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466B1 -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466B1
KR100839466B1 KR1020060114362A KR20060114362A KR100839466B1 KR 100839466 B1 KR100839466 B1 KR 100839466B1 KR 1020060114362 A KR1020060114362 A KR 1020060114362A KR 20060114362 A KR20060114362 A KR 20060114362A KR 100839466 B1 KR100839466 B1 KR 10083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am generator
steam
mounting spac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349A (ko
Inventor
명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 아이 지
(주)다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 아이 지, (주)다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 아이 지
Priority to KR102006011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4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13Switches using bi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9For heating of fl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실에 장착되며 증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나 각종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컨트롤러가 장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 수직면에 단턱이 형성되고 저면으로 배수구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밀폐하고 일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하부를 감싸고 저면으로 상기 장착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로가 그리고 배수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외측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턱에 장착되고 다수의 증기통로가 마련되는 내측 통받이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내측 통받이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공간과 대응하는 위치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되고 측면 도중으로 일부가 개방되는 격벽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기름보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다수개의 보강대가 구비되는 장착부와, 상기 외측 커버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물받이통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장착되어 하우징의 저면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개방/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를 이용하면 찜 요리(만두, 갈비찜)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주, 수세미, 도마 컵 등의 주방용품을 살균 소독할 수 있어 살균 소독 후 잔류 성분으로 인한 제 2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증기발생장치, 하우징, 뚜껑, 외측 커버, 내측 통받이, 장착부, 물받이통, 증기발생기, 마개.

Description

다용도 증기발생장치{Multipurpose fume occurren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기발생장치, 10 : 하우징,
11 : 수직면, 12 : 단턱,
13 : 저면, 14 : 배수구,
15 : 장착공간, 20 : 뚜껑,
22 : 손잡이, 30 : 외측 커버,
32 : 통로, 34 : 연결통로,
40 : 내측 통받이, 50 : 장착부,
52 : 격벽, 54 : 기름보관공간,
60 : 물받이통, 70 : 증기발생기,
80 : 마개.
본 발명은 다용도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발생기로 물을 증발시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를 하거나 각종 주방용품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찜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찜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물을 증발시키는 증기발생기와 이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증기에 의해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찜용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찜기 외에도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각종 식기 등을 소독하는 식기소독기와 쑥 등의 한방약재에 고온의 증기을 쏘여 그 증기로 얼굴 등의 피부를 마사지하는 스팀마사지기는 가정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청결이 요구되는 젖병 등의 유아용품을 소독하기 위해, 상기 식기소독기는 반드시 갖추어야할 물품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찜기, 식기소독기 및 스팀마사지기가 각각 다른 제품으로 출시되어 있었으므로,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따로 구입해야 했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을 져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품을 보관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기발생기로 물을 증발시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를 하거나 각종 주방용품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실에 장착되며 증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나 각종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컨트롤러가 장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 수직면에 단턱이 형성되고 저면으로 배수구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밀폐하고 일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하부를 감싸고 저면으로 상기 장착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로가 그리고 배수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외측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턱에 장착되고 다수의 증기통로가 마련되는 내측 통받이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내측 통받이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공간과 대응하는 위치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되고 측면 도중으로 일부가 개방되는 격벽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기름보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다수개의 보강대가 구비되는 장착부와, 상기 외측 커버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물받이통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장착되어 하우징의 저면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개방/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 1을 증기발생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면, 일측으로 컨트롤러(100)가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개방 및 밀폐하는 하는 뚜껑(2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 커버(3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측 통받이(40)와,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3)과 내측 통받이(40)의 사이에 장착되는 장착부(50)와, 상기 외측 커버(30)의 하부에 장착되는 물받이통(60)과,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에 장착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70)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배수구(14)를 개방 및 밀폐하는 마개(8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 수직면(11)으로 단턱(12)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12)은 한 곳 뿐만 아니라 다수의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면(11)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수직면(11)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3)으로 배수구(14)와 장착공간(15)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14)는 원형 형상을 가지고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내부로는 상기 마개(80)와 결합을 위한 나사(14a)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14)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나사(14a) 또한 제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배수구(14)와 마개(80)는 나사를 통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접촉하는 면으로 패킹(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15)은 저면 중앙에 형성되고 절개된 원형상태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증기발생기(70)와 효과적인 결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데 즉, 상기장착공간(15)은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개된 둘레를 따라 돌기부(15a)가 형성되고 끝단으로는 하부를 향해 단차(15b)가 형성된다.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돌기부(15a)의 외주면으로 상기 장착부(50)의 격벽(52)이 밀착결합되고 끝단에 형성되는 단차(15b)로는 증기발생기(70)가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으로 상기 증기발생기(70)의 작동시 발생하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90)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오픈 또는 밀폐하는 뚜껑(20)은 합성수지 및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일측으로 손잡이(22)가 형성되는데 여기서는 중앙 부근으로 내측을 향해 손잡이(22)가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과 하부를 감싸는 외측 커버(30)는 일체형으로 상기 장착공간(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로(3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통로(34)가 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32)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하우징(10)과 외측 커버(30)의 사이 공간으로 PCB기판이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100)를 통해서 증기발생기(70)의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단턱(12)에 장착되는 내측 통받이(40)는 하부를 통해서 상부로 상승하는 증기가 관통하는 다수의 증기통로(42)가 전체적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일부로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통받이(40)의 형상은 직사각형, 타원,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여기서는 직사각형으로 상부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달걀 고정홈(44)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내측 통받이(40)의 일측으로 사용시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손잡이(미도시) 및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3)과 내측 통받이(40)의 사이에 장착되는 장착부(50)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과 대응하는 위치로는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되며 측면 도중으로 일부가 개방되는 격벽(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50)의 일측 끝단으로 기름보관공간(54)이 형성되는데 상기 기름보관공간(54)은 증기에 의해 제거된 기름 및 이물질을 보관하되, 상면은 증기를 따라 이동된 기름 및 이물질이 상기 기름보관공간(54)으로 원활한 이동을 위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다.
즉, 중앙에 형성되는 격벽(52)은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돌기부(15a)의 외주면으로 격벽(52)의 내주면 밀착되는 것으로 이때, 격벽(52)과 돌기부(15a)가 맞닿는 면으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50)의 하부로는 사용시 장착부(50)의 지지를 위해 다수개의 보강대(56)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에 장착되는 증기발생기(70)는 하우징(10)의 저면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고 그 형상의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상되어 장착공간(15)에 장착되며 여기서는 원형을 가지고 형성되는 증기발생기(70)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기(70)의 구성은 전원부(A)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72)와, 상기 발열체(72)의 내부에 장착되고 각각 다른 온도를 인식하는 바이메탈(74a, 74b)과, 상기 발열체(72)를 감싸는 커버(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76)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여기서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발열체(72)는 원형 테두리 형상을 가지고 양끝단(78)으로 전원잭(A1)이 장착되며 상기 발열체(72)의 원형 테두리 내부로 바이메 탈(74a, 74b)이 장착되되, 상기 바이메탈(74a, 74b)는 각각 150℃와 170℃를 감지하는 바이메탈(74a, 74b)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증기발생장치(1)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증기발생장치(1)의 조리실 위치를 지정하게 되는데 이때, 조리실의 위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서 장착할 수 있지만 공간활용을 위해 찜 요리와 각종 주방용품을 바로 살균소독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증기발생장치(1)의 조립은 일측으로 컨트롤러(100)가 장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 수직면(11)에 단턱(12)이 형성되고 저면(13)으로 배수구(14)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장착공간(15)이 형성되는 하우징(10)의 하부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과 대응하는 위치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일부가 개방되는 격벽(52)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기름보관공간(54)이 형성되는 장착부(5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장착공간(15)은 절개된 둘레를 따라 돌기부(15a)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15a)의 외주면으로 격벽(52)이 밀착결합되며 하부 끝단으로는 단차(15b)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배수구(14)로는 상기 마개(80)는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15)으로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72)와, 상기 증기발생기(70)의 내부 중앙부근에 장착되고 각각 다른 온도를 인식하는 바이메탈(74a, 74b)과, 상기 발열체(72)를 감싸는 커버(76)를 포함되는 증기발생기(7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단턱(12)으로 다수의 증기통로(42)가 마련되는 내측 통받이(40)를 장착한 후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중앙에 손잡이(22)가 형성되는 뚜껑(2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과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장착공간(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로(32)가 그리고 배수구(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통로(34)가 저면에 형성되는 외측 커버(30)를 장착한 후 상기 외측 커버(3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배수구(14)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62)이 형성되는 물받이통(60)을 장착하면 증기발생장치(1)의 조립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증기발생장치(1)에 장착되는 컨트롤러(100)를 조절하여 찜 요리를 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3)으로 물을 개재한 후 내측 통받이(40)의 상부에 음식물이 담긴 찜 용기를 올린 후 증기발생기(70)를 작동시켜 찜 요리를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장치(1)에 장착되는 컨트롤러(100)를 조절하여 주방용품을 살균소독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3)으로 물을 개재한 후 각종 주방용품에 맞는 위치(일반적인 주방용품은 저면에 그리고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제품은 상단)에 해당하는 단턱(12)에 내측 통받이(40)를 장착하여 살균소독을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증가하면 상기 증기발생 기(70)의 바이메탈(72a)는 이를 인지하여 전원부(A)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만약, 상기 바이메탈(72a)이 고장 날 경우 또 다른 바이메탈(72b)에 의해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는 찜 요리, 주방용품의 살균소독, 한방약재를 이용한 치료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용도 증기발생장치를 이용하면 찜 요리(만두, 갈비찜)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주, 수세미, 도마 컵 등의 주방용품을 살균 소독할 수 있어 살균 소독 후 잔류 성분으로 인한 제 2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장치의 공간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 준비하던 여러 증기 제품을 하나로 해결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조리실에 장착되며 증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나 각종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컨트롤러(100)가 장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 수직면(11)에 단턱(12)이 형성되고 저면(13)으로 배수구(14)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장착공간(15)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밀폐하고 일측으로 손잡이(22)가 형성되는 뚜껑(2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과 하부를 감싸고 저면으로 상기 장착공간(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로(32)가 그리고 배수구(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통로(34)가 형성되는 외측 커버(30)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단턱(12)에 장착되고 다수의 증기통로(42)가 마련되는 내측 통받이(40)와,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3)과 내측 통받이(40)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과 대응하는 위치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되고 측면 도중으로 일부가 개방되는 격벽(52)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기름보관공간(54)이 형성되고 하부로 다수개의 보강대(56)가 구비되는 장착부(50)와,
    상기 외측 커버(3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배수구(14)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62)이 형성되는 물받이통(60)과,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에 장착되어 하우징(10)의 저면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70)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배수구(14)를 개방/밀폐하는 마개(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수직면으로 다수개의 단턱(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5)은 절개된 둘레를 따라 돌기부(15a)가 형성되고 끝단으로는 하부를 향해 단차(1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70)는,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72)와,
    상기 증기발생기(70)의 내부 중앙부근에 장착되고 각각 다른 온도를 인식하 는 바이메탈(74a, 74b)과,
    상기 발열체(72)를 감싸는 커버(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으로 상기 증기발생기(70)의 작동시 발생하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50)의 상면은 기름보관공간(54)으로 기름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KR1020060114362A 2006-11-20 2006-11-20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KR10083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62A KR100839466B1 (ko) 2006-11-20 2006-11-20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62A KR100839466B1 (ko) 2006-11-20 2006-11-20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349A KR20080045349A (ko) 2008-05-23
KR100839466B1 true KR100839466B1 (ko) 2008-06-19

Family

ID=3966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362A KR100839466B1 (ko) 2006-11-20 2006-11-20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320B1 (ko) * 2018-01-05 2019-07-03 김성현 무압력 취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670U (ko) * 1996-11-25 1998-08-05 이규천 소독을 겸한 가열용기
KR19990022467U (ko) * 1999-02-26 1999-07-05 이영호 복합형조리기
KR200238469Y1 (ko) 2001-04-10 2001-10-11 주식회사 에너세이브 찜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670U (ko) * 1996-11-25 1998-08-05 이규천 소독을 겸한 가열용기
KR19990022467U (ko) * 1999-02-26 1999-07-05 이영호 복합형조리기
KR200238469Y1 (ko) 2001-04-10 2001-10-11 주식회사 에너세이브 찜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320B1 (ko) * 2018-01-05 2019-07-03 김성현 무압력 취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349A (ko) 200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3776A (en) Sterilizer for infant accessories
FR2517968A1 (fr) Dispositif pour steriliser au moins un biberon et eventuellement une ou des tetines
KR100951960B1 (ko) 축소 보관 가능한 증기식 조리기구
JP4195775B2 (ja) 経口哺乳瓶
US20060222579A1 (en) Child care storage having steam sterilizing apparatus
TWI516289B (zh) 用以滅菌瓶罐之方法
KR100839466B1 (ko)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KR100918857B1 (ko)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WO2021027751A1 (en) Multifunction Sterilizer
JP4020895B2 (ja) 電子レンジによる滅菌用システム容器
CN210932860U (zh) 多功能消毒器
KR200447943Y1 (ko) 젖병 소독기능을 가지는 찜통
KR20050094159A (ko) 다기능 젖병소독기
RU187150U1 (ru) Бытовой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й стерилизатор
KR100646035B1 (ko)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JP2007061453A (ja) 哺乳瓶消毒器及びその付属品ケース
CN211157515U (zh) 一种消毒器的底座及消毒器
KR100687192B1 (ko) 칫솔살균기
KR200383514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960002358Y1 (ko) 소독을 겸한 다용수 열탕기
KR970010056B1 (ko) 전자렌지용 우유병소독장치
KR200313580Y1 (ko) 필터장치가 구비된 홍삼액 제조기
KR100625291B1 (ko) 찜 조리용 가열기구
KR200368226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258588Y1 (ko) 다기능 찜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