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477B1 -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477B1
KR100836477B1 KR1020060138989A KR20060138989A KR100836477B1 KR 100836477 B1 KR100836477 B1 KR 100836477B1 KR 1020060138989 A KR1020060138989 A KR 1020060138989A KR 20060138989 A KR20060138989 A KR 20060138989A KR 100836477 B1 KR100836477 B1 KR 10083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hinge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fixing member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환
공제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지폐의 이매여부를 검지하는 이매검지부의 측정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된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지폐를 접촉 통과시켜 상기 슬릿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접촉부; 상기 선회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선회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어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힌지축과 고정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삽입하여 원활하게 선회시킴으로써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립 공차에 의한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금융자동화기기, 이매검지, 베어링, 마모방지

Description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BEARING CONNECTING STRUCTURE OF TWO PAPERS DETECTING PART}
도 1은 종래의 이매검지부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
도 2는 도 1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매검지부 110 : 몸체프레임
115 : 힌지축 120 : 선회부재
121 : 결합홀 124 : 인코더부
125 : 슬릿 126 : 슬릿개수센서
130 : 접촉부 140 : 고정부재
141 : 내주면 150 : 베어링
160 : 고정볼트
본 발명은 지폐의 이매여부를 검지하는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지폐의 이매여부를 검지하는 이매검지부의 측정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다양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장치이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가 적재된 적재공간에서 픽업롤러 등에 의해 지폐류를 낱장 분리해내고 벨트 또는 이송 롤러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가 2매 또는 그 이상이 겹쳐서 이송되는 경우 기기에 잼(Jam)을 유발하게 된다. 이 경우 최적화되어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급프로세서에 에러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만약 지폐류가 겹침 이송되어 더 많은 금액이 고객에게 출금된다면 금융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는 이매검지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매검지부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폐가 2매 또는 그 이상이 겹쳐서 이송되는 경우를 검지하기 위한 종래의 이매검지부(1)는 지류가이드(10), 지폐이송롤러(20), 선회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류가이드(10)는 상부지류가이드(11)와 하부지류가이드(1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지폐이송롤러(20)가 지폐(50)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선회부재(30)의 결합홀(30a)에는 고정부재(34)의 외주면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34)의 내주면에는 힌지축(31)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축(31)이 고정부재(34)에 삽입된 후 상기 힌지축(31)이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E-링홈(31a)에 E-링(35)이 체결된다.
상기 선회부재(30)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슬릿(33a)이 표시되어 있는 인코더부(3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접촉부(37)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몸체프레임(15)의 일측에 설치된 슬릿개수센서(16)는 인코더부(33)에 형성된 슬릿(33a)을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슬릿개수센서(16)는 지폐(50)가 접촉부(37)와 회전롤러(40) 사이를 지나가는 순간 선회부재(30)가 선회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인코더부(33)에 형성된 슬릿(33a)의 변위량을 측정하면 지폐의 이매 겹침 여부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링(35)이 체결된 힌지축(31)의 E- 링홈(31a) 부위에는 조립 공차로 유격(L)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격(L)으로 인해 선회부재(30)가 작동중에 떨리게 되면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힌지축(31)이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결합된 고정부재(34)의 내주면에는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지폐의 이매여부를 검지하는 이매검지부의 측정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된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지폐를 접촉 통과시켜 상기 슬릿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접촉부; 상기 선회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선회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어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과 힌지축의 외주면은 접착제로 접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과 힌지축의 외주면은 결합공에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는, 선회부재(120), 접촉부(130), 고정부재(140), 베어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회부재(120)의 하부에는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결합홀(1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슬릿(125)이 표시되어 있는 인코더부(1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선회부재(120)의 하단부에는 이송되는 지폐를 접촉 통과시켜 상기 슬릿(125)을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접촉부(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릿(125)의 변위량을 감지하여 이매 겹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슬릿개수센서(1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선회부재(120)의 결합홀(121)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접착된다.
상기 베어링(150)은 힌지축(115)과 고정부재(140) 사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베어링(150)의 내주면(151)은 힌지축(115)의 외주면(115a)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접착되고, 상기 베어링(150)의 외주면(152)은 고정부재(140)의 내주면(141)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매검지부(100)의 베어링 결합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힌지축(115)과 고정부재(1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150)이 삽입되어 선회부재(120)가 떨림 없이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150)의 내주면(151)을 힌지축(115)의 외주면(115a)에 삽입한 후 결합공(115b)에 고정볼트(160)를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 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는, 선회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힌지축과 고정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삽입하여 원활하게 선회시킴으로써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립 공차에 의한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된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지폐를 접촉 통과시켜 상기 슬릿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접촉부;
    상기 선회부재의 결합홀에 삽입되어 선회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어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과 힌지축의 외주면은 접착제로 접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과 힌지축의 외주면은 결합공에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KR1020060138989A 2006-12-29 2006-12-29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KR10083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989A KR100836477B1 (ko) 2006-12-29 2006-12-29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989A KR100836477B1 (ko) 2006-12-29 2006-12-29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477B1 true KR100836477B1 (ko) 2008-06-09

Family

ID=3977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989A KR100836477B1 (ko) 2006-12-29 2006-12-29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933B1 (ko) * 2010-07-15 2012-01-12 한국기계연구원 웜샤프트 베어링 유격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웜샤프트 베어링 유격 측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945B1 (ko) * 1992-10-29 1995-02-06 주식회사 금성사 지폐 방출기의 지폐 다중 이송 검지장치 및 방법
KR950002957Y1 (ko) * 1992-09-22 1995-04-17 이헌조 지폐 중복이송 검지장치
KR20040090688A (ko) * 2003-04-17 2004-10-2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엽류 판별 장치
KR20050038706A (ko) * 2003-10-22 2005-04-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용지두께 검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3674A (ko) * 2004-12-24 2006-06-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류 겹침이송 감지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957Y1 (ko) * 1992-09-22 1995-04-17 이헌조 지폐 중복이송 검지장치
KR950000945B1 (ko) * 1992-10-29 1995-02-06 주식회사 금성사 지폐 방출기의 지폐 다중 이송 검지장치 및 방법
KR20040090688A (ko) * 2003-04-17 2004-10-2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엽류 판별 장치
KR20050038706A (ko) * 2003-10-22 2005-04-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용지두께 검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3674A (ko) * 2004-12-24 2006-06-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류 겹침이송 감지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933B1 (ko) * 2010-07-15 2012-01-12 한국기계연구원 웜샤프트 베어링 유격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웜샤프트 베어링 유격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636B1 (ko) 스택롤러 및 스택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 및 그 방법
US9595153B2 (en) Medium handling apparatus
JP5487035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CN101274717B (zh) 存入多种纸介质的设备和方法
KR100758123B1 (ko) 지폐감별장치의 간격조절구조
KR101094512B1 (ko) 매체두께 감지장치 및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KR1012588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KR100836477B1 (ko) 이매검지부의 베어링 결합구조
JP5997018B2 (ja) 紙葉類厚み検出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KR2009006775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이매검지장치
KR20040031935A (ko) 지폐자동입출금기의 지폐두께감지장치
KR20110101664A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매체감지장치
KR101408575B1 (ko)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KR20140088958A (ko) 지폐 반송방향 절환 게이트의 위치 감지장치
KR100716068B1 (ko) 지폐인식모듈의 자성검출기구
KR200411492Y1 (ko) 잼 방지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07216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이매검지부 회전축 연결구조
KR100292372B1 (ko) 지폐자동입출금기의지폐두께검지장치
KR101117374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매체감지장치
KR102294704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집적장치
KR20070072257A (ko) 축 고정용 후크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093575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77574B1 (ko) 지폐 겹침이송 감지장치
KR20090073738A (ko)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