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439B1 -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 Google Patents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439B1
KR100837439B1 KR1020060094647A KR20060094647A KR100837439B1 KR 100837439 B1 KR100837439 B1 KR 100837439B1 KR 1020060094647 A KR1020060094647 A KR 1020060094647A KR 20060094647 A KR20060094647 A KR 20060094647A KR 100837439 B1 KR100837439 B1 KR 10083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cradle
cart
spring
rear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094A (ko
Inventor
이봉규
Original Assignee
이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규 filed Critical 이봉규
Priority to KR102006009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4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4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덤프 트럭이나 화물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측에 현가장치용 판스프링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를 개시한다.
그러한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는, 복수개의 휠을 구비하여 지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륜 또는 후륜용 판스프링을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대 및 제2거치대와, 상기 2개의 거치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거치대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 그리고, 후크가 연결된 와이어를 구비하고 이 와이어를 어느 한 방향으로 감아서 상기 제1 거치대 또는 제2 거치대 위로 전륜용 판스프링이나 후륜용 판스프링을 잡아당기면서 거치하기 위한 윈치를 포함한다.
대형 차량의 판스프링 교체 작업, 카트 본체, 전륜 또는 후륜용 판스프링, 윈치(winch), 구동원, 유압실린더, 제1 거치대 및 제2 거치대, 작업성 향상, 안전사고 방지

Description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cart for mounting leaf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거치대의 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거치대의 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거치대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거치대의 길이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2 거치대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차량의 전륜측에 전륜용 판스프링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차량의 후륜측에 후륜용 판스프링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의 제1 거치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의 제2 거치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2 거치대에 거치한 후륜용 판스프링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덤프 트럭이나 화물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측에 현가장치용 판스프링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 트럭이나 화물 트럭과 같이 대형 상용차량에는 적재부로부터 작용하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전륜 및 후륜의 차축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판스프링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각기 다른 길이를 갖는 여러 장의 스프링 판체를 위아래로 겹쳐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통상의 클립과 클립볼트 등을 체결하여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양쪽 끝단에 형성된 고정 지점을 차량의 차체 프레임측에 마련된 마운트 지점과 핀부재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체결하여 장착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을 차량에 장착하는 작업은 주로 정비사들이 판스프링을 직접 들어서 운반 및 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대형 차량용 판스프링은 무게가 대략 100kg 이상의 중량물이므로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측에 장착하기 위하여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차량의 저면과 지면 사이의 협소한 작업 공간에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판스프링을 들어 올린 상태로 체결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장착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더욱이, 협소한 공간 내에서 장착 작업을 할 때 자칫 중량물인 판스프링이 지면으로 떨어져서 작업자들이 대형의 사고를 입을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판스프링의 장착 작업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판스프링의 장착시 운반 및 체결 작업 등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스프링을 거치한 상태로 간편하게 운반 및 장착할 수 있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휠을 구비하여 지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륜 또는 후륜용 판스프링을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대 및 제2거치대;
상기 2개의 거치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거치대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
후크가 연결된 와이어를 구비하고 이 와이어를 어느 한 방향으로 감아서 상기 제1 거치대 또는 제2 거치대 위로 전륜용 판스프링이나 후륜용 판스프링을 잡아당기면서 거치하기 위한 윈치;
를 포함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카트 본체를 지칭한다.
이 카트 본체(2)는 금속류의 파이프나 형강을 통상의 용접 작업으로 연결하여 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위치하는 수평부(2a)와 이 수평부(2a)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위치하는 수직부(2b)를 갖는 통상의 프레임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부(2a)에는 복수개 지점에 휠(W)들을 설치하여 이 휠(W)들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기 카트 본체(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카트 본체(2)에는 전륜용 판스프링(S1)을 거치하기 위한 제1 거치대(4)가 위치한다. 이 제1 거치대(4)는 일측 끝단을 상기 수직부(2b)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여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제1 거치대(4)는 2개의 제1 아암(4a)을 1조로 구성하여 일측은 상기 수직부(2b)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고, 반대편 단부 사이는 지지구(4b)를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구(4b)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제1 아암(4a) 사이에서 전륜용 판스프링(S1)을 거치하기 위하여 이들 제1 아암(4a) 사이를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의 금속재이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제1 아암(4a) 사이의 간격은 전륜용 판스프링(S1)이 폭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카트 본체(2)에는 후륜용 판스프링(S2)을 장착하기 위한 제2 거치대(6)가 위치한다.
상기 제2 거치대(6)는 상기 카트 본체(2)의 수직부(2b) 일측과 힌지 결합하는 제2 아암(6a)과, 바인더(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아암(6a)은 2개를 1조로 구성하여 상기 카트 본체(2)의 수직부(2b)에서 상기 제1 아암(4a)과 동일한 지점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2 아암(6a)은 힌지 지점으로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자유단측의 단부가 지면과 맞닿을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6b)는 도 1에서와 같이 후륜용 판스프링(S2)의 중간 지점을 나사 결합력으로 분리 가능하게 가압 고정할 수 있는 통상의 바이스(vise)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바인더(6b)는 지면에 놓여진 후륜용 판스프링(S2)의 중간 지점을 고정하고 후술하는 윈치(10)와 연결하여 상기 제2 거치대(6) 위에 도 3에서와 같은 자세로 상기 후륜용 판스프링(S2)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트 본체(2)의 수평부(2a) 전방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가이드판(P2)이 경사지게 위치한다. 이 가이드판(P2)은 지면으로부터 후륜용 판스프링(S2)이 상기 제2거치대 위로 얹혀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거치대(4) 및 제2 거치대(6) 중에서 어느 하나는 구동원(8)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회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원(8)과 상기 제1 거치대(4)를 연결한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구동원(8)은 통상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카트 본체(2)에서 상기 제1 거치대(4)를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거치대(4)는 유압실린더 피스톤로드의 통상적인 운동시 동력을 전달받아서 도 4에서와 같이 수평한 자세 또는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자세로 회동한다.
상기 구동원(8) 즉, 유압실린더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유압을 자동으로 공급받도록 연결하거나 이외에도 페달을 밟는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유압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거치대(6)는 상기 제1 거치대(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거치대(4)의 제1 아암(4a)들이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통상의 힌지형 클램프부재(4c)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길이가 축소 또는 확장되면서 상기 제2 아암(6a) 일측과 분리 가능하게 접촉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힌지형 클램프부재(4c)는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아암(4a)의 길이를 축소 또는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아암(4a)의 단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접촉구(P1)가 부착 고정된다. 이 접촉구(P1)는 상기 제2 거치대(6)의 저면 일측과 분리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거치대(4)는 상기 힌지형 클램프부재(4c)의 길이 조작에 의해 길이가 확장된 상태로 상기 제2 거치대(6) 아래로 회동한 상태에서 길이를 다시 축소하면 상기 각 접촉구(P1)들이 상기 제2 거치대(6)의 제2 아암(6a) 저면과 접촉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도 6참조)
따라서, 상기 제1 거치대(4)는 구동원(8)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수직부(2b)의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 거치대(6) 저면 일측과 접촉하여 이 제2 거치대(6)를 상기 수직부(2b)의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트 본체(2)에 제1 거치대(4)와 제2 거치대(6)를 각각 구비하면, 전륜용 판스프링(S1) 또는 후륜용 판스프링(S2)의 장착 자세에 대응하도록 상 기 제1 거치대(4) 또는 제2 거치대(6)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거치대(4)는 전륜용 판스프링(S1)의 스팬(span) 사이의 중앙 지점이 아래쪽으로 처진 자세로 도 7에서와 같이 차량(M)의 전륜측에 장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거치대(6)는 전륜측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는 후륜측에서 도 8에서와 같이 후륜용 판스프링(S2)의 스팬 사이의 중앙 지점이 위쪽으로 휘어진 통상의 자세로 장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거치대(4)가 구동원(8)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독립적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거치대(6)를 회동시키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2 거치대(6)가 구동원(8)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독립적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거치대(4) 일측과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면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셋팅할 수 있다.
상기 카트 본체(2) 일측에는 윈치(10, winch)가 위치한다. 이 윈치(10)는 후크(H1)가 연결된 와이어(H2)를 감거나 풀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2b) 일측에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윈치(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기 또는 유압을 공급받는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윈치(10)는 상기 수직부(2b)측에서 와이어(H2)를 감거나 풀 때 이 와이어(H2)가 상기 제1 거치대(4)나 제2 거치대(6)의 자유단측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도 록 위치한다.
상기한 윈치(10)는 상기 제1 거치대(4)나 제2 거치대(6)의 자유단측이 상기 카트 본체(2)측에서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위치한 상태에서 와이어(H2)를 감는 동작에 의해 전륜용 판스프링(S1)이나 후륜용 판스프링(S2)을 직접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와 같이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직접 판스프링을 운반하여 차량의 아래쪽에서 손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장착하는 방식에 비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작업 인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치(1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카트 본체(2) 일측과 힌지 결합된 고정대(12)측에 고정하여 이 고정대(12)의 자세에 따라 고정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거치대(4)측에 전륜용 판스프링(S1)을 거치할 때는 상기 고정대(12)를 도 9에서와 같이 회전시켜서 상기 윈치(10)가 상기 제1 거치대(4)의 힌지 지점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거치대(6) 위로 후륜용 판스프링(S2)을 거치할 때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대(12)에 의해 상기 제2 거치대(6)의 힌지 지점 위쪽에 상기 윈치(10)가 위치한다.
즉, 상기 윈치(10)는 상기 제1 거치대(4) 또는 제2 거치대(6) 위로 전륜용 판스프링(S1)이나 후륜용 판스프링(S2)을 거치할 때 각 스프링(S1, S2)의 거치 상태나 자세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상태로 당기는 힘이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위아래로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는 전륜용 판스프링(S1)이나 후륜용 판스프링(S2)들이 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을 직접 들어 올려서 거치한 상태로 차량(M)측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먼저, 지면에 위치한 전륜용 판스프링(S1)의 일측단을 도 9에서와 같이 후크(H1)로 걸은 후 와이어(H2)를 감는 동작에 의해 전륜용 판스프링(S1)을 잡아당긴다.
그 다음, 상기 구동원(8)을 구동하여 상기 카트 본체(2)에서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거치대(4)를 수평한 상태로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거치대(4) 위에 도면에서와 같이 자세로 전륜용 판스프링(S1)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후륜용 판스프링(S2)을 거치할 때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후륜용 판스프링(S2)의 중간 지점을 바인더(6b)로 고정하고 이 바인더(6b)와 와이어(H2)를 연결한다.
그 다음, 상기 윈치(10)를 구동하여 와이어(H2)를 감는 동작에 의해 후륜용 판스프링(S2)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거치대(6)를 수평하게 들어 올려서 도 3에서와 같은 자세로 후륜용 판스프링(S2)을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거치대(6) 위에 거치한 후륜용 판스프링(S2)은 차량(M)의 후륜측 장착 자세에 대응하도록 도 13에서와 같은 거치 자세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후륜용 판스프링(S2)의 거치 자세를 변화시키는 동작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거치대(4) 또는 제2 거치대(6) 위에 거치된 전륜용 판스프링(S1)이나 후륜용 판스프링(S2)을 차량(M)의 전륜측 또는 후륜측으로 운반하여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은 자세로 장착한다.
즉, 작업자는 전륜용 판스프링(S1)이나 후륜용 판스프링(S2)들이 상기 제1 거치대(4) 또는 제2 거치대(6)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각 스프링(S1, S2)들의 양측단 고정 지점과 차량(M)의 마운트 지점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카트 본체(2)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체결하여 장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전륜측 또는 후륜측에 판스프링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윈치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판스프링을 직접 잡아 당겨서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로 간편하게 운반 및 장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여러 명의 작업자가 중량물인 판스프링을 직접 들어서 운반하거나 차량 밑에서 들어 올린 상태로 장착하는 방식에 비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차량에 판스프링을 장착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장착 작업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복수개의 휠을 구비하여 지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카트 본체;
    상기 카트 본체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륜 또는 후륜용 판스프링을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대 및 제2거치대;
    상기 2개의 거치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거치대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
    후크가 연결된 와이어를 구비하고 이 와이어를 어느 한 방향으로 감아서 상기 제1 거치대 또는 제2 거치대 위로 전륜용 판스프링이나 후륜용 판스프링을 잡아당기면서 거치하기 위한 윈치;
    를 포함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유압을 공급받아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전기 또는 유압을 공급받는 모터에 의해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이 가능하게 구동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대 또는 제2 거치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거치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고, 다른 하나의 거치대는 구동원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거치대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는 후륜용 판스프링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바인더를 더 포함하며,
    이 바인더는 후륜용 판스프링의 중간 지점 일측을 분리 가능하게 가압 고정한 상태로 상기 윈치의 와이어와 연결되어 후륜용 판스프링을 잡아 당길 때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방향과 직교하는 자세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카트 본체와 힌지 결합된 고정대에 설치되어 이 고정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거치대 또는 제2 거치대의 힌지 지점 위쪽이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전륜용 판스프링의 일측 단부를 후크로 걸은 상태로 잡아 당겨서 와이어의 감김 방향과 동일한 자세로 전륜용 판스프링을 상기 제1 거치대 위에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대는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여 길이가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KR1020060094647A 2006-09-28 2006-09-28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647A KR100837439B1 (ko) 2006-09-28 2006-09-28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647A KR100837439B1 (ko) 2006-09-28 2006-09-28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094A KR20080029094A (ko) 2008-04-03
KR100837439B1 true KR100837439B1 (ko) 2008-06-12

Family

ID=3953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64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439B1 (ko) 2006-09-28 2006-09-28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3596B (zh) 2016-02-29 2018-12-1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WO2021050894A1 (en) * 2019-09-12 2021-03-1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ifting and transport device
CN110707576B (zh) * 2019-10-28 2022-04-19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移动的高压真空断路器装卸专用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59Y1 (ko) * 2000-05-30 2001-01-15 손대석 차량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59Y1 (ko) * 2000-05-30 2001-01-15 손대석 차량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094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7746C2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вместе секций узла подвески крана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м узел ворота
JP5687828B2 (ja) ブームホイスト輸送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レーン
CA1192871A (en) Wheel lift apparatus
US853498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loading and unloading a vehicle
US7607546B1 (en) Hitch mounted hoist assembly
JPH08504387A (ja) 車両および車両部品の輸送システム
US4778333A (en) Vehicle towing and recovery apparatus
KR100837439B1 (ko) 판스프링 장착용 카트
US20060182571A1 (en) Game lifting device
EP1259456B1 (en) Lifting apparatus and fastener for motorcycle
US3084808A (en) Hoist
US5263357A (en) Haulable device for rectifying the shape of a misshapen unibody frame
AU2009230812A1 (en) A recovery vehicle
US1489161A (en) Portable crane
JP4241965B2 (ja) 可搬式クレーン
JP4922780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分解組立方法
US5207337A (en) Swing controlled crane
US6543749B1 (en) Rollback wrecker vehicle positioning device
CN212403260U (zh) 可移动式座椅悬吊装
WO2001085508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redressement de la carrosserie d'un vehicule
US20250121762A1 (en) Hoist system for class 3 vehicle
JP7663452B2 (ja) 杭打機
KR100611021B1 (ko)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CN222819910U (zh) 一种馈电弓及使用该馈电弓的轨道作业车
RU15053U1 (ru) Передвижной кабелеукладч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