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567B1 -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567B1
KR100839567B1 KR1020060122072A KR20060122072A KR100839567B1 KR 100839567 B1 KR100839567 B1 KR 100839567B1 KR 1020060122072 A KR1020060122072 A KR 1020060122072A KR 20060122072 A KR20060122072 A KR 20060122072A KR 100839567 B1 KR100839567 B1 KR 10083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tridge
main body
tape cartrid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283A (ko
Inventor
이중
박병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6012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5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6Cutting and rejoining; Notching, or perforating record carriers otherwise than by recording styl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출장치(1)는 비디오나 오디오 테이프를 잘라 이어붙인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를 스텝모터를 이용한 테이프 구동부와 카메라, 조명수단 등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테이프 카트리지(11)를 본체(21) 위에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3), 상기 지지부(3)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커버(13)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개방부(5),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10)를 감는 테이프 구동부(7), 및 상기 테이프 구동부(7)를 제어하는 제어부(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존에 수작업에 의하던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검출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의 정확성을 높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테이프,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

Description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Tape Splice Editing Detec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4는 테이프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를 도시한 개략 상세도이다.
도 5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테이프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이프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3 : 지지부
5 : 커버 개방부 7 : 테이프 구동부
9, 49 : 제어부 10: 테이프
11 : 테이프 카트리지 13 : 카트리지 커버
15 : 테이프 릴 21 : 본체
23 : 외체 프레임 25 : 지지블록
27 : 잠금블록 29 : 고정막대
33 : 릴기어 35 : 스텝모터
39 : 플랙시블 커플링 41 : 조명수단
43 : 카메라 45 : 앵글
47 : 안내 슬롯 50 : 프레임 그래버
61 : LED
본 발명은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나 오디오 테이프를 잘라 이어붙인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를 스텝모터를 이용한 테이프 구동부와 카메라, 조명수단 등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난 몇 년간 우리는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는 것을 체험했다. 이러한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우리에게 테이프와 같은 매체의 완벽한 복사, 용이한 편집, 및 네트워크를 통한 신속한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에 따 라 테이프의 변조가 매우 쉬워졌고, 심지어 법적인 증거물로 제시된 테이프의 진위 여부를 의심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특히 버스의 교통사고 또는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버스 내에 장착된 CCTV에 사용되는 VHS 방식 테이프에서 위와 같은 편집의 사례가 많이 발견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나 CCTV에 사용되는 테이프를 편집하는데는 VCR 3대나 2대를 이용하여 편집하는 간이편집, 전용기기를 이용한 전자편집,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편집하는 비선형편집, 그리고 테이프를 물리적으로 절단하여 이어붙이는 스플라이스(splice) 편집 등이 있다.
여기에서 간이편집은 VCR 2대를 연결하고, REC/PAUSE, PLAY/PAUSE 버튼을 적절히 조작하여 편집하는 간단한 편집 방법으로서, 편집 정밀도가 떨어지거나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전자 편집은 RS-422A 신호와 프리롤(pre-roll) 기능을 갖춘 업무용 VCR을 이용하여 1 프레임 단위의 고정밀 편집이 가능한 방법이다. 비선형 편집은 VCR의 영상을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녹화한 후 전용 소프트웨어로 이를 편집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특히 스플라이스 편집은 일반적으로 삼각 노이즈가 발생하나 콘트롤 신호가 없는 부분에서의 편집이나 테이프의 화질이 나쁜 경우에는 눈으로 테이프를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즉,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를 찾는 별도의 장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플라이스 편집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테이프를 직접 돌리면서 육안으로 편집 부위를 찾아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길어지며, 따라서 작업 능률이 지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테이프 스플라이스 편집을 검출하는 방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텝모터 등 테이프 구동 수단과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제어부를 이용해 검출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편집 부위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편리하게 검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와, 테이프 카트리지를 본체 위에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커버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개방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테이프를 감는 테이프 구동부, 및 상기 테이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 위에 가로로 세워진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고정하도록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와 나란하게 세워진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고정하도록 외체 프레임에 상하이동 및 피벗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측단 일측에 상하로 피벗 가능하게 장 착되어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너비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길게 뻗어 있는 고정막대를 더 포함하고 있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 개방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 일측에 앞뒤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카트리지 커버를 개방 상태로 지지하도록 길게 뻗어 있는 커버 누름막대인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 구동부는 상기 테이프의 릴에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된 릴기어와, 상기 릴기어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상기 본체 위에 장착된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와 인접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테이프를 역광으로 비추는 조명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외체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체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테이프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 카트리지를 본체 위에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커버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개방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테이프를 감는 테이프 구동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를 역광으로 비추는 조명수단, 상기 외체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역광이 조사된 상기 테이프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역치를 부여하여 역치 이상인 때 상기 테이프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 카트리지를 본체 위에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 측에 배향하여 부착된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커버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개방부, 상기 어느 한쪽 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테이프를 감도록 회전축이 좌우로 배열되어 있는 테이프 구동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좌우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를 역광으로 비추는 조명수단, 상기 어느 한쪽 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테이프를 촬영하도록 상기 외체 프레임의 상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역치를 부여하여 역치 이상인 때 상기 테이프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집 검출장치는 도 1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나 오디오 테이프(10)의 스플라이스 편집 여부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로서, 각종 부품이 장착되는 판 형상의 본체(21)와 지지체로서 본체(21) 위에 고정 설치되는 외체 프레임(23)으로 전체적인 외형이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부(3), 커버 개방부(5), 테이프 구동부(7), 그리고 제어부(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먼저 지지부(3)는 테이프(10)를 검사하는 동안 테이프 카트리지(1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 위에 가로로 세워져 부착된 지지블록(25)과, 외체 프레임(23) 측면 모서리바(24)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블록(27)으로 구성되는바, 지지블록(25)은 테이프 카트리지(11)와 비슷한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본체(21) 위에 테이프 카트리지(11)와 나란하게 가로로 부착되어 테이프 카트리지(1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잠금블록(27)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체 프레임(23)의 측면 모서리바(24) 사이에 한 쌍의 앵글(4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바, 상면 양단에 볼트(46)에 의해 각각의 앵글(45)이 부착되어 있다. 잠금블록(27)은 또한 측면 모서리바(24)의 안내 슬롯(47)에 끼워진 높이 조정볼트(48)를 풀거나 죄어 모서리바(24)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정볼트(48)를 푼 상태에서 이 볼트(48)를 중심으로 앵글(45)을 피벗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안쪽으로 90° 회전시켜 지지블록(25)과의 사이에 테이프 카트리지(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블록(27)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프 카트리지(11)를 지지할 때 이 테이프 카트리지(11)를 향하는 면이 단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아래쪽에서 조사되는 조명수단(41)의 빛이 차단되지 않고 테이프(10)의 배면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3)는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횡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고정수단으로서 고정막대(29)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고정막대(29)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핀(51)에 의해 상하로 피벗 회전 가능하게 지지블록(25)의 일측변에, 바람직하게는 일측변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1)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검출장치(1)는 연속적인 테이프(10)의 검사가 가능하도록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이 계속되는 동안 카트리지 커버(13)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커버 개방부로서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 누름막대(5)가 사용된다. 이 누름막대(5)는 도시된 것처럼 긴 막대로서, 지지블록(25)의 상면 일측에 피벗 핀(53)에 의해 앞뒤로 수평하게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앞쪽으로 돌아 나와 있을 때 카트리지 커버(13)를 뒤로 젖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누름막대(5)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테이프(10)를 감는 데 사용되는 테이프 구동부(7)는 도시된 것처럼 테이프 릴(15)에 결합되는 릴기어(33)와, 이 릴기어(33)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텝모터(35)로 구성되는바, 전체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스텝모터(35)를 채용하여 테이프(10)를 재생하는 정방향으로 감으면서 검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두 개의 스텝모터를 채용하여 테이프(10)를 되감기 하는 역방향으로 감으면서 검사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릴기어(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25)을 좌우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테이프(11)가 감기는 테이프 릴(1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스텝모터(35)는 도시된 것처럼 본체(21) 중앙에 장착되어 회전축(37) 선단에 장착된 릴기어(33)를 통해 테이프 릴(15)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37)과 릴기어(33) 사이에 플렉시블 커플링(39)을 장착함으로써 릴기어(33)로 전달되는 회전축(37)의 요동을 줄임으로써 검사 시 테이프(10)의 구동이 좀 더 안정될 수 있도록 한다.
검사 시 테이프 릴기어(33)에 감겨 들어가는 테이프(10)를 조명하기 위해 구비된 조명수단(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의 상면 일단에서 테이프 카트리지(11)와 인접하도록 장착되어 테이프(10)의 배면을 역광으로 비추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17)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산란 무늬를 만들어 편집 부위(17)의 가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수단(41)은 여러 가지 종류의 조명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기판(59) 위에 부착된 여러 개의 LED(61)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체 프레임(23)의 상부에 장착된 카메라(43)는 테이프(10)의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17)를 직접적으로 검출해 내는 부분으로서, 테이프 구동부(7)에 의해 테이프 릴(15)에 감겨 들어가는 테이프(10)를 촬영하여 모니터(63) 등에 의해 육안으로 또는 제어부(9)를 통해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17)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카메라(43)로는 CCD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확대 영상을 얻기 위해 C마운트와 마이크로 렌즈를 함께 사용한다.
끝으로, 제어부(9, 49)는 검출장치(1)의 스텝모터(35), 조명수단(41), 카메 라(43) 등과 같은 동작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이중에서 제어부(9)는 기판(21) 위의 스텝모터(35) 일측에 장착되어 온/오프 동작신호에 따라 스텝모터(35), 조명수단(41), 카메라(43)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그치는 반면, 제어부(49)는 컴퓨터와 같은 종합적인 기능을 하는 단말장치로서, 위와 같은 제어부(9)의 기능은 물론이고, 카메라(43)에 의해 촬영된 테이프(10)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미지의 윤곽선에 역치를 부여해 이미지의 윤곽선이 역치 이상일 때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17)인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모터(35)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자동화된 제어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검출장치(1)는 외체 프레임(23)에 의해 외체가 이루어져 있으나, 테이프(10) 면에 대해 수직하게 카메라(43)를 배치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테이프 카트리지(11)를 장착하고 검사할 수 있도록 한 변형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출장치(101)는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테이프(10)를 재생하는 정방향뿐만 아니라, 되감는 역방향으로 감으면서 검사할 수 있도록 지지블록(25)의 반대쪽에 배향하여 부착된 또 다른 하나의 지지블록(125) 및 이 지지블록(125) 상면에 부착된 커버 개방부(105), 몸통 중간에 장착된 릴기어(133)와, 지지블록(125)에 인접한 본체(21) 면 위에 장착된 조명수단(141)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으며, 하나의 스텝모터(35)에 의해 지지부(3,103) 어느 한 쪽에 고정된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10)를 감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축(137)이 좌우로 즉, 모터(25)의 앞뒤로 뻗어 있고, 카메라(43)가 외체 프레임(23) 상부의 가동레일(126)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다만, 지지부(103)와 커버 개방부(105) 등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한 추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검출장치(1)에 의해 테이프(10)의 스플라이스 편집 여부를 검사하고자 할 때,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에 검사할 테이프 카트리지(11)를 고정하여야 하는바,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 릴(15)을 릴기어(33)에 끼워 맞춤 되도록 하면서 지지블록(25) 외측면에 테이프 카트리지(11)를 맞닿게 한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블록(27)을 아래로 내려 90° 회전시킨 후 측면 모서리바(24)에 다시 고정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1)가 지지블록(25)에 밀착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고정막대(29)를 아래쪽으로 돌려 테이프 카트리지(11)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그 다음 카트리지 커버(13)를 열어 젖히고, 커버 개방부 즉, 커버 누름막대(5)를 옆으로 돌려 카트리지 커버(13)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9) 또는 제어부(49)를 통해 (7)과 카메라(43)를 작동시키는데, 제어부(9 또는 49)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아 회전하는 스텝모터(35)의 구동력은 플렉시블 커플링(39)을 거쳐 릴기어(33)로 전달되고, 릴기어(33)는 테이프 릴(15)을 회전시켜 테이프(10)를 재생방향으로 감게 된다. 이와 동시에 조명수단(41)이 점등되어 테이프(10)의 배면을 비추는 상태에서 카메라(43)가 작동을 개시하여 테이프 릴(15)로 감겨 들어가는 테이프(10)를 촬영하게 된다.
카메라(43)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프레임 그래버(50; frame grabber)를 통해 필드 단위로 캡쳐되어 제어부(49)로 전송되며, 전송된 이미지는 제어부(49)에서 수직방향의 윤곽선만 추출되어 역치와 비교되고, 그 결과 추출된 값이 역치 이상이면 제어부(49)는 스텝모터(35)의 동작을 멈추고, 현재 촬영 지점에 위치한 테이프(10)에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17)가 있음을 확인하며, 이렇게 해서 테이프(10)의 스플라이스 편집을 검출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검출장치(101)도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테이프 스플라이스 편집부위(17)를 검출해 내는바, 실시 예에서는 테이프(10)를 한 방향으로만 감으면서 검사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반해, 본 실시 예의 검출장치(101)는 테이프 카트리지(11)를 장치(101)의 좌측에 위치한 지지부(103)에 걸어 테이프(10)를 되감기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서 양 방향으로 감으면서 편집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때 조명수단(141)이 점등되고, 카메라(43)도 좌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부(103)에 위치한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10)를 촬영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에 의하면, 제어부를 통해 스텝모터, 카메라, 조명수단 등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부위 검출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의 동작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해 테이프를 감으면서 육안으로 스플라이스 편집 여부를 검사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훨씬 더 신속하고, 빠짐없이, 그리고 편리하게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부위를 검출해 낼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본체(21)와; 테이프 카트리지(11)를 본체(21) 위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3)와; 상기 지지부(3)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커버(13)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개방부(5)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10)를 감는 테이프 구동부(7) 및 상기 테이프 구동부(7)를 제어하는 제어부(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는 상기 본체(21) 위에 가로로 세워진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를 고정하도록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와 나란하게 세워진 지지블록(25)과, 상기 지지블록(25)과의 사이에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를 고정하도록 외체 프레임(23)에 상하이동 및 피벗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블록(2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는 상기 지지블록(25)의 측단 일측에 상하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를 너비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길게 뻗어 있는 고정막대(29)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방부(5)는 상기 지지블록(25)의 상단 일측에 앞뒤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카트리지 커버(13)를 개방 상태로 지지하도록 길게 뻗어 있는 커버 누름막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구동부(7)는 상기 테이프 릴(15)에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블록(25)을 관통하여 설치된 릴기어(33)와; 상기 릴기어(33)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상기 본체(21) 위에 장착된 스텝모터(3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와 인접한 상기 본체(21)의 상면에는 상기 테이프(11)를 역광으로 비추는 조명수단(41)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에는 외체 프레임(23)이 고정 설치되며, 외체 프레임(23)의 상부에는 상기 테이프(11)를 촬영하는 카메라(43)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8. 외체 프레임(23)이 설치되는 본체(21)와; 테이프 카트리지(11)를 본체(21) 위에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3)와; 상기 지지부(3)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커버(13)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개방부(5)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10)를 감는 테이프 구동부(7)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21)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10)를 역광으로 비추는 조명수단(41)과; 상기 외체 프레임(23)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수단(41)에 의해 역광이 조사된 상기 테이프(11)를 촬영하는 카메라(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9. 외체 프레임(23)이 설치된 본체(21)와; 테이프 카트리지(11)를 본체(21) 위에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21)의 좌우 측에 배향하여 부착된 한 쌍의 지지부(3,103)와; 상기 지지부(3)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커버(13)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개방부(5,105)와; 상기 어느 한쪽 지지부(3, 103)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10)를 감도록 회전축(137)이 좌우로 배열되어 있는 테이프 구동부(107)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21)의 상면 좌우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10)를 역광으로 비추는 조명수단(41,141)과; 상기 어느 한쪽 지지부(3, 103)에 고정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11)의 테이프(10)를 촬영하도록 상기 외체 프레임(23)의 상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카메라(4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KR1020060122072A 2006-12-05 2006-12-05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KR10083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072A KR100839567B1 (ko) 2006-12-05 2006-12-05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072A KR100839567B1 (ko) 2006-12-05 2006-12-05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283A KR20080051283A (ko) 2008-06-11
KR100839567B1 true KR100839567B1 (ko) 2008-06-20

Family

ID=3980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072A KR100839567B1 (ko) 2006-12-05 2006-12-05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5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354A (ja) 1998-07-31 2000-02-18 Sony Corp カセットテープ用検査装置
KR100262329B1 (ko) 1994-12-27 2000-08-01 장용균 비디오테이프카세트검사용시스템
KR20000050360A (ko) * 1999-01-07 2000-08-05 구자홍 비디오 카세트 품질검사기
KR200224601Y1 (ko) 1998-02-11 2001-06-01 윤종용 브이티알 테이프 표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329B1 (ko) 1994-12-27 2000-08-01 장용균 비디오테이프카세트검사용시스템
KR200224601Y1 (ko) 1998-02-11 2001-06-01 윤종용 브이티알 테이프 표면 검사장치
JP2000048354A (ja) 1998-07-31 2000-02-18 Sony Corp カセットテープ用検査装置
KR20000050360A (ko) * 1999-01-07 2000-08-05 구자홍 비디오 카세트 품질검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283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309889B (zh) 极片边缘检测装置及方法
KR100839567B1 (ko) 테이프의 스플라이스 편집 검출장치
JPH11328574A (ja) 交通監視用テレビシステム
KR100887566B1 (ko) 자동 검사장비의 마스크 촬영장치
US5742857A (en) System for reproducing film image
CN211086104U (zh) 一种混料视觉检测设备
JPH1081209A (ja) 車輌底面検視方法及び装置
CN219552649U (zh) 安防模块
CN211877740U (zh) 电路板检测装置
CN211318219U (zh) 一种混料视觉检测设备
JP2939182B2 (ja) ワークの寸法測定方法及び寸法測定装置
JP2000235212A (ja) 監視用カメラ
CN217931406U (zh) 一种建筑施工质量实时检测装置
JP2942007B2 (ja) 架空線検査装置
CN210834685U (zh) 一种混料视觉检测设备
CN220688599U (zh) 一种数字媒体艺术用拍摄装置
JPS60246185A (ja) 写真画像の映像信号記録装置
CN219085720U (zh) 一种信号线缆的自动送线带
CN213089304U (zh) 一种摄像装置
JP2535618B2 (ja) ビデオカメラ
CN219990339U (zh) 皮带残损检测装置
CN212828169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物联网行车记录仪
CN212207053U (zh) 电路板检测装置
JP3367045B2 (ja) モニター装置およびビデオ編集装置
JPH08184910A (ja) 映画フィルムの送り装置及びパーフォレーション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