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942B1 -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942B1
KR100839942B1 KR1020070011117A KR20070011117A KR100839942B1 KR 100839942 B1 KR100839942 B1 KR 100839942B1 KR 1020070011117 A KR1020070011117 A KR 1020070011117A KR 20070011117 A KR20070011117 A KR 20070011117A KR 100839942 B1 KR100839942 B1 KR 10083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le
memory
copy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규
Original Assignee
(주)동아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엘텍 filed Critical (주)동아엘텍
Priority to KR102007001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6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with adaptation of the tested hardware for testability with external te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05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 G06F11/2221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to test input/output devices or peripher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시험에 사용되는 다양한 패턴들을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는 패턴생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패턴파일이 저장된 저장수단과,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을 저장하는 그래픽 메모리, 모델정보에 따라 그래픽 메모리의 패턴을 출력하는 패턴 출력부,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이 수신되면, 그래픽 메모리 상에 시작점과 끝점으로 정의된 스퀘어 블럭을 지정된 색상으로 라이트하는 스퀘어 블럭 생성기, 복사 메모리, 복사 명령에 따라 그래픽 메모리의 지정 영역을 복사 메모리에 저장하고, 붙이기 명령에 따라 복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라이트하는 패턴 복사기, 및 저장수단으로부터 패턴파일을 읽어와 패턴파일을 구성하는 툴들을 분석하여 해당 툴을 그리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을 산출하여 스퀘어 블럭 생성기에 전달하고, 복사명령과 붙이기 명령을 패턴 복사기에 전달하며, 패턴 출력부에 모델정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성을 모델로 정의하고, 정의된 모델을 시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툴들의 조합으로 정의된 패턴파일을 생성한 후 패턴파일에 따라 고속으로 패턴을 생성한다.
패턴, 생성, 편집, 디스플레이, LCD, 툴, 스퀘어 블럭, 그래픽 메모리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 PATTERN GENERATOR FOR DISPLA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의 운용 환경을 도시한 전체 시스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턴 편집기의 구성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턴 편집기를 이용한 패턴 파일 편집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계조 그리기 툴 사용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계조 그리기 툴 사용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계조 그리기 툴 사용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패턴을 생성하는 세부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편집화면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의 LCD 화면의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패턴 편집기 20: 패턴생성장치
30: 디스플레이모듈 202: 랜 인터페이스
204: 직렬통신부 206: 키패드
208: LCD 210: 마이크로프로세서
212: 로컬메모리 214: 펌웨어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
216: 패턴정보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
218: BMP파일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
220: 패턴처리부 221: 스퀘어 블럭 생성기
222: 복사 메모리 223: 패턴 복사기
224: 패턴 출력부 225: BMP파일 정합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패턴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험에 사용되는 다양한 패턴들을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는 패턴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유기 EL, PDP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개발 및 제조과정에서 동작특성을 검증하는 절차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특성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패턴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대부분의 시험장치에는 패턴 발생장치가 내장되어 있거나 전용의 패턴 발생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패턴생성장치는 그래픽 카드형태의 PC 내장형 패턴생성장치와, FPGA로 구현된 단순형태의 패턴생성장치,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그래픽 메모리에 패턴 데이터를 직접 라이트하는 방식의 패턴생성장치로 구분된다.
그런데 그래픽 카드형의 패턴생성장치는 패턴 편집이 어렵고, 패턴 출력 속도가 느리며, 전적으로 PC에만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고, FPGA로 구현된 패턴생성장치는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복잡한 패턴의 편집이 불가능하고 새로운 패턴의 추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그래픽 메모리에 패턴 데이터를 직접 라이트하는 방식은 패턴 출력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시험용 패턴파일을 편집할 수 있고, 편집된 패턴파일에 따라 고속으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패턴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성을 모델로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모델을 시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툴들의 조합으로 정의된 패턴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패턴파일에 따라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턴파일이 저장된 저장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를 위한 패턴을 저장하는 그래픽 메모리; 상기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패턴을 출력하는 패턴 출력부;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이 수신되면, 상기 그래픽 메모리 상에 시작점과 끝점으로 정의된 스퀘어 블럭을 지정된 색상으로 라이트하는 스퀘어 블럭 생성기; 복사 메모리; 복사 명령에 따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지정 영역을 상기 복사 메모리에 저장하고, 붙이기 명령에 따라 상기 복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라이트하는 패턴 복사기; 및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패턴파일을 읽어와 상기 패턴파일을 구성하는 툴들을 분석하여 해당 툴을 그리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을 산출하여 상기 스퀘어 블럭 생성기에 전달하고, 상기 복사명령과 붙이기 명령을 상기 패턴 복사기에 전달하며, 상기 패턴 출력부에 상기 모델정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생성장치는, BMP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BMP파일 저장수단과, 상기 BMP파일을 상기 그래픽 메모리에 라이트하기 위한 BMP파일 정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패턴파일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통신수단과,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의 운용 환경을 도시한 전체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턴편집기(10)는 디스플레이장치(예컨대, LCD모듈)(30)를 시험하기 위한 임의의 패턴파일을 생성하고, 패턴생성장치(20)는 패턴편집기(10)로부터 전송된 패턴파일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적합한 실제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제공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30)는 LCD모듈, PDP 등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이고, 통상 동작(전기적) 특성에 따라 임의의 모델로 정의된다. 예컨대, LCD모듈의 경우 수평/수직 동기 주파수, 수평/수직 해상도 등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의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H" 및 "V"로 정의하여 해상도가 다른 다양한 모델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턴 편집기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턴 편집기를 이용한 패턴 파일 편집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편집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13)와 O/S(12)를 갖는 통상의 컴퓨터상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11)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컴퓨터 조작을 통해 원하는 형태의 패턴을 자유롭게 생성하거나 편집하여 최종적으로 패턴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하고, 생성된 패턴파일을 USB나 랜 등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턴생성장치(20)에 제공하여 실제로 원하는 패턴을 생성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패턴편집기(10)는 툴(Tool) 방식으로 구현되어 누구나 쉽게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개의 패턴은 최대 128개의 툴로 구성될 수 있고, H와 V로 툴 위치 및 크기를 표시하기 때문에 생성된 한 개의 패턴파일은 모든 해상 도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편집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상에서 패턴편집기 응용 프로그램(11)을 실행하여 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01,S302)와, 신규 패턴파일을 생성하려면 패턴 이름을 지정하여 신규 파일을 생성하고 패턴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S303~S306), 이미 생성된 패턴 파일을 편집하려면 패턴 리스트에서 해당 패턴파일을 선택하는 단계(S307,S308), 원하는 툴을 선택하여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309~S311), 패턴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312,S313)로 구성된다. 여기서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툴은 "네모 그리기(Box), 네모 채우기(Filled-Box), 원 그리기(Circle), 원 채우기(Filled-Circle), 세모 그리기(Triangle), 세모 채우기(Filled-Triangle), 선 그리기(Line), 수평계조 그리기(Horizontal-Gray), 수직계조 그리기(Vertical-Gray), 집중 계조 그리기(Concentration-Gray), 루프 수행하기(Loop), 블록 복사(Block-Copy), 및 붙여넣기(Paste)'로 이루어진 13개의 규격화된 툴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툴을 선택하여 최종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메인화면의 도구상자에서 상기 13개의 툴 중 어느 하나의 툴을 선택하는 단계(S309)와, 선택된 툴에 대응한 파라메터를 입력하는 단계(S310)와, 툴 추가하여 부분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311)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309~S311)를 반복하여 다수의 부분패턴들을 생성한 후 이 부분패턴들을 조합하여 원하는 최종패턴의 패턴파일을 완성한다. 이때 파라메터를 입력하는 단계(S310)는 그래픽 메모리에 컬러값을 직접 기록하는 직접 방식 혹은 소정 수의 파레트를 지정하여 컬러값을 지정하는 간 접 방식으로 컬러를 설정하는 단계와, 위치 및 사이즈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패턴 편집기를 실행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이름 창, 패턴 리스트 창, 선택된 패턴을 구성하는 툴들을 보여주는 창, 툴 도구 모음, 패턴 프리뷰 창으로 구성된 메인화면이 표시된다.
패턴 이름 창은 새로운 패턴을 생성할 때 해당 패턴의 이름을 입력하는 창으로서, 패턴 이름을 입력한 후 생성버튼을 누르면 파일이 생성된 후 패턴 리스트 창에 추가된다. 툴 창은 선택된 패턴을 구성하는 툴들을 보여주고, 패턴 프리뷰 창은 선택된 패턴을 미리 보여준다. 툴 도구 모음에서는 패턴 생성 및 편집시 사용자가 원하는 도구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신규파일을 생성하거나 패턴리스트에서 패턴 파일을 선택한 후, 패턴 편집을 위해 툴 모음에서 원하는 툴을 선택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계조 그리기 툴 사용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계조 그리기 툴 사용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계조 그리기 툴 사용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툴들을 사용하는 방식 중에서 수평 계조 그리기 툴의 사용절차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구 상자에서 "수평 계조 그리기" 툴을 선택한다(S401). 이어 RGB 컬러를 설정하고, 위치 및 사이즈를 선택한다(S402,S403). 이때 컬러에서 "1"은 인에이블을 나타내고 "0"은 디스에이블을 나타낸다. 이어 방향 및 그레이 레벨을 설정한다(S404). 방향은 "Nomal"의 경우 Black -> White를 나타내고, "Inverse"는 White -> Black을 나타낸다. 이어 툴 추 가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툴을 추가한다(S405). 한편, 수직 계조 및 집중 계조 그리기는 도 4b 및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도 4a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편집기는 수평/수직/집중 계조그리기 툴을 지원하므로 계조가 포함된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복잡하게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 인터페이스부(202), 직렬통신부(UART:204), 키패드(206), LCD(208), 마이크로프로세서(210), 로컬메모리(212), 펌웨어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214), 패턴파일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216), BMP파일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218), 패턴처리부(220), 그래픽 메모리(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패턴처리부(220)는 스퀘어 블럭 생성기(221), 복사 메모리(222), 패턴 복사기(223), 패턴출력부(224), BMP파일 정합부(225)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FPGA로 구현된다.
랜 인터페이스부(202)는 이더넷을 통해 패턴편집기(1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고, 직렬통신부(204)는 외부장치와 직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키패드(206)는 방향키와 숫자키, SET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을 위한 키입력 버튼이고, LCD(208)는 패턴생성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LCD화면의 표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LCD화면에는 현재 구동되는 모델이름(①)과, 패턴이름(②), 현재 출력되는 클럭 및 동기신호 주파수(③), C메니저와 연결상태(④), 모델버튼 (⑤), 셋업버튼(⑥), 현재 구동방식(⑦), 키입력모드(⑧), 현재 구동되는 패턴의 칼러값(⑨), 패턴버튼(⑩), 등록된 패턴의 갯수(⑪), 결함정보(⑫), 각종 속도상태 (⑬)등을 표시한다.
펌웨어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214)에는 펌웨어가 저장되어 있고, 패턴파일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216)에는 패턴편집기(10)로부터 전송받은 패턴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며, BMP파일 저장용 플래시 메모리(218)에는 BMP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메모리(214)에 저장된 펌웨어를 로컬 메모리(212)에 로딩하여 펌웨어를 실행하고, 랜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패턴편집기(10)와 통신하여 편집된 패턴파일을 패턴파일 저장용 메모리(216)에 저장하며, BMP파일은 BMP파일 저장용 메모리(218)에 저장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험할 디스플레이모듈의 모델을 등록하고, 해당 모델에서 실행될 패턴파일을 등록하며, 등록된 모델에 대한 패턴생성이 시작되면 해당 패턴파일을 읽어와 패턴에 사용된 전체 툴들을 계산한 후 순차적으로 툴들의 파라메터를 가져와 툴들을 그리기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스퀘어 블럭 생성기(221)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로부터 시작점과, 끝점, 및 칼러 정보를 전달받으면 그래픽 메모리(230)에 해당 스퀘어 블럭 데이터를 고속(대략 100MHz)으로 라이트하고, 라이트 동작이 끝나는 시점에 동작 완료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20)는 마이크로프로세(210)가 그래픽 메모리(230)에 직접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툴을 그리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시작점과 끝점, 및 칼러 정보를 스퀘어 블 럭 생성기(221)로 전달하면, 스퀘어 블럭 생성기(221)가 하드웨어적으로 그래픽 메모리(230)에 해당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0)가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을 처리하므로 사용자가 편집한 다양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패턴 복사기(223)는 그래픽 메모리(230)에 저장된 패턴이 규칙적일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복사 명령에 따라 그래픽 메모리(230)의 일정 영역 데이터를 읽어와 복사 메모리(222)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복사기능을 처리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붙이기 명령에 따라 복사 메모리(222)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230)의 지정 영역에 라이트함으로써 데이터 붙이기 기능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20)는 패턴 복사 및 붙이기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래픽 메모리(230)는 생성된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그래픽 메모리의 용량은 출력 해상도와 RGB 표현 칼러 수와 관련되며, 고해상도인 WQXGA(2560x1600) 와 10비트 RGB 모델을 구동할 수 있는 크기이다.
패턴 출력부(224)는 그래픽 메모리(230)에 생성된 패턴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동작 클럭을 입력받고 마이크로프로세서(210)로부터 모델정보(해상도 등)를 입력받아 각종 동기신호(VS,HS,DE)를 생성하고, 그 동기신호에 맞게 지속적으로 그래픽 메모리(230)를 리드하여 그래픽 메모리(230)에 씌여진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패턴 출력부(224)는 패턴출력시 사용자가 원하는 좌표를 표시하는 좌표 표시기능과, 칼라 가변기능, 패턴 스크롤 기능, 칼라 반 전 및 온/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패턴 출력부(224)는 모델에 따라 해당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고, 그래픽 메모리(230)에 저장된 패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모듈의 인터페이스방식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한다. 통상 디스플레이모듈과의 인터페이스는 DVI, LVDS, TMDS, 디지털 R,G,B 출력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방식이 가능하다.
BMP파일 정합부(225)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명령에 따라 BMP패턴을 생성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BMP 파일 저장용 메모리(218)에 저장된 BMP파일에 따라 그래픽 메모리(230)에 BMP 패턴을 라이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패턴을 생성하는 세부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20)에서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패턴편집기(10)로 패턴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편집기(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험하고자는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모델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툴들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패턴파일은 패턴생성장치(20)의 패턴 파일 저장용 메모리(216)에 저장된다(S601,S602).
이어 사용자는 패턴생성장치(20)의 키패드(206)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델을 등록한다(S603). 모델을 등록하는 절차는 방향키와 SET키를 이용하여 새로운 모델 입력을 선택한 후 모델명을 입력하고, 인터페이스 모드와 비트 타입, SYNC, FREQ, 및 각종 타이밍 정보 등을 입력한 후 저장한다. 인터페이스 모드는 싱 글과 듀얼이 있고, 비트 타입은 6비트, 8비트, 10비트 등이 있다.
이어 모델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모델에서 구동될 패턴을 등록한다(S604). 이후 패턴생성 시작(START) 버튼이 입력되면 패턴구동 방식(자동, 수동 등)에 따라 해당 모델의 패턴파일을 읽어와 패턴을 생성한다(S605~S607).
패턴파일로부터 실제적으로 패턴을 생성하는 절차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210)가 생성할 패턴파일을 패턴파일 저장용 메모리(216)로부터 읽어 온다(S701). 이어 패턴파일의 구조를 분석하여 해당 패턴을 구성하는 전체 툴들에 대해 판별(예컨대, 전체 툴의 개수 등)한 후 순차적으로 툴들을 실행하여 패턴을 생성한다(S702).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현재 툴을 실행하면서 해당 툴의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해당 툴을 그리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시작점과 끝점, 색깔을 산출한다(S703~S705).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산출된 시작점과, 끝점, 및 색상을 스퀘어 블럭 생성기(221)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스퀘어 블럭 생성기(221)는 시작점과 끝점으로 지정된 그래픽 메모리의 스퀘어 블럭을 해당 색상의 RGB 데이터로 라이트한다(S706,S707).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패턴의 규칙성 등을 판단하여 복사가 필요하면 패턴 복사기(223)에 복사를 명령하고, 이에 따라 패턴 복사기(223)는 그래픽 메모리(230)의 지정 영역 데이터를 복사 메모리(222)에 저장하여 복사한 후 프로세서의 붙이기 명령에 따라 복사 메모리(222)의 복사 데이터를 지정 그래픽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한다(S708~S711).
이어 현재 툴에 대한 그리기 과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완료되지 않았으면 연산과정부터 반복하고, 완료되었으면 현재 툴이 미지막 툴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 툴이 아니면 다음 툴을 읽어와 툴 실행단계를 반복한다. 마지막 툴이면 그리기를 종료하고, 패턴 출력부(224)가 설정된 모델의 전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패턴 데이터를 출력한다(S712~S71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패턴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 및 편집할 수 있고, 미리정의된 툴(Tool)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수평/수직/집중 계조 그리기 툴을 이용하여 복잡한 프로그래밍 없이도 다양한 계조를 쉽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턴생성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결과에 따라 스퀘어 블럭 생성기가 지정된 그래픽 메모리의 스퀘어 블럭에 하드웨어적으로 데이터를 라이트하므로 신속하게 패턴을 생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적인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패턴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툴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될 다양한 패턴들을 생성하기 위한 패턴파일을 편집 및 생성하는 패턴편집기; 및
    상기 패턴편집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패턴파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적합한 패턴을 생성하는 패턴생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생성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파일은
    네모 그리기(Box), 네모 채우기(Filled-Box), 원 그리기(Circle), 원 채우기(Filled-Circle), 세모 그리기(Triangle), 세모 채우기(Filled-Triangle), 선 그리기(Line), 수평계조 그리기(Horizontal-Gray), 수직계조 그리기(Vertical-Gray), 집중 계조 그리기(Concentration-Gray), 루프 수행하기(Loop), 블록 복사(Block-Copy), 및 붙여넣기(Paste)로 규격화된 툴 모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툴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생성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생성장치는
    상기 패턴파일이 저장된 저장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을 저장하는 그래픽 메모리;
    상기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패턴을 출력하는 패턴 출력부;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이 수신되면, 상기 그래픽 메모리 상에 시작점과 끝점으로 정의된 스퀘어 블럭을 지정된 색상으로 라이트하는 스퀘어 블럭 생성기;
    복사 메모리;
    복사 명령에 따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지정 영역을 상기 복사 메모리에 저장하고, 붙이기 명령에 따라 상기 복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라이트하는 패턴 복사기; 및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패턴파일을 읽어와 상기 패턴파일을 구성하는 툴들을 분석하여 해당 툴을 그리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을 산출하여 상기 스퀘어 블럭 생성기에 전달하고, 상기 복사명령과 붙이기 명령을 상기 패턴 복사기에 전달하며, 상기 패턴 출력부에 상기 모델정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생성시스템.
  4.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성을 모델로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모델을 시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툴들의 조합으로 정의된 패턴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패턴파일에 따라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턴파일이 저장된 저장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을 저장하는 그래픽 메모리;
    상기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패턴을 출력하는 패턴 출력부;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이 수신되면, 상기 그래픽 메모리 상에 시작점과 끝점 으로 정의된 스퀘어 블럭을 지정된 색상으로 라이트하는 스퀘어 블럭 생성기;
    복사 메모리;
    복사 명령에 따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지정 영역을 상기 복사 메모리에 저장하고, 붙이기 명령에 따라 상기 복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라이트하는 패턴 복사기; 및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패턴파일을 읽어와 상기 패턴파일을 구성하는 툴들을 분석하여 해당 툴을 그리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시작점과 끝점과 색상을 산출하여 상기 스퀘어 블럭 생성기에 전달하고, 상기 복사명령과 붙이기 명령을 상기 패턴 복사기에 전달하며, 상기 패턴 출력부에 상기 모델정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생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생성장치는,
    BMP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BMP파일 저장수단과, 상기 BMP파일을 상기 그래픽 메모리에 라이트하기 위한 BMP파일 정합부를 더 구비하여
    BMP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생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생성장치는,
    상기 패턴파일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통신수단과,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생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생성장치는,
    다수의 모델을 등록하고 있고, 상기 각 모델은 다수의 패턴파일을 등록하고 있어 임의 모델이 지정되면 지정된 모델의 패턴파일들을 자동 혹은 수동으로 순차로딩하여 해당 패턴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생성장치.
KR1020070011117A 2007-02-02 2007-02-02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KR10083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117A KR100839942B1 (ko) 2007-02-02 2007-02-02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117A KR100839942B1 (ko) 2007-02-02 2007-02-02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942B1 true KR100839942B1 (ko) 2008-06-20

Family

ID=3977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117A KR100839942B1 (ko) 2007-02-02 2007-02-02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271A (ko) *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젠탑스 Pc를 이용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검사용 패턴 제너레이터 및 패턴 생성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100A (ko) * 2005-06-24 2006-12-29 지 . 텍 (주) 패턴 제너레이터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100A (ko) * 2005-06-24 2006-12-29 지 . 텍 (주) 패턴 제너레이터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271A (ko) *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젠탑스 Pc를 이용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검사용 패턴 제너레이터 및 패턴 생성 방법
KR101696715B1 (ko) * 2015-03-16 2017-01-16 주식회사 젠탑스 Pc를 이용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검사용 패턴 제너레이터 및 패턴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07492A (zh) 一种对手机主板功能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KR20030088862A (ko) 봉제데이터 작성장치 및 봉제데이터 작성프로그램
US6725449B1 (en) Semiconductor test program debugging apparatus
KR100742332B1 (ko) 인쇄제어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JP2004164459A (ja) 波形編集用プログラム、該波形編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及び波形編集装置
KR100839942B1 (ko)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생성장치
CN114281624A (zh) 一种i2c信号完整性的测试方法、系统、装置及设备
CN113204340A (zh) 题目生产方法、题目管理系统及电子设备
CN111061601A (zh) 一种产品hmi测试模拟系统
CN115717987A (zh) 一种显示模组测试系统、方法
KR100784831B1 (ko)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패턴 편집방법
KR100673373B1 (ko) 패턴 제너레이터 및 그 운용방법
JP2009259083A (ja) 画面表示方式
CN101887087B (zh) 自动测试系统及其运行方法、仪控装置
JP4561666B2 (ja) 検証シミュレータ及び検証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US6900814B2 (en) CAD apparatus and output processing method for CAD apparatus
JP7285417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210377916U (zh) 测井地面采集系统模拟机
KR2019008156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027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image control program
US20230305764A1 (en) Printing method, server, and printing system
JP4245998B2 (ja) 作画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0067397A (ja) データ処理用プログラム
KR20080082824A (ko) 패턴 제너레이터의 신호 인터페이스 구조
JPS61216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