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832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832B1
KR100837832B1 KR1020070119566A KR20070119566A KR100837832B1 KR 100837832 B1 KR100837832 B1 KR 100837832B1 KR 1020070119566 A KR1020070119566 A KR 1020070119566A KR 20070119566 A KR20070119566 A KR 20070119566A KR 100837832 B1 KR100837832 B1 KR 10083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refrigerant
dehumidifier
impeller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수
Original Assignee
(주)다산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알앤디 filed Critical (주)다산알앤디
Priority to KR102007011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가스를 비롯하여 습기가 많은 기체로부터 응축수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제습기체 중 수증기가 응축되어 제습될 수 있도록, 냉매가 상기 피제습기체의 열을 흡수하는 응축부와, 상기 피제습기체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와, 상기 피제습기체의 응축로 인해 생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와, 상기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방출시키는 열전소자부와, 상기 냉매를 교반하여 강제 대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제습기를 개시한다.
제습기, 피제습기체, 열전소자, 교반, 강제 대류, 임펠러, 진동소자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공기, 가스를 비롯하여 습기가 많은 기체(이하, '피제습기체'라 함)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굴뚝가스나 자동차 배출가스와 같은 가스측정분야에서 가스측정시 습기로 인한 오측정 방지를 위해 사용되고, 공조분야에서 가정이나 공공시설, 차량의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해서도 사용되며, 원예분야에서 습도 조절을 위해 사용되고,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습기를 없애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제습기는, 메쉬(mesh)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는 디미스터(demister)라 불리는 제습제를 이용하거나, 피제습기체 중 수증기를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하고 그로 인해 생긴 응축수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중, 피제습기체를 응축하여 제습하는 제습기는, 피제습기체의 노점온도, 즉 피제습기체의 온도가 내려가서 결빙되지 않고 피제습기체 중 수중기만 응축될 수 있는 온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제습기체의 노점온도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는, 피제습기체의 열을 흡수하여 피제습기체 중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매체의 온도가 있는데, 피제습기체의 노점온도 관리를 위해서 매체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제습기체를 응축시키는 매체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피제습기체의 노점 온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제습기체 중 수증기가 응축되어 제습될 수 있도록, 냉매가 상기 피제습기체의 열을 흡수하는 응축부와; 상기 피제습기체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와; 상기 피제습기체의 응축로 인해 생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와; 상기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방출시키는 열전소자부와; 상기 냉매를 교반하여 강제 대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교반부는, 회전되면서 상기 냉매를 교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 구동부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에 끼워지고,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갖는 임펠러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 구동부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에 결합되고, 섬유 또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와이어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형성된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 구동부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 축은,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를 겸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매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안내토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부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센싱하는 냉매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연장관을 통해 설치되는 임펠러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냉매 속에 설치되는 진동소자와; 상기 진동소자를 구동하는 진동 발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가 강제 대류됨으로써 냉매의 온도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여도 그 결과가 정확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의 온도 분포가 균일함으로써, 피제습기체가 제습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제습될 수 있어,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의 온도 측정 결과가 정확하기 때문에, 냉매의 온도에 기반하여 피제습기체의 노점 온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피제습기체의 노점 온도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가 강제 대류됨으로써, 냉매와 피제습기체 간 열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의 교반을 위해 임펠러 또는 진동소자를 이용함으로써 교반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의 교반을 위한 임펠러 또는 진동소자가 냉매 속에 위치됨으로써, 임펠러 또는 진동소자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소형화될 수 있고, 제조비가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한 임펠러 및 진동소자를 채택함으로써, 추가적인 공간 없이 간편하게 냉매의 교반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는, 피제습기체가 응축되어 제습될 수 있도록 부동액 등의 냉매(R)가 피제습기체의 열을 흡수하는 응축부(10)와, 피제습 기체가 응축부(10)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20)와, 피제습기체의 응축로 인해 생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30)와, 냉매(R)의 열을 흡수하여 방출시키는 열전소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부(10)는, 냉매(R)가 봉입된 본체부(12)와, 본체부(12)에 봉입된 냉매(R)의 열을 열전소자부(40)로 전달하는 열교환 핀과 같은 열 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는 냉매(R)와 피제습기체의 열교환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상을 취하여도 무방하다.
본체부(12)는 본체부(12) 자체를 통한 열교환이 불가능하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와 같이 본체부(12) 자체를 통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열 전달부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2)는 냉매(R)가 봉입되는 밀폐형의 유리소자(14)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유리소자(14)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고 열전소자부(4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소자(14)는 냉매에 의해 부식될 염려가 없고, 금속 재질의 블록(16)에 의해 열전도율이 좋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블록(16)을 이루는 금속 재질로는, 열전도율이 상당히 좋을 뿐만 아니라, 저렴하고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유리소자(14)는, 유도부(20)가 유리소자(14)를 관통하는 것이 피제습기체와 냉매(R)의 열교환 효율 측면에서 더 좋은 바, 유도부(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 부 관통 홀(14A)이 형성될 수 있다.
유리소자(14)는, 냉매(R)의 온도를 센싱하는 냉매 온도 센서(2)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냉매 온도 센서(2)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관(14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14B)은, 유리소자(14) 내 냉매(R)의 온도가 균일하다는 전제하에서 냉매(R)의 온도가 측정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제한받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반부(50)의 임펠러 축(51)이 연장관(14B)을 통해 설치될 수 있도록, 유리소자(14)의 축 중심 또는 그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유도부(20)는, 피제습기체를 안내하는 유도관(22)을 포함한다.
유도관(22)은 피제습기체와 냉매(R)의 열교환이 원활하도록 응축부(10), 정확하게는 유리소자(14)를 관통토록 설치될 수 있다.
유도관(22)은, 유리소자(14)와 마찬가지로 유리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피제습기체와 냉매(R)의 열교환율이 좋도록 금속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도관(22)은 어떠한 형상을 취하여도 무방하나, 피제습기체와 냉매(R)의 열교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코일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관(22)은 응축수 배출부(30)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유도관(22)은 유리소자(14)를 관통하고 응축수 배출부(30)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입부(24)와, 응축수 배출부(30)의 타측과 연결되어 응축수 배출부(30)를 통과한 피제습기체를 안내하는 출구부(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부(24)는 응축수 배출부(30)로 배출된 응축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응축수 배출부(30)의 상측에 결합 된다. 출구부(26)는 유도부(20)에 생긴 응축수가 출구부(26)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응축수 배출부(30)의 상측에 결합된다. 출구부(26)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유리소자(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피제습기체가 한번 더 제습되게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소자(14)를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유도부(20)는, 피제습기체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관(22)에 송풍력과 같은 압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 또는 펌프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응축수 배출부(30)는, 중력을 이용하여 유도부(20)에서 생긴 응축수만 유도부(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 배출부(30)는 어디에 위치되든 무방하며, 본 실시 예와 같이 유리소자(14)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전소자부(40)는, 응축부(10), 정확하게는 블록(16)과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전류를 인가받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소자(42)를 포함한다. 이때, 열전소자(42)는 전류를 인가받으면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한쪽 면이 열을 흡수하는 면이 되고, 그 나머지 반대쪽 면이 열을 발산하는 면이 되는데, 열전소자(42)의 열을 흡수하는 면이 블록(16)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열전소자(42)는, 블록(16)의 전 부분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블록(16)의 일부분하고만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열전소자부(40)는, 열전소자부(40)의 열 발산 작용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열전소자(42)의 열을 발산하는 면에 부착되어 열전소자부(40)의 열 발산 면적이 넓어지게 하는 히트 싱크(heat sink)(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매(R)는 유리소자(14)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피제습기체 및 블록(16), 나아가 열전소자부(40)와 열교환을 하는데, 이때 냉매(R)가 정체되어 있으면 기체의 대류현상으로 인해 상기 유리소자(14)의 상부 쪽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상기 유리소자(14)의 하부 쪽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냉매(R)의 온도 분포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냉매(R)의 온도 관리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피제습기체의 노점온도 관리가 어려워진다. 또한, 피제습기체가 유리소자(14)의 상부를 통과할 때는 충분히 응축되지 못하고, 유리소자(14)의 하부를 통과할 때는 결빙될 수 있다.
따라서, 피제습기체의 제습 작용을 위해서는 냉매(R)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R)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냉매(R)를 교반하여 강제 대류시키는 교반부(50)를 더 포함한다.
교반부(50)는, 냉매(R)를 교반하여 강제 대류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몇 가지 예로써 임펠러를 이용하는 방식, 진동을 이용하는 방식, 이 둘을 혼합하는 방식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교반부(50)가 임펠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예를 개시한다. 즉, 교반부(50)는, 유리소자(14)의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냉매(R)를 교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52)와, 임펠러(52)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52)는,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유리소자(14)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임펠러 구동부(54)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51)과, 임펠러 축(51)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냉매(R)를 휘젓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3)를 포함한다.
임펠러 축(51)은, 임펠러 구동부(54)가 유리소자(14)의 내부에 설치되기는 어려운 바, 유리소자(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임펠러 축(51)은, 유리소자(14)의 연장관(14B)을 통해 유리소자(14)에 설치됨으로써, 유리소자(14)와 간소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임펠러 축(51)과 유리소자(14), 정확하게는 연장관(14B) 사이에는 임펠러 축(51)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할 수 있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53)는, 프로펠러나 터빈 또는 패들(paddle) 형태 등 냉매(R)를 휘저을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취하여도 무방하며, 임펠러(52)에 의해 형성되는 냉매(R)의 유동 방향에 따라서 축류형, 원심형, 횡류형, 기타 유형 중 어느 한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53)는 임펠러 축(51)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임펠러 축(51)과 분리되어 제조된 후 직접 또는 다른 요소를 통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임펠러 구동부(54)는, 임펠러(5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를 제어하는 회로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임펠러 구동부(54)는 임펠러 축(51)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설계 조건상 임펠러 축(51)과 직접 결합되기 어렵다면, 크랭크 기구, 벨트&풀리, 기어 세트 등의 동력전달부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제습기체가,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22)를 따라 유동되면, 먼저 피제습기체는 유도관(22) 중 유입부(24)를 통과하면서, 유리소자(14) 내 냉매(R)와 열교환되어, 냉매(R)에 열을 빼앗김으로써 그 중 수증기가 응축된다. 따라서, 유입부(24)를 통과하는 피제습기체의 습도는 낮아지고, 유입부(24)에 응축수가 생긴다.
유입부(24)를 통과한 피제습기체는,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배출부(30)를 경유하여 출구부(26)로 유도된 후, 출구부(26)를 통해 배출된다. 유입부(24)에 생긴 응축수는, 화살표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응축수 배출부(30)로 배출되어 처리된다.
한편, 피제습기체의 열을 흡수한 냉매(R)는, 열전소자부(40)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피제습기체를 계속해서 응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냉매(R)가 교반부(50)에 의해 교반되어 강제 대류됨으로써, 냉매(R)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교반부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실시 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다른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참고로,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다른 실시 예들은, 교반부를 제외 한 나머지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는바, 상술한 제1실시 예를 참조하여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기재하고,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150)는, 임펠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임펠러(152)와, 임펠러 구동부(154)를 포함하고, 나아가 임펠러(152)에 의해 형성된 냉매(R)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는, 임펠러(152)와 별도의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가 임펠러(152), 정확하게는 임펠러 축(151)과 일체화된 구성을 개시한다.
즉, 임펠러(152)는 임펠러 축(151)과, 임펠러 축(151)의 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53)로 구성되고, 특히 임펠러 축(151)은 상술한 가이드를 겸할 수 있다.
가이드를 겸하는 임펠러 축(151)은, 바람직한 일 예로써 냉매(R)가 유입되는 입구(151A)와 냉매(R)가 배출되는 출구(151B)가 형성된 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를 겸하는 임펠러 축(151)은 냉매(R)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안내토록, 임펠러 축(151)의 입구(151A)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고, 임펠러 축(151)의 출구(151B)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53)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냉매(R)가 임펠러 축(151)의 입구(151A)를 통해 임펠러 축(151)의 내부로 잘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 축(151)의 입구(151A)와 함께 임펠러 축(15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53)는, 본 실시 예의 유리소자(14)와 같이 가늘고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임펠러 축(151)의 축 방향에 따른 길이가, 그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53)는, 나선 형태 등 상승류를 잘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반부(150)는, 임펠러(152)를 회전시켜서, 화살표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53)에 의해 냉매(R)가 임펠러 축(151)의 입구(151A)를 통해 임펠러 축(151)의 내부로 유입되어 끌어 올려진 후 임펠러 축(151)의 출구(151B)를 통해 임펠러 축(151)으로부터 토출되게 함으로써, 냉매(R)를 강제 대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임펠러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250)는, 임펠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임펠러(252)와, 임펠러 구동부(254)를 포함한다.
임펠러(252)는, 임펠러 구동부(254)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251)과, 임펠러 축(251)의 외측에 끼워지고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53A)를 갖는 임펠러 튜브(253)로 구성될 수 있다.
임펠러 튜브(2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임펠러 축(251)을 준비하고, 도 5의 (b)와 같이 중공형 일자 튜브(253')에 칼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개라인(253B)을 형성한 후, 도 5의 (c)와 같이 임펠러 축(251)의 외측에 끼운다. 다음, 도 5의 (d)와 같이 중공형 일자 튜브(253')를 그 길이방향으로 압축시키면, 중공형 일자 튜브(253')의 절개라인(253B)이 벌어지면서 블레이드(253A)가 형성된다. 이후, 중공형 일자 튜브(253')가 압축된 상태를 고정시키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 튜브(253)가 완성된다.
이때, 임펠러 튜브(253)의 재질로는, 제조가 용이한 테프론(tefron)이 적합하며, 이외에도 설계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절개라인(253B)은, 블레이드(253A)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절개라인(253B)이 중공형 일자 튜브(25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중공형 일자 튜브(253')의 둘레를 따라 4개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253A)가 임펠러 튜브(25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임펠러 튜브(253)의 둘레를 따라 4개 구비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임펠러 튜브(253)의 형상 유지를 위해서는, 임펠러 튜브(253)의 한쪽 끝이 걸릴 수 있도록 임펠러 축(251)의 일측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팁(251A)이 형성되고, 임펠러 튜브(253)의 나머지 끝이 걸릴 수 있도록 임펠러 축(251)의 타측에 스냅링(snap-ring)(251B)이 끼워질 수 있다. 이외에도 임펠러 튜브(253)의 형상 유지를 위해, 접착제, 핀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펠러(252)가 임펠러 튜브(253)에 의해 구현되면, 제조가 용이하 고, 가볍고, 유리소자(14)가 좁게 구성되어도 적용이 용이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350)는 임펠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임펠러(352)가, 임펠러 축(351)과, 임펠러 축(351)에 결합되어 블레이드 역할을 하는 와이어 다발(353)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다발(353)은, 블레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섬유나 케이블이 있다. 이러한 와이어 다발(353)은 임펠러 축(351) 측 끝부분이 본 실시 예의 와이어 튜브(353A)와 같은 묶음부재에 의해 하나로 묶일 수 있고, 와이어 튜브(353A)와 같은 묶음부재가 임펠러 축(351)과 결합됨으로써 임펠러 축(35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반부(35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임펠러(352)가 임펠러 구동부(354)에 의해 회전되기 전에는 도 6의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다발(353)이 중력에 의해 임펠러 축(351)의 길이방향으로 늘어져 있는다.
반면, 임펠러(352)가 임펠러 구동부(354)에 의해 회전되면,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다발(353)이 원심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회전되면서 냉매(R)를 교반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450)는, 진동소자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응축부(10)의 외측에서 진동을 부여할 수도 있겠지만, 본 실시 예와 같이 응축부(10)의 내측에서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간소하게 구현될 수 있고, 교반부(45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냉매(R)를 교반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소자를 이용하는 교반부(450)는, 냉매(R) 속에 설치되는 진동소자(452)와, 진동소자(452)와 연결되어 진동소자(452)를 진동시키는 피에조소자 등의 진동 발진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교반부(450)는, 진동소자(452)가 진동되게 함으로써, 냉매(R)에 파동이 형성되어 냉매(R)가 강제 대류되게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임펠러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냉매 온도 센서 10; 응축부
12; 본체부 14; 유리소자
16; 블록 20; 유도부
22; 유도관 30; 응축수 배출부
40; 열전소자부 42; 열전소자
44; 히트 싱크 50; 교반부
51; 임펠러 축 52; 임펠러
53; 블레이드 54; 임펠러 구동부

Claims (9)

  1. 피제습기체 중 수증기가 응축되어 제습될 수 있도록, 냉매가 상기 피제습기체의 열을 흡수하는 응축부와;
    상기 피제습기체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와;
    상기 피제습기체의 응축로 인해 생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와;
    상기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방출시키는 열전소자부와;
    상기 냉매를 교반하여 강제 대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회전되면서 상기 냉매를 교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 구동부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에 끼워지고,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갖는 임펠러 튜브를 포함하는 제습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 구동부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에 결합되고, 섬유 또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와이어 다발을 포함하는 제습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형성된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 구동부와 연결되는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 축은,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를 겸하는 제습기.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매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안내토록 구성된 제습기.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센싱하는 냉매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연장관을 통해 설치되는 임펠러 축을 포함하는 제습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냉매 속에 설치되는 진동소자와;
    상기 진동소자를 구동하는 진동 발진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KR1020070119566A 2007-11-22 2007-11-22 제습기 KR10083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566A KR100837832B1 (ko) 2007-11-22 2007-11-22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566A KR100837832B1 (ko) 2007-11-22 2007-11-22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832B1 true KR100837832B1 (ko) 2008-06-13

Family

ID=3977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566A KR100837832B1 (ko) 2007-11-22 2007-11-22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8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50B1 (ko) * 2013-09-13 2014-07-01 주식회사 썬닉스 스크러버용 제습장치
KR101710843B1 (ko) * 2016-11-14 2017-02-27 염성민 부식가스의 수분제거장치
KR101853579B1 (ko) * 2017-01-13 2018-04-3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가습기
CN108105927A (zh) * 2017-12-25 2018-06-01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加湿效果均匀的室内净化器用加湿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430A (ja) * 1994-03-03 1995-09-19 Yoshihiko Yaezaki 気体乾燥装置
KR200233555Y1 (ko) 1998-11-23 2002-02-28 김순일 열전소자를사용한제습장치_
JP2003194680A (ja) 2002-10-07 2003-07-09 Horiba Ltd ガス分析用除湿器
JP2004337694A (ja) 2003-05-14 2004-12-02 Takayoshi Imai 除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430A (ja) * 1994-03-03 1995-09-19 Yoshihiko Yaezaki 気体乾燥装置
KR200233555Y1 (ko) 1998-11-23 2002-02-28 김순일 열전소자를사용한제습장치_
JP2003194680A (ja) 2002-10-07 2003-07-09 Horiba Ltd ガス分析用除湿器
JP2004337694A (ja) 2003-05-14 2004-12-02 Takayoshi Imai 除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50B1 (ko) * 2013-09-13 2014-07-01 주식회사 썬닉스 스크러버용 제습장치
KR101710843B1 (ko) * 2016-11-14 2017-02-27 염성민 부식가스의 수분제거장치
KR101853579B1 (ko) * 2017-01-13 2018-04-3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가습기
CN108105927A (zh) * 2017-12-25 2018-06-01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加湿效果均匀的室内净化器用加湿组件
CN108105927B (zh) * 2017-12-25 2024-02-13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加湿效果均匀的室内净化器用加湿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0020B2 (en) Self-cooling fan assembly
KR100837832B1 (ko) 제습기
DE60138210D1 (de) Verfahren und plattenvorrichtung für taupunkt-verdampfungskühler
EP2000338A1 (en) Water discharge structure of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US8555953B2 (en) Heat dissipation utilizing flow of refrigerant
JP2004251611A (ja) 周囲流体内で動くよう駆動可能な放散フィンを有する熱放散装置
US20070246199A1 (en) Heat dispensing assembly
JP5359037B2 (ja) 除湿装置
US8944150B2 (en) Dissipation utilizing flow of refrigerant
JP5506262B2 (ja) 液体冷却装置
JPWO2018066075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4867737B2 (ja) 除湿機
JP7407346B2 (ja) 除湿装置
JP2014122759A (ja) 液体冷却装置
JP2008138917A (ja) 空気調和装置
US3395752A (en) Baseboard heat exchanger apparatus
JP2021090898A (ja) 除湿装置
JP2011052885A (ja) 空気調和機
JP7429841B2 (ja) 除湿装置
JP7429842B2 (ja) 除湿装置
JP5904843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US20150135741A1 (en) Venturi Refrigeration System
KR102031962B1 (ko) 터빈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CA2478193C (en) Air flow producer for reducing room temperature gradients
JP2021137784A (ja)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