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773B1 - 솔레노이드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773B1
KR100840773B1 KR1020070023597A KR20070023597A KR100840773B1 KR 100840773 B1 KR100840773 B1 KR 100840773B1 KR 1020070023597 A KR1020070023597 A KR 1020070023597A KR 20070023597 A KR20070023597 A KR 20070023597A KR 100840773 B1 KR100840773 B1 KR 100840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nger
solenoid
main housing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김택승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을 갖는 메인하우징(52); 이 메인하우징(52)에 내장되고, 전술한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단자(54b)를 갖는 솔레노이드(54); 이 솔레노이드(54)의 내부에서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하고, 로드(62)가 장착된 플런저(60); 이 플런저(60)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플런저하우징(70); 이 플런저하우징(70)에 지지되는 전술한 플런저(60)와 대향하면서 전술한 메인하우징(52)의 일단부에 폐쇄적으로 결합되고, 전술한 플런저(60)의 로드(62)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중공체형 중공하우징(80) 및; 이 중공하우징(80)이 결합된 전술한 메인하우징(52)의 외측을 기밀상태로 차폐하면서 절연시키고, 진동이 흡수되도록 탄성재로 이루어진 절연성 몰드커버(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절연성 몰드커버(110)가 메인하우징(52)을 기밀상태로 차폐하면서 절연하므로, 메인하우징(52)을 절연 및 방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메인하우징(5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 하우징, 차폐, 기밀

Description

솔레노이드밸브 { SOLENOID VALVE }
도 1은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밸브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솔레노이드밸브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2 : 메인하우징 54 : 솔레노이드
60 : 플런저 62 : 로드
70 : 플런저하우징 80 : 중공하우징
110 : 몰드커버 102 : 돌출날개
104 : 몰드삽입홈 106 : 내향단차
112 : 커넥터저 114 : 고정부
CP : 결합부위
본 발명은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파워스티어링시스템에는 파워스티어링오일의 유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는 파워스티어링시스템에 소통되는 오일의 유량을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제어하여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유압을 안정적으로 보상한다. 즉, 솔레노이드밸브는 차량이 고속주행할 경우 파워스티어링시스템에 많은 양의 오일을 공급하여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유압을 고압으로 유지시키고, 차량이 저속주행할 경우 파워스티어링시스템에 소통되는 오일의 유량을 제한하여 파워스티어일시스템의 유압을 저압으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차량의 조향핸들은 고속주행시에는 쉽게 회전되지 않고 저속주행시에는 쉽게 회전된다. 따라서, 차량은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이렇게, 차량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오링(R), 코일스프링(14a) 및 스토퍼(14b)로 구성된 탄성부재(14), 스풀(12), 오일공(10a)이 형성된 스풀하우징(10), 로드가이드(8), 댐핑링(7), 중공(6a)형 로드(6)를 갖는 플런저(5), 솔레노이드가 내장된 몰드커버(3), 플런저가이드(4a), 플런저하우징(4) 및 메인하우징(1)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1)에 솔레노이드(2)를 감싸는 몰드커버(3)가 내장된다. 그리고, 로드(6)를 갖는 플런저(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에 삽입된 플런저하우징(4)에 내장된다. 또, 메인하우징(1)의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2)이 내장된 스풀하우징(10)이 결합된다. 또한, 스풀하우징(10)의 일단부에는 코일스프링(4a) 및 스토퍼링(4b)으로 구성된 탄성부재(14)가 내장된다.
그리고, 플런저(5)는 외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플런저가이드(4a)가 끼워진다. 또, 전술한 플런저(5)의 로드(6)는 외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로드가이드(8)가 끼워진다. 또한, 전술한 플런저(5)의 로드(6)는 외주면에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로 구성된 도시된 바와 같은 환상의 댐핑링(7)이 끼워진다. 특히, 전술한 플런저하우징(4) 및 스풀하우징(10)은 외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링(R)이 끼워진다.
여기서, 전술한 스풀하우징(10)은 오일공(10a)이 형성된 부위가 미도시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오일챔버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메인하우징(1)에 형성된 돌출날개(1a)는 미도시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미도시된 오일챔버의 표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메인하우징(1)은 오일챔버에 연결된다. 물론, 메인하우징(1)은 오일챔버의 표면에 고정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전술한 탄성부재(14)는 스풀하우징(10)의 내부에서 스풀(12)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가 설치된 스풀하우징(10)의 개방된 일단부를 통해 미도시된 오일챔버의 오일이 소통된다. 그리고, 스풀(12)과 로드(6) 및 플런저(5)는 소통되는 오일을 내부에 형성된 중공(12a, 6a, 5a)을 통해 스풀하우징(10) 및 솔레노이드(2)의 내부로 안내한다. 이때, 스풀하우징(10) 및 플런저하우징(4)의 외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진 오링(R)들은 스풀하우징(10) 및 솔레노이드(2)의 내부로 안내되는 오일을 단속한다. 따라서, 스풀하우징(10) 및 솔레노이드(2)의 내부에 공급되는 오일은 누유가 방지된다.
한편, 로드(6)를 갖는 플런저(5)는 여자되면서 발생되는 솔레노이드(2)의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승강)한다. 이때, 로드(6) 및 플런저(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가이드(8) 및 플런저가이드(4a)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 로드(6)는 탄성부재(4)에 의해 스풀하우징(10)에 탄력적으로 내장된 스풀(12)을 가압한다. 따라서, 스풀(12)은 가압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내부의 중공(12a)과 연통된 측방공(12b)을 스풀하우징(10)의 측방에 형성된 오일공(10a)에 오버랩시키거나 언오버랩시킨다. 즉, 스풀(12)의 측방공(12b)은 스풀(12)이 이동함에 따라 스풀하우징(10)의 오일공(10a)과 연통되거나 오일공(10a)과 어긋난다. 물론, 오일공(10a)은 측방공(12b)과 연통될 경우 개방되고 어긋날 경우 폐쇄된다.
이렇게, 오일공(10a)이 스풀(12)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스풀하우징(10)을 통해 소통되는 오일의 유량은 제어된다. 즉, 오일은 오일공(10a)이 개폐됨에 따라 오일공(10a)으로 소통되거나 소통이 중단되면서 유량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오일챔버는 오일공(10a)의 개폐작동에 따라 저장되는 오일의 저장량, 즉 오일의 밀도가 변하면서 유압이 조절된다. 따라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은 오일챔버에 저장된 오일의 유압이 조절됨에 따라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조향핸들의 회전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솔레노이드(2)는 150Hz~333Hz의 펄스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5)는 초당 150~333회를 왕복한다. 이때, 플런저(5)는 왕복하면서 댐핑링(7) 및 플런저하우징(4)의 바닥면에 충돌한다. 따라서, 플런저(5)는 왕복하면서 "따라라락"하는 소음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커버(3)가 솔레노이드(2)만을 감싸면서 차폐하고, 메인하우징(1)과 스풀하우징(10) 및 메인하우징(1)의 결합부위(CP)를 감싸지 않는다. 즉, 메인하우징(1)과 스풀하우징(10) 및 메인하우징(1)의 결합부위(CP)는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는 스풀하우징(10) 및 솔레노이드(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결합부위(CP)를 통해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결합부위(CP)를 통해 유출되는 소음은 플런저(5)가 분당 150회에서 333회를 왕복하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이므로 매우 시끄럽다.
더 나아가,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는 돌출날개(1a)를 통해 미도시된 오일챔버에 고정되는 메인하우징(1)이 전술한 내부의 진동 및 차량의 진동에 의해 오일챔버의 표면에서 진동하면서 "따다닥"거리는 진동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도 있다. 특히, 이러한 고주파식 진동소음은 차량의 정지시, 차량의 공명주기와 일치되면서 매우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물론, 이러한 진동소음은 메인하우징(1)이 오일챔버의 표면과 부딪힘에 따라 발생한다.
또한, 메인하우징(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오일챔버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방청을 위해 도금처리된다. 따라서, 메인하우징(1)을 도금처리하여야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는 결합부위(CP)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결합부위(CP)를 통해 솔레노이드(2)로 유입되는 문제도 있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3a는 전술한 솔레노이드(2)에 연결되어 전술한 몰드커버(3)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전원단자이고, 4b는 전술한 플런저하우징(4)에 외향형성되어 전술한 메인하우징(1)에 걸리는 플랜지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소음이 유출되는 틈새형태의 결합부위를 탄성을 갖는 절연재로 차폐하여, 결합부위를 기밀상태로 절연가능하게 차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갖는 절연재가 오일챔버와 같은 진동부품에 밀착되므로 진동부품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탄성을 갖는 절연재의 일부분이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동시에 결합부위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의 진행을 지그재그형태로 방해하면서 단속할 수 있으며, 오일챔버와 같은 어셈블리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는 구조로 형성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부위가 방수상태로 보호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오일챔버와 같은 어셈블리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을 갖는 메인하우징; 이 메인하우징에 내장되고, 전술한 메인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단자 갖는 솔레노이드; 이 솔레노이드의 내부에서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하고, 로드가 장착된 플런저; 이 플런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플런저하우징; 이 플런저하우징에 지지되는 전술한 플런저와 대향하면서 전술한 메인하우징의 일단부에 폐쇄적으로 결합되고, 전술한 플런저의 로드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중공체형 중공하우징 및; 이 중공하우징이 결합된 전술한 메인하우징의 외측을 기밀상태로 차폐하면서 절연시키고, 진동이 흡수되도록 탄성재로 이루어진 절연성 몰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54b)를 갖는 솔레노이드(54)가 오목한 형태의 메인하우징(52)에 내장된다. 이때, 솔레노이드(54)의 전원단자(5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의 절개공(52a)을 통해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4)의 내부, 즉 코일이 와인딩된 보빈(54a)의 내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62)가 장착된 플런저(60)가 내장된다. 즉, 플런저(60)는 솔레노이드(54)의 중앙에 내장된다.
이렇게, 플런저(60)가 내장되는 솔레노이드(54)는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체형의 중공하우징(80)에 의해 일단부가 폐쇄적으로 차폐된다. 이때, 중공하우징(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와 대향하는 상태로 솔레노이드(54)에 결합된다. 이러한 중공하우징(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솔레노이드(54)의 일단부측 내주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솔레노이드(54)의 일단부를 폐쇄적으로 차폐할 뿐만 아니라 메인하우징(52)의 일단부를 차폐한다.
이러한 중공하우징(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의 로드(62)가 내부로 삽입된다. 즉, 중공하우징(80)은 플런저(60)의 로드(62)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중공하우징(80)은 내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62)를 지지하는 원통형의 로드가이드(64)가 압입고정된다. 즉, 로드(62)는 로드가이드(64)에 의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물론, 로드가이드(64)는 슬러스트 베어링이다.
또, 중공하우징(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공(82b)이 형성된 스풀(82)이 내장된다. 이때, 스풀(82)은 일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의 로드(62)에 지지된다.
또한, 중공하우징(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4)의 일측에 안착되어 솔레노이드(54)의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플랜지(80b)를 갖는다. 이러한 차폐플랜지(8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다. 따라서, 차폐플랜지(80b)는 메인하우징(52)의 내주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압입고정된다.
아울러, 중공하우징(80)은 스풀(82)의 측방공(82b)이 마주하거나 어긋나면서 개폐되는 도시된 바와 같은 오일공(80a)이 측방에 형성된다. 아울러, 중공하우징(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8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84)가 내장된다.
여기서, 전술한 탄성부재(84)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82)을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84a) 및; 이 코일스프링(84a)을 지지하는 와셔형태의 스토퍼(84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코일스프링(84a)은 스토퍼(84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스풀(82)의 일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스풀(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코일스프링(84a)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플런저(60)의 로드(62)에 의해 지지된다. 물론, 스풀(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84), 로드(62) 및 플런저(60)와 함께 순차적으로 정렬된다.
한편, 플런저(6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플런저하우징(70)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진다. 이때, 플런저하우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플런저(60)는 플런저하우징(7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플런저하우징(7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플런저가이드(72)와 함께 플런저(60)를 지지한다. 이때, 플런저가이드(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하우징(70)에 내장되어 플런저(60)를 지지한다. 따라서, 플런저(60)는 플런저가이드(72)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물론, 플런저가이드(72)는 슬러스트 베어링이다.
이렇게, 플런저(60)를 지지하는 플런저하우징(70)은 일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만약, 플런저하우징(70)의 일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구성할 경우, 플런저하우징(70)의 외측에는 메인하우징(52)에 걸리는 플랜지(70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런저하우징(70)은 플랜지(70a)에 의해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술한 플런저하우징(70)은 자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플런저하우징(70)을 자성체로 구성할 경우, 플런저하우징(70)은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에 의해 메인하우징(52)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한편, 메인하우징(52)은 외측이 도시된 바와 같은 몰드커버(110)에 의해 차폐된다. 이러한 몰드커버(110)는 탄성을 갖는 절연재로 형성되어 사출에 의해 메인하우징(52)의 외측에 성형된다. 이때, 몰드커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의 외측을 차폐하면서 중공하우징(80) 및 메인하우징(52)의 결합부위(CP)를 기밀상태로 감싼다.
이러한 몰드커버(110)는 결합부위(CP)를 감싸는 부분이 미도시된 오일챔버의 표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몰드커버(110)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오일챔버가 떨릴 경우 자체탄성력을 통해 진동을 흡수한다. 또한, 몰드커버(110)는 전술한 중공하우징(80)의 차폐플랜지(80b) 및 메인하우징(52)을 절연시킨다.
한편, 몰드커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돌출된 솔레노이드(54)의 전원단자(54b)를 보호하는 커넥터부(112)를 갖는다. 이때, 커넥터부(112)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단자(54b)가 미도시된 전원공급용 커넥터와 결 합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54b)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로 형성하는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단자(54b)는 외부에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솔레노이드(54)에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여기서, 전술한 탄성을 갖는 절연성 몰드커버(110)는 기밀제공이 가능하면서 내열성을 갖는 비금속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몰드커버(110)는 예컨대, 나일론 플라스틱이나 PA, PPA 또는 PPS와 같은 폴리계열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HTN(High Temperature Nylon)과 같은 고내열성 나일론계열의 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 부호 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의 로드(62)에 끼워져서, 플런저(60)가 중공하우징(80)의 단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 재질의 스페이서링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60a, 62a, 8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 로드(62), 스풀(82)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오일을 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유도하는 중공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 R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하우징(7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실링작용하는 오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몰드커버(110)의 커넥터부(112)에 미도시된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결합된다. 이때, 솔레노이드(54)는 커넥터부(112)에 의해 보호되는 전원단자(54b)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오일공(80a)이 형성된 중공하우징(80)의 일부분이 미도시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오일챔버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메인하우징(52)은 미도시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미도시된 오일챔버의 표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메인하우징(52)은 오일챔버에 연결된다. 물론, 메인하우징(52)은 몰드커버(110)에 의해 오일챔버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즉, 메인하우징(52)은 몰드커버(110)를 통해 오일챔버의 표면에 고정된다.
이렇게, 중공하우징(80)이 미도시된 오일챔버에 삽입됨에 따라, 오일챔버에 저장된 오일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84)가 내장된 중공하우징(80)의 일단부 및, 이 중공하우징(80)의 측방에 형성된 오일공(80a)을 통해 소통된다.
이때, 스풀(82)과 로드(62) 및 플런저(60)에 형성된 중공(82a, 62a, 60a)은 중공하우징(80)을 통해 소통되는 오일을 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유도한다. 따라서, 오일은 중공하우징(80)의 내부를 통해 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플런저(60)는 솔레노이드(54)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플런저(60) 및 로드(62)는 플런저가이드(72) 및 로드가이드(64)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60)의 로드(62)는 탄성부재(84)의 코일스프링(84a)에 의해 탄력지지된 스풀(82)을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즉, 스풀(82)은 로드(62)에 의해 이동된다. 물론, 스풀(82)은 로드(62)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코일스프링(84a)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렇게, 스풀(82)이 플런저(60)의 로드(62)에 의해 이동할 경우, 스풀(82)의 측방에 형성된 측방공(82b)은 중공하우징(80)의 오일공(80a)과 마주하거나 어긋나면서 오일공(80a)으로 소통되는 오일의 유량을 제어한다. 즉, 오일공(80a)으로 소 통되는 오일은 오일공(80a)이 스풀(82)의 측방공(82b)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소통이 단속된다. 따라서, 중공하우징(80)을 통해 소통되는 미도시된 오일챔버의 오일 유량은 제어된다.
또한, 스풀(82)이 플런저(60)의 로드(62)에 의해 이동할 경우, 로드(62)에 끼워진 스페이서링(66)은 플런저(60)의 단부 및 중공하우징(80)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면서, 플런저(60) 및 중공하우징(80)의 단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스페이서링(66)은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에 의해 자화되는 플런저(60)가 중공하우징(8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플런저(60)는 자회되면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인력에 의해 중공하우징(80)에 부착되려 한다. 하지만, 플런저(60)는 스페이서링(66)에 충돌함에 따라 중공하우징(80)에 부착되지 못한다. 이때, 플런저(60)는 스페이서링(66)과 충돌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플런저(60)는 스페이서링(66)이 플런저(60) 및 중공하우징(80)의 부착을 방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이 상실될 경우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한다. 만약, 스페이서링(66)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자화되는 플런저(60)는 중공하우징(80)에 부착되어 왕복운동을 할 수 없다. 또한,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이 상실될 경우, 자화된 플런저(60)는 잔류자기에 의해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중공하우징(8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원위치로 복귀하는 플런저(60)는 복귀하면서 플런저하우징(70)의 바닥면과 충돌한다. 따라서, 플런저(60)는 소음을 발생시킨다.
한편, 몰드커버(110)는 메인하우징(52) 및 중공하우징(80)의 결합부위(CP)를 차폐하여 플런저(60)가 왕복하면서 발생시키는 고주파식 소음을 대부분 차단한다. 또한, 몰드커버(110)는 미도시된 오일챔버의 표면에 밀착됨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떨리는 오일챔버의 진동을 자체탄성력을 통해 흡수하면서 감쇠시킨다. 즉, 몰드커버(110)는 재질특성에 의해 흡음 및 차음을 동시에 실시한다. 따라서, 소음은 몰드커버(110)에 의해 대부분 감쇠된다.
아울러, 몰드커버(110)는 메인하우징(52)을 절연시킬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CP)를 통해 메인하우징(52)에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메인하우징(52)은 발청이 방지된다. 즉, 메인하우징(52)은 방청된다.
게다가, 몰드커버(110)는 커넥터부(112)를 통해 솔레노이드(54)의 전원단자(54b)를 보호하여 솔레노이드(54)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커넥터부(112)는 메인하우징(52)이 미도시된 오일챔버에 고정될 경우, 전원단자(54b)의 외측을 지지하여 전원단자(54b)가 꺾이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원단자(54b)는 커넥터부(112)에 의해 단선이 방지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솔레노이드밸브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구성이 조금 상이하다. 따라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거나 동일한 기술적 사 상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풀(82)은 중앙 및 일측 단부에 중공(82a) 및 바이패스공(82c)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런저(60)는 중앙에 측방으로 편심형성된 편심중공(60b)을 갖는다. 또, 플런저(60)에 장착된 로드(62)는 중공이 없다. 또한, 플런저하우징(70)은 외주면에 플랜지가 없다.
게다가, 플런저(60)의 로드(62)에는 측방절개부(64'a)가 일측에 형성된 부쉬형태의 가이드 스페이서(64')가 끼워진다. 그리고, 플런저(60) 및 솔레노드이드(54)의 단부에는 플런저스프링(92) 및 환상의 외측부재(96)가 배치된다. 이에 더하여, 솔레노이드(54)에는 일측이 개방된 자성체 재질의 인너포트(94)가 내장된다.
한편, 중공하우징(80)은 외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몰드삽입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삽입홈(104)은 몰드커버(110)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그리고, 메인하우징(52)은 외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날개(102)가 외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날개(102)는 미도시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미도시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오일챔버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위이다. 즉, 돌출날개(102)는 체결부재에 의해 오일챔버에 고정된다.
또한, 몰드커버(110)는 외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부(114)가 외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14)는 미도시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미도시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오일챔버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부(114)는 체결부재에 의해 오일챔버에 고정된다. 물론, 고정부(114)는 전술한 메인하우징(52)의 돌출날개(102)를 감쌀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풀(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절개됨에 따라 바이패스공(82c)이 형성된다. 즉, 바이패스공(82c)은 스풀(82)의 일측 단부가 절개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바이패스공(82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82)의 중공(82a)과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스풀(82)의 바이패스공(82c)은 플런저(60)의 로드(62)에 끼워진 가이드 스페이서(64')의 측방절개부(64'a)와 연통된다. 또, 가이드 스페이서(64')의 측방절개부(64'a)는 플런저(60)의 편심중공(60b)과 연통된다. 따라서, 중공하우징(80) 및 솔레노이드(54)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즉, 바이패스공(82c)과 측방절개부(64a) 및 편심중공(60b)은 오일을 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유도하는 유로이다.
이때, 바이패스공(82c)과 측방절개부(64a) 및 편심중공(6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62)의 단부를 기준으로 어긋나면서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바이패스공(82c)과 측방절개부(64a) 및 편심중공(60b)은 오일을 바이패스시키면서 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안내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 스페이서(64')는 전자기력에 의해 자화되지 않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스페이서(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플런저(60)의 로드(62)와 밀착된다. 그리고,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하우징(80)의 단부면에서 돌출된다.
또 한편, 플런저하우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4)에 내장된 인너포트(94)에 수용된다. 이때, 플런저하우징(70)의 내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를 지지하는 플런저가이드(72)가 내장된다.
이러한 플런저하우징(70)의 외측에는 외측부재(96)가 장착된다. 이때, 외측부재(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포트(94)의 외주면에 장착되면서 플런저하우징(70)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외측부재(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에 내장되어 솔레노이드(54)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부재(96)는 플런저하우징(70)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플런저하우징(70)과 동일한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플런저스프링(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하우징(70)에 내장된 상태로 플런저(60)의 단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플런저(60)는 플런저스프링(9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플런저스프링(92)은 중공하우징(80)에 내장된 코일스프링(84a)의 탄성력과 평형을 이룬다. 즉, 플런저스프링(92) 및 코일스프링(84a)의 탄성력은 서로 동일하다.
또 다른 한편, 몰드커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을 감싸면서 차폐한다. 이때, 몰드커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 및 중공하우징(80)이 결합되는 결합부위(CP)를 함께 감싸면서 차폐한다. 따라서, 몰드커버(110)는 메인하우징(52) 및 결합부위(CP)를 함께 차폐한다.
또한, 몰드커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에 돌출날개(102)가 형성된 경우 돌출날개(102)도 감싼다. 따라서, 미도시된 오일챔버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돌출날개(102)는 몰드커버(110)를 통해 오일챔버의 표면에 밀착된다. 즉, 메인하우징(52)이나 돌출날개(102)는 몰드커버(110)가 오일챔버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므로 오일챔버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몰드커버(110)는 일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하우징(80)의 외측면에 형성된 몰드삽입홈(104)에 삽입된다. 따라서, 몰드커버(110)는 축방향 움직임이 구속된다.
한편, 전술한 몰드삽입홈(104)은 몰드커버(110)의 일단부를 중공하우징(80)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중공하우징(80)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메인하우징(5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수단이다.
여기서, 결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중공하우징(80)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는 중공하우징(80)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면서 몰드커버(110) 및 중공하우징(80)의 결합면을 통해 메인하우징(52)의 내부로 유입되려고 한다다. 하지만, 결로는 몰드삽입홈(104)에 몰드커버(110)의 일부분이 삽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몰드삽입홈(104)에 의해 진행경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됨에 따라 메인하우징(52)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에 의해 로드(62)가 장착된 플런저(60)가 이동한다. 그리고, 플런저(60)의 로드(62)는 로드가이드(64)에 지지된 상태로 스풀(82)을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스풀(82)은 이동하면서 외주면으로 중공하우징(80)의 오일공(80a)을 개폐한다. 따라서, 중공하우징(80)의 오일공(80a)은 개폐되면서 중공하 우징(80)을 통해 소통되는 오일의 유량을 제어한다. 즉, 오일공(80a)이 개폐됨에 따라 미도시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오일챔버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은 제어된다.
한편, 중공하우징(80)을 통해 소통되는 오일은 바이패스공(82c)과 측방절개부(64a) 및 편심중공(60b)을 통해 바이패스되면서 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인너포트(94)는 솔레노이드(54)의 내부에 유입되는 오일을 저장하여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또한, 자성체로 형성된 인너포트(94)는 플런저(60)와 플런저하우징(70) 및 외측부재(96), 그리고 메인하우징(52)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플런저(60)는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렇게, 원활하게 이동하는 플런저(60)는 비자성체로 형성된 가이드 스페이서(64')에 의해 중공하우징(80)과의 충돌이 방지된다. 이러한 가이드 스페이서(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을 통해 로드(62)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돌출된 단부를 통해 플런저(60) 및 중공하우징(80)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플런저(60)는 중공하우징(80)의 단부면으로 돌출된 가이드 스페이서(64')의 단부와 접촉함에 따라 중공하우징(80)과 접촉되지 않는다. 이때, 플런저(60)는 가이드 스페이서(64')가 비자성체이기 때문에 가이드 스페이서(64')의 돌출된 단부에 부착되지 않는다. 하지만, 플런저(60)는 가이드 스페이서(64')에 접촉되면서 충돌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플런저(60)는 플런저스프링(92)로부터 이동에 필요한 예비 응력이 전달된다. 물론, 플런저스프링(92)은 자체 탄성력을 통해 예비 응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플런저(60)는 솔레노이드(54)의 작동시, 플런저스프링(92)이 제공하는 예비 응력에 의해 신속하게 이동한다.
이때, 플런저(60)는 전자기력에 의해 스풀(82)을 통해 전달되는 코일스프링(9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신속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플런저(60)는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이 상실할 경우 스풀(82)을 통해 전달되는 코일스프링(84a)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몰드커버(110)는 메인하우징(52)의 외주면과 함께 메인하우징(52) 및 중공하우징(80)의 결합부위(CP)를 차폐하므로, 메인하우징(52)의 외부로 플런저(60)의 충돌소음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메인하우징(52)에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중공하우징(80)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는 몰드삽입홈(104)에 몰드커버(110)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몰드삽입홈(104)이 진행경로를 연장시킴에 따라 메인하우징(52)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한다.
또한, 몰드커버(110)는 고정부(114)가 미도시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오일챔버에 고정되는 메인하우징(52)의 돌출날개(102)를 감싸므로, 오일챔버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자체 탄성력을 통해 흡수하면서 감쇠시킨다. 이때, 메인하우징(52)은 외향형성된 돌출날개(102) 및 고정부(114)를 통해 오일챔버에 고정되므로 용이하게 고정된다. 즉, 메인하우징(52)은 돌출날개(102) 및 고정부(114)가 접촉이 용이하도록 외향돌출됨에 따라 오일챔버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의 종단면도로서, 제 3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구성이 조금 상이하다. 따라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거나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공하우징(80)은 로드하우징(80-1) 및 스풀하우징(80-2)으로 분할 구성된다. 그리고, 로드하우징(80-1)의 외측면에는 내향단차(106)가 형성된다. 또, 플런저하우징(70)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동시에 플랜지가 없다. 또한, 솔레노이드(54)의 내부에는 오일을 유도하는 유로가 없다. 즉, 스풀(82)과 로드(62) 및 플런저(60)는 오일이 소통되는 중공이나 절개부가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4)의 일단부에 중공체형 로드하우징(80-1)이 폐쇄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 로드하우징(80-1)의 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체형 스풀하우징(80-2)이 결합된다. 이때, 로드하우징(8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0)의 로드(62)가 삽입된다. 그리고, 스풀하우징(8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오일공(80a)이 형성되며, 스풀(82) 및 탄성부재(84)가 내장된다. 따라서, 스풀(82)은 탄성부재(84)에 의해 탄력지지된다.
한편, 플런저하우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4)에 내장되어 플런저(60)를 감싼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4)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자화되면서 메인하우징(52)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또 한편, 몰드커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52)을 감싸면서 차폐하여, 메인하우징(52)에 기밀을 제공한다. 이때, 몰드커버(110)는 일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하우징(80-1)에 형성된 내향단차(10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내향단차(106)는 몰드커버(110)의 일부분을 중공하우징(80)에 고정시키면서 중공하우징(80)의 외측에서 발생되어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을 따라 흐르는 결로의 진행경로를 방해하는 방수수단이다. 즉, 내향단차(106)는 전술한 몰드삽입홈(104)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때,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을 따라 흐르는 결로는, 내향단차(106)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즉 내향단차(106)가 중공하우징(80)의 로드하우징(80-1) 중심부를 향해 단턱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내향단차(106)가 형성된 부분에서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결로는 내향단차(106)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중공하우징(8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단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즉, 로드(62)가 장착된 플런저(60)에 의해 스풀(82)이 이동하면서 중공하우징(80)의 스풀하우징(80-2)에 형성된 오일공(80a)을 개폐한다. 따라서, 오일공(80a)이 개폐됨에 따라 스풀하우징(80-2)의 오일공(80a)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은 유량이 제어된다. 즉, 오일공(80a)이 개폐됨에 따라 미도시된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오일챔버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은 제어된다.
한편, 몰드커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중공하우징(80)의 로드하우징(80-1)에 형성된 내향단차(106)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몰드커버(110)는 메인하우징(52)의 외주면 뿐만 아니라 메인하우징(52) 및 중공하우징(80)이 결합되는 결합부위(CP)를 함께 차폐한다. 물론, 중공하우징(80)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는 중공하우징(80)의 로드하우징(80-1)에 내향단차(106)가 형성되고, 이 내향단차(106)에 몰드커버(110)의 일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메인하우징(52)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다른 한편, 중공하우징(80)의 스풀하우징(80-2)으로 유입되는 오일은 스풀(82)과 로드(62) 및 플런저(60)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는, 탄성을 갖는 절연성 몰드커버가 메인하우징 뿐만 아니라 메인하우징 및 중공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부위를 기밀상태로 차폐하므로, 메인하우징을 방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몰드커버가 오일챔버와 같은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을 감싸므로, 어셈블리에서 메인하우징으로 전이되는 진동을 자체탄성력을 통해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몰드커버에 솔레노이드의 전원단자를 보호하는 커넥터부가 마련되어, 전원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메인하우징이나 몰드커버에 돌출날개나 고정부가 외향형성되어, 메인하우징을 이 돌출날개나 고정부를 통해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중공하우징에 몰드커버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몰드삽입홈이나 내향단차가 형성되어, 몰드커버를 메인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공하우징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메인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있어서.
    내측에 공간을 갖는 메인하우징(52);
    상기 메인하우징(52)에 내장되고, 상기 메인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단자(54b)를 갖는 솔레노이드(54);
    상기 솔레노이드(54)의 내부에서 솔레노이드(54)의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하고, 로드(62)가 장착된 플런저(60);
    상기 플런저(60)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플런저하우징(70);
    상기 플런저하우징(70)에 지지되는 상기 플런저(60)와 대향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52)의 일단부에 폐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60)의 로드(62)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중공체형 중공하우징(80); 및
    상기 중공하우징(80)이 결합된 상기 메인하우징(52)의 외측을 기밀상태로 차폐하면서 절연시키고, 진동이 흡수되도록 탄성재로 이루어진 절연성 몰드커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커버(110)는,
    상기 중공하우징(80) 및 메인하우징(52)의 결합부위(CP)를 상기 메인하우징(52)의 외측과 함께 기밀상태로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52)은, 외주면에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날개(1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커버(110)는,
    상기 솔레노이드(54)의 전원단자(54b)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커넥터부(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커버(110)는, 외주면에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돌기형태의 고정부(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하우징(80)의 외측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상기 메인하우징(5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중공하우징(80)의 외측면에 상기 몰드커버(11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걸리는 몰드삽입홈(104)을 상기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과 상이하게 형성하여, 상 기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을 따라 흐르는 결로가 단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중공하우징(80)의 외측면에 상기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내향단차(106)를 형성하여, 상기 몰드커버(110)의 일부분이 내향단차(106)에 삽입되면서 걸림으로써, 상기 중공하우징(80)의 축방향을 따라 흐르는 결로가 축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내향단차(106)에 의해 단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KR1020070023597A 2007-03-09 2007-03-09 솔레노이드밸브 KR100840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97A KR100840773B1 (ko) 2007-03-09 2007-03-09 솔레노이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97A KR100840773B1 (ko) 2007-03-09 2007-03-09 솔레노이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773B1 true KR100840773B1 (ko) 2008-06-23

Family

ID=3977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597A KR100840773B1 (ko) 2007-03-09 2007-03-09 솔레노이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973B1 (ko) 2015-01-08 2016-04-07 한국원자력연구원 입자가속기를 위한 방사선 차폐와 빔 집속 기능을 겸비한 솔레노이드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458A (ja) 2000-06-02 2001-12-2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制御弁
KR20040032561A (ko) * 2002-10-10 2004-04-17 주식회사 디케이씨 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방수 구조 및 방수 방법
JP2005133556A (ja) 2003-10-28 2005-05-26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弁
KR20050088581A (ko) * 2004-03-02 2005-09-0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반력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458A (ja) 2000-06-02 2001-12-2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制御弁
KR20040032561A (ko) * 2002-10-10 2004-04-17 주식회사 디케이씨 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방수 구조 및 방수 방법
JP2005133556A (ja) 2003-10-28 2005-05-26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弁
KR20050088581A (ko) * 2004-03-02 2005-09-0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반력제어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973B1 (ko) 2015-01-08 2016-04-07 한국원자력연구원 입자가속기를 위한 방사선 차폐와 빔 집속 기능을 겸비한 솔레노이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0419B2 (ja) 常閉型電磁弁
JP6375211B2 (ja) 防振用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と、それを用いた能動型流体封入式防振装置および能動型制振装置
JP4735468B2 (ja) バルブユニット
US7808134B2 (en) Active control mount magnetic optimization for an engine
JP2003512557A (ja) 燃料噴射弁
KR20020044177A (ko) 연료 분사 밸브
WO2016084560A1 (ja) 防振用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とその製造方法、防振用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能動型流体封入式防振装置および能動型制振装置
KR20010101789A (ko) 전자기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밸브
US7168638B2 (en) Fuel injection valve
KR100840773B1 (ko) 솔레노이드밸브
JP2009222020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2000232763A (ja) 空気緩衝要素を備えた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4327409B2 (ja) 燃料噴射弁
CN113302425B (zh) 气体用电磁阀
KR100802547B1 (ko) 능동 하이브리드 마운트
JP2006307831A (ja) 燃料噴射弁
US9394869B2 (en) Fuel injector
KR100840775B1 (ko) 솔레노이드밸브
KR100840770B1 (ko) 솔레노이드밸브
US20080179798A1 (en) Fluid filled type engine mount
JP2008057430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6902437B2 (ja) スプールバルブ
EP1460262B1 (en) Fuel injector with a damp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uel injector
JP2004346856A (ja) 流体噴射弁
US20060202066A1 (en) Fluid injec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