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042B1 -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042B1
KR101373042B1 KR1020120115523A KR20120115523A KR101373042B1 KR 101373042 B1 KR101373042 B1 KR 101373042B1 KR 1020120115523 A KR1020120115523 A KR 1020120115523A KR 20120115523 A KR20120115523 A KR 20120115523A KR 101373042 B1 KR101373042 B1 KR 10137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stopper
rail
cab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주
이용미
Original Assignee
이용미
최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미, 최석주 filed Critical 이용미
Priority to KR102012011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연결되는 승강브라켓과 복수이 지지턱이 구지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브라켓에 지지되면서 일측에 스프링쿨러가 연결되는 레일 및 상기 승강브라켓과 레일 사이에 탄성설치되어 일측에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양측이 승강브라켓과 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접촉토록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케이블의 견인시 스토퍼가 지지턱에서 접촉및 이탈되면서 스프링쿨러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a sprinkler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물에 연결되는 승강브라켓과 복수이 지지턱이 구지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브라켓에 지지되면서 일측에 스프링쿨러가 연결되는 레일 및 상기 승강브라켓과 레일 사이에 탄성설치되어 일측에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양측이 승강브라켓과 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접촉토록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케이블의 견인시 스토퍼가 지지턱에서 접촉및 이탈되면서 스프링쿨러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시에 불을 끄기 위하여 물을 살수 하거나 또는 농작물에 물을 분산 살수 하는데에는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원으로부터 배관목적물인 스프링클러헤드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의 흐름통로가 되는 물공급관을 형성하며, 이 물공급관의 끝단부에 니플이나 레듀서와 같은 관이음요소를 연결하고, 이렇게 구성된 배관용품의 끝단부에 최후의 배관목적물인 스프링클러헤드를 연결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관용품과 스프링클러헤드를 건물의 천정에 설치하는 천정설치를 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배관용품과 스프링클러헤드를 고정하기 위한 배관용품고정장치를 형성하여 이 배관용품고정장치를 천정콘크리트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공개특허 제2010-86820호에 배관용품 고정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배관용품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고정구(6)의 고정부를 슬라이더(2)의 슬라이더몸체(21)에 용접고정하고, 상기 클램프고정구(6)를 고정하고 있는 슬라이더(2)는 프레임(3)에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조립하며, 상기 슬라이더(2)의 스토퍼홈(24)에 이물림되거나 또 이물림을 해제하도록 하는 스톱레버(5)와, 이 스톱레버(5)를 좌우이동을 조작하는 레버조작구(4)를 스프링(S)과 힌지핀(P)을 개재하여 조립하여, 스프링(S)에 의해 상기 스톱레버(5)는 항상 슬라이더(2)의 스토퍼홈(24)에 이물림이 되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배관용품 고정장치는, 상기 레버조작구(4)를 조작하여 스톱레버(5)를 좌우 이동을 하면서 스톱레버(5)가 슬라이더(2)의 스토퍼홈(24)에 이물림이 되는 정지상태(고정상태)와 스톱레버(5)가 슬라이더(2)의 스토퍼홈(24)에서 빠저나와 슬라이더(2)는 승하강이동이 자유로운 자유상태(해방상태)를 선택 할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더(2)와 함께 클램프고정구(6)은 고정상태와 승하강운동이 자유로운 자유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관용품 고정장치는, 스톱레버(5)에 별도의 레버조작구(4)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프레임(3)의 외측에 스톱레버(5) 및 레버조작구(4)가 노출되어 보관시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됨은 물론 설치시 주변물체와의 간섭으로 정확한 동작이 힘들게 되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조립공수및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며, 레버조작구(4)를 통하여 스톱레버(5)를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슬라이더(2)의 정확한 동작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을 단순화 시켜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고, 보관 및 현장 설치과정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부품수를 최소화 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하고, 부품의 외부누출에 따른 파손 및 설치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하며, 스프링쿨러의 신속한 위치결정 및 견고한 지지가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연결되는 승강브라켓과 복수이 지지턱이 구지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브라켓에 지지되면서 일측에 스프링쿨러가 연결되는 레일 및 상기 승강브라켓과 레일 사이에 탄성설치되어 일측에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양측이 승강브라켓과 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접촉토록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의 견인시 스토퍼가 지지턱에서 접촉및 이탈토록 설치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강브라켓은 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면서 걸림턱이 절곡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쿨러는, 일측에 관통되는 드레인공이 형성되어 밀폐나사가 연결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스토퍼는 일측에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승강브라켓에 형성되는 고정편의 지지홀에 관통연결되어 연속 지지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관통홈의 일측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위치결정요홈 및 슬라이딩블럭이 구비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없이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하는 연결구조를 통하여 구성을 단순화 시켜 수율을 높이고, 연결부의 외부 노출이 없어 보관 및 현장 설치과정에서의 불량을 방지하며, 부품수를 최소화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부품의 외부누출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 하며, 스프링쿨러의 신속한 위치결정 및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스프링쿨러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도이다.
도4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및 요부 연결상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도이며, 도4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및 요부 연결상태 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쿨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건축물에 연결되는 승강브라켓(110)과 복수이 지지턱(131)이 구지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브라켓(110)에 지지되면서 일측에 스프링쿨러(200)가 연결되는 레일(130) 및 상기 승강브라켓(110)과 레일(130) 사이에 탄성설치되어 일측에 케이블(210)이 연결되면서 양측이 승강브라켓(110)과 레일(130)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각각 접촉토록 설치되는 스토퍼(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케이블(210)의 견인시 스토퍼(170)가 지지턱(131)에서 접촉및 이탈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브라켓(110)은, 케이블(210)이 통과하는 관통홈(111)이 형성되면서 걸림턱(113)이 절곡된다.
또한, 상기 승강브라켓(110)은, 상기 스토퍼(170)가 지지되면서 스프링(171)을 지지하는 고정편(117)이 내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쿨러(200)는, 일측에 관통되는 드레인공(210)이 형성되어 밀폐나사(230)가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스토퍼(170)는, 타측이 지지턱(131)에 지지되면서 일측에는 가이드핀(175)이 돌출되어 승강브라켓에 형성되는 고정편(117)의 지지홀(117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관통홈(111)의 일측에 케이블(210)을 지지하는 위치결정요홈(251) 및 슬라이딩블럭(255)을 갖는 케이블작동편(25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레일(130)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위치결정되면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건축물의 천정 등에 승강브라켓(110)을 고정한 후 케이블(210)을 당기게 되면서 상기 케이블(210)에 직접 연결되는 스토퍼(170)의 레일(130)에 대한 지지력이 상실되어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면서 스프링쿨러가 고정되는 레일(130)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스프링쿨러(2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210)을 놓으면 스프링(171)의 탄성에 의해 스토퍼(170)가 복원되면서 레일(130)을 지지하여 레일(130)에 연결되는 스프링쿨러(200)의 하강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30)에는 그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턱(131)이 구비되어 스토퍼(170)가 밀착될 때 레일(130)의 하향을 방지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승강브라켓(110)과 레일(130)은 별도의 구성품 없이 승강브라켓(110)의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걸림턱(113)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레일(130)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상호 연결이 가능토록 되어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70) 역시 승강브라켓(110)의 일측에 내측을 향하여 절곡형성되면서 스프링(171)의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편(117)을 통하여 지지되어 연결구조를 단순화 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170)는 스프링을 통하여 승강브라켓(110)에 탄성 지지될 때 타측이 지지턱(131)에 지지되면서 일측에 돌출되는 가이드핀(171)이 고정편(117)의 지지홀(117a)에 삽입되어 외력의 작용시에도 움직임 없이 수직방향으로만 슬라이딩토록 되어 케이블(210)의 힘이 작용할 때 스토퍼가 지지턱에 밀착되거나 이탈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70)는, 양측이 승강브라켓(110)과 레일(130)에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승강브라켓과 레일의 일측에 각각 접촉토록 됨으로써 승강브라켓의 수직방향에서 이동하면서 레일의 이송을 제한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브라켓(110)에는 케이블(210)이 통과하는 관통홈(111)이 형성되어 스토퍼(170)에 연결되는 케이블(210)이 지지되어 하향되는 힘을 측면방향으로의 힘으로 변환시킨다.
더하여, 상기 관통홈(111)의 일측에 케이블(210)을 지지하는 위치결정요홈(251) 및 소정의 경사를 갖는 슬라이딩블럭(255)을 갖는 케이블작동편(250)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케이블(210)에 작용하는 마찰을 최소화 하면서 힘의 전달이 용이하게 적은 힘으로도 동작이 가능토록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쿨러(200)는, 일측에 관통되는 드레인공(210)이 형성되어 밀폐나사(23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스프링쿨러의 드레인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110...승강브라켓 130...레일
131...지지턱 170...스토퍼
171...스프링 200...스프링쿨러
210...케이블 230...드레인공
231...밀폐나사

Claims (5)

  1. 건축물에 연결되면서 지지홀을 갖는 고정편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브라켓;
    복수이 지지턱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브라켓에 지지되면서 일측에 스프링쿨러가 연결되는 레일;
    상기 승강브라켓과 레일 사이에 탄성설치되어 일측에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양측이 승강브라켓과 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접촉토록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케이블의 견인시 스토퍼가 지지턱에서 이탈되면서 스프링쿨러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일측에 가이드핀이 돌출되어 승강브라켓에 형성되는 고정편의 지지홀에 관통연결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브라켓은 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면서 걸림턱이 절곡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의 일측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위치결정요홈 및 슬라이딩블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쿨러는, 일측에 관통되는 드레인공이 형성되어 밀폐나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KR1020120115523A 2012-10-17 2012-10-17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KR10137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23A KR101373042B1 (ko) 2012-10-17 2012-10-17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23A KR101373042B1 (ko) 2012-10-17 2012-10-17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042B1 true KR101373042B1 (ko) 2014-03-13

Family

ID=5064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23A KR101373042B1 (ko) 2012-10-17 2012-10-17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0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983A (ko) * 2006-11-08 2008-05-14 고려피팅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20100006171U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알파티엔씨 헤드에 배수장치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983A (ko) * 2006-11-08 2008-05-14 고려피팅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20100006171U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알파티엔씨 헤드에 배수장치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US10328296B2 (en) Bracket for installation of a fire protection sprinkler
KR100705046B1 (ko)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098882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KR200473891Y1 (ko) 배관 고정구
KR101373042B1 (ko) 스프링 쿨러 어셈블리
KR20160019717A (ko)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ES2927114T3 (es) Elemento de disposición de fontanería con soporte de tubo y método de conexión de tuberías de soporte de elementos de disposición de fontanería
KR200314392Y1 (ko) 스프링클러 플렉시블 죠인트용 고정장치
KR20100001841U (ko) 스프링클러의 엘보우와 브라켓의 연결구조
KR20090008679U (ko) 소방쿨러 설치용 엘보브래킷 어셈블리
JP200825356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固定金具
KR100717424B1 (ko) 건축천장 전기설비 배관 높이조절장치
KR101556475B1 (ko)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US9662667B2 (en) Fastening system for installation shower heads
KR100769237B1 (ko) 발코니 난간용 방화유리 고정구
KR20190076804A (ko) 승강조절 고정장치
KR20220132752A (ko) 천장 배관 가대용 엘보우 찬넬
KR101807675B1 (ko) 반도체 장비 셋업 보조 구조물
KR101263484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JP2008011869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継手の構造
KR101576742B1 (ko) 스프링쿨러 조인트 고정용 사이드 브라켓
KR200483237Y1 (ko) 배관 고정 장치
JP2015094152A (ja) 竪樋支持具、竪樋支持具の設置方法
JP2016002349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位置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