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293B1 -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293B1
KR100840293B1 KR1020080028652A KR20080028652A KR100840293B1 KR 100840293 B1 KR100840293 B1 KR 100840293B1 KR 1020080028652 A KR1020080028652 A KR 1020080028652A KR 20080028652 A KR20080028652 A KR 20080028652A KR 100840293 B1 KR100840293 B1 KR 10084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witch box
bolt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2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각종 스위치를 설치하는 스위치박스가 거푸집의 전면에 밀착되게 하여 정확하고 견고하게 벽체에 고정되게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11)의 외측면 전방에 가이드홈(12)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10); 사각 테두리 형상의 몸체(21) 일측에 스위치박스(10)의 전단이 삽입되도록 홈부(22)가 형성되고, 홈부(22)를 이루는 외측벽체의 내측면 단부에 스위치박스(10)의 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23)가 형성되며, 홈부(22)의 내측으로 스프링어셈블리(24)가 삽입되어 스위치박스(10) 전단과 몸체(21)를 탄력지지하는 전단고정체(20); 고정판체(31)의 중앙에 볼트봉(32)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고정판체(31)가 스위치박스(10)의 배면에 고정볼트(33)로 고정되는 중앙고정체(30); 두개의 장방형 판체(41)(41') 중앙에 각각 볼트홀(44)과 홀(44-1)이 형성되고, 볼트홀(44)이 형성된 장방형판체(41)가 볼트봉(32)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홀(44-1)이 형성된 장방형판체(41')는 볼트봉(32)에 끼워진 스프링(43)에 의해 탄력지지되면서 너트(45)로 고정되고, 장방형판체(41)(4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무판(42)이 부착되며, 장방형 판체(41)(41') 사이에 철근(1)이 끼워져 고정되는 1차지지판체(40); 반원형 홈부(51-2)가 형성된 두개의 봉고정부(51)가 볼트봉(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홈부(51-2)가 위치하는 봉고정부(51) 외측면 중앙에 중공홀(53-1)이 있는 고정관체(53)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고정관체(53)의 상단 외측 둘레에 나사산(53-2)이 형성되고, 나사산(53-2)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된 커버(53-3)가 고정관체(53)에 고정되며, 커버(53-3)에 상면에 홀이 형성되어 탄력회전봉(54)이 삽입되어 상하이동하게 고정되고, 탄력회전봉(54)은 수평부(54-1)와 수직부(54-2)가 ㄱ자로 형성되며, 수직부(54-2)의 하단에 볼트홀(54-4)이 형성되어 커버(53-3)의 홀을 통해 수직부(54-2)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55)의 볼트부(55-1)가 볼트홀(54-4)에 체결되고, 수직부(54-2)는 고정관체(53)의 중공홀(53-1)에 스프링(56)과 함께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며, 탄력회전봉(54)의 수평부(54-1) 단부에 고정부(54-3)가 형성되고, 고정부(54-3)에 홀(54-5)이 형성되어 철근고정체(57)가 고정되며, 철근고정체(57)는 U형의 안착부(57-1) 하부에 연결봉(57-3)이 고정되고, 연결봉(57-3)의 하단에 볼트부(57-4)가 형성되어 고정부(54-3)의 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너트로 고정되며, 안착부(57-1)의 내측으로 고무패드(57-2)가 부착되는 탄력지지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치박스, 1차지지판체, 중앙고정체, 탄력지지체, 전단고정체

Description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A switch box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각종 스위치를 설치하는 스위치박스가 거푸집의 전면에 밀착되게 하여 정확하고 견고하게 벽체에 고정되게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을 포함한 스위치박스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와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위와 같은 스위치박스를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할 때, 그 철근 골조에는 기 준비된 스위치박스의 개방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시키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스위치박스가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스위치박스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시 시멘트 몰타르가 개방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스위치박스의 개방구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은 개방구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스위치박스의 개구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 시킨 후에는 상기 스위치박스로 유입되어 굳어진 시멘트 몰탈을 일일히 털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하게 되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가끔씩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스위치박스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자함을 철근 골조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고정구에 슬라이드홈을 적어도 한개 이상 두며, 몸체에 슬라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가 개발되어 거푸집과 밀착될 수 있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완전히 밀착되기 어려워 철근 골조의 시공상 오차가 있는 경우 완벽하게 간격없이 밀착되기 힘들고, 철근에 견고히 고정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코일 스프링으로 스위치박스를 거푸집에 밀착시키는 구조가 있는데, 이러한 코일 스프링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오작동을 하여 거푸집에서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스위치박스를 고정할 때 철근의 위치가 각 공사 현장에서 차이가 있어서, 구비된 철근 고정장치가 제대로 고정될 수 없는 문 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위치박스의 전단에 전단고정체를 두어 거푸집에 밀착될 수 있게 하고, 스위치박스 후방에 철근에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거푸집에 밀착시킨 채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안정적으로 밀착된 채 위치가 고정되어 있게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스위치박스의 전단에 전단고정체를 탄력지지되도록 고정시켜 거푸집에 항상 밀착될 수 있게 하고, 철근의 설치 유격에 유연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차지지판체와 탄력지지체에 의하여 다양한 철근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의 외측면 전방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스위치박스; 사각 테두리 형상의 몸체 일측에 스위치박스의 전단이 삽입되도록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를 이루는 외측벽체의 내측면 단부에 스위치박스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홈부의 내측으로 스프링어셈블리가 삽입되어 스위치박스 전단과 몸체를 탄력지지하는 전단고정체; 고정판체의 중앙에 볼트봉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고정판체가 스위치박스의 배면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중앙고정체; 두개의 장방형 판체 중앙에 각각 볼트홀과 홀이 형 성되고, 볼트홀이 형성된 장방형판체가 볼트봉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홀이 형성된 장방형판체는 볼트봉에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면서 너트로 고정되고, 장방형판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무판이 부착되며, 장방형 판체 사이에 철근이 끼워져 고정되는 1차지지판체; 반원형 홈부가 형성된 두개의 봉고정부가 볼트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홈부가 위치하는 봉고정부 외측면 중앙에 중공홀이 있는 고정관체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고정관체의 상단 외측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된 커버가 고정관체에 고정되며, 커버의 상면에 홀이 형성되어 탄력회전봉이 삽입되어 상하이동하게 고정되고, 탄력회전봉은 수평부와 수직부가 ㄱ자로 형성되며, 수직부의 하단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커버의 홀을 통해 수직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의 볼트부가 볼트홀에 체결되고, 수직부는 고정관체의 중공홀에 스프링과 함께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며, 탄력회전봉의 수평부 단부에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 홀이 형성되어 철근고정체가 고정되며, 철근고정체는 U형의 안착부 하부에 연결봉이 고정되고, 연결봉의 하단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고정부의 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너트로 고정되며, 안착부의 내측으로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탄력지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단고정체에 의하여 스위치박스가 거푸집에 밀착되는 효과가 있고, 중앙고정체의 볼트봉에 고정되는 1차지지판체가 볼트봉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철근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두개의 장방형판체 사이에 철근을 넣어 고정하면 되므로 철근의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력지지체의 봉고정부가 볼트봉에 고정될 때 철근이 있는 곳에 철근고정체를 위치시키고 양쪽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되므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근고정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철근의 위치에 유연하게 대응되는 효과가 있고, 탄력회전봉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 되면서 고정관체의 중공홀 내부를 따라 이동하므로 철근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박스(10)의 전단에 탄력지지되는 전단고정체(20)가 고정되어 거푸집에 밀착되고, 스위치박스(10)의 배면에 중앙고정체(30)를 고정하여 1차지지판체(40)와 탄력지지체(50)를 고정하되, 철근(1)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치박스(10)는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11)의 외측면 전방에 가이드홈(12) 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2)은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박스체(11) 각 외측벽면의 전단부에 인접한 곳 중앙에 형성된다.
전단고정체(20)는 스위치박스(10)의 전단에 고정되어 거푸집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하는 구성으로, 사각 테두리 형상의 몸체(21) 일측에 스위치박스(10)의 전단이 삽입되도록 홈부(22)가 형성되고, 홈부(22)를 이루는 외측벽체의 내측면 단부에 스위치박스(10)의 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23)가 형성된다.
홈부(22)의 내측으로 스프링어셈블리(24)가 삽입되어 스위치박스(10) 전단과 몸체(21)를 탄력지지하게 되며, 스프링어셈블리(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단고정체의 걸림돌기(23)가 스위치박스(10)의 가이드홈(12)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된다. 스프리어셈블리(24)는 두개의 지지판체(24-1) 사이에 다수개의 스프링(24-2)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중앙고정체(30)는 철근(1)에 스위치박스(10)를 지지하기 위한 1차지지판체(40)와 탄력지지체(50)가 고정되는 곳으로서, 고정판체(31)의 중앙에 볼트봉(32)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볼트봉(32)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체(31)는 스위치박스(10)의 배면에 고정볼트(33)로 고정된다.
1차지지판체(40)는 두개의 철근(1)이 양쪽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긴 장방형판체(41)(41')의 사이 어느 위치에든 철근이 위치하여 압착하면 고정되므로 철근(1)이 배근된 위치가 일정치 않아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1차지지판체(40)는 두개의 장방형 판체(41)(41') 중앙에 각각 볼트홀(44)과 홀(44-1)이 형성되고, 볼트홀(44)이 형성된 장방형판체(41)가 볼트봉(32)에 체결되 어 고정된다. 따라서 볼트홀(44)이 형성된 장방형판체(41)가 먼저 볼트봉(32)에 체결되고, 나중에 홀(44-1)이 형성된 장방형 판체(41')가 끼워져 너트(45)로 고정된다.
홀(44-1)이 형성된 장방형판체(41')는 볼트봉(32)에 끼워진 스프링(43)에 의해 탄력지지되면서 너트(45)로 고정되고, 장방형판체(41)(4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무판(42)이 부착된다.
탄력지지체(50)는 1차지지판체(40)가 고정된 상태에서 1차지지판체(40)가 고정된 철근(1)과 수직방향으로 배근된 철근(1)에 고정된다.
탄력지지체(50)는 반원형 홈부(51-2)가 형성된 두개의 봉고정부(51)가 볼트봉(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홈부(51-2)가 위치하는 봉고정부(51) 외측면 중앙에 중공홀(53-1)이 있는 고정관체(53)가 수직으로 고정된다. 반원형 홈부(51-2)에는 고무패드(52)가 부착되어 있어서, 볼트봉(32)에 더욱 잘 밀착되게 된다.
봉고정부(51)의 양단에는 플랜지(51-1)가 형성되고, 플랜지(51-1)에 형성된 볼트홀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서로 고정한다.
고정관체(53)의 상단 외측 둘레에 나사산(53-2)이 형성되고, 나사산(53-2)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된 커버(53-3)가 고정관체(53)에 고정된다.
커버(53-3)의 상면에 홀이 형성되어 탄력회전봉(54)이 삽입되어 상하이동하게 고정되고, 탄력회전봉(54)은 수평부(54-1)와 수직부(54-2)가 ㄱ자로 형성된다. 커버(53-3)의 홀은 탄력회전봉(54)의 수직부(54-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 되고, 그 하부에 고정되는 걸림턱(55)은 직경이 커버(53-3)의 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탄력회전봉(54)이 커버(53-3)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해준다.
탄력회전봉(54)의 수직부(54-2) 하단에 볼트홀(54-4)이 형성되어 커버(53-3)의 홀을 통해 수직부(54-2)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55)의 볼트부(55-1)가 볼트홀(54-4)에 체결된다.
수직부(54-2)는 고정관체(53)의 중공홀(53-1)에 스프링(56)과 함께 삽입되어 탄력지지되고, 걸림턱(55)이 고정된 수직부(54-2)가 커버(53-3)가 고정된 상태에서 더 이상 이탈되지 않게 한다.
탄력회전봉(54)의 수평부(54-1) 단부에 고정부(54-3)가 형성되고, 고정부(54-3)에 홀(54-5)이 형성되어 철근고정체(57)가 고정된다. 철근고정체(57)는 U형의 안착부(57-1) 하부에 연결봉(57-3)이 고정되고, 연결봉(57-3)의 하단에 볼트부(57-4)가 형성되어 고정부(54-3)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너트로 고정된다.
철근고정체(57)의 안착부(57-1) 내측으로 고무패드(57-2)가 부착된다. 고무패드(57-2)는 철근(1)이 안착부(57-1)에 삽입되었을 때 마찰력을 증대시켜 잘 고정되게 해준다.
탄력회전봉(54)은 고정관체(5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철근(1)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고정할 수 있고, 철근고정체(57)는 다시 탄력회전봉(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철근(1)이 위치된 곳을 따라 안착부(57-1)의 홈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의 1차지지판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의 탄력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의 탄력지지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의 탄력지지체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철근 10 : 스위치박스
11 : 박스체 12 : 가이드홈
20 : 전단고정체 21 : 몸체
22 : 홈부 23 : 걸림돌기
24 : 스프링어셈블리 24-1 : 지지판체
24-2 : 스프링 30 : 중앙고정체
31 : 고정판체 32 : 볼트봉
33 : 고정볼트 40 : 1차지지판체
41 : 장방형판체 42 : 고무판
43 : 스프링 44 : 볼트홀
45 : 너트 50 : 탄력지지체
51 : 봉고정부 51-1 : 플랜지
51-2 : 홈부 52 : 고무패드
53 : 고정관체 53-1 : 중공홀
53-2 : 나사산 53-3 : 커버
54 : 탄력회전봉 54-1 : 수평부
54-2 : 수직부 54-3 : 고정부
54-4 : 볼트홀 54-5 : 홀
55 : 걸림턱 55-1 : 볼트부
56 : 스프링 57 : 철근고정체
57-1 : 안착부 57-2 : 고무패드
57-3 : 연결봉 57-4 : 볼트부

Claims (1)

  1.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11)의 외측면 전방에 가이드홈(12)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10);
    사각 테두리 형상의 몸체(21) 일측에 스위치박스(10)의 전단이 삽입되도록 홈부(22)가 형성되고, 홈부(22)를 이루는 외측벽체의 내측면 단부에 스위치박스(10)의 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23)가 형성되며, 홈부(22)의 내측으로 스프링어셈블리(24)가 삽입되어 스위치박스(10) 전단과 몸체(21)를 탄력지지하는 전단고정체(20);
    고정판체(31)의 중앙에 볼트봉(32)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고정판체(31)가 스위치박스(10)의 배면에 고정볼트(33)로 고정되는 중앙고정체(30);
    두개의 장방형 판체(41)(41') 중앙에 각각 볼트홀(44)과 홀(44-1)이 형성되고, 볼트홀(44)이 형성된 장방형판체(41)가 볼트봉(32)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홀(44-1)이 형성된 장방형판체(41')는 볼트봉(32)에 끼워진 스프링(43)에 의해 탄력지지되면서 너트(45)로 고정되고, 장방형판체(41)(4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무판(42)이 부착되며, 장방형 판체(41)(41') 사이에 철근(1)이 끼워져 고정되는 1차지지판체(40);
    반원형 홈부(51-2)가 형성된 두개의 봉고정부(51)가 볼트봉(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홈부(51-2)가 위치하는 봉고정부(51) 외측면 중앙에 중공홀(53-1)이 있는 고정관체(53)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고정관 체(53)의 상단 외측 둘레에 나사산(53-2)이 형성되고, 나사산(53-2)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된 커버(53-3)가 고정관체(53)에 고정되며, 커버(53-3)에 상면에 홀이 형성되어 탄력회전봉(54)이 삽입되어 상하이동하게 고정되고, 탄력회전봉(54)은 수평부(54-1)와 수직부(54-2)가 ㄱ자로 형성되며, 수직부(54-2)의 하단에 볼트홀(54-4)이 형성되어 커버(53-3)의 홀을 통해 수직부(54-2)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55)의 볼트부(55-1)가 볼트홀(54-4)에 체결되고, 수직부(54-2)는 고정관체(53)의 중공홀(53-1)에 스프링(56)과 함께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며, 탄력회전봉(54)의 수평부(54-1) 단부에 고정부(54-3)가 형성되고, 고정부(54-3)에 홀(54-5)이 형성되어 철근고정체(57)가 고정되며, 철근고정체(57)는 U형의 안착부(57-1) 하부에 연결봉(57-3)이 고정되고, 연결봉(57-3)의 하단에 볼트부(57-4)가 형성되어 고정부(54-3)의 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너트로 고정되며, 안착부(57-1)의 내측으로 고무패드(57-2)가 부착되는 탄력지지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20080028652A 2008-03-27 2008-03-27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084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52A KR100840293B1 (ko) 2008-03-27 2008-03-27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52A KR100840293B1 (ko) 2008-03-27 2008-03-27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293B1 true KR100840293B1 (ko) 2008-06-20

Family

ID=3977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652A KR100840293B1 (ko) 2008-03-27 2008-03-27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2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57B1 (ko) 2011-12-14 2012-01-18 (주)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기구용 매입형 스위치 박스
CN109256736A (zh) * 2018-09-14 2019-01-22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线盒预埋方法及定位装置
CN110808558A (zh) * 2019-10-31 2020-02-18 江苏中南建筑产业集团有限责任公司 预置线管线盒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17B1 (ko) 2007-09-29 2007-12-21 (주)하나기연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17B1 (ko) 2007-09-29 2007-12-21 (주)하나기연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57B1 (ko) 2011-12-14 2012-01-18 (주)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기구용 매입형 스위치 박스
CN109256736A (zh) * 2018-09-14 2019-01-22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线盒预埋方法及定位装置
CN110808558A (zh) * 2019-10-31 2020-02-18 江苏中南建筑产业集团有限责任公司 预置线管线盒装置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1468B1 (en) Embeddable mounting device with faceplate
KR100840293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1200596B1 (ko) 기설치된 이중 마루의 내진 보강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80013387A (ko) 착탈식 건식벽체
KR101273809B1 (ko) 관통슬리브
KR20090037721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0787517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0848181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입형 고정단자함
KR101031292B1 (ko) 교량용 외장재 조립장치
KR100675522B1 (ko) 공동주택 전기 단자함 고정구조
KR20130138602A (ko) 천정마감장치
KR20110012198A (ko) 거푸집용 스페이서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805073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719466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101136794B1 (ko)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KR101515920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 고정 장치
WO2014055927A1 (en) Divider wall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845459B1 (ko) 콘크리트 보 패널의 지지장치
KR101707559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1857233B1 (ko) 패널 마감용 클립 브라켓
KR101666065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20190089355A (ko) 거푸집 패널 조립용 연결패널 및 그 연결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패널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