 갖는 촬상장치
CN110260824A (zh) * 2019-06-14 2019-09-20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墙板凹槽边缘角度的获取装置和方法
CN110260824B (zh) * 2019-06-14 2021-10-08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墙板凹槽边缘角度的获取装置和方法
KR20210078879A (ko) 2019-12-19 2021-06-29 박재민 벽면 균열 검출 로봇
KR20210083865A (ko) * 2019-12-27 2021-07-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콘크리트 균열 감지 시스템
KR102388064B1 (ko) * 2019-12-27 2022-04-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콘크리트 균열 감지 시스템
KR20230017057A (ko) * 2021-07-27 2023-02-03 최경모 촬영 지원 장치
KR102561344B1 (ko) * 2021-07-27 2023-07-31 최경모 촬영 지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022B1 (ko)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6272567B2 (ja) 移動式撮像装置及び移動式撮像方法
US72688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convergence and focus verification of projected images
KR100845023B1 (ko)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장치
US6714729B1 (en) Automatic motion-controlle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lated photographing method
JP2006242821A (ja) 光学パネルの撮像方法、光学パネルの検査方法、光学パネルの撮像装置、光学パネルの検査装置
JP469439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検査装置
KR101843923B1 (ko)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검사장치
CN109187361A (zh) 一种钻孔岩芯成像光谱扫描系统
KR102567163B1 (ko) 촬영 장치 운용, 구조물 손상 분석 및 평가 시스템
JP2004187220A (ja) ひび割れ検査装置のカメラ画角調整方法
JP2016151113A (ja) コンクリート打設高さ管理方法
JPH11178014A (ja) 液晶プロジェクタ光学モジュールの調整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2003075350A (ja) 検査用カメラの走査装置
JP3218047U (ja) トンネル内壁面撮影装置
KR102631655B1 (ko) 공정효율성을 높인 비전검사장치
JP3498250B2 (ja) 橋梁鈑桁など長尺構造物の自動計測装置及び方法
JP2005181250A (ja) 液晶表示パネルの検査方法及び装置
JP2939182B2 (ja) ワークの寸法測定方法及び寸法測定装置
JP2021059892A (ja) 鉄骨施工階への基準点盛替えシステム
CN114285968B (zh) 一种旋转式外翻补地航天器舱内全景影像采集装置
KR200381952Y1 (ko) 라인레이저를 이용한 다중 카메라 촬영장치
KR102604394B1 (ko) 실시간 데이터 변화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JPS63275996A (ja) 燃料集合体の外観検査装置
JP393446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損壊写真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