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521B1 -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521B1
KR100837521B1 KR1020070049699A KR20070049699A KR100837521B1 KR 100837521 B1 KR100837521 B1 KR 100837521B1 KR 1020070049699 A KR1020070049699 A KR 1020070049699A KR 20070049699 A KR20070049699 A KR 20070049699A KR 100837521 B1 KR100837521 B1 KR 10083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ush
mounting bracket
pow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7004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파워업다운모듈(6)이 구비된 경우에 있어서, 파워업다운모듈(6)이 장착되는 마운팅브라켓(3)을 시트 프레임(1)의 어퍼브라켓(2)에 부시(7)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어퍼브라켓(2)과 상기 마운팅브라켓(3)의 사이에 제 1,2회동링크(11,12)와 텐션스프링(13) 및 인장스프링(15)등으로 이루어진 고정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에 의해 헤드레스트폴(5)이 최상위 위치로 상승하면 상기 제1,2회동링크(11,12)들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헤드레스트가 시트 전방으로 자동 폴딩되어 후석 승객의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headrest folding device of car sea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헤드레스트 하향상태의 도면,
(b)는 헤드레스트 상향상태의 도면,
(c)는 헤드레스트 폴딩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도로서, 시트의 어퍼브라켓에 파워업다운모듈 마운팅브라켓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어퍼브라켓
3 : 마운팅브라켓 3a : 사각관체
4 : 헤드레스트 5 : 헤드레스트폴
6 : 파워업다운모듈 6a : 모터
6b : 승강부재 6c : 연장단부
6d : 가압부재 6e : 나사봉
7 : 부시 8 : 베이스플레이트
9 : 상부스토퍼 10 : 하부스토퍼
11 : 제1회동링크 12 : 제2회동링크
11a,12b : 걸림턱 12a : 연결단부
12c : 조작단부 13 : 텐션스프링
14 : 부시 15 : 인장스프링
16 : 스토퍼브라켓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업다운모듈이 장착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폴딩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주어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추돌사고시 탑승자의 머리가 급격히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어 있다.
기존의 헤드레스트는 단순히 헤드레스트폴이 시트프레임의 상단에 삽입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수동조작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서 불편하였는 바, 근래 모터를 사용하여 높이 조절 동작 즉, 헤드레스트의 업다운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파워헤드레스트가 개발되었다.
상기 파워헤드레스트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 상단의 양쪽 어퍼브라켓(2) 사이에 마운팅브라켓(3)을 고정하고, 이 마운팅브라켓(3)에 모터(6a) 구동시 나사작용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재(6b)를 구비한 파워업다운모듈(6)을 설치하여, 버튼(스위치) 조작을 통해 상기 모터(6a)의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6b)에 연결된 헤드레스트폴(5)을 승강시켜 헤드레스트(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즉, 도 1의(a)와 (b) 사이에서의 높이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후석 탑승자에게 있어 조수석 시트의 헤드레스트는 전방 시야를 가리는 장애물로서 작용하게 되는 바, 종래에는 조수석의 헤드레스트를 완전히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또는 수동 폴딩장치를 적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폴딩시켜 후방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하였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파워헤드레스트 기능이 적용된 시트에 있어서는 파워업다운모듈(6)의 마운팅브라켓(3)이 프레임(1)의 어퍼브라켓(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4)를 폴딩시킬 수 없으므로 후석 승객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워업다운모듈이 장착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폴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폴딩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프레임의 양쪽 어퍼브라켓 사이에 마운팅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양쪽 단부에 사각관체가 일체로 고정되어 그 사각관체를 통해 헤드레스트폴이 삽입되며,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파워업다운모듈의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에 나사봉을 매개로 상하 연동되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며, 그 승강부재의 양단부에 상기 헤드레스트폴이 고정된 파워업다운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사각관체가 상기 어퍼브라켓에 부시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부시는 일단이 상기 어퍼브라켓에 형성된 조립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단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사각관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그의 요부("A"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업다운모듈(6)의 모터(6a)는 박스형상 마운팅브라켓(3)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6a)의 출력축에 기어를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나사봉(도4의 6e)에 승강부재(6b)가 나사연결되어 있으며, 이 승강부재(6b)의 양단에 헤드레스트폴(5)의 양쪽 하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폴(5)의 양쪽 수직부분은 상기 마운팅브라켓(3)의 양쪽 측부에 일체로 고정된 사각관체(3a)를 관통(상호 접촉하지 않음)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6a)의 작동방향에 따른 상기 나사봉(6e)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6b)가 상승 및 하강함으로써 헤드레스트폴(5) 즉, 헤드레스트(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파워업다운모듈(6) 자체는 종래 기술이므로 이의 구성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마운팅브라켓(3)의 사각관체(3a)가 시트 프레임(1)의 어퍼브라켓(2)에 부시(7)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부시(7)는 일단이 상기 어퍼브라켓(2)에 형성된 조립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마운팅브라켓(3)을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사각관체(3a)에 형성된 조립홀에 압입되어 상기 사각관체(3a) 및 마운팅브라켓(3)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도 4 동시 참조)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의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폴(5)이 최상위 위치로 상승하였을 때 상기 마운팅브라켓(3)이 상기 부시(7)와 함께 회동됨으로써 헤드레스트(4)의 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이 상기 어퍼브라켓(2)과 마운팅브라켓(3)-정확히는 상기 사각관체(3a)-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어퍼브라켓(2)의 측면에는 사각형의 베이스플레이트(8)가 장착된다. 이 베이스플레이트(8)는 상기 부시(7)에 의해 관통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어퍼브라켓(2)에 일단이 고정된 2개의 또 다른 부시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이 중 상부의 부시를 상부스토퍼(9), 하부의 부시를 하부스토퍼(10)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에는 2개의 회동링크(11,12)가 장착된다. 그 중 제1회동링크(11)는 상기 사각관체(3a)에 고정된 부시(7)에 관통되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제1회동링크(11)와 상기 부시(7)는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호 고정된다.
또한, 상기 부시(7)의 외주에는 텐션스프링(13)이 설치되어, 그 한쪽 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에 형성된 조립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1회동링크(11)에 형성된 조립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텐션스프링(13)이 오므려지도록 상기 제1회동링크(1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직립시켰을 때의 제1회동링크(11)의 하단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걸림턱(11a)이 돌출 성형된다.
상기 제1회동링크(11)의 직립상태 위치로부터 소정거리(상기 걸림턱(11a)이 추후 설명할 제2회동링크(12)의 걸림턱(12b)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회동링크(11)의 여유회동간극) 이격된 위치에 상기 상부스토퍼(9)가 위치되어, 폴딩상태의 헤드레스트(4)를 사용상태로 원위치시킬 때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회동링크(1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에 고정되는 또 다른 부시(14)에 의해 장착되는데, 상기 부시(14)는 회전되지 않고 제2회동링크(12)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2회동링크(12)의 일측면에는 연결단부(12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스토퍼(10)와 인장스프링(15)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회동링크(12)의 우측 상부 모서리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장스프링(15)이 당겨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회동링크(11)의 걸림턱(11a)에 걸려지는 걸림턱(12b)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장스프링(15)이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제2회동링크(12)의 상기 연결단부(12a)의 반대쪽 위치에는 조작단부(12c)가 돌출 성형된다.
한편,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의 승강부재(6b)의 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링크(12)의 조작단부(12c) 하방으로 돌출 성형된 연장단부(6c)가 형성되고, 이 연장단부(6c)의 상단에는 상기 조작단부(12c)를 밀어 상향 회동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6d)가 고정된다.
상기 가압부재(6d)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연장단부(6c)의 상면에 고정되는데 그 형상과 고정방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단지 상기 제2회동링크(12)의 조작단부(12c)를 상방으로 밀어줄 수 있기만 하면 되고,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또는 단단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부재의 외측면에 소정 두께의 고무층이 코팅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의 전방하단에는 상기 헤드레스트폴(5)의 하단을 지지하여 헤드레스트폴(5)의 반시계방향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브라켓(16)이 장착되어 평상시 사용상태에서 헤드레스트(4)가 시트 후방을 향해 회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과 제1,2회동링크(11,12)들의 작동 전 상태와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의 작동 전에는 상기 제1,2회동링크(11,12)들이 도 3과 동일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회동링크(12)는 인장스프링(15)에 의해 당겨져 있는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제2회동링크(12)의 걸림턱(12b)에 상기 제1회동링크(11)의 걸림턱(11a)이 걸려져서 제1회동링크(11)는 텐션스프링(13)이 오므려진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헤드레스트폴(5)의 하단은 상기 스토퍼브라켓(16)에 지지되어 시트 후방으로의 회동이 억제되어 있음으로써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에서 탑승자가 버튼(스위치)을 조작하여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을 작동시켜 헤드레스트(4)를 최대로 상승시키면(도 2 내지 도 5의 상태는 헤드레스트가 하향 위치된 상태이다.)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의 승강부재(6b)가 도 5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상승하여 그 단부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재(6d)가 상기 조작단부(12c)를 밀어 올려 인장스프링(15)을 신장시키면서 상기 제2회동링크(12)를 도 6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제2회동부재(12)의 걸림턱(12b)에 의한 제1회동부재(11)의 걸림턱(11a)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텐션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회동링크(1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동링크(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부시(7)와, 이 부시(7)가 고정되어 있는 사각관체(3a) 및 마운팅브라켓(3)이 동일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헤드레스트폴(5) 및 파워업다운모듈(6)이 동시에 시트 전방으로 회동되어 헤드레스트(4)가 시트 전방으로 숙여지게 된다.
따라서, 후석 탑승자의 전방시야가 확보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후석 탑승자의 전방시야 확보상태로부터 조수석 시트에 탑승자가 승차하여 헤드레스트(4)를 원위치시켜야 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4)를 들어올려 제1회동링크(11)를 원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2회동링크(12)는 헤드레스트 폴딩시 인장스프링(15)에 의해 원위치되어 있다가 상기 제1회동링크(11)의 원위치 회동시 그의 걸림턱(11a)에 의해 소정각도 역회전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됨으로써 시켜 제1,2회동링크(11,12)의 걸림턱(11a,12b)이 다시 걸려진다. 이어 버튼(스위치)을 조작하여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의 모터(6a)를 작동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4)의 위치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업다운모듈이 장착된 헤드레스트도 헤드레스트의 폴딩이 가능하여 후석 승객의 전방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의 폴딩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시트 프레임(1)의 양쪽 어퍼브라켓(2) 사이에 마운팅브라켓(3)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3)의 양쪽 단부에 사각관체(3a)가 일체로 고정되어 그 사각관체(3a)를 통해 헤드레스트폴(5)이 삽입되며, 상기 마운팅브라켓(3)에 파워업다운모듈(6)의 모터(6a)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6a)에 나사봉(6e)을 매개로 상하 연동되는 승강부재(6b)가 구비되며, 그 승강부재(6b)의 양단부에 상기 헤드레스트폴(5)이 고정된 파워업다운모듈(6)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3)의 사각관체(3a)가 상기 어퍼브라켓(2)에 부시(7)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부시(7)는 일단이 상기 어퍼브라켓(2)에 형성된 조립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단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사각관체(3a)에 형성된 조립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시(7)에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어퍼브라켓(2)에 베이스플레이트(8)가 장착되고, 상기 부시(7)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브라켓(2)에 일단이 지지되는 상부스토퍼(9)와 하부스토퍼(10)가 설치되며, 상기 부시(7)에 걸림턱(11a)을 갖춘 제1회동링크(11)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부시(7)에 상기 제1회동링크(11)를 시트후방으로 회전시키는 텐션스프링(13)이 설치되며,
    상기 부시(7)와 소정거리 이격된 베이스플레이트(8) 상의 위치에 또 다른 부시(14)가 고정설치되고, 그 부시(14)에 연결단부(12a)가 인장스프링(15)으로 상기 하부스토퍼(10)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스프링(15)이 당겨진 상태에서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턱(12b)이 상기 제1회동링크(11)의 걸림턱(11a)에 걸려지며, 상기 연결단부(12a)의 반대쪽에 조작단부(12c)가 돌출 성형된 제2회동링크(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다운모듈(6)의 승강부재(6b) 단부에 상기 제2회동링크(12)의 조작단부(12c) 하방으로 연장단부(6c)가 돌출 형성되고, 그 연장단부(6c)의 상단에 상기 조작단부(12c)를 밀어 상향 회동시키는 가압부재(6d)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의 전방하단에 상기 헤드레스트폴(5)을 지지하여 헤드레스트폴(5)의 반시계방향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브라켓(16)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20070049699A 2007-05-22 2007-05-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083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699A KR100837521B1 (ko) 2007-05-22 2007-05-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699A KR100837521B1 (ko) 2007-05-22 2007-05-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521B1 true KR100837521B1 (ko) 2008-06-12

Family

ID=3977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699A KR100837521B1 (ko) 2007-05-22 2007-05-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029A1 (en) * 2015-03-10 2016-09-15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202Y1 (ko) * 1994-12-13 1999-04-01 전성원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0356974Y1 (ko) 2004-04-26 2004-07-21 정해일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20040088040A (ko) * 2002-01-07 2004-10-15 콩스베르그 오토모티브 아베 차량용 머리받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202Y1 (ko) * 1994-12-13 1999-04-01 전성원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040088040A (ko) * 2002-01-07 2004-10-15 콩스베르그 오토모티브 아베 차량용 머리받침
KR200356974Y1 (ko) 2004-04-26 2004-07-21 정해일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029A1 (en) * 2015-03-10 2016-09-15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US10251486B2 (en) 2015-03-10 2019-04-09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456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틸팅장치
KR100992540B1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장치
JP2008143498A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の高さ保持装置
US7246857B2 (en) Seat folding device of vehicle
US8201881B2 (en) Clutch mechanism for vehicle seat
CA2706460A1 (en)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KR100837521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2332907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JP451530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174908B2 (ja) 車両用シート
US6769737B2 (en)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n automobile
JP2000225031A (ja) 車輌用座席の背もたれ部の角度調節装置
JP2000219069A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07111121A (ja) 乗物用シート
JP485521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5305117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042055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跳上げ式自動車用シート
FR2894194A1 (fr)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partie reglable en position
JP4401350B2 (ja) シート装置
KR10053495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작동 구조
CN216915698U (zh) 一种车辆踏板
JP4944665B2 (ja) シート装置
FR2902377A1 (fr) Siegee vehicule automobile a bourrelet escamotable
JP2013001177A (ja) 車両用シート
KR960007779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