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42B1 -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42B1
KR100835342B1 KR1020060002252A KR20060002252A KR100835342B1 KR 100835342 B1 KR100835342 B1 KR 100835342B1 KR 1020060002252 A KR1020060002252 A KR 1020060002252A KR 20060002252 A KR20060002252 A KR 20060002252A KR 100835342 B1 KR100835342 B1 KR 10083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ragrance
mix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287A (ko
Inventor
김성미
양진
Original Assignee
양진
김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 김성미 filed Critical 양진
Priority to KR102006000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4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sme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20 내지 40중량부, 보습제 0.5 내지 9중량부, 유화제 3 내지 17중량부, 정유(essential oil) 0.1 내지 2 중량부, 젤라틴 1 내지 10중량부, 젤란검(Gellan gum) 0.05 내지 0.9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래의 액상 방향제를 포함한 방향제 제품에 비해 포장 과정 등의 제조 과정이 간편하고 사용자들 역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그 성질 및 형태가 변질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들만을 위주로 이루어져, 피부에 직접 닿거나 심지어 먹는 경우에도 인체에 아무런 해가 없는 겔상의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방향, 방향제, 겔, 젤라틴, 정유

Description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GELLED AROMA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겨 제공되어, 일정 장소에서 장기간동안 지속적으로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겔(gel) 상으로 제조되는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특정 물체나 공간으로부터 향기를 발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방향제 제품이 제공되어 왔다. 그 중에는 특정물로부터 향기를 발산시키기 위해 바르거나 뿌리는 형태로 해당 특정물의 표면에 방향 성분을 점착시키는 종류, 일정한 공간 내에 있는 자들로 하여금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 중으로 방향 성분을 발산시키는 종류 등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일시적으로 향기를 내기 위해 스프레이 방식으로 액상의 방향 성분이 공기 중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형태, 일정 공간 내의 특정 위치에 놓여 비교적 장기간 동안 균일하게 지속적인 향기를 내기 위해 휘발성 있는 액상, 고상의 방향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의 방향제 제품 등이 제공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형태의 방향제 제품 중 일정 공간 내의 특정 위치 에 놓여 비교적 장기간 동안 균일하게 지속적인 향기를 내기 위한 형태의 방향제 제품과 관련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방향제 제품을 구성하는 방향제로서, 공기 중으로 쉽게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강한 액상의 성분이 사용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때에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안정적으로 담아 제공하면서도, 공기 중으로의 성분 발산에 의한 방향 기능은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액상 물질에 대해서는 물질 투과를 제한하는 반면, 상기 액체가 기화되어 외부로 발산될 수는 있도록 하는 특수한 형태의 밀폐 용기를 구비한 방향제 제품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 흔히 사용되는 형태의 용기로서, 용기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차단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은 내부 공간의 액체상의 방향제에 닿고, 타단은 상기 용기의 외부로 노출된 심지를 포함한 형태나, 용기의 입구부를 덮는, 액체의 투과를 막고 기화된 기체만 투과시키는 특수재질의 막을 포함한 형태로 구성된 것들이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상술한 액상의 방향제를 포함한 방향제 제품의 경우 특수한 구조, 형태를 가지거나, 특수한 재질의 부재를 포함한 용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특성상, 용기의 제조 및 제품 포장 공정 등에 까다로운 면이 있었으며, 아무리 밀폐를 잘하였다 하더라도 용기를 운반하거나, 용기가 넘어지는 등의 경우 액체 상태의 성분이 용기 밖으로 흐르거나 넘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곤 하였으므로 보관, 운반 상의 어려움도 따랐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형태로서, 고체 상태의 방향제를 포함한 방향제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방향제로서는 방향 성분을 포함한 각종 화학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고체 덩어리 상태로 제조된 방향제를 이용한 것이 일반적인데, 고상의 방향제의 방향 성분이 기상으로 곧바로 승화되며 공기 중으로 발산되는 성질을 이용하며, 방향제가 유동되거나 흘러 넘치지 않으므로 앞선 예에서와는 달리 밀폐 형태의 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장소 이동 및 보관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어 이동하는 자동차 안 등 다소 불안정한 장소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하기에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상의 방향제의 경우에도 40 ℃ 이상의 비교적 높은 온도가 지속될 경우 액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방향제를 포함한 방향제 제품에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밀폐성이 떨어지는 용기의 구조로 인해 방향제의 액화는 곧 주변 공간의 오염으로 이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술한 많은 형태의 방향제 제품에서 방향제들은 다량의 화공 성분들을 포함하며 이 중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들 역시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성분들이 인체 표면에 직접 닿는 등의 경우 좋지 않은 부작용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판단력이나 학습의 정도가 부족한 미취학의 아이들의 경우 방향제 특유의 좋은 향기로 인해 몸에 해로운 방향제 내용물을 먹어버리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어 이러한 경우 인체에 심각한 손상을 가할 위험성 역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방향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관, 이동 등 이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며,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들로 이루어져, 피부에 직접 닿거나, 심지어 먹는 경우에도 인체에 아무런 해가 없는 천연 성분 위주로 이루어진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20 내지 40중량부, 보습제 0.5 내지 9중량부, 유화제 3 내지 17중량부, 정유(essential oil) 0.1 내지 2 중량부, 젤라틴 1 내지 10중량부, 젤란검(Gellan gum) 0.05 내지 0.9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소취제 2 내지 9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부제 0.1 내지 4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식용색소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물 중량 100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의 에탄올, 0.5 내지 9중량부의 보습제 및 3 내지 17중량부의 유화제를 혼합한 후 0.1 내지 2 중량부의 정유를 더욱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준비하는 1차 용액 준비단계, 40 내지 60 중량부의 물을 포함한 2차 용액을 준비하는 2차 용액 준비단계, 상온에서 상기 1차 용액 준비단계 및 상기 2차 용액 준비단계에서 각각 준비된 상기 1차 용액, 2차 용액를 혼합하는 용액 혼합 단계, 60℃ 이상 의 20 내지 30 중량부의 물에 1 내지 10 중량부의 젤라틴을 넣고 상기 젤라틴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1차 응고제 준비단계, 70℃ 이상의 20 내지 30 중량부의 물에 0.05 내지 0.9중량부의 젤란검을 넣고 상기 젤란검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2차 응고제 준비단계, 상기 용액 혼합 단계에서 준비된 혼합 용액에 상기 1차 응고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1차 응고제를 넣고 혼합하는 1차 응고제 혼합 단계, 상기 1차 응고제 혼합 단계에서 준비된 용액에 상기 2차 응고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2차 응고제를 넣고 혼합하는 2차 응고제 혼합 단계 및 상기 모든 단계를 거쳐 준비된 혼합 용액을 일정한 형태의 용기에 담고 상기 혼합 용액이 겔상이 될 때까지 1 내지 3일간 숙성시키는 겔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2차 용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되는 2차 용액은 2 내지 9 중량부의 소취제를 더욱 포함하여 혼합함으로써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차 용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되는 2차 용액은 0.1 내지 4 중량부의 방부제를 더욱 포함하여 혼합함으로써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차 용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되는 2차 용액은 식용 색소를 더욱 포함하여 혼합함으로써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의 구성을 각 성분별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겔화 되기 전 단계의 용액상을 이루기 위한 용매로서 극성 용매인 물을 다량 포함하고, 역시 극성 용매인 에탄올도 혼합 용매로서 포함한다. 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용매로서 선택되며,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겔화를 위한 응고제의 용매로서도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물을 제외한 각 성분의 성분비를 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물 중량 100에 대한 상대적인 중량의 수치로서 나타내도록 한다.
에탄올은 물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매로서 사용되며, 각 성분들을 용해시키기 위한 주요 용매로서의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에탄올은 물 및 기타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무수 에탄올(순도 95%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보습제, 유화제, 정유(essential oil) 등의 성분의 용해 용매로서 사용되는데, 에탄올이 본 발명에서 물과 함께 용매로서 선택되는 이유는 상기 성분들을 잘 용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의 발산을 위한 휘발성이 물보다 우수하다는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떨어지는 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에탄올은 물 중량 100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제는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에 보습 효과 등을 주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공기 중에 방향제가 장시간 방치되어도 겔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넓은 온도, 습도 범위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함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제로서는, 기존에 보습, 습윤제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성분의 화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솔비톨, PCA 소다 등이 있는데, 이 중 프로필렌글리콜은 화장품 등에서도 보습, 습윤제로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우수한 보습 기능을 발현할 뿐 아니라, 부동액의 원료로도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가 낮은 온도에서도 얼지 않게 함과 동시에 넓은 온도, 습도 범위에 걸쳐 안정적인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보습제로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9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유(essential oil)가 방향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정유(essential oil)는 식물의 꽃, 꽃봉오리, 잎, 줄기, 뿌리, 천연수지 등에서 얻어지는 향기가 강한 휘발성 기름을 지칭하며, 대부분은 액체로서 물보다 가볍지만 유지와 달라 주성분은 이소프렌이 중합한 모노 및 세스퀴테르펜 탄화수소와 여기에서 유도되는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에스테르 등의 테르펜 화합물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정유는 아니스유, 시트로넬라유, 테레빈유, 박하유, 로즈메리유 등 1,500종 이상에 이르는데,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의 원료로서 그 중 약 100종 정도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의 경우 방향 성분으로서 천연물로부터 얻어지 는 정유를 포함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유의 종류에 그 제한은 없으며,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에는 3 내지 17 중량부의 유화제가 포함되는데, 유화제는 상기 정유를 물, 에탄올 등의 용매 및 기타 성분들과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성분이다. 즉, 정유는 무극성 분자로 이루어진 기름 성분이므로, 통상적인 상태에서 극성 용매인 물이나 에탄올 등과 혼합될 경우 잘 섞이지 않고 미세한 기름 방울이 용매에 떠있는 것과 같은 에멀젼 상태가 된다. 이러한 용액의 혼탁 상태를 제거하고 각 성분이 균일하고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 유화제로서, 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및 계면활성제로 분류되는 다양한 성분들이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로서 선택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등 천연 성분의 유화제가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로서 선택되는 것이 좋다.
젤라틴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을 겔화하기 위한 응고제 중 하나로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동물의 가죽, 힘줄, 연골 등을 구성하는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의 일종이다.
젤라틴은 찬물에서는 팽창만 하지만, 온수에서는 녹아서 졸(sol)이 되는데, 1∼3% 이상의 농도에서는 상온에서 숙성시킬 경우 다시 탄성이 있는 겔(gel)이 되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응고제로 사용되는 것이다.한편, 젤라틴은 그 응고성으로 인해 예로부터 음식물에 섞어서 모양이나 단단함 을 갖추기 위해서 널리 이용되는 등 인체에 전혀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응고제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
젤라틴은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으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온의 물(대략 80℃ 이상)에 녹여 사용되며, 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1차 응고제로서 사용되는 상기 젤라틴 이외에, 2차 응고제로서 젤란검이 사용된다.
젤란검은 수소이온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양이온들과의 상호작용으로 겔을 형성하는 천연 추출물인데, 1978년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시켜 얻는 고분자 다당류로서, 글루코즈(glucose) : 글루코닉산(glucuronic acid) : 람노오스(rhamnose)가 2 : 1 : 1 의 비율로 구성된 검(gum)의 일종으로 직선으로 4개 당의 단위가 반복적으로 연결이 되는 기본 구조를 가진 화합물이다.
젤란검은 낮은 농도에서도 겔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고, 우수한 탄력성을 부여하며 과도한 점도의 증진 없이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음료제품에도 흔히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열, pH에도 매우 안정하여 생산 공정 중이나 유통중에 겔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없으며, 겔에 연질의 물성을 부여하여 향기의 방산능력도 뛰어나다.
즉, 젤란검은 기본적으로 겔화된 물질에 높은 안정성을 부여하므로, 젤라틴만으로 겔화된 물질의 경우 다소 높은 온도에서 다시 졸화되는 단점을 보이는 반면, 본 발명에 따라 2차 응고제로서 젤란검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에 상술한 좋은 특성들을 부여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젤란검으로서 「검믹스 15447」(주식회사 MSC, 경남 양산시 웅산읍 소주리 439-13 소재)이라는 제품명의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물질은 상기 젤란검을 주요 성분으로, 구연산나트륨 등을 가하여 젤란검의 물성을 향상시킨 제품이다.
한편, 상기 젤란검 역시 0.05 내지 0.9중량부를 고온의 물(대략 90℃ 이상)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에 더욱 이로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몇가지 성분들이 개별적, 또는 동시에 포함될 수 있다.
우선, 특정 공간에 좋은 향기를 발산시키는 방향 기능뿐 아니라,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탈취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깨끗한 실내 공기를 만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에는 2 내지 9중량부의 소취제가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에 소취제로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장기간 공기 중에 방치되어도 방향제가 부패되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은 방부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색채를 가미함으로써 방향제 자체에 미감을 더하기 위해 식용 색소 등을 포함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의 제조 방법은, 크게는 응고제를 포함 한 각 성분의 혼합과정, 숙성에 의한 겔화 과정 및 제품 제조 완료 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을 보다 세분화할 경우, 혼합과정에서는, 용매의 특성상 보습제, 유화제, 정유는 우선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혼합한 후, 식용색소, 방부제, 소취제 등이 혼합된 물과 다시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젤라틴과 젤란검으로 구성된 각 응고제는 고온의 물에 용해 시킨 후 상기 혼합 용액에 혼합시키는 것이 각 성분의 균일하고 효과적인 혼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이 제조되는 과정을 실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한다.
실시예 1 :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의 제조
*1단계 - 에탄올 용액의 준비
99%의 무수 에탄올37.5g에 보습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5g 과 유화제 12.5g을 넣고 혼합하여 균질의 1차 혼합용액을 얻었다.
*2단계 - 정유의 혼합
상기 1차 혼합용액에 정유 1.25g을 넣고 에멀젼이 사라질 때까지 혼합하여 균질의 맑은 2차 혼합 용액을 얻었다.
*3단계 - 물 용액의 준비
상온의 정제수 65.5g에 방부제 5g, 소량의 식용색소를 넣고 혼합하여 균질의 3차 혼합 용액을 얻었다.
*4단계- 소취제의 혼합
상기 3차 혼합 용액에 6.25g의 소취제를 넣고 혼합하여 균질의 맑은 4차 혼합용액을 얻었다.
*5단계 - 에탄올 용액과 물 용액의 혼합
상기 2차 혼합 용액과 4차 혼합 용액을 상온 상태를 유지하며 상호 혼합하여 5차 혼합용액을 얻었다. 이때 혼합된 용액은 투입된 식용색소의 색을 띠는 맑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6단계 - 1차 응고제의 준비
1차 응고제인 젤라틴을 80℃의 물 32.75g에 넣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 주었다.
*7단계 - 2차 응고제의 준비
2차 응고제인 젤란검을 주원료로 하는 제품인 검믹스15447을 90℃의 물 32.75g에 넣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 주었다.
*8단계 - 1차 응고제의 혼합
상기 5차 혼합용액에 상기 1차 응고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1차 응고제 용액을 넣고 혼합하여 6차 혼합용액을 얻었다.
*9단계 - 2차 응고제의 혼합
상기 6차 혼합용액에 상기 2차 응고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2차 응고제 용액 을 넣고 혼합하여 7차 혼합용액을 얻었다.
*10단계 - 용기에의 주입
상기 7차 혼합용액을 방향제 용기에 정량 주입한 후 이물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입구를 잘 봉한채 보관하였다.
*11단계 - 숙성 및 방향제 제조 완료
상기 상태에서 그늘진 실내에서 3일간 방치, 숙성한 후, 겔화된 상태의 방향제를 얻었다.
실시예 2 :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의 열에 의한 변성 실험
1) 45℃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겔상의 방향제를 일상적인 상태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온도인 45℃로 설정한 오븐 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통상적인 실온 상태에 방치한 방향제에 비해서는 그 부피가 80% 정도 더 빠르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종래의 고상 방향제에서 보여지는 문제점인 액화 등의 현상은 본 실시예에 의한 겔화된 방향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탄력적이고 촉촉한 겔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80℃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겔상의 방향제를 80℃로 설정한 오븐 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상기 예에서에 비해 더욱 빠른 부피의 감소율을 보였으나, 방향제가 액화되는 등의 변질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등을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종래의 액상 방향제를 포함한 방향제 제품에 비해 포장 과정 등의 제조 과정이 간편하고 사용자들 역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그 성질 및 형태가 변질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겔상의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인체에 무해한 성분들만을 위주로 이루어져, 피부에 직접 닿거나 심지어 먹는 경우에도 인체에 아무런 해가 없는 겔상의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20 내지 4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9중량부, 레시틴 등 천연 성분의 유화제 3 내지 17중량부, 식물의 꽃, 꽃봉오리, 잎, 줄기, 뿌리 등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정유(essential oil) 0.1 내지 2 중량부, 젤라틴 1 내지 10중량부, 젤란검(Gellan gum) 0.05 내지 0.9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방부제 0.1 내지 4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식용색소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5. 삭제
  6. 물 중량 100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의 에탄올, 0.5 내지 9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레시틴 등 천연 성분의 유화제를 3 내지 17중량부 혼합한 후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정유 0.1 내지 2 중량부를 더욱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준비하는 1차 용액 준비단계;
    40 내지 60 중량부의 물을 포함한 2차 용액을 준비하는 2차 용액 준비단계;
    상온에서 상기 1차 용액 준비단계 및 상기 2차 용액 준비단계에서 각각 준비된 상기 1차 용액, 2차 용액를 혼합하는 용액 혼합 단계;
    60℃ 이상의 20 내지 30 중량부의 물에 1 내지 10 중량부의 젤라틴을 넣고 상기 젤라틴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1차 응고제 준비단계;
    70℃ 이상의 20 내지 30 중량부의 물에 0.05 내지 0.9중량부의 젤란검을 넣고 상기 젤란검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2차 응고제 준비단계;
    상기 용액 혼합 단계에서 준비된 혼합 용액에 상기 1차 응고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1차 응고제를 넣고 혼합하는 1차 응고제 혼합 단계;
    상기 1차 응고제 혼합 단계에서 준비된 용액에 상기 2차 응고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2차 응고제를 넣고 혼합하는 2차 응고제 혼합 단계 및;
    상기 모든 단계를 거쳐 준비된 혼합 용액을 일정한 형태의 용기에 담고 상기 혼합 용액이 겔상이 될 때까지 1 내지 3일간 숙성시키는 겔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겔상의 방향제 제조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용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되는 2차 용액은 0.1 내지 4 중량부의 방부제를 더욱 포함하여 혼합함으로써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의 방향제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용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되는 2차 용액은 식용 색소를 더욱 포함하여 혼합함으로써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의 방향제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060002252A 2006-01-09 2006-01-09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52A KR100835342B1 (ko) 2006-01-09 2006-01-09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52A KR100835342B1 (ko) 2006-01-09 2006-01-09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287A KR20070074287A (ko) 2007-07-12
KR100835342B1 true KR100835342B1 (ko) 2008-06-09

Family

ID=3850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252A KR100835342B1 (ko) 2006-01-09 2006-01-09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423B1 (ko) * 2011-09-30 2013-02-18 송기학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발향제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904A (ko) * 2016-09-28 2018-04-05 농업회사법인 바닮 주식회사 투명한 겔 형태의 디퓨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디퓨저 및 디퓨저 파우치
KR20180065541A (ko) * 2016-12-08 2018-06-18 (주)올핀 방향제 조성물, 방향제 및 방향제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목줄
KR102430140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38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067A (ja) * 1988-11-28 1990-06-01 Taiyo Koryo Kk 透明水性ゲル状芳香剤組成物
KR960028921A (ko) * 1995-01-18 1996-08-17 조인제 실리카겔을 이용한 입자형 방향제의 제조방법
JPH0966095A (ja) * 1995-09-01 1997-03-11 Osaka Organic Chem Ind Ltd 液状乃至ゲル状芳香剤
KR19990058712A (ko) * 1997-12-30 1999-07-15 권혁철 젤형 방향제 조성물
KR20040059263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농축 수성겔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067A (ja) * 1988-11-28 1990-06-01 Taiyo Koryo Kk 透明水性ゲル状芳香剤組成物
KR960028921A (ko) * 1995-01-18 1996-08-17 조인제 실리카겔을 이용한 입자형 방향제의 제조방법
JPH0966095A (ja) * 1995-09-01 1997-03-11 Osaka Organic Chem Ind Ltd 液状乃至ゲル状芳香剤
KR19990058712A (ko) * 1997-12-30 1999-07-15 권혁철 젤형 방향제 조성물
KR20040059263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농축 수성겔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423B1 (ko) * 2011-09-30 2013-02-18 송기학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발향제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287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1037B2 (en) Foamed air freshener composition
KR100835342B1 (ko)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E60202044T2 (de) Gel-Luftauffrischer
US7736632B2 (en) Topical deodor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use
CN108888553A (zh) 一种香氛喷雾及其制备方法
EP2404987B1 (en) Fragrance compositions
KR20190050186A (ko) 피톤치드향을 함유하는 고형 타입의 스틱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7622B1 (ko)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180092599A (ko) 알콜발효 산양산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422306B1 (ko)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페이스트형 방향제 조성물
RU2012108848A (ru) Жидкий препарат для бритья
CN104651050B (zh) 一种适用于压缩空气雾化式扩香器的香氛精油及其制备方法
CN112138196B (zh) 凝胶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JPH10226749A (ja) 水性ゲル状組成物
CN110882405A (zh) 一种扩香机用除臭香氛油及其制备方法
KR101993375B1 (ko)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224296B1 (ko)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CN110898247B (zh) 一种超浓缩除臭香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969788A (zh) 一种香味持久的藤条香熏液及其制备工艺
CN107510860A (zh) 一种去异味精油
CN107899051A (zh) 一种空气清新喷雾剂
JPH03284618A (ja) 東洋ラン様香料組成物
JP3786862B2 (ja) 水性ゲル組成物
AU2016277701B2 (en) Aqueous formulation comprising a lipophilic composition
KR20240062331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고형 타입의 스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