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145B1 - 어댑터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어댑터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145B1
KR100836145B1 KR1020070054769A KR20070054769A KR100836145B1 KR 100836145 B1 KR100836145 B1 KR 100836145B1 KR 1020070054769 A KR1020070054769 A KR 1020070054769A KR 20070054769 A KR20070054769 A KR 20070054769A KR 100836145 B1 KR100836145 B1 KR 10083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lever
slider
frame
stop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Original Assignee
이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주 filed Critical 이봉주
Priority to KR102007005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145B1/ko
Priority to US12/598,732 priority patent/US20100140421A1/en
Priority to PCT/KR2008/003081 priority patent/WO2008150086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스토퍼홈을 다단으로 가공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형성하고 이 슬라이더에 어댑터를 고정하며 이렇게 어댑터를 고정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프레임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조립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하여 어댑터의 하강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는 물림이빨을 가공하여 스톱레버를 형성하고 이 스톱레버의 좌우이동을 조작하는 레버조작구를 형성하여, 상기 스톱레버를 조립하고 있는 레버조작구를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은 항상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되도록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레버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은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되는 상태에서는 어댑터는 상하강이동이 불가능한 고정상태가 되며, 이물림이 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어댑터는 상하강이동이 자유로운 자유상태가 되도록 하여되는 어댑터의 승강장치임.
프레임, 어댑터, 슬라이더, 스톱레버, 레버조작구

Description

어댑터의 승강장치{Up-and-down apparatus of the adap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어댑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어댑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슬라이더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슬라이더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프레임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프레임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프레임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레버브라켓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스톱레버의 평면도.
도 13은 도 10의 E-E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스톱레버의 우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레버조작구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F-F선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레버조작구의 우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보조조작구의 분해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조립하여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이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 되어 있는 고정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건물천정에 매다는 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조립하여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이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서 빠저나오는 사용상태도.
도 22는 보조조작구를 장착하고 있는 어댑터의 승강장치의 조립상태도.
도 23은 보조조작구를 장착하고 있는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건물천정에 매다는 상태도.
도 24는 보조조작구를 장착하고 있는 어댑터의 승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저면도.
도 27은 도 25의 G-G선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레버의 평면도.
도 29는 도 28의 H-H선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스톱레버의 우측면도.
도 31은 종래의 어댑터의 승강장치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댑터 2, 8 : 슬라이더
3 : 프레임 4 : 레버브라켓
5, 9 : 스톱레버 6 : 레버조작구
본발명은 건물 천정에 스프링클러헤드와 같은 살수장치를 배관 하고자 하여 사용되는 어댑터를 천정에 매달때에 이 어댑터의 설정위치(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어댑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시에 불을 끄기 위하여 물을 살수 하거나 또는 농작물에 물을 분산 살수 하는데에는 스프링클러를 사용하고 또, 음료용 물을 급수 하기 위하여 수도꼭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이와같은 스프링클러나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배관을 하기 위하여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원으로부터 메인배관을 하고, 이 메인배관의 중간중간에 T이음쇠나 L보와 같은 관이음쇠를 연결하며 이 관이음쇠의 분기구에는 니플이나 플렉시블관과 같은 중간부재를 개재하여 배관목적물인 스프링클러나 수도꼭지(이하 스프링클러, 수도꼭지등과 같이 배관에 있어 최종적으로 연결하는 배관목적물을 총칭하여 "배관용도용품" 이라 정의함)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같은 배관용도용품인 스프링클러를 건물의 천정에 설치하는 천정설치배관을 할때에는, 천정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연결하기 전에, 먼저 천정에 어댑터를 고정하고, 이 어댑터의 한쪽에는 배관용도용품을 조립 연결하며 어댑터의 다른 한쪽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관이나 또는 주름관을 조립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도 31에는 종래에 소화용인 스프링클러헤드(배관용도용품)를 중간부재인 어댑터를 개재하여 건물천정에 배관하고 있는 것을 하나의 사용예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프레임 B를 고정못 K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천정 T1에 고정하고 어댑터 A를 상기 프레임 B의 홈 B1을 따라 상하강 운동이 가능 하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어댑터 A의 한쪽에는 캡너트 N을 사용하여 주름관 P를 연결하여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하고 있는 것이며, 어댑터 A의 다른 한쪽에는 스프링클러헤드 S를 조립하고 마감커버 C를 사용하여 석고보드천정 T2에 구멍 h를 덮어 막는다.
그런데 아파트나 주상복합세대별에 따라서 콘크리트천정 T1과 석고보드천정 T2와의 높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스프링클러헤드 S의 설치위치(높이)가 각각 다르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각각 다른 스프링클러헤드 S의 설치높이를 석고보드천정 T2의 위치와 정확하게 맞추지 아니하면 석고보드천정 T2의 겉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는 스프링틀러헤드 S의 돌출길이가 각각 다르게 되며, 이와같이 돌출길이가 일정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마감커버 C를 석고 보드천정 T2에 덮어 씌워도 석고보드천정 T2의 구멍 h를 깨끗하게 막지 못하는등 석고보드와 마감커버와의 틈새가 벌어져서 미장 마감이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헤드 S를 조립하는 어댑터 A의 설치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드라이버 D를 회전하여 높이조절볼트 E를 회전 시킴으로서 이 높이 조절볼트 E에 조립된 어댑터브라켓 A2를 상하강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서 어댑터브라켓 A2를 고정하고 있는 어댑터 A가 상하강 이동하도록 하여 어댑터 A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어댑터 A의 높이조절 작업을 위하여는 드라이버의 돌리는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며 이때 천정을 위로 쳐다보면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목이 아프게 되고 또한 석고보드천정 T2의 구멍 h가 조금만 작게 뚫려 있으면 높이 조절볼트 E의 볼트머리가 석고보드천정에 가려져서 작업자의 눈에 가려짐으로 드라이버 D의 볼트 머리를 맞추기가 매우 힘들며 드라이버가 경사지게 맞춰져 회전을 함으로서 회전시 드라이버가 빠지는등 드라이버 D의 회전작업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어 왔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발명 된 것으로, 본발명은, 스토퍼홈을 다단으로 가공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형성하여 이 슬라이더와 함께 어댑터를 프레임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조립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하는 기능을 하는 물림이빨을 가공하여 스톱레버를 형성하고, 또 상기 스톱레버의 좌우 이동을 조작하는 레버조작구를 형성하여, 상기 레버조작구의 조작에 따라 스톱레버가 좌우 이동을 하면서,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이 상기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 물림된 상태에서는 아무리 강한 수압이나 또는 순간 수압이 어탭터에 작용하더라도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 하고 있는 스톱레버가 슬라이더의 상, 하강 이동을 못하도록 붇잡고 있으므로, 어댑터는 더 이상의 상, 하강 이동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조작구의 간단한 조작으로 스톱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이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여 어댑터의 높낮이를 조정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댑터의 설치높 이 조정작업에 따른 작업공정이 매우 간단하면서 작업 시간이 짧게 되어 배관공사의 원가 절감에 많은 이익을 가져올수 있는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발명 된 것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는, 프레임에 어댑터가 조립되어 어댑터가 프레임을 따라서 상하강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몸체에 스토퍼홈을 다단으로 가공하여 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상하강운동을 안내하도록 된 몸체에 슬라이드홈과 힌지부를 가공하여 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몸체에 슬라이드홈을 가공하여 되는 레버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이동을 하는 몸체에 걸고리와 물림이빨을 가공하여 되는 스톱레버와, 이 스톱레버를 좌우이동을 조작하는 것으로 몸체에 걸고리끼움부와 힌지부를 가공하여 되는 레버조작구와, 스프링과를 구비하여, 스프링을 개재하여 스톱레버와 함께 레버조작구를 프레임에 힌지결합하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은 항상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되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하고 있는 어댑터의 승강장치는, 레버조작구의 조작으로 스톱레버는 좌우로 이동을 하면서, 물림이빨이 스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되는 정지상태(고정상태)와, 물림이빨이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서 빠저나와 슬라이더와 함께 어대터는 상하강이동이 자유로운 자유상태(해방상태)를 선택 할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천정에 고정하고 어댑터의 설치 높이를 조정하고자 할때에는, 프레임에 조립하고 있는 레버조작구를 조작하여 스톱레버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물림이빨이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서 빠져 나오도록 하므로서 슬라이더와 함께 어댑터가 프레임에서 상하강 운동이 자유로운 자유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자유상태에서 슬라이더와 함께 어댑터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어댑터의 정확한 설치높이를 조정하며, 어댑터의 정확한 설치높이가 선택 되었을 때에는 이 위치에서 어댑터를 정지시키고, 다시 레버조작구를 조작하여 스톱레버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물림이빨이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물리도록 하므로서 어댑터는 더 이상 상하강운동을 할수 없는 정지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레버조작구의 간단한 조작으로 어댑터의 설치위치(높이)를 용이하고도 빠르게 조정하고 또 이렇게 조정된 위치에서 어댑터는 더 이상의 상하강운동이 불가능한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어댑터에 배관용도용품을 고정하여 사용중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을 가하거나 순간적으로 강한 수압을 받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어댑터는 그 설치위치에서 더 이상의 상하강이동이 없는 높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것이다.
본원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적합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기재하고자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어댑터승강장치는, 다단으로 스토퍼홈을 가공한 슬라이더 2에 어댑터 1을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더 2를 프레임 3을 따라 상하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조립하며, 프레임 3에 스톱레버 5와 레버조작구 6을 조립하여, 레버조작구 6의 조작에 따라 스톱레버 5가 좌우 이동하면서 이 스톱레버 5의 물림이빨이 슬라이더 2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작용과 해방작용을 하면서, 상기 어댑터 1은 슬라이더 2와 함께 일정한 정지위치(높이)에서 정지하는 정지상태와 상하강운동이 자유로운 자유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사용되는 어댑터를 상면도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어댑터 1은 몸체 11에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을 연결하기 위한 물공급관연결부 12와 배관용도용품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용품연결부 13을 가공하고 있으며, 또 몸체 11에는 슬라이더 2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 15를 형성하여 이 고정부 15를 슬라이더 2에 고정 하도록 하고 있다.
도 3에서 도 5까지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어댑터를 고정하고 이렇게 고정된 어댑터와 함께 프레임을 따라 상하강운동을 하도록 하는, 슬라이더 2를 정면도와 저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 하고 있다.
슬라이더 2는, 몸체 21에 스토퍼홈 24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또 몸체 21에는 상기 어댑터 1을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고정부 25를 가공하고 있는 것으로, 이 어댑터고정부 25는 그 상단에 어댑터끼움홈 25a을 가공하고 하단에 어댑터고정홈 25b를 가공하여, 상기 어댑터끼움홈 25a를 통하여 상기 어댑터의 고정부 15를 끼운다음 어댑터 1을 하강시켜서 어댑터고정홈 25b에 어댑터 1을 단단히 고정 하도록 하고 있다.
도 6에서 도 9까지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상기 어 댑터 1과 함께 슬라이더 2를 상하강 운동이 가능하게 조립하는 프레임 3을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 3은, 프레임 3을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고정부 3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31에는 상기 슬라이더 2를 조립하여 슬라이더 2의 상하강 운동을 안내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 33이 가공 되어 있으며, 또 몸체 31에 스톱레버 5가 좌우로 슬라이드운동을 자유롭게 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드홈 35가 가공되어 있으며 또한 프레임몸체 31의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조작구 6을 힌지조립하기 위한 힌지부 36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몸체 31의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조작구 6을 손이나 또는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는 보조조작구 7(추후설명)을 조립하기 위한 보조조작구가이드부 78이 가공 되어 있으며, 만일 레버조작구 6을 보조조작구 7로 조작하지 아니하고, 손이나 공구를 사용하여 직접 레버조작구 6을 조작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조작구가이드부 78은 생략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스톱레버 5의 좌우 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하고 있는 레버브라켓 4를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레버브라켓 4는, 몸체 41에 슬라이드홈 45를 가공하되, 이 슬라이드홈 45는 프레임 3에 가공하고 있는 슬라이드홈 35와 그 가공형상 및 가공크기와 유사하게 하여, 슬라이드홈 45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 할것이며, 이렇게 형성하고 있는 레버브라켓 4는 프레임 3에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고정방법은 용접(W)이나 기타 종래에 알려지고 있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레버브라켓 4를 프레임 5에 고정 할때에는 레버브라켓 4의 슬라이드홈 45와 프레임 3의 슬라이드홈 35와는 거의 동일한 수평위치를 갖도록 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 할것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있어 스톱레버 5는 레버조작구 6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3의 슬라이드홈 35과 레버브라켓 4의 슬라이드홈 45를 따라 좌우 이동을 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스톱레버 5는 가능한 한 수평위치를 유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을 하면서, 스톱레버 5의 물림이빨 54가 슬라이더 2의 스토퍼홈 24에 이물리도록 하는 것이 어댑터 1의 정지위치와 자유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할수 있으며 또한 보다 강력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방법에 의해 스톱레버 5의 이물림운동 또는 해방운동을 정확하게 할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같이 반드시 수평위치를 유지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도 12에서 도 14까지에는 상기 프레임 3에 조립되여 슬라이더 2의 스토퍼홈 24에 이물림이 되도록 하여 슬라이더 2의 상하강운동을 제어 하도록 하기 위한 스톱레버 5를 평면도와 단면도 및 우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스톱레버 5는, 몸체 51에 레버조작구 6에 걸어 끼우기 위한 걸고리 53을 가공하고 있으며, 또한 몸체 51의 끝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 2의 스토퍼홈 24에 이물림이 되도록 하는 물림이빨 54가 가공되어 있다. 도 13에는 물림이빨 54를 상하단으로 하여 2개의 물림이빨을 가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배관용도용품의 사용중 상 또는 하에서 작용하는 강력한 수압에도 확실한 정지위치에서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 할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으로 만일 어댑터의 확실한 고정상태의 유지가 가능 한경우에는 한 개의 물림이빨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도 15에에서 도 17까지에는 상기 스톱레버 5의 좌우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조작구 6을 평면도와 단면도 및 우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레버조작구 6은 몸체 61의 상단부에 상기 스톱레버 5의 걸고리 53을 끼워넣기 위한 걸고리조립부 63을 가공하고 있으며 또, 몸체 61에는 상기 프레임 3에 형성하고 있는 힌지부 36에 힌지조립하기 위한 힌지부 66을 가공하고, 몸체 61의 하단부에는 보조조작구 7을 조립하기 위한 구멍 67을 가공하고 있으며, 만일 보조조작구 7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멍 67은 가공을 생략하여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힌지부 36과 66을 힌지조립하기 위하여 힌지핀 p와 스프링 s를 준비한다.
도 18에는 레버조작구 6을 직접 손이나 공구로 조작하는 것보다는 상기 레버조작구 6에 보조조작기구를 개재하여 레버조작구 6을 조작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로 형성하고 있는 보조조작구 7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조조작구 7은 조작끈 71을 준비하고 이 조작끈 71의 꼭지부분에는 꼭지고정구 73을 가공하며, 조작끈 71의 이동방향을 변환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부 74를 형성하여 이 가이드부 74는 상기 프레임 3의 몸체 31의 하단부(도8참조)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 가이드부 74에는 조작끈 71을 끼우기 위한 가이드구멍 75를 가공하며, 상기 조작끈 71을 걸어매기 위하여 조작손잡이 76을 형성한다.
삭제
그리고 부호 78은 상기 조작끈 71을 조작손잡이 76에 걸어매는 매듭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매듭 78은 조작끈 71을 상기 레버조작구 6의 구멍 67과 상기 가이드구멍 75에 끼워 관통시키고 이렇게 관통하여 나오는 조작끈 71의 끝단을 직접 조작손잡이 76에 걸어매거나, 조작끈 71과 조작손잡이 76의 사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제로 접합성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도 19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조립하여 스톱레버 5가 슬라이더 2를 걸어 물고 있는 조립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는, 슬라이더 2의 어댑터고정부 25에 어댑터 1의 고정부 15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더몸체 21을 상기 프레임 3의 몸체 31과 가이드부 33과의 사이에 끼워, 상기 슬라이더 2는 어댑터 1과 함께 프레임 3에서 상하강이동이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레버 5의 몸체 51을 프레임 3의 슬라이드홈 35에 끼워넣고 스톱레버 5의 걸고리 53을 레버조작구 6의 걸고리조립부 63에 끼운 상태로 레버조작구 6의 힌지부 66을 스프링 s와 힌지핀 p를 개재하여 프레임 3의 힌지부 36에 힌지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레버브라켓 4를 프레임 3의 용접자리(W)에 용접고정한다.
이와같이 스프링 s를 개재하여 2개의 힌지부 36과 66을 조립하면, 힌지핀 p를 중심으로 하여 레버조작구 6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s의 확장력이 작용하여 레버조작구 6의 하단부는 프레임 3으로부터 벌어지려고 하는 스프링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레버조작구 6의 상단부는 프레임 3쪽으로 향하는 스프링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레버조작구 6은 스톱레버 5의 걸고리 53을 슬라이더 2쪽으로 밀어 부치게 되며 이에따라 스톱레버 5의 물림이빨 54는 슬라이더2의 스토퍼홈 24에 이물림 상태로 조립 되면서 슬라이더 2와 함께 어댑터 1은 항상 정지상태에서 고정 되는 것이다.
도 20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건물천정에 설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 하고 있다.
어댑터 1을 슬라이더 2에 고정하고 이 슬라이더 2는 상기 프레임 3의 가이드부 33을 따라 상하강 운동이 가능 하도록 조립하며, 스톱레버 5와 레버조작구 6을 프레임 3에 끼워 조립하여 되는 본원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는, 프레임 3의 고정부 32를 고정못 K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천정 T1에 고정하고, 어댑터 1의 한쪽에는 캡너트 N을 사용하여 주름관 P를 연결한다.
이와같이 어댑터 1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고 나면 이 어댑터 1의 배관용도용품연결구 13에 스프링클러헤드 S를 조립하고 마감커버 C를 사용하여 석고보드천정 T2에 구멍 h를 덮어 막는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조립상태에서는 스프링클러나 어댑터 등 기타 배관부품에 아무리 강하고 충격적인 외압이나 또는 내부의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스톱레버 5의 물림이빨 54는 슬라이더 2의 스토퍼홈 24에 이물림 된 상태로 스토퍼홈 24에서 절대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꽉 물려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2 즉 어댑터 1은 상하강 이동을 하지 못하고 제자리의 정지위치에서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사용 할수 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1에는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사용하여 어댑터를 설치위치에 맞추는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위와같이 프레임 3이 천정에 고정된 상태에서 어댑터 1의 설치위치가 알맞지 않을 때에는, 한손으로 어댑터 1을 받치고 이상태에서 손이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스프링 s의 스프링력보다 강한 함으로 레버조작구 6을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레버조작구 6의 몸체 61의 상단부는 우측(도면에서 보아)으로 이동하면서 스톱레버 5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스톱레버의 물림이빨 54는 슬라이더의 스토퍼홈 24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슬라이더 2는 어댑터 1과 함께 상하강운동이 자유로운 자유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자유상태에서 어댑터 1을 사람의 조작으로 상하강 이동시키면서 어댑터 1의 정확한 설치위치를 조정하고, 정확한 설치위치가 결정되면 이 위치에서 지금까지 레버조작구 6을 당기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 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조작구 6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스톱레버 5의 물림이빨 54는 슬라이더 2의 스토퍼홈 24에 이물림 되면서 슬라이더와 함께 어댑터 1은 더 이상 상하강이동이 불가능한 정지상태에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지상태에서는 어댑터 1 이나 또는 슬라이더 2에 아무리 강한 외력이나 충격을 가하거나 또는 어댑터 1을 포함하여 모든 배관부재에 충격적인 내부 수압이 작용 하더라도 어댑터 1 또는 슬라이더 2는 더 이상의 상하강 운동을 할수 없는 고정상태를 확실하게 유지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2에는 레버조작구 6에 보조조작구 7을 조립하고 있는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다.
레버조작구 6에 보조조작구 7을 장착할때에는 보조조작구 7의 가이드부 74를 프레임몸체 31에 고정하고, 조작끈 71을 레버조작구 6의 구멍 67과 가이드부 74의 가이드구멍 75를 관통하여 뽑아 낸다음 조작끈 71의 끝단을 조작손잡이 76에 고정하는 매듭 78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도 23에는 도 22에 도시하고 있는 어댑터의 승강장치를 건물천정에 매달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도 24에는 보조조작구 7을 사용하여 어댑터를 설치위치에 맞추는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보조조작구 7의 조작손잡이 76을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레버조작구 6은 힌지핀 p를 중심으로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도 2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어댑터 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며, 어댑터 1의 고정높이가 정하여 지면 이번에는 조작손잡이 76을 잡아 당기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레버조작구 6은 최초의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상기 도 21과 같은 방법으로 어댑터 1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5에서 도 27까지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에 있어, 프레임을 따라 상하강운동을 하도록 하는, 슬라이더의 다른 실시예를 정면도와 저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 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8은, 몸체 81에 스토퍼홈 84를 다단으로 가공하되 이와같이 가공하고 있는 다단 스토퍼홈 84를 2줄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며, 이는 스토퍼홈을 2줄 이상 복수로 형성하여 스톱레버의 이물림개소를 확장하므로서 슬라이더의 설치위치(고정높이)를 작은 치수로 정밀하게 세분화 하여 가공할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슬라이더나 어댑터등에 강한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의 수압이 가하여 지더라도 슬라이더와 함께 어댑터는 정지위치에서의 고정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 할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몸체 81에는 상기 어댑터 1을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고정부 85를 가공하고 있는 것으로, 이 어댑터고정부 85는 그 상단에 어댑터끼움홈 85a를 가공하며 하단에 어댑터고정홈 85a를 가공하고, 상기 어댑터끼움홈 85a를 통하여 상기 어댑터의 고정부 15를 끼운다음 어댑터 1을 하강시켜서 어댑터고정홈 85b에 어댑터 1을 단단히 고정 하도록 하고 있다.
도 28에서 도 30까지에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8에 맞춰 이물림을 할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는 스톱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도와 단면도 및 우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레버 9는, 몸체 91에 레버조작구 6의 걸고리조립부 63에 걸어 끼우기 위한 걸고리 93을 가공하고 있으며, 또한 몸체 끝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 8의 2줄 스토퍼홈 84에 이물림이 되도록 하는 물림이빨 94를 2게소에 가공하고 있는 점에 있어 특징을 갖이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을 상단과 하단에 이중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슬라이더에 가공하고 있는 다단 스토퍼홈을 2줄 이상 복수줄로 형성하므로서, 스프링클러의 최초의 사용시 또는 계속적인 사용중에도 또한 어떠한 강한 충격이나 내부 압력에 의해서도 한번 설치위치를 맞춰 고정된 스프링클러는 절대로 설치위치가 벗어나는 현상은 일어 나지 아니 하는 것으로 고정상태를 보다 강력하게 유지 할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삭제
본원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승강장치는, 스토퍼홈을 다단으로 가공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형성하고 이 슬라이더에 어댑터를 고정하며 이렇게 어댑터를 고정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프레임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조립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하여 어댑터의 하강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된 스톱레버를 형성하고 이 스톱레버를 레버조작구에 의해 좌우로 이동을 시키면서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이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되는 정지상태(고정상태)와 이물림이 되지 아니하는 자유상태(해방상태)를 선택적으로 선택 할수 있도록 하여 형성하여, 레버조작구를 조작하여 스톱레버가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서 빠져 나오도록 하므로서 슬라이더와 함께 어댑터가 프레임에서 상하강 운동이 자유로운 해방상태가 되도록 하고, 다시 레버조작구를 조작하여 스톱레버가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되도록 하므로서 어댑터는 더 이상 상하강운동을 할수 없는 고정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레버조작구의 간단한 조작으로 어댑터의 설치위치(높이)를 용이하고도 빠르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의 설치높이 조정작업에 따른 작업공정이 매우 간단하면서 작업 시간이 매우 짧게 되어 작업 인원도 감축되는등 배관작업의 간단화와 함께 작업시간 단축과 배관 원가 절감에 많은 이익을 가져올수 있는것이며, 또한 어댑터의 설치후 사용중,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는 경우에나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강한 수압에도 어댑터는 더이상의 상하강이동을 하는 일이 없이 정확한 설치위치에서 어댑터는 고정높이를 확실하게 유지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몸체에 어댑터고정부와 다단 스토퍼홈을 가공하여 되는 슬라이더와, 몸체에 가이드부와 스톱레버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과 레버조작구를 조립하는 힌지부를 가공하여 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몸체에 스톱레버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을 가공하여 되는 레버브라켓과, 몸체에 걸고리를 가공하고 이 몸체의 끝단에는 물림이빨을 가공하여 되는 스톱레버와, 몸체에 상기 걸고리를 끼우는 걸고리조립부와 힌지부를 가공하여 되는 레버조작구와 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를 고정한 슬라이더는 상기 프레임에 상하강이동이 가능하게 조립하며, 상기 스톱레버를 레버조작구에 조립한 상태로 상기 레버조작구의 힌지부를 스프링을 개재하여 프레임의 힌지부에 조립하면, 스프링에 의해 스톱레버는 항상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쪽으로 향하도록 스프링력이 작용하여,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은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되는 고정상태가 되도록 하며, 레버조작구를 조작하여 스톱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을 슬라이더의 스토퍼홈에서 뽑아 내어 이물림이 되지 아니하는 자유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끈과 꼭지고정구와 가이드구멍을 가공한 가이드부와 조작손잡이를 구비한 보조조작구를 형성하고, 이 보조조작구의 조작끈을 상기 레버조작구의 구멍과 보조조작구의 가이드구멍에 끼워 관통하고 이렇게 관통하여 나오는 조작끈의 끝단을 조작손잡이에 걸어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다단 스토퍼홈을 복수의 줄로 가공하며, 상기 스톱레버의 물림이빨은 상기 슬라이더에 복수의 줄로 가공하고 있는 다단 스토퍼홈에 이물림이 가능 하도록 복수개의 물림이빨을 가공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승강장치.
KR1020070054769A 2007-06-05 2007-06-05 어댑터의 승강장치 KR10083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769A KR100836145B1 (ko) 2007-06-05 2007-06-05 어댑터의 승강장치
US12/598,732 US20100140421A1 (en) 2007-06-05 2008-06-02 Up-and-down apparatus of the adapter
PCT/KR2008/003081 WO2008150086A2 (en) 2007-06-05 2008-06-02 Up-and-down apparatus of the adap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769A KR100836145B1 (ko) 2007-06-05 2007-06-05 어댑터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145B1 true KR100836145B1 (ko) 2008-06-09

Family

ID=3977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769A KR100836145B1 (ko) 2007-06-05 2007-06-05 어댑터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40421A1 (ko)
KR (1) KR100836145B1 (ko)
WO (1) WO20081500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4526B2 (ja) * 2016-04-06 2018-09-05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継手用台座
JP6880495B2 (ja) * 2017-03-30 2021-06-02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継手用台座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1707A (ko) * 1991-04-26 1993-06-12 오일 이송 파이프용 서스펜션 기구
KR970016182A (ko) * 1995-09-11 1997-04-28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클램프
KR19990011203A (ko) * 1997-07-22 1999-02-18 박병재 파이프 고정클립
KR20060119070A (ko) * 2005-05-18 2006-11-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배관 고정용 클립
KR20070060440A (ko) * 2005-12-08 2007-06-13 황춘석 복합화력발전소용 지관의 지지부재
KR20070077884A (ko) * 2006-01-25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 서포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2524A (en) * 1950-05-23 1952-07-08 Joshua E Shirley Remote-control system for cars moving in a defined path of travel
US4051525A (en) * 1976-05-17 1977-09-27 Anderson Safeway Guard Rail Corporation Raisable and lowerable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US4158490A (en) * 1976-11-11 1979-06-19 Panavision, Incorporated Body-mounted support device for motion picture camera
US5113768A (en) * 1991-03-15 1992-05-19 Brown Garrett W Cable-suspende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abilized camera assembly
JPH08238331A (ja) * 1995-03-03 1996-09-17 Hochiki Corp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配管継手
US7004043B2 (en) * 2000-04-04 2006-02-28 Videolarm, Inc. Elevated support pole with automatic electrical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JP2002239024A (ja) * 2001-02-16 2002-08-27 Nippon Kokan Pipe Fittings Mfg Co Ltd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固定金具
KR20050015090A (ko) * 2003-08-02 2005-02-21 권영우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1707A (ko) * 1991-04-26 1993-06-12 오일 이송 파이프용 서스펜션 기구
KR970016182A (ko) * 1995-09-11 1997-04-28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클램프
KR19990011203A (ko) * 1997-07-22 1999-02-18 박병재 파이프 고정클립
KR20060119070A (ko) * 2005-05-18 2006-11-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배관 고정용 클립
KR20070060440A (ko) * 2005-12-08 2007-06-13 황춘석 복합화력발전소용 지관의 지지부재
KR20070077884A (ko) * 2006-01-25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 서포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0421A1 (en) 2010-06-10
WO2008150086A2 (en) 2008-12-11
WO2008150086A3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KR100882550B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US10072689B2 (en) Stanchion systems, stanchion attachment systems, and horizontal lifeline systems including stanchion systems
KR100836145B1 (ko) 어댑터의 승강장치
RU2289670C1 (ru) Извлекаемый отклонитель
JP4225367B1 (ja) スプリンクラー装置を天井パネルに対して固定する固定装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100751893B1 (ko) 천정재 부착용 행거
KR20100001841U (ko) 스프링클러의 엘보우와 브라켓의 연결구조
KR200314392Y1 (ko) 스프링클러 플렉시블 죠인트용 고정장치
KR20080040948A (ko) 연질 파이프와 이음관 연결공구
KR100831561B1 (ko) 어댑터의 승강장치
KR20110003618A (ko) 어댑터의 승강장치
KR100885091B1 (ko) 어댑터의 승강장치
KR200481641Y1 (ko)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JP6289810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下地材支持構造
KR20190076804A (ko) 승강조절 고정장치
KR20150003850U (ko) 생명줄 고정장치
JP3818593B2 (ja) 建築工事用安全索の案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索取付構造
KR101373042B1 (ko)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KR20070121967A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사의 상하승강을 유도하는 조절커버
KR200439219Y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CN214789468U (zh) 一种消防管道安装结构
JP7074979B2 (ja) 支持金具用取付け工具
KR100918096B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17

Effective date: 200907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923

Effective date: 201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