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931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931B1
KR100843931B1 KR1020020057675A KR20020057675A KR100843931B1 KR 100843931 B1 KR100843931 B1 KR 100843931B1 KR 1020020057675 A KR1020020057675 A KR 1020020057675A KR 20020057675 A KR20020057675 A KR 20020057675A KR 100843931 B1 KR100843931 B1 KR 100843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aundry
washing machine
water
bal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678A (ko
Inventor
요꼬이야스히고
야마모또히로시
소노다야스아끼
기노우찌다까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9Balancing for drum, e.g., washing machine or arm-type structure, etc., centrifug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탈수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소음의 억제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서, 드럼(4)은 그 단부면벽(41L, 41R)에서 각각 외방를 향해 거의 수평으로 연장된 회전축(51L, 51R)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4)의 단부면벽(41L, 41R)에는 각각에 저수 밸런서(G)가 부착되어 있고, 단부면벽(41L)에는 또한, 유체 밸런서(9)가 부착되어 있다.
드럼, 단부면벽, 회전축, 저수 밸런서, 유체 밸런서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를 전후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2는 상기 드럼식 세탁기를 좌우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3은 저수 밸런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4는 탈수시에 행해지는 평형 조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해적인 단면도.
도5는 유체 밸런서를 드럼측에서 본 도면.
도6은 도5에 도시한 절단면선 VI-Vl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외조
4 : 드럼
6 : 모터
42 : 주위면벽
71 : 호스 접속구
72 : 급수관
75 : 배수관
77 : 배수 밸브
80 : 용기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1-291715호를 기초로 한 것이며, 그 내용을 이하에서 참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원심력 탈수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갖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 및 탈수를 위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은, 원통형의 외조 내에서 단부면을 전후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드럼의 후단면에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된 회전축이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축은 외조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수취되어 부착된 외조의 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그리고, 회전축의 후단부에는 예컨데, DD(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으로 모터가 결합되어 있고, 드럼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외조 내에서 회전축 주위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가 갖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탈수할 때에,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치우쳐 있는 상태로 드럼을 고속 회전시키면, 드럼 내에 편심 하중이 생기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외조의 진동이나 그 진동에 수반하는 소음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점에 대해서는 예컨데, 드럼의 회전시에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물을 저류가능한 복수의 저수 상자를 드럼의 단부면에 설치하고, 드럼 내에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편심 하중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 그 편심 하중의 위치에 가까운 위치의 저수 상자 내의 수량을 다른 저수 상자 내의 수량보다 적게 하고, 물의 중량으로 편심 하중을 상쇄하여, 드럼의 회전 방향의 중량 평형의 균형을 도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드럼의 전단면에 세탁물 출납용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럼의 전단부면에 저수 상자를 설치할 수 없고, 저수 상자는 필연적으로 드럼의 후단부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편심 하중은 모터와는 반대측(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생기기 쉽고, 이 경우, 드럼의 후단부면에 설치된 저수 상자의 수량 조정을 행하더라도, 그 편심 하중을 충분히 보상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여, 드럼내에서의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생기는 편심 하중을 양호하게 보상할 수 있고, 탈수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소음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성이 좋고, 동작음이 조용한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4)을 갖고, 이 드럼을 거의 수평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시켜, 그 드럼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원심력 탈수를 실행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며, 상기 드럼의 양단면(41L, 41R)으로부터 각각 상기 회전축선에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1L, 51R)과, 이 회전축의 한쪽에 결합된 드럼 회전용 모터(6)와,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면(41L)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수조(8)를 구비하고,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드럼에 생기는 편심 하중을 상쇄하도록 각 저수조 내의 수량이 조정되는 저수 밸런서(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괄호 내의 영문자 또는 숫자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이 항목에 있어서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은 그 양단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을 향해 거의 수평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회전축에는 드럼 회전용 모터가 결합되어 있고, 이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드럼 단부면에는,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드럼에 생기는 편심 하중을 상쇄하기 위해 저수 밸런서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의 탈수시에 드럼 내의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세탁물이 치우쳐서, 드럼에 편심 하중이 생기더라도, 그 편심 하중을 저수 밸런서의 작동에 의해 상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한 진동이나 그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면(41R)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수조(8)를 구비하고,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드럼에 생기는 편심하중을 상쇄하도록 각 저수조 내의 수량이 조정되는 모터측 저수 밸런서(G)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추가하면, 드럼 내의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세탁물이 치우쳐서, 드럼에 편심 하중이 생기더라도, 그 편심 하중을 모터측 저수 밸런서의 작용에 의해서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고속 회전시에 내부의 액체가 치우쳐서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을 상쇄하는 유체 밸런서(9)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고속 회전시에 내부의 액체가 치우쳐서 세탁 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을 상쇄하는 모터측 유체 밸런서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들 구성을 추가하면, 유체 밸런서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저수 밸런서의 작용에 의해서는 억제할 수 없는 진동이나, 저수 밸런서에 의한 편심 하중의 보상을 행할 수 없는 작은 편심 하중에 기인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나 진동에 수반하는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부재(3F, 3B)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한 외조(2)를 더 포함해도 좋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외조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 측의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댐퍼(3F, 3B)라도 좋다. 이 경우,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편심 하중은 댐퍼에 의한 외조의 지지 위치에 관해서 드럼 회전용 모터와는 반대측에서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편심 하중에 기인하는 진동 및 소음의 억제를 위해 본 발명은 특히 유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1에는 전후방향에 따라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2에는 좌우방향에 따라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드럼식 세탁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은 세탁기 팬에 설치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루 위에 설치되었을 때의 높이(바닥면으로부터 하우징(1)의 상부면까지의 높이)가 사용자의 허리정도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중공 원뿔 형상의 외조(2)가 단부면을 좌우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외조(2)는 한쌍의 댐퍼(3F, 3B) 및 한쌍의 코일 스프링(3L,3R)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댐퍼(3F, 3B)는 하우징(1)의 내저면과 외조(2)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고, 각각 외조(2)의 하방측 전방 위치 및 하방측 후방 위치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코일 스프링(3L, 3R)은 각각 하우징(1)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외조(2)를 연결하고 있고, 외조(2)의 상방측 후방 위치를 지지하고 있다.
외조(2)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4)이 단부면을 좌우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드럼(4)의 양단면은 단부면벽(41L, 41R)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들 단부면벽(41L, 41R)의 중심에는 각각 회전축(51L, 51R)이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51L, 51R)은 각각 하우징(1)의 좌우 측면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동일한 회전축선에 따라 단부면벽(41L, 41R)으로부터 좌우로 연장하고, 외조(2)에 부착된 베어링(52L, 52R)에 회전가능하게 수취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5LR)의 우단부에는 DD(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으로 모터(6)가 결합되어 있고, 드럼(4)은 모터(6)의 구동력에 의해, 외조(2) 내에서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드럼(4)의 주위면벽(42)에는 세탁물의 출납을 위한 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전면(11)과 상면(12)은 전후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이 거의 원호형의 볼록곡면(13)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볼록곡면(13)에는 개폐 덮개(14)에 의해 개폐가능한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조(2)의 주위면벽(21)에는 그 하우징(1)의 개구(15)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22)가 형성되어 있고, 드럼(4)은 개구(43)가 외조(2)의 개구(22)와 중첩되도록 정지 위치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드럼(4)이 정지한 상태에서, 개폐 덮개(14)를 개방하고, 드럼(4)에 대한 경사 상방으로부터 개구(15, 22, 43)를 통해 세탁물의 출납을 행할 수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외조(2)의 개구(22) 및 드럼(4)의 개구(43)에는 각각에 슬라이드식 혹은 들어 올리는 방식의 개폐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개폐 덮개를 개방한 상태로 세탁물의 출납을 행하게 되어 있다. 드럼(4)의 개구(43)의 개폐 덮개는 외조(2)의 개구(22)의 개폐 덮개를 개폐시킬 때에, 이것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드럼(4)의 개구(43)에 개폐 덮개를 설치함에 따른 중량 평형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서, 드럼(4)의 주위면벽(42)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 개구(43)와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 밸런서(44)가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의 우측면(16)에는 외부의 수도 설비 등에 이르는 급수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 접속구(7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호스 접속구(71)로부터 하우징(1)의 내부를 향해 급수관(72)이 연장하고 있다. 급수관(72)은 도중에서 분기되어 있고, 각 분기관(72L, 72R)의 선단은 외조(2) 내에 진입하고, 회전축(51L, 51R)의 하방에서 각각 주수구(73L, 73R)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분기관(72L, 72R)의 도중부에는 각각 주수구(73L, 73R)로의 물의 유통을 허가 및 저지하기 위한 급수 밸브(74L, 74R)가 구비되어 있다. 급수 밸브(74L, 74R)를 개방하면, 상기 급 수 호스를 통과하여 공급되어 오는 물이 급수관(72)을 통하여 각 주수구(73L, 73R)에 도달하고, 각 주수구(73L, 73R)로부터 하방으로 향해 방수된다.
또한, 외조(2)의 주위면벽(21)의 최하부에는 배수관(75)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 배수관(75)의 타단부는 하우징(1)의 우측면(16)에 설치된 배수구(76)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75)의 도중에는 배수 밸브(77)가 구비되어 있고, 이 배수 밸브(77)를 폐쇄한 상태로 급수 밸브(74L, 74R)를 개방하여, 주수구(73L, 73R)로부터의 급수를 행함으로써, 이들 주수구(73L, 73R)로부터 방출되는 물을 외조(2)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외조(2) 내에 저장된 물은 배수 밸브(77)를 개방함으로써, 배수관(75) 및 배수구(76)를 통해서 세탁기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드럼(4)의 주위면벽(42)에는 다수의 통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천설되어 있고, 외조(2) 내에 저장된 물은 통수 구멍을 통해 드럼(4) 내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럼(4)의 주위면벽(42)의 내면에는 세탁물을 들어 올리기 위한 배플(도시안됨)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 및 행굼 시에는 외조(2) 내 에 물이 저장된 상태로 드럼(4)이 회전됨으로써, 드럼(4) 내의 세탁물이 배플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수면을 향해 자연 낙하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또한, 탈수시에는 드럼(4)이 고속 회전되고, 드럼(4) 내의 세탁물에 포함되는 물이 원심력에 의해 짜내어지고 이 세탁물로부터의 탈수가 통수 구멍을 통하여 외조(2) 측으로 비산한다.
이러한 탈수시에 드럼(4) 내에 세탁물이 치우쳐 있으면, 그 치우침에 의해서 편심 하중이 생겨, 이것이 원인이 되어 진동이나 그 진동에 수반하는 소음이 발생 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드럼(4)의 양단면벽(41L, 41R)에는 각각 외측의 면에 복수의 저수조(8)를 갖는 저수 밸런서(G)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드럼(4)의 단부면벽(41L)에는 저수조(8)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보다도 내측(회전 중심측)의 영역에 원환 형상의 유체 밸런서(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드럼식 세탁기는 탈수 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조(2)의 하방측의 위치에는 그 건조 기능을 위한 유닛(U)이 부착되어 있다. 건조 기능을 위한 유닛(U)은 중량이 비교적 크고, 이 유닛(U)을 외조(2)의 중심에 대해서 모터(6)와 반대측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외조(2)에 가해지는 중량 평형의 균형이 도모되고 있다.
도3은 저수 밸런서(G)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드럼(4)의 단부면벽(41R)에 부착되어 있는 저수 밸런서(G)를 드럼(4)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드럼(4)의 우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드럼(4)의 단부면벽(41L, 41R)에 부착된 저수 밸런서(G)는 각각 회전축(51L, 51R)을 둘러싸는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저수 밸런서(G)는 드럼(4)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소정 간격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환형판(801, 802)과, 이들 한쌍의 환형판(801, 802)의 외주면을 폐색하는 주위면판(803)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용기(80)를 갖고 있다. 이 용기(80)의 내부에는 드럼(4)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구획판(804)이 반경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고, 상호 인접한 구획판(804)의 사이가 저수조(8)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용 기(80) 내에 16매의 구획판(804)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용기(80) 내에 16개의 저수조(8)가 구획되어 있다.
각 저수조(8)는 회전 중심{회전축(51L, 51R)}을 향해 개방된 개구(81)를 갖고 있다. 각 저수조(8)의 개구(81)에는 각각 드럼(4)의 회전 방향 진행측으로부터 개구(81)의 약1/2 내지 2/3을 덮도록 간막이 판(8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 저수조(8)는 드럼(4)의 회전에 의해서 최하방에 위치했을 때에, 주수구{73L 또는 73R(도2 참조)}로부터의 급수를 받을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평형 조정시에, 원하지 않는 저수조(8)로부터 물이 넘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탈수시에 행해지는 평형 조정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해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4 및 상술한 도2를 참조하여, 탈수시에 행해지는 평형 조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탈수시에 드럼(4)의 회전 정도가 단계적으로 올라간 경우{예를 들면, 드럼(4)의 회전 속도가 0 →100 →300 →500 →700 →1000 rpm으로 올라가는 경우}, 각 단계에서 평형 조정을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에서는, 먼저 드럼(4)이 일정 속도(각 단계의 회전 정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그 때 드럼(4)에 생기는 편심 하중의 크기 및 위치(각도 위치)가 검지된다. 이 편심 하중의 크기 및 위치는 예를 들면, 외조(2)의 상하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도시 안됨)의 출력에 기초로 하여 검지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 성분의 최소 피크는 드럼(4)의 1회 전 기간내에 있어서 편심 하중의 원인인 세탁물을 중력에 대항하여 드럼(4)의 상방으로 들어 올리려고 할 때에 나타난다. 따라서, 통상 드럼(4) 내의 최고 위치에 대하여 회전 방향 전방측의 약 90°의 각도 범위에 편심 하중이 존재할 때에 최소 피크가 출현된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드럼(4)의 편심 하중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가속도 성분의 변동 진폭, 즉 최대 피크치와 최소 피크치의 차는 드럼(4)에 생기고 있는 편심 하중의 크기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드럼(4)에 생기는 편심 하중의 크기와 가속도 성분의 변동 진폭과의 관계를 미리 조사해 두면, 이 관계에 기초하여,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성분의 변동 진폭으로부터 편심 하중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된 바와 같이 검지된 편심 하중의 크기가 드럼(4)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정해진 기준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편심 하중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저수 밸런서(G)의 각 저수조(8) 내의 수량을 조정하여 편심 하중을 보상하기 위해 평형 조정이 행해진다.
평형 조정에서는 드럼(4)이 일정한 주수 속도(예컨데, 100 rpm)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급수 밸브(74L, 74R)가 개방되어, 주수구(73L, 73R)로부터 물이 방출된다. 주수구(73L, 73f)의 하방에서는 드럼(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있는 저수 밸런서(G)가 있으므로, 주수구(73L, 73R)로부터 방출된 물은 주수구(73L, 73R)에 대향해 오는 저수조(8) 내에 저장된다. 상기 주수 속도는 저수조(8)에 저장한 물에 작용하는 원심력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회전 속도보다도 큰 회전 속도에 설정되어 있고, 저수조(8)에 저장한 물은 원심력에 의해 개구(81)로부터 넘쳐 흐르는 일없이 저수조(8) 내에서 유지된다. 또한,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도 세탁물의 중량보다도 크기 때문에, 세탁물은 드럼(4) 내에서 이동하거나 낙하하지 않는다.
이 상태를 소정 시간 계속하면,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저수조(8)중에 거의 가득 물(W)이 저류된다. 이 저수조(8)로의 주수가 행해지고 있는 사이, 세탁물은 원심력에 의해 드럼(4)의 내주면에 붙어 있으므로,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편심 하중의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이 저수조(8)에 저장되는 전후에 드럼(4)에 생기는 편심 하중은 변화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상기 주수 속도로 회전되고 있는 드럼(4)을 편심 하중의 각도 위치에 따른 타이밍으로 단시간에 45 rpm 정도까지 급감속시킨다. 그러면,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8) 내의 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중력보다도 작아지고, 회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저수조로부터 물이 넘쳐 흘러 떨어진다. 그에 대하여, 회전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저수조(8) 내의 물 및 회전 하방으로 진행하려고 하는 저수조(8) 내의 물은 저수조(8)로부터 넘쳐 흐르지 않고 보유 지지된다.
이 후, 드럼(4)에 생기고 있는 편심 하중의 크기와 위치가 다시 검지된다. 그리고, 편심 하중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 이하인지 아닌지가 판정되어, 편심 하중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편심 하중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 이하로 될 때까지,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주수 속도로부터 45 rpm까지 일시적으로 급감속시키는 제어가 반복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드럼(4)에 생기고 있는 편심 하중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 이하로 되면 평형 조정을 위한 처리가 종료하고, 이 때,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하중 위치의 근방의 저수조(8)로부터 편심 하중 의 크기에 따른 양만큼 물이 감소하고, 드럼(4)에 생기고 있는 편심 하중이 작아져 있다.
도5는 유체 밸런서(9)를 드럼(4)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6은 도5에 표시한 절단면선(Ⅵ-Ⅵ)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유체 밸런서(9)의 내부에는 원주 방향에 따른 4개의 유로(91)가 형성되어 있고, 각 유로(91) 내에는 각각 소정량의 액체(예를 들어, 염수)가 봉입되어 있다.
또한, 각 유로(91) 내에는 소정 각도(예컨데, 약 60도)마다 간막이 판(9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유로(91) 내의 액체는 간막이 판(92)과 유체 밸런서(9)의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93)을 통하여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체 밸런서(9) 내의 유체는 드럼(4)이 저속(약 l00 rpm)으로 회전하는 동안은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과 거의 동위상의 진동이 생기도록 치우치고, 드럼(4)의 회전 속도가 어떤 속도(약 300 rpm)을 넘으면 ,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과는 역위상의 진동이 생기도록 치우친다. 따라서,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는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을 유체 밸런서(9) 내의 액체의 치우침에 의한 진동에 의해 상쇄할 수 있어서, 드럼(4)의 진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드럼(4)은 그 단부면벽(41L, 41R)으로부터 각각 외방을 향해 거의 수평으로 연장된 회전축(51L, 51R)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드럼(4)의 단부면벽(41L, 41R)에는 각각에 저수 밸런서(G)가 부착되어 있고, 단부면벽(41L)에는 또한 유체 밸런서(9)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탈수시에, 드럼(4) 내의 단부면벽(41L) 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세 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편심 하중이 생기는 경우에는 단부면벽(41L)에 부착된 저수 밸런서(G)의 작용에 의해서, 그 편심 하중을 상쇄할 수 있고, 또한 드럼(4) 내의 단부면벽(41R) 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편심 하중이 생기는 경우에는 단부면벽(41R)에 부착된 저수 밸런서(G)의 작용에 의해, 그 편심 하중을 상쇄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밸런서(9)가 설치됨으로써, 저수 밸런서(G)에 의한 평형 조정을 행할 수 없는 작은 편심 하중에 기인하는 진동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나 진동에 수반하는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 형태의 설명은 이상과 같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데,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드럼(4)의 양단면벽(41L, 41R)에 각각 저수 밸런서(G)가 부착되고, 또한 모터(6)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면벽(41L)으로 유체 밸런서(9)가 부착된 구성을 예로 들었으나, 저수 밸런서(G) 및 유체 밸런서(9)의 개수 및 배치는 도7에 도시한 구성을 기초로서 자유롭게 변경해도 좋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저수 밸런서(G)가 드럼(4)의 모터(6)측과는 반대측(도7의 좌측)의 단부면벽(41L)에만 설치되고, 전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부면벽(41R)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 밸런서(G), 이 저수 밸런서(G)로의 주수를 위한 분기관(72R), 주수구(73R) 및 급수 밸브(74R), 및 유체 밸런서(9)가 생략되어도 좋다. 드럼(4)의 회전축(51L, 51R)의 한쪽에 모터(6)가 DD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댐퍼(3F, 3B)에 의한 외조(2)의 지지 위치에 대해서 모터(6)와는 반대측에서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편심 하중이 생기게 되므로, 드럼(4)의 모터(6)측과는 반대측(도7의 좌측)의 단부면벽(41L)에만 저수 밸런서(G)가 설치되어 있어도,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4)의 양단면벽(41L, 41R)에 각각 저수밸런서(G)가 설치되고, 전술의 도2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단부면벽(41L)에 설치되는 유체 밸런서(9)가 생략된 구성이 채용되어도 좋다.
또,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4)의 모터(6)측과는 반대측(도9의 좌측)의 단부면벽(41L)에 저수 밸런서(G) 및 유체 밸런서(9)가 설치되고, 전술의 도2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단부면벽(41R)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 밸런서(G) 및 이 저수 밸런서(G)에의 주수를 위한 분기관(72R), 주수구(73R) 및 급수 밸브(74R)가 생략된 구성이 채용되어도 좋다.
또, 전술의 도2에 도시한 구성에 더하여, 드럼(4)의 단부면벽(41R)에 또한 유체 밸런서(9)가 설치되어도 좋다.
그 밖에,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여러가지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는 드럼내에서의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생기는 편심 하중을 양호하게 보상할 수 있고, 탈수시에 생길 수 있는 진동이나 소음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드럼식 세탁기는 사용성이 좋고, 동작음이 조용하다.

Claims (7)

  1.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을 갖고, 이 드럼을 거의 수평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시켜, 그 드럼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원심력 탈수를 실행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며,
    상기 드럼의 양단부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회전축선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한 쪽에 결합된 드럼 회전용 모터와,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에 저수 밸런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 밸런서는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수조를 구비하고, 드럼 내의 세탁물을 넣은 상태와 복수의 저수조에 액체를 저수한 상태에서, 탈수 전에, 탈수시보다 저속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급속 저감시켜,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드럼에 생기는 편심 하중을 상쇄하도록 각 저수조 내의 액체를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는 측의 단부면에 모터측 저수 밸런서가 더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측 저수 밸런서는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수조를 구비하고, 드럼 내에 세탁물을 넣은 상태와 복수의 저수조에 액체를 저수한 상태에서, 탈수 전에, 탈수시보다 저속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급속 저감시켜,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드럼에 생기는 편심 하중을 상쇄하도록 각 저수조 내의 액체를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고속 회전시에 내부의 액체가 치우쳐서,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을 상쇄하는 유체 밸런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가 설치되는 측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고속 회전시에 내부의 액체가 치우쳐서, 세탁물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진동을 상쇄하는 모터측 유체 밸런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고, 상기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한 외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에는 개폐가능한 세탁물의 출납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주위면벽에는 개폐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럼은 그 개구가 외조의 개구와 겹쳐지도록 정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020057675A 2001-09-25 2002-09-24 드럼식 세탁기 KR100843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91715 2001-09-25
JP2001291715A JP2003093790A (ja) 2001-09-25 2001-09-25 ドラム式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78A KR20030027678A (ko) 2003-04-07
KR100843931B1 true KR100843931B1 (ko) 2008-07-03

Family

ID=1911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675A KR100843931B1 (ko) 2001-09-25 2002-09-24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82722B2 (ko)
EP (1) EP1295978A1 (ko)
JP (1) JP2003093790A (ko)
KR (1) KR100843931B1 (ko)
CN (1) CN14089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195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EP2302124A3 (en) * 2002-12-27 2013-01-09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464054B1 (ko)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0565652B1 (ko) * 2003-12-30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톱로딩 방식 드럼세탁기의 구동부
KR100634802B1 (ko)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0748961B1 (ko) * 2004-11-1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로딩 드럼세탁기
KR100714808B1 (ko) * 2005-03-11 2007-05-04 김현호 직선운동이 가능한 회전판을 구비하는 세탁기
US20070040017A1 (en) * 2005-08-22 2007-02-22 Douglas Kozlay Wireless biometric cardholder apparatus, method, & system
US7841220B2 (en) 2005-09-30 2010-11-30 Lg Electronics Inc. Drum-type washing machine
CN100460587C (zh) * 2005-11-08 2009-02-11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中内桶运转的稳定装置
JP2007167263A (ja) * 2005-12-21 2007-07-05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EP1994214B1 (en) * 2006-03-16 2014-07-23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536882B2 (en) 2006-03-29 2009-05-26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672339B1 (ko) 2006-03-2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드럼
KR101003352B1 (ko) * 2006-06-01 201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CN104120583B (zh) * 2013-04-26 2017-10-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注水口式平衡环的洗衣机及控制方法
WO2014173154A1 (zh) * 2013-04-26 2014-10-30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CN104120584B (zh) * 2013-04-26 2018-08-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主动注水平衡环的洗衣机及控制方法
CN106758040B (zh) * 2016-12-25 2019-08-09 南京汉尔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静音甩干机
JP7100839B2 (ja) * 2017-11-21 2022-07-1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ドラム式洗濯機
WO2019223877A1 (en) * 2018-05-25 2019-11-28 Electrolux Laundry Systems Sweden Ab Washing machine
WO2019232979A1 (zh) * 2018-06-08 2019-12-1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组件
WO2019232978A1 (zh) * 2018-06-08 2019-12-1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
CN110578226A (zh) * 2018-06-08 2019-12-1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11206390B (zh) * 2018-11-22 2023-04-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和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装置
CN111206386B (zh) * 2018-11-22 2022-05-2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和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
CN111286925B (zh) * 2018-12-10 2022-05-3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3130A2 (en) * 1998-04-14 1999-10-21 Simsek Tugla Smart balancing system
JP2001029682A (ja) * 1999-07-16 2001-02-06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7386A (en) * 1948-04-03 1953-08-04 Easy Washing Machine Corp Washing machine
US2760383A (en) * 1953-04-24 1956-08-28 American Laundry Mach Co Balancing means for rotating container
US2886979A (en) * 1956-05-21 1959-05-19 Flex Prop Corp Balancing mechanism for washing machines
US3214946A (en) * 1958-11-28 1965-11-02 Pellerin Corp Milnor Drain baffle for self-balancing washing machines
US3235082A (en) * 1962-04-23 1966-02-15 Whirlpool Co Laundry machine and method
DE2105507A1 (de) * 1971-02-05 1972-08-10 Poensgen Gmbh Geb Selbsttätige Unwuchtausgleichsvor richtung
DE2113655A1 (de) * 1971-03-20 1972-09-28 Poensgen Gmbh Geb Selbsttaetige Unwuchtausgleichvorrichtung bei Schleudermaschinen
NL7112863A (ko) * 1971-09-18 1973-03-20
JPS5351671A (en) * 1976-10-20 1978-05-11 Hitachi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4295387A (en) * 1979-07-12 1981-10-20 Zhivotov Jury G Apparatus for balancing bodies of revolution
IT1139366B (it) * 1980-06-09 1986-09-24 Mitsubishi Heavy Ind Ltd Macchina per lavaggio a secco
DE4020554A1 (de) * 1990-06-28 1992-01-02 Licentia Gmbh Vorrichtung zum ausgleichen der unwucht des waschgutes beim schleudern in programmgesteuerten trommelwaschmaschinen
JPH04150898A (ja) 1990-10-12 1992-05-25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ドラム式洗濯機
JP3106511B2 (ja) 1991-01-24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IT1259238B (it) * 1992-12-07 1996-03-11 Zanussi Elettrodomestici Lavabiancheria con vasca perfezionata in plastica.
US5345792A (en) * 1992-12-28 1994-09-13 Whirlpool Corporation Balancer for an automatic washer
JP3086840B2 (ja) * 1993-05-17 2000-09-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US5546772A (en) * 1994-05-02 1996-08-20 Whirlpool Corporation Tub door system for a top loading horizontal axis automatic washer
US5513504A (en) * 1995-01-23 1996-05-07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basket and balance ring subassembly for a horizontal axis clothes washing machine
US5582040A (en) * 1995-08-09 1996-12-10 Khan; Aman U. Water balancing apparatus for horizontal axis and vertical axis laundry appliances
KR970011127A (ko) * 1995-08-28 1997-03-27 김광호 세탁기의 밸런스
JPH09313766A (ja) * 1996-01-31 1997-12-09 Sharp Corp ドラム式乾燥洗濯機、ドラム式乾燥機およびドラム式乾燥洗濯機の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3130A2 (en) * 1998-04-14 1999-10-21 Simsek Tugla Smart balancing system
JP2001029682A (ja) * 1999-07-16 2001-02-06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6555A1 (en) 2003-03-27
US6782722B2 (en) 2004-08-31
JP2003093790A (ja) 2003-04-02
EP1295978A1 (en) 2003-03-26
CN1408932A (zh) 2003-04-09
KR20030027678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931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0587307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드럼
JP3949145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060053843A1 (en) Washing machine
KR20040058106A (ko) 세탁기
KR20040078310A (ko) 하부 발란서가 구비된 세탁기
JP2017056076A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6152034A1 (ja) 洗濯機
JP2019042333A (ja) 洗濯機
KR20220021707A (ko) 의류처리장치
JP200632633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754377B2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ドラム式洗濯機における脱水時の振動低減方法
JP575577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748961B1 (ko) 탑로딩 드럼세탁기
JP573093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7002292B2 (ja) 洗濯機
KR20050110072A (ko) 밸런서가 구비된 드럼세탁기 및 모터
JP5755788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217478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5284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187731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20021713A (ko) 의류처리장치
JP201522131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40035796A (ko) 세탁기
JP2003093786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