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085B1 -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085B1
KR100842085B1 KR1020020066158A KR20020066158A KR100842085B1 KR 100842085 B1 KR100842085 B1 KR 100842085B1 KR 1020020066158 A KR1020020066158 A KR 1020020066158A KR 20020066158 A KR20020066158 A KR 20020066158A KR 100842085 B1 KR100842085 B1 KR 10084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ture
value
initial
luminance
opt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604A (ko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0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Abstract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기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촬영 및/또는 재생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은, 먼저 전원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조리개의 개구경 최소값, 개구경 최대값 및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필요한 제1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의 휘도평균값을 필드단위로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휘도평균값 및 표준광량에 대응하는 휘도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 광신호의 휘도레벨 및 셔터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초기 촬영 시, 입력되는 광신호의 광량에 따라 조리개의 개구경값을 적응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자동 노출의 초기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캠코더, 자동노출, AE, 초기화

Description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A moving-camera capable of control auto-expos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촬영장치에서 자동노출 초기화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노출 초기화의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자동노출의 초기화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00 : 촬영장치 230 : 조리개
240 : 신호변환부 250 : 자동이득조절부
260 : 신호처리부 270 : 제1저장부
280 : 제2저장부 290 : 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촬영 시 입력되는 광량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노출을 초기화할 수 있는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캠코더(Camcoder)는 카메라와 레코더의 합성어로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기능 및 촬영된 피사체를 녹화하는 레코더로서의 기능을 갖는 촬영장치이다. 최근, 이러한 캠코더의 수요 및 보급은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에 있으며, 캠코더의 성능 및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캠코더에 설정된 고성능 기능의 예로서 자동 노출(AE)을 들 수 있다.
자동 노출은 피사체를 촬영할 때, 피사체 또는 피사체 주변의 밝기에 따라 적절한 노광량을 얻기 위해 셔터(shutter)의 속도, 조리개(iris)의 개구경, 휘도레벨(AGC) 등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자동 노출은 캠코더에 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가변된다. 자동노출모드는 피사체의 주변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서, 예를 들어, 표준모드(또는 오토모드), 손떨림방지모드, 스포츠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자동노출은 적응적으로 설정된다.
도 1은 종래의 촬영장치에서 자동노출 초기화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촬영장치는 캠코더와 같이 촬영 및 녹화가 가능한 기기를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촬영장치에서 자동노출 초기화의 제어방법(S100)은, 전원이 공급되면(S110) 촬영장치에 선택된 자동 노출 모드를 확인한다(S120). 이와 함께, 촬영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블루 스크린 상태로 진입한다.
S120 단계에서 자동 노출 모드가 표준모드 및 손떨림방지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선택된 자동 노출 모드에 대해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소값을 개구경 최소값으로 설정한다(S130). 표준모드 또는 손떨림방지모드에 대해 기저장된 최소값은 동일하며, 기저장된 최소값이 개구경 최소값으로 설정되면 조리개의 완전폐쇄가 가능하다.
개구경 최소값이 설정되면,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대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대값을 개구경 최대값으로 설정한다(S140). 그리고,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표준광량이 투과되도록 기저장된 초기값을 제1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한다(S150).
제1개구경 초기값은 피사체의 초기 촬영시 피사체의 밝기와는 무관하게 조리개의 개구경을 일정하게 하는 값으로서, 기설정된 표준광량이 조리개를 투과한 경우를 전제로 한다. 즉, 일정한 표준광량이 투과할 수 있도록, 제1개구경 초기값이 단 하나의 기저장된 값에 의해 설정됨으로써 자동 노출의 초기화 속도에 일조한다.
S130단계 내지 S150단계에서,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최대가 되도록 하는 최소/최대값 및 촬영 시작 시의 개구경을 지정하기 위한 초기값은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단,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값은 자동 노출 모드의 종류별로 상이하게 저장되어 있으며, 그 외의 값은 고정된 한 값만이 저장되어 있다.
S130단계 내지 S150단계가 수행되면, 초기촬영에 필요한 각종 플래그의 값들 을 초기화한다(S160). 예를 들어, AGC, 셔터 속도 등에 대한 값들을 초기화한다.
조리개 및 각종 플래그들의 초기화값은 디지털신호처리된다(S170).
한편, S120단계에서 자동노출모드가 표준모드 및 손떨림방지모드 외의 모드 예를 들어, 스포츠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대해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소값을 개구경 최소값으로 설정한다(S180). 그리고, S140 내지 S170단계를 수행하면, 자동 노출의 초기화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촬영장치에 있어서 자동노출의 초기화를 제어하는 방법(S100)은 하나의 고정된 값으로 제1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한다. 이는, 피사체 또는 피사체의 주변 밝기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값이므로, 피사체 또는 피사체의 주변 밝기가 지나치게 어둡거나 또는 지나치게 밝은 경우에는 자동 노출의 초기화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초기 촬영을 위한 피사체 또는 피사체 주변의 광량이 표준광량에 비해 월등히 많거나 적은 경우에는 제1개구경 초기값이 설정된 후, 다시 조리개의 개구경을 확장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자동이득조정, 셔터속도 등의 초기화도 지연되므로 블루 스크린의 해제 시간 또한 지연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기 촬영 시 설정된 조리개의 개구경값을 휘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블루 스크린의 해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 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의 디지털신호처리 및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상기 광신호를 적응적으로 촬영 및/또는 재생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 최소값,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기설정된 표준광량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1개구경 초기값을 저장부로터 독출하여 설정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휘도평균값을 소정 블럭단위로 산출하며, 상기 표준광량에 대응하는 휘도값 및 산출된 상기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소값을 기설정된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개구경 최소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개구경 최소값이 설정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대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소정의 표준광량을 투과시키도록 기저장된 하나의 초기값을 각각 상기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제1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초기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감소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며,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초기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증가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기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촬영 및/또는 재생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 최소값,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필요한 제1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휘도평균값을 소정 블럭단위로 산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표준광량에 대응하는 휘도값 및 상기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 상기 광신호의 휘도레벨 및 셔터속도를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소값을 기설정된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개구경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a1) 단계; 및 상기 제1개구경 최소값이 설정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대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소정의 표준광량을 투과시키도록 기저장된 하나의 초기값을 각각 상기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제1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a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 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감소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며,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증가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한다.
나아가, 상기 (c) 단계는 상기 휘도값 및 상기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한 후, 상기 휘도값 및 상기 휘도평균값의 절대차값에 따라 차등적으로 상기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를 위한 촬영장치의 블럭도로서, 자동노출 이외의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도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200)는 제1렌즈군(210), 제1구동부(212), 제2렌즈군(220), 제2구동부(222), 조리개(230), 조리개구동부(232), 신호변환부(240), 자동이득조절부(250), 신호처리부(260), 제1저장부(270), 제2저장부(280) 및 제어부(290)를 갖는다.
제1렌즈군(21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데 있어서, 줌잉(zooming)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진다. 제1구동부(212)는 제1렌즈군(210)의 렌즈를 이송시키는 소정의 모터로서, 이송속도에 따라 줌잉 속도는 가변가능하다.
제2렌즈군(220)은 포커싱(focusing)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렌 즈로 이루어진다. 제2구동부(222)는 제2렌즈군(220)의 렌즈를 이송시키는 소정의 모터로서 이송속도에 따라 포커싱 속도는 가변가능하다.
조리개(230)는 제1 및 제2렌즈군(210, 220) 사이에 위치하며, 셔터(미도시)와 함께 피사체의 적정노출을 맞추는 자동노출에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하면, 조리개(230)는 조리개(230)의 개구경값, 즉, 개폐정도에 따라 제1렌즈군(210)을 투과한 광량 중 제2렌즈군(220)으로 보내지는 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구동부(232)는 조리개(230)의 개구경값을 조절한다.
신호변환부(240)는 제1렌즈군(210), 조리개(230) 및 제2렌즈군(220)을 투과한 피사체의 반사광을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한다)를 이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CCD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집적회로가 내장된 영상 센서로서, 원화상을 광학계를 이용해 고체소자에 결상시킨 후, 결상된 상을 고체소자 내에서 전자적으로 주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소자이다.
자동이득조절(Automatic Gain Control, 이하 'AGC'라 한다)부(250)는 신호변환부(240)로부터 변환출력된 전기신호를 신호처리에 적합한 소정 범위의 휘도레벨로 증폭시킨다.
신호처리부(260)는 증폭된 전기신호를 디지털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이하 'DSP'라 한다)하여 휘도신호(Y)와 색상신호(Cb)(Cr)로 출력한다. 아울러, 신호처리부(260)는 자동 노출(Auto Exposure), 자동 포커스(Auto Focus), 자동 색온도 보정(Auto White Balance), 손떨림 보정(Electroni Images Stabilization) 등의 자동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중, 피사체의 초기 촬영 시 입사광량을 설정하기 위한 자동노출의 초기화는 조리개의 개구경, 셔터 속도 및 AGC에 의해 설정된다.
제1저장부(270)는 이이피롬(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후술할 제어부(290)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1저장부(270)에는 조리개, 셔텨 등의 각종 플래그 초기화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1저장부270)에 저장된 데이터의 예로는 조리개(230)의 초기화에 필요한 최소값, 최대값 및 초기값 등을 들 수 있다.
제2저장부(280)는 에쓰디램(S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서 제어부(290)가 이용하는 일시적 기억장소이다.
제어부(290)는 신호처리부(260)의 자동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촬영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촬영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된 경우, 제어부(290)가 자동노출의 초기화 속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자동노출의 초기화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이 공급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200)는 기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조리개(230)의 개구경 최소값, 개구경 최대값 및 제1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한다(S100). S100단계는 도1에 도시된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구경 최소값은 조리개(230)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하는 값이며, 개구경 최대값은 조리개(230)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는 값이다. 또한, 제1개구경 초기값은 조리개(230)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표준광량이 입사되도록 조리개(230)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값이다.
S100단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S310), 제어부(290)는 조리개(230)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의 휘도평균값을 소정 블럭단위로 산출한다(S320). 소정 블럭단위는 필드 및/또는 프레임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도평균값이 산출되면, 제어부(290)는 표준광량에 대한 휘도값 및 산출된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한다(S330). S330단계에서, 산출된 휘도평균값이 휘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휘도평균값 및 휘도값의 절대차값을 산출한다(S340).
그리고, 제어부(290)는 초기 촬영시작 시 입력되는 광신호의 광량이 표준광량보다 감소되도록 기저장된 값을 제2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한다(S350). 이 때, 제어부(290)는 S340단계에서 산출된 절대차값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제2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되기 위해 기저장된 값은 제1저장부(270)에 절대차값에 따라 상이하게 저장되어 있다.
제2개구경 초기값이 설정되면, 제어부(290)는 AGC부(250) 및 신호처리부(260)를 제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90)는 설정된 제2개구경 초기값에 기초하여 셔터 속도 및 광신호의 휘도레벨을 조정한다(S360).
한편, S330단계에서, 산출된 휘도평균값이 휘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휘도평균값 및 휘도값의 절대차값을 산출한다(S370). 그리고, 제어부(290)는 초기 촬영시작 시 입력되는 광신호의 광량이 표준광량보다 증가되도록 기저장된 값을 제2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한다(S380).
이 때, 제어부(290)는 S370단계에서 산출된 절대차값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제2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되기 위해 기저장된 값은 제1저장부(270)에 절대차값에 따라 상이하게 저장되어 있다.
S380단계 수행 후, S360단계를 수행하면, 자동노출의 초기화는 완료되며 블루 스크린은 해제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자동노출의 초기화를 설정하면, 블루 스크린의 해제 시간은 종래에 비해 단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를 들면, 종래의 경우 블루 스크린 해제 시간이 대략 5.5초 소요되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대략 2.5초 정도 소요된다. 단, 측정된 블루 스크린 해제 시간은 S350단계 및 S380단계에서 산출된 절대차값의 차등범위를 4개로 한정지은 경우 측정된 값이다.
즉, S350단계에서 산출된 절대차값이 소정 값 이하 또는 이상일 경우와, S380단계에서 산출된 절대차값이 소정 값 이하 또는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초기값을 제2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한 경우 측정된 값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자동노출의 초기화 시, 초기 입력되는 광신호의 휘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리개의 개구경 초기값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초기 촬영 시, 조리개로 입력되는 광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자동노출의 초기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후 발생되는 블루 스크린의 해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의 디지털신호처리 및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상기 광신호를 적응적으로 촬영 또는 재생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 최소값,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기설정된 표준광량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1개구경 초기값을 저장부로터 독출하여 설정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휘도평균값을 소정 블럭단위로 산출하며, 상기 표준광량에 대응하는 휘도값 및 산출된 상기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소값을 기설정된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개구경 최소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개구경 최소값이 설정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대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소정의 표준광량을 투과시키도록 기저장된 하나의 초기값을 각각 상기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제1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초기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감소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며,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초기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증가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값 및 상기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한 후, 상기 휘도평균값 및 상기 휘도값의 절대차값에 따라 차등적으로 상기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기설정된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촬영 또는 재생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 최소값,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기설정된 표준광량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1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휘도평균값을 소정 블럭단위로 산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표준광량에 대응하는 휘도값 및 상기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 상기 광신호의 휘도레벨 및 셔터속도를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소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소값을 기설정된 상기 자동노출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개구경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a1) 단계; 및
    상기 개구경 최소값이 설정되면, 상기 조리개의 개구경이 최대가 되도록 기저장된 최대값 및 상기 광신호의 초기 촬영 시 소정의 표준광량을 투과시키도록 기저장된 하나의 초기값을 각각 상기 개구경 최대값 및 상기 제1개구경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a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감소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며, 상기 휘도평균값이 상기 휘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광량이 상기 표준광량보다 증가되도록 상기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휘도값 및 상기 휘도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한 후, 상기 휘도값 및 상기 휘도평균값의 절대차값에 따라 차등적으로 상기 조리개의 제2개구경 초기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단위는 필드 또는 프레임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자동노출 초기화 제어방법.
KR1020020066158A 2002-10-29 2002-10-29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제어방법 KR10084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58A KR100842085B1 (ko) 2002-10-29 2002-10-29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58A KR100842085B1 (ko) 2002-10-29 2002-10-29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04A KR20040037604A (ko) 2004-05-07
KR100842085B1 true KR100842085B1 (ko) 2008-06-30

Family

ID=3733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158A KR100842085B1 (ko) 2002-10-29 2002-10-29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23B1 (ko) * 2009-03-02 2011-05-27 박강민 상품 포장 및 운반용 꾸러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7143A (ja) * 1990-04-02 1991-12-17 Casio Comput Co Ltd 自動露出制御装置
KR940001483A (ko) * 1992-06-01 1994-01-11 나가하라 야스노리 알칼리 건전지용 격리판
JPH10336515A (ja) * 1997-05-30 1998-12-18 Sony Corp 露出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0217040A (ja) * 1999-01-25 2000-08-04 Nikon Corp 電子シャッタ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7143A (ja) * 1990-04-02 1991-12-17 Casio Comput Co Ltd 自動露出制御装置
KR940001483A (ko) * 1992-06-01 1994-01-11 나가하라 야스노리 알칼리 건전지용 격리판
JPH10336515A (ja) * 1997-05-30 1998-12-18 Sony Corp 露出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0217040A (ja) * 1999-01-25 2000-08-04 Nikon Corp 電子シャッタ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04A (ko) 200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5458B2 (ja) 露出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
JP6936930B2 (ja) 撮像装置および焦点調節方法
KR100906166B1 (ko)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촬상장치
US8208804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310969A (ja) 撮像装置
US20020025165A1 (en) Electronic camera
KR101417816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 상기 장치의 노출 제어 방법,디지털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상기 디지털 이미지 촬영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JP3271196B2 (ja) ビデオカメラ
JP531692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22843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0842085B1 (ko) 자동노출의 초기화 제어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제어방법
JP3220929B2 (ja) ビデオカメラ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817820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US20030169365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KR20100112788A (ko) 손떨림 방지 기능과 플래쉬 기능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디지털 카메라 모듈
US20100259606A1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JP200526073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露出制御方法
JP3579292B2 (ja) ビデオカメラ
JP3701172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方法
JP509173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785526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4280365B2 (ja) 撮像方法及び装置
JP2887814B2 (ja) 自動露出制御装置
JP6148577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1330868A (ja) 電子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