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125B1 - 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125B1
KR100838125B1 KR1020060120913A KR20060120913A KR100838125B1 KR 100838125 B1 KR100838125 B1 KR 100838125B1 KR 1020060120913 A KR1020060120913 A KR 1020060120913A KR 20060120913 A KR20060120913 A KR 20060120913A KR 100838125 B1 KR100838125 B1 KR 10083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air
center
conductive film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093A (ko
Inventor
정승규
황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06012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1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7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dome-shap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7Diaphragms comprising metall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동판에 전도성 막을 구비하여, 작업의 자동화가 용이한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크, 마그네트 및 탑 플레이트가 조립된 프레임;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하는 코일부; 코일부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진동판 안착부에 삽입된 진동판; 그리고, 진동판 상측에 형성된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은 코일부와 외부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막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음향변환장치 {A SOUND CONVERTER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진동판과 인출선이 도시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진동판 및 코일부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 및 배면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3의 진동판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도성 막의 실시예들이 도시된 도면.
도 9는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음향주파수에 따른 음의 왜곡률이 도시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 : 요크 조립체 30 : 프레임
40 : 코일부 50 : 진동판
60 : 전도성 막 70 : 프로텍터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동판에 전도성 막을 구비하여, 작업의 자동화가 용이한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 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 코일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 신호가 보이스 코일에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은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음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피커의 자기회로는 각각 철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요크 내에 마그네트(영구자석)과 탑 플레이트(또는 어퍼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공극 내에 존재하는 보이스 코일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보이스 코일은 진동판에 접착되어 있어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가진력을 발생시키고, 그로 인하여 프레임에 접착 구속된 진동판을 진동시켜서 음압을 발생시킨다. 진동판은 상하 진동 시에 우수한 응답성과 좌굴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웨이브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진동판의 형상은 주파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로 작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동판과 인출선이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일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프레임(1)과, 프레임(1)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요크(2)와, 요크(2)로 자력을 전달하거나 요크(2)로부터 자력을 전달받는 내륜 마그네트(3) 및 외륜 마그네트(4)와, 내륜 마그네트(3) 또는 외륜 마그네트(4)로부터 자력을 전달받아 보이스코일(7)에 직각으로 자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내륜 탑플레이트(5) 및 외륜 탑플레이트(6)와, 내륜 마그네트(3) 및 내륜 탑플레이트(5)와, 외륜 마그네트(4) 및 외륜 탑플레이트(6) 간의 공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이스 코일(7), 보이스 코일(7)이 내측에 부착되어 보이스 코일(7)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판(8)과, 음방출공(11)이 형성되되 진동판(8)을 보호하는 프로텍터(1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7)의 인출선(12)(입력선(12a) 및 출력선(12b))은 진동판(8)의 저면에 선갈이 본드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되며, 프레임(1)의 측면을 관통하여 또는 프레임(1)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프레임(1)의 외부 측면을 따라 터미널(14)에 각각 납땜되어진다. 이 터미널(14)은 외부로부터 1쌍의 리드와이어(미도시)와 입력선(12a) 및 출력선(12b)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보이스코일(7)의 인출선(12)과 진동판(8)의 접합 공정은 인출선(12)이 진동판(8)의 저면에 선갈이 본드로 본딩 고정하는 선갈이 본딩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공정 시간도 길어지게 되어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불량이 빈번하게 야기되는 공정으로 마이크로스피커 제작 공정 중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또한, 진동판(8)에 인출선(12)이 선갈이 본드로 고정되기 때문에, 전기신호를 진동을 통한 음향신호로 변환할 때, 진동판(8)의 질량 및 강성분포가 불균형하기 때문에 분할진동이 발생하여 음향특성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들의 조립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자동화가 용이한 구조를 지닌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요크, 마그네트 및 탑 플레이트가 조립된 프레임;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하는 코일부; 코일부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진동판 안착부에 삽입된 진동판; 그리고, 진동판 상측에 형성된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은 코일부와 외부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코일부는 전도성 막의 중심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도성 막은 진동판의 중심에 서로 나뉘도록 증착되고, 코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중심부; 그리고, 중심부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진동판의 둘레 부분에 위치되도록 증착되고,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중심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나눠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중심부는 곡선 형상으로 나눠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중심부는 그 크기가 코일부보다 작거나, 같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주변부는 중심부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 그리고, 연결부들과 각각 연결되도록 진동판의 최 외곽 부분을 따라 증착된 한 쌍의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주변부는 테두리부들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단자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들은 중심부들로부터 각각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도성 막은 동 또는 텅스텐 또는 티타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진동판 및 코일부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 및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일예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공극 사이로 자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요크 조립체(20), 요크 조립체(20)가 하부에서 삽입 장착되는 프레임(30), 프레임(30)의 상부에서 공극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하 운동하는 코일부(40), 코일부(40)가 하부에서 결합되어 코일부(4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50) 및 전도성 막(60), 프레임(30)의 상부에서 조립되어 진동판(5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음방출공(71)이 구비된 프로텍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요크 조립체(20)는 프레임(30)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컵 형상의 요크(21), 요크(21) 내측에 공극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마그네트(22), 마그네트(22) 위에 결합되어 마그네트(22)로부터 자력을 코일부(40)에 직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탑플레이트(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요크(21)는 마그네트(22)에 의해 자화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며, 탑플레이트(23)는 일반적으로 마그네트(22)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며, 자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프레임(30)은 진동판(50) 및 프로텍터(70)를 수용하는 측면부(31), 진동판(50) 및 프로텍터(70)의 하단이 부착되는 지지면(32), 지지면(32) 내측에 형성되어 음향을 방출시키는 음방출공(33), 측면부(31)에 형성되어 진동판(50) 및 전도성 막(6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착부(34)는 측면부(31)의 상단 일부가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진동판(50) 및 전도성 막(60)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일부분이 프레임(3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안착된다.
다음, 코일부(40)는 코일이 수회 회전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몸체(41), 몸체(41)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인출된 한 쌍의 접촉단자(42)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41)의 상단이 진동판(50) 또는 전도성 막(60)의 하부 중앙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반면, 접촉단자들(42)은 몸체(41)의 상측으로부터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서 인출된 다음, 전도성 막(60)의 서로 다른 지점에 각각 연결된다.
물론, 몸체(41)의 하단이 요크(21)와 마그네트(22) 사이의 공극에 위치되어 진동판(50) 및 전도성 막(60)과 함께 코일부(40)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 진동판(50)은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센터 돔부(51), 센터 돔부(5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역시 단면이 볼록하게 확장된 사이드 돔부(52), 사이드 돔부(52)의 단부로부터 일부 평평하게 돌출된 인출부(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센터 돔부(51)와 사이드 돔부(52)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부 평평한 면을 가지는 부분을 구비하여, 이 부분에 코일부(40)의 몸체(41)가 용 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사이드 돔부(52) 끝단 역시 일부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이 부분이 프레임(30)의 지지면(32)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물론, 진동판(50)은 필름 형태로 자체적인 절연체인 주로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지만, 주파수 응답에 따라 진동판의 위치별로 요구하는 물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센터 돔부(51)는 강성이 높은 재질로 변형이 작은 동시에 가벼운 재질이 적합한 반면, 사이드 돔부(52)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변형이 용이한 재질이 적합하다.
따라서, 진동판(50)이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면, 음향 특성을 만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진동판(50)에 하기에 설명될 다양한 형상의 전도성 막(60)을 증착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진동판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도성 막의 실시예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막(6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에 나눠지도록 증착된 한 쌍의 중심부(61,61'), 중심부들(61,61')로부터 연장되어 진동판(50)의 사이드 돔부(52) 및 인출부(53)의 일부만 증착된 한 쌍의 주변부(62,62',63,63',64,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도성 막(60)의 중심부들(61,61')은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 바닥면에 증착되되, 전도성 막(60)의 중심부들(61,61')은 코일부의 몸체보다 작은 크기가 되도록 구성되며, 도 7에서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곡선 형상으로 나뉘어지도록 구성하여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심부들(61, 61') 사이 의 경로를 따라 센터돔부(51)의 이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물론, 전도성 막(60)의 중심부들(61,61')은 서로 대칭되게 나뉘어지지 않더라도 무방하되, 일직선 형태로 나눠지는 경우, 중심부들(61, 61') 사이의 경로를 따라 이상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에 전도성 막(60)의 중심부들(61,61')이 겹쳐짐에 따라 강도가 보강되고, 그에 따라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와 전도성 막(60)의 중심부들(61,61')의 상하 방향으로 진폭 및 진동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코일부(40)의 접촉단자들(42)은 사이드 돔부(5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진폭 및 진동이 적은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와 전도성 막(60)의 중심부들(61,6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변부들(62,62',63,63',64,64')에는 중심부들(61,6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62,62')를 포함하되, 연결부들(62,62')은 일예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진동판(50)의 굴곡변형시 강성이 강한 연결부들이(62,62')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절단,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물론, 전도성 막(60)의 연결부들(61,61')도 서로 대칭되게 나뉘어지지 않더라도 무방하되, 일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하 방향의 진동이 상대적으로 큰 사이드돔(52) 상에 형성되면, 절단 및 단선이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주변부들(62,62',63,63',64,64')에는 연결부들(62,62')과 각각 연결되도록 진동판(50)의 최 외곽 부분을 따라 증착된 한 쌍의 테두리부(63,63')를 포함하되, 전도성 막(60)의 테두리부들(63,63')은 진동판(50)의 사이드 돔부(52) 테두 리 부분에만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진동판(50)의 사이드 돔부(52)가 얇게 구성됨에 따라 나풀되는 현상 즉, 원주방향으로 다른 진폭 및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변부들(62,62',63,63',64,64')에는 테두리부들(63,63')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부(64,64')를 포함하되, 전도성 막(60)의 단자부들(64,64')은 진동판(50)의 인출부(53) 바닥면에 형성됨에 따라 진동판(50)의 인출부(53) 및 전도성 막(60)의 단자부들(64,64')이 프레임(30)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그로 인하여 외부 단자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외부 단자는 전도성 막(60)의 단자부들(64,64')에 직접 납땜, 전선 또는 연결핀 부착 등으로 손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도성 막(60)은 전도성 재질로, 바람직하게는 진동판(50)의 바닥면에 강성이 높도록 동 또는 텅스텐 또는 티타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합금으로 증착, 도금 등의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진동판(50) 및 전도성 막(60)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평평한 필름 형태의 진동판(50)을 압축 성형하고, 일면 전체에 전도성 막(60)을 증착 또는 도금시키고, 전도성 막(60)을 마스킹(Masking) 처리한 후, 부식 등의 방법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중심부들(61,61'), 연결부들(62,62'), 테두리부들(63,63'), 단자부들(64,64')을 형성한다. 또는, 박막 형태의 전도성 막(60)을 프레스 성형한 후, 이 전도성 막(62) 위에 고분자 수지 용액으로 피복하거나 분무하고, 건조하여 용액 내의 용제가 제거되록 방식으로 진동판(50)과 전도성 막(62)이 중첩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판(50) 및 전도성 막(60)의 바닥면에는 코일부(40)가 장착되고, 프레임(30)의 하측에 요크 조립체(20)가 조립된 다음, 프레임(20)의 상측에 진동판(50)이 올려지는 동시에 코일부(40)가 요크 조립체(20) 내부의 공극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프로텍터(70)가 진동판(50)의 인출부(5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어주도록 프레임(30) 위에 고정되고, 진동판(50)의 인출부(53) 측에서 전도성 막(60)의 단자부들(64,64')과 외부 단자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 단자들을 통하여 전기적인 음향 신호가 전달되면, 전류가 전도성 막(60)을 따라 코일부(40)로 흐르게 되고, 코일부(40)의 몸체(41)가 요크(21)와 마그네트(22) 사이에서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하며, 코일부(40)의 몸체(41)와 연결된 진동판(50) 역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음압을 발생시키고, 음압이 프레임(30)의 음방출공(33) 또는 프로텍터(70)의 음방출공(71)을 방사되어 공기를 떨게 함으로 청취할 수 있는 음향이 발생된다.
이때, 음향변환장치의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은 진동판(50)의 사이드 돔부(52)가 큰 변위로 진동됨에 따라 커지게 되는데, 진동판(50)의 사이드 돔부(52)에 전도성 막(60)의 연결부(62,62')가 일부에서 형성됨에 따라 진동판(50)의 사이드 돔부(52)를 유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반면, 음향변환장치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의 음압은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가 고속 진동되면서 이루어지는데,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에 전도성 막(60)의 중심부(61,61')가 대부분 형성됨에 따라 진동판(50)의 센터 돔부(51)가 고속 진동되더라도 변형에 의해 음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음향주파수에 따른 음의 왜곡률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단일 재료의 진동판을 구비한 음향변환장치는 7KHz 대역에서 음의 왜곡률(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이 약 40% 정도로 크게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진동판에 전도성 막을 구비한 음향변환장치는 7kH 주파수 대역에서 THD가 약 10% 정도로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은 5 - 10KHz 대역에서 THD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진동판의 센터 돔부의 강성이 증대됨에 따라 THD 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THD는 입력 주파수의 음압 대한 하모닉(Harmonic) 성분의 주파수 음압의 합의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써, 그 값이 낮을수록 음향변환장치의 성능이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진동판에 전도성 막을 구비하고, 조립 시 전도성 막 중앙에 코일부가 장착되는 동시에 전도성 막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부품들의 조립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자동화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진동판의 위치별로 다양한 형태의 전도성 막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진동판의 진동 조절 및 진동판의 변형 방지를 통하여 음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요크, 마그네트 및 탑 플레이트가 조립된 프레임;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하는 코일부;
    코일부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진동판 안착부에 삽입된 진동판; 그리고,
    진동판 상측에 형성된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은 코일부와 외부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막을 구비하되,
    전도성 막은 진동판의 중심 부근에 서로 나뉘도록 증착되거나 피복되고,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중심부와, 중심부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진동판의 둘레 부분에 위치되도록 증착되거나 피복되고,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일부는 중심부들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중심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나눠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중심부는 곡선 형상으로 나눠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부는 그 크기가 코일부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7. 제 1 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주변부는 중심부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 그리고, 연결부들과 각각 연결되도록 진동판의 최 외곽 부분을 따라 증착된 한 쌍의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주변부는 테두리부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연결부들은 중심부들로부터 각각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전도성 막은 동 또는 텅스텐 또는 티타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20060120913A 2006-12-01 2006-12-01 음향변환장치 KR10083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913A KR100838125B1 (ko) 2006-12-01 2006-12-01 음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913A KR100838125B1 (ko) 2006-12-01 2006-12-01 음향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93A KR20080050093A (ko) 2008-06-05
KR100838125B1 true KR100838125B1 (ko) 2008-06-13

Family

ID=3980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913A KR100838125B1 (ko) 2006-12-01 2006-12-01 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12Y1 (ko) 2008-06-30 2010-12-21 주성대학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피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커
KR20150120022A (ko) * 2014-04-16 2015-10-27 (주)프라임음향 진동판 제조방법 및 그 진동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06B1 (ko) * 2010-11-04 2012-05-10 고주헌 스피커용 전도성물질 형성 진동판 어셈블리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도성물질 형성 진동판 어셈블리 및 상기 전도성물질 형성 진동판 어셈블리가 설치된 스피커
KR101345367B1 (ko) * 2012-05-03 2013-12-30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변환장치용 진동판
KR102637019B1 (ko) 2018-11-05 2024-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울어진 진동판을 갖는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620976A (zh) * 2019-09-29 2019-12-2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发声装置的导电膜以及发声装置
CN112468912A (zh) * 2020-12-18 2021-03-09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扬声器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331Y1 (ko) * 2003-05-16 2003-08-14 유옥정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0327024Y1 (ko) * 2003-06-17 2003-09-19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마이크로 스피커에서의 고출력을 위한 진동판 결합구조
KR100419915B1 (ko) 2002-08-30 2004-02-25 주식회사 진영음향 듀얼 서스펜션을 갖는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
KR100640225B1 (ko) * 2004-06-07 2006-10-31 주식회사 진영음향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070033840A (ko) * 2005-09-22 2007-03-27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15B1 (ko) 2002-08-30 2004-02-25 주식회사 진영음향 듀얼 서스펜션을 갖는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
KR200323331Y1 (ko) * 2003-05-16 2003-08-14 유옥정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0327024Y1 (ko) * 2003-06-17 2003-09-19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마이크로 스피커에서의 고출력을 위한 진동판 결합구조
KR100640225B1 (ko) * 2004-06-07 2006-10-31 주식회사 진영음향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070033840A (ko) * 2005-09-22 2007-03-27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12Y1 (ko) 2008-06-30 2010-12-21 주성대학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피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커
KR20150120022A (ko) * 2014-04-16 2015-10-27 (주)프라임음향 진동판 제조방법 및 그 진동판
KR101596404B1 (ko) * 2014-04-16 2016-02-23 (주)프라임음향 진동판 제조방법 및 그 진동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93A (ko)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125B1 (ko) 음향변환장치
EP3352476B1 (en) Receiver
US4376233A (en) Securing of lead wires to electro-acoustic transducers
JP2790421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2408219A1 (en) Micro speaker
US11950071B2 (en) Acoustic device
US20220329949A1 (en) Sound pro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CN112788504A (zh) 一种发声装置
WO2007126179A1 (en)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having additional back chamber
US7433486B2 (en)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10662155B (zh) 一种发声装置及其发声装置的组装方法
JP3224690B2 (ja) 電気音響変換器の製造方法
GB2067378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s
US20160227308A1 (en) Sound Generator
KR100828070B1 (ko)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US20170289697A1 (en) Sound Generator
US10321240B2 (en) Receiver
US11665481B2 (en) Speaker device
CN111131971B (zh) 一种发声装置以及电子终端
CN210986414U (zh) 一种新型扬声器
CN111193988B (zh) 一种扬声器及其组装方法
KR101160770B1 (ko) 스피커
US20180317013A1 (en) Inverted dome for speaker drivers
CN214315602U (zh) 麦克风组件和听力装置
US11589166B1 (en)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