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877B1 -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877B1
KR100834877B1 KR1020060054024A KR20060054024A KR100834877B1 KR 100834877 B1 KR100834877 B1 KR 100834877B1 KR 1020060054024 A KR1020060054024 A KR 1020060054024A KR 20060054024 A KR20060054024 A KR 20060054024A KR 100834877 B1 KR100834877 B1 KR 10083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soluble material
waterproof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413A (ko
Inventor
김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Priority to KR102006005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87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6Water-soluble, water-disper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포장도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설 및 보수에 사용되는 방수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점착력이 우수한 점착물질을 사용하면서도 박리가 용이하여 보관 및 시공이 용이한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방수시트, 수용해성 물질

Description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Fluid water proof she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설 및 보수에 사용되는 방수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 고체상의 점착 물질을 사용한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옥상이나 주차장 상부 또는 지하외벽의 방수에 적용되는 방수 재료는 유동성이 있는 상태에서 부착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방수재는 액상형 재료와 시트와 같은 정형상의 재료로 구별 된다. 액상의 재료는 현장에서 로울러나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한 뒤 경화시켜 유동성을 제거시킴으로서 시트와 같은 필름막을 형성시키며, 시트와 같이 정형화된 제품은 현장에서 용제형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열을 가해 일시적으로 시트 표면에 유동성을 부여한 상태에서 부착한 뒤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열에 의한 유동성이 제거되면 접착력을 발휘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방수재료는 시공 이후 유동성이 제거되면 고체상으로 전환되어 더 이상 부착력을 지니지 못한다. 따라서 시공 바탕면에 수분 또는 수막이 형성되어 방 수 재료와 바탕면의 접촉이 방해된 상태에서 방수재가 경화되거나, 시트와 같이 시공시 적정 유동성 확보가 미흡한 경우는 물론, 시공 이후 구조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거동으로 인한 손상 및 들뜸 현상이 생기면 방수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매스틱(mastic) 등 상시적 유동성이 있어 지속적인 부착력을 유지하는 반 고체상의 점착 물질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물질은 저온 접착성, 저온 유연성을 지녀 온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와의 대응력이 높아 거동에 의한 손상 및 들뜸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시공 이후에도 수분 등 접촉 방해 물질이 제거되면 상시적인 유동성에 의해 또 다시 바탕면과 부착되는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 물질도 종래 도막 방수재료와 같이 부정형으로 생산되어 페인트를 바르는 것과 같이 일일이 인력에 의존하여 도포되어야 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점착제를 이용한 시트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상시적 유동성이 있어 정형화가 곤란한 제품으로 인식되어 왔다.
즉, 점착재를 시트화 한 경우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점착층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박리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시공시 박리지가 점착층에 고착되어 탈착이 불가능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점착제는 넓은 의미로는 접착제의 범주에 속하지만 다른 접착제와 비교하여 특이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일반 접착제는 어떠한 과정을 지나게 되면 액체상태의 접착제가 피착물을 끌어당긴 후 고체화하여 접착시키는 데에 비하여 점착제는 항상 점착제 자신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 항상 접(점)착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착 물질을 필름상에 코팅한 뒤 테이프 및 라벨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점착물층을 보호하고, 필요할 때 점착물층과 맞붙어 있던 이면이 잘 떨어지는 성질을 갖는 종이 또는 필름 형태의 이형지 또는 박리지를 반드시 부착하여 사용한다.
박리지의 사용 원리는 박리지의 표면 요철을 제거하여 유리 표면과 같이 평활도를 높이므로서 점착층과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실리콘 또는 불소 수지 등을 코팅하여 사용한다. 그러므로 박리지의 평활도가 낮을 경우 점착층의 접착이 강해져 분리가 불가능해지거나, 박리지의 평활도를 높인다 하더라도 점착제의 점도가 더욱 낮을 경우 부착이 불가능해진다. 즉 지금까지 박리지는 점착제의 점도가 일정 수준 이내의 제한된 범위내에서만 가능한 기술이었다.
현재 방수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착 물질은 종래 테이프 및 라베레 사용되는 점착제의 점도에 비하여 아주 낮은 점도의 점착 물질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시트화 할 경우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위해 롤형태로 보관 및 운반되는 시트의 특성상 압박에 의해 타측 표면과의 접착이 이루어져 박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통상적으로 실리콘 표면 코팅 이형지를 사용하여 점착층에 부착한 후, 시공 당시 이형지를 박리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온도 조건 등에 의해 이형지마저도 부착되어 시공시 이형지 박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형지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점착성이 큰 접착제는 사용할 수 없는 등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의 제한이 있었다.
또한, 현재 시트 방수의 시공 방법을 보면 1)바탕면과 프라이머의 접촉 및 함침을 방해하는 레이턴스,수분,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 한 하다.2) 프라이머(접착제)를 도포한 뒤 일정 시간 동안 건조과정을 거친다. 3) 바탕체에 건조된 막이 형성되면 시트에 열을 가해 유동 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프라이머 경화체 표면에 부착 하여 방수를 한다. 종래 시트 공법이 이러한 프라이머 도포 및 가열 공정을 거치는 이유는 시트 유동성 부족의 보완 및 접착 보강 목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좀더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가 콘크리트 등 바탕체와 부착이 되기 위해서는 양 계면간의 열적 또는 화학적 결합을 이루어야하나 현재의 기술로는 이것이 불가능하므로 현재 시공되고 있는 도막 방수 및 시트 방수 공법은 도막제 또는 프라이머 일부가 콘크리트 등 바탕체 표면에 형성된 모공 또는 요홈에 흡습한 뒤 경화되면 뿌리 및 갈퀴 모양의 앵커체를 형성하므로서 부착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론적으로 프라이머 도포 과정없이 시트 표면을 가열하여 유동성을 확보한 뒤 바탕체에 부착 할 수도 있으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시트 표면을 가열하여 유동성을 확보한다 하더라도 외부 온도에 의해 쉽게 경화되므로 표면 요철에 함침(부착)에 필요한 작업 시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며 또한 표면 요철에 함침 시킬만한 유동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예를 들면 아스팔트 시트의 경우 180도의 고온하에서 부착에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 할 수 있으나 현장에서 고온으로 시트를 가열할 경우 시트의 형태를 유지 시킬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설사 유동성을 확보한다 하더라도 대기 온도의 영향으로 유동성이 급격히 떨어 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프라이머 작업을 통해 미리 부착에 필요한 뿌리를 형성 함과 동시에 가열된 시트를 부착하기 용이하도록 평활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이러한 시공 과정은 기술적으로 또는 비용적으로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발생 시킨 다. 첫째, 프라이머는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물 또는 휘발성 용제에 의해 희석된 물질을 사용한다. 이는 건조 과정에서 기포를 형성 시켜 부분적 결함을 발생 시키거나, 건조 과정에서 우기 및 동절기 등 온습도의 변화에 따른 적정 품질의 확보에 대한 관리 부분의 증가, 건조에 필요한 공기의 증가, 등의 문제를 발생 시킨다. 둘째, 시트 표면의 가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 하지 못할 경우 필요한 유동성 확보 미흡에 따른 부착 저하 현상, 과열에 의한 시트의 탄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셋째,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숙련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나, 경제의 발전 등으로 인해 젊은층이 노동 현장을 기피하고 있어 숙련공의 노령화 및 품귀 현상에 따른 노동 시장의 기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추후 시공 자체가 불능한 시대로 접어 들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저온 부착성, 저온 유연성이 높고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시 박리가 용이하여 보관 및 시공이 용이한 방수 시트를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 부착성, 저온 유연성이 높고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시 박리가 용이한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
점착 물질층; 및
수용해성 물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수 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해성 물질은 일정시간 물에 접촉시 제거되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수용해성 물질의 구성은 폴리비닐 알콜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를 주성분으로 하여 그의 용해 속도를 촉진시키기 위한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1종 또는 다종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콜은 수용해 이후 일정 두께로 도막되어 건조되면 견고한 필름막이 형성되나 용해속도가 늦어 수용해 속도를 증진 시키기 위한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이란 분자간의 인력이 약해 녹는점이 빠른 물질을 지칭한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녹는점이 큰 폴리비닐 알콜의 용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그 예로서,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연소다, 염화칼슘, 계면활성제 및 아크릴 아마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물 100 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를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20중량% 이하로 사용되는 경우, 수분 함량이 높아 건조 시간이 길며, 70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용해가 용이치 못하기 때문이다.
폴리 비닐 알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해성 물질에 추가되는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은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수용해 속도 촉진 효과가 없으며, 90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폴리 비닐알콜의 필름화 효과를 낮추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해성 물질의 구성은 아크릴아마이드; 및 소디움, 암모니움, 포타슘 퍼설페이트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이를 주성분으로 하여 그의 용해 속도를 촉진시키기 위한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1종 또는 다종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 및 퍼설페이트는 50~70:30~5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는 물에 대하여 100~20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퍼설페이트는 물에 대하여 40~8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퍼설페이트는 소디움 퍼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아마이드 및 퍼설페이트의 혼합액에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 즉, 폴리비닐 알콜,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성소다, 염화 칼슘, 계면 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
점착 물질층; 및
수용해성 물질이 도포 또는 함침된 박리지층을 포함하는 방수 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 물질층 및 수용해성 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박리지층은 필름, 종이 또는 부직포 등에 수용해성 물질을 코팅 또는 함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및 종이는 물의 전체적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가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수형 시트 또는 패널 표면에 점착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물질층 상부에 수용해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시트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형 시트는, 예를 들면 시판되는 코아 시트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배수 물질을 주는 플라스틱 배수판과 토사를 걸러주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어 옹벽 뒷면에 잡석을 채우지 않아도 배수처리를 할 수 있는 제품으로 부직포 휠터를 사용하므로 배수공에서 흙물이 나와 옹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수 보호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평면형 이외에도 일면 또는 양면이 요홈, 또는 계란판 모양의 요철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층이 형성되는 반대 표면에 부직포 등이 부착된 배수형 시트 또는 패널 형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수형 시트는 합성수지 시트 또는 패널에 요홈을 형성한 뒤 되메우기 등 토사층이 맞닿는 일측표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여 토사의 유입은 방해하면서도 물의 유입을 허용하여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구조로서, 본 발명은 배수판에 점착물질 및 수용해성 물질을 순차적으로 도포 경화한 것을 시공하므로, 방수효과외에도 배수효과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지하 방수의 경우 방수시공을 한뒤 뒤메우기 등 후속공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방수층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방수 보호층을 형성하는데, 배수형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방수 보호층 역할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방수 시트를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점착 물질층의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 물질층의 보호층은 수용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점착물질층 상에 수용해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거나, 시트 또는 부칙포 등의 이형지에 수용해성 물질을 부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해성 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물 담기는 수조는 수용해성 물질의 용해속도를 높이기 위해 물의 온도를 높이는 열선을 내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방수 시공을 하는 경우, 이미 시트에 부착이 용이한 유동성이 확보되어 있어 프라이머를 도포하지 않아도 부착이 용이하며, 또한 가열 공정 없이도 상시적 유동성을 지니므로 시트의 부착이 용이하며, 시공 이후에도 가압 로울러 등으로 또 다시 압력을 가해 부착력을 얼마든지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 중 적정 가압을 하지 못해 접착이 미흡한 부분이 발생되어 물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유입된 물과 반응 팽창하여 발생된 압력과 상시적 유동성(점착력)과 맞물려 바탕면과 부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시공법은 용해에 의한 부착 작업이라는 단순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서, 공기 및 기타 비용을 크게 절약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숙련공 확보의 부담을 크게 해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발명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트의 특성상 롤형상으로 보관 운반시 서로 접착되거나 이형지에 접착되어 시공시 박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수용해성 물질이 경화되어 평소에는 상호 접착을 방지하므로써 롤 형상으로 보관 또는 운반되어도 상호 부착되지 않으면서도, 단순히 물에 침지한 경우 수용해성 물질이 용해되어 제거되고, 점착물질만 남게 되어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등 점착물질이 코팅된 종래 제품과 달리 수접촉 후 또는 수중상태에서도 점성을 발휘하여 점착에 의한 부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트, 점착 물질층 및 수용해성 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해성 물질은 일정시간 물에 접촉시 물에 용해되는 성질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해성 물질층은 폴리비닐알콜을 주성분으로 하여 설탕, 소금, 벤토나이트, 또는 기타 수용해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물에 대하여 0.5~3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폴리비닐 알콜을 물에 대하여 30:100 중량비로 상온에서 용해시킨 후 점착 물질층 표면에 0.1~3mm 두께로 코팅하고, 가열 증발 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트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방수 시트는 별도의 이형 박리지 없이도 점착층이 서로 부착되지 않아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다. 또한 시공시 상기 방수 시트를 물이 담긴 용기에 일정시간 정체시키면 수용해성 물질이 용해되어 제거되고, 점착층만이 남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 보수를 위해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열을 가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폴리 비닐 알콜을 물에 대하여 30:100 중량비로 상온에서 용해한 후 필름이나 종이등의 이형지에 0.1~3mm 두께로 코팅한 후 가열 건조한다. 이렇게 수용해성 물질층이 형성된 이형박리지를 점착층에 부착하여 방수시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며, 시공시 물이 담긴 용액에 일정시간 정체시키면, 이형 박리지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박리되어, 이형지 마저 부착되어 시공시 어려움이 있던 종래의 발명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폴리 비닐 알콜을 물에 대하여 30:100 중량비로 상온에서 혼합한 후, 설탕이나 소금등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는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총 수용해성 물질(물과 혼합된 폴리 비닐 알콜 100중량% )에 대하여 50~70 중량%로 혼합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수용해성 물질을 점착 물질층 표면에 0.1~3mm의 두께로 코팅하여 방수 시트를 완성하였다. 설탕이나 소금등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는 수용해성 물질을 더 첨가하는 경우 시공을 위해 물에 일정시간 정체시 폴리비닐알콜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수용해성 물질층보다 박리 시점이 더 빨라지는 장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 비닐 알콜을 물에 대하여 30:100 중량비로 상온에서 혼합한 혼합용액 30g, 물에 대하여 100:100의 중량비로 혼합된 아크릴아마이드 10g, 포화상태의 설탕물 30g, 포화상태의 소금물 30g을 혼합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수용해성 물질을 필름 등 이형 박리시트에 0.1~3mm 두께로 코팅하여 경화시킨 후 점착 물질층 표면에 부착하여 방수 시트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방수 시트는 이형지와의 분리 속도도 높았으며, 운반 및 보관도 용이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아크릴아마이드와, 소디움 퍼설페이트 또는 암모늄 퍼설페이트 또는 포타슘 퍼설페이트는 수용액 상태에서 혼합될 경우 일정시간 이후 발열반응을 일으키며 경화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기재로 하여 수용해성 물질을 제조하는 경우 별도의 온도 가열없이도 용이하게 경화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과 1:1로 용해된 아크릴아마이드 수용액 70g과 물에 30 중량%로 혼합된 폴리비닐알콜 30g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과, 물에 대하여 70중량%으로 혼합된 소디움퍼설페이트를 70:3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즉시 도포할 수 있는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점착층 표면에 0.1~3mm 두께로 수용해성 물질층을 도포하였다.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고도 발열반응에 의해 경화되어 방수시트가 완성되었다. 이렇게 제조된 방수시트는 시공시 일정기간 물이 담긴 용기에 정체시 수용해성 물질이 제거되어 점착물질층만 남게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다만, 용해시간이 길어 신속하 시공을 요할 때 물을 가열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에 대하여 1:1로 용해된 아크릴아마이드 수 용액 60g, 포화상태의 설탕물 40g을 혼합하였다. 소디움 퍼설페이트를 물 100에 대하여 70 중량비로 용해시킨 후 아크릴아마이드 혼합액과 소디움 퍼설페이트 수용액을 7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즉시 도포할 수 있는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점착층 0.1~3mm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별도의 가열함없이 열반응에 의해 경화되어 방수 시트가 완성되었다.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였으며, 수용해성 물질의 분리 속도도 높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에 대하여 1:1로 용해된 아크릴아마이드 수용액 60g, 포화상태의 소금물 40g을 혼합하였다. 소디움 퍼설페이트를 물 100에 대하여 70 중량비로 용해시킨 후 아크릴아마이드 혼합액과 소디움 퍼설페이트 수용액을 7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즉시 도포할 수 있는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점착층 0.1~3mm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별도의 가열함없이 열반응에 의해 경화되어 방수 시트가 완성되었다.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였으며, 수용해성 물질의 분리 속도도 높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폴리비닐 알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해성 물질이나 아크릴아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해성 물질에 벤토나이트를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2~8중량%, 가성소다 20~40중량%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용해과정 없이 곧바로 콘크리트 바탕면에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점착 물질은 아스팔트계, 우레칸계, 고무계, 부틸 고무계, 기타 이들을 합성한 물질 등 재질에 관계없이 별도의 가열공정 없이 자신이 지닌 점착력(유동 성)에 의해 부착되는 특성을 지닌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건물등의 신설 또는 보수에 사용되는 방수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매스틱 계열의 아스팔트 제품, 오일 등 연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높인 고무화 아스팔트 제품, 비가황 고무계, 가황 고무계, 부틸고무계열, 타르 우레탄 계열, 스티렌 부타디엔고무(SBR) 등 고무계 제품, 우레탄 계열, 아크릴 등 고분자 수지 계열 등을 기재로 하는 점착제 등은 물론 상기 점착제에 고흡수성 수지 또는 벤토나이트를 혼입하여 수화 팽창특성을 지닌 점착제 등과 같이 점착성이 높은 방수시트는 그 점착성으로 인해 보관 및 운송이 어려우며, 이형지를 부착하여 보관 또는 운송한다 하여도 그 이형지마저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어, 액상형 재료 또는 시트와 같은 정형상의 재료로만 사용되어, 로울러나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한 뒤 경화시켜 유동성을 제거하여 사용하거나 시공시 열을 가하여 유동성을 부여하여 사용해야하는 시공상 복잡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층 위에 수용해성 물질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면 그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며, 시공시는 단순히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수용해성 물질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물에 침지된 후에도 그 점착물질층은 그 점착성을 잃지 않아 방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보관, 운송 및 시공이 편리한 우수한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시트는 판상의 형태로 방수 시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아스팔트 EVA, HDPE, EPDM,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으로 구성된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이 도포되는 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여 접착층과 시트층간의 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평면형 이외에도 일면 또는 양면이 요홈, 또는 계란판 모양의 요철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층이 형성되는 반대 표면에 부직포 등이 부착된 배수형 시트 또는 패널 형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수형 시트는 HDPE등 합성수지 시트 또는 패널 등 토사층이 맞닿는 일측 표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여 토사의 유입은 방해하면서도 물의 유입을 허용하여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구조로서, 본 발명은 배수판에 점착물질 및 수용해성 물질을 순차적으로 도포 경화한 것을 시공하므로, 방수효과외에도 배수효과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지하 방수의 경우 방수시공을 한뒤 뒤메우기 등 후속공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방수층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방수 보호층을 형성하는데, 배수형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방수 보호층 역할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시트상에 도포되는 부착물질은 0.5~5mm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0.5 이하이면 바탕면 거동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5mm 이상이면 시트의 무게가 커 운반이 어려워 시공 난이도를 높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점착물질 상부에 도포되어 경화된 수용해성 물질은 0.1~3mm의 두께일 수 있다. 0.1mm 이하시 수용해성 필름막이 손상되어 점착층이 돌출 될 수 있으며, 3mm 이상시 수용해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성 물질은 아스팔트, 합성고무, 오일등 연화제, 기타 첨가제를 100:20:20:15의 중량비로 조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해성 물질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7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수용해성 물질을 제조하였다. (단위 g)
실시예 1 2 3 4 5 6 7
아크릴아마이드 10 5 70 45 25 40
소디움 퍼설페이트 30 30 20 20
폴리비닐 알콜 100 20 30 45 25
설탕 45 30
염화나트륨 25
구연산 65 40
상기 아크릴아마이드는 물 100중량에 대하여 100중량을 첨가하여 희석하여 사용하며, 상기 소디움 퍼설페이트는 물 100중량에 대하여 70중량을 첨가하여 희석하여 사용하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물 100중량에 대하여 30중량을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설탕은 물 100 중량에 대하여 200중량을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물 100중량에 대하여 30중량을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구연산은 물 100 중량에 대하여 30중량을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방수 시트의 제조
실시예 8 내지 14: 방수 시트
고무아스팔트 시트 표면에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된 점착 물질을 3mm 두께로 도포한 뒤 상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수용해성 물질을 1mm 두께로 2차 코팅한 후 히터를 3분 동안 통과시켜 건조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15 내지 21 : 배수형 방수시트
배수형 시트 요철 부위에 1차적으로 고무화 아스팔트를 충진시켜 표면을 평활하게 한 후, 표 2의 점착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 내지 14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 시트를 제조하였다
성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SBR 합성고무 경유 기타 첨가제
함량(g) 50 15 10 15
실시예 22 내지 29 : 이형지 부착 방수시트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에 따라 수용해성 물질을 제조한 후, 상기 수용해성 물질을 부직포(재질 pp, 중량 18g/m2)에 코팅 또는 함침시켜 이형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수용해성 물질이 부착된 이형지를 점착물질층에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0 내지 32
부직포(재질 pp, 중량 18g/m2)상에 폴리비닐 알콜로 1차 코팅한 후 하기 표 3의 조성의 수용해성 물질로 2차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시트를 제조하였다.
단위(g)
실시예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아크릴아마이드 10 5 70 45 25 40 pva 1차 코팅 후 2차 수용해성 물질을 도포
소디움 퍼설페이트 30 30 20 20
폴리비닐 알콜 100 20 30 45 25
설탕 45 30 100 50
염화나트륨 25 50
구연산 65 40 100
박리 실험
실험예 1: 방수시트
실시예 8 내지 14에 의해 제조된 방수 시트를 물이 담긴 수조에 일정 시간 침지 시킨 후 시간대별로 용해상태를 확인하였다. 육안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용해성 물질에 점착층과 대비할 수 있는 색소를 첨가하였다. 침수 시간은 각각 5분, 10분, 15분, 1시간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9 10 11 12 13 14
5분 60%정도부분적 고착 10%정도 부 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80%정도 부분적 고착 30%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5%정도 부분적 고착
10분 80%정도 부분적 고착 완전 제거 완전 제거 70%정도 부분적 고착 20%정도 부분적 고착 5%정도 부분적 고착 3%정도 부분적 고착
15분 완전 제거 50%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완전 제거 완전 제거
30분 완전 제거 30%정도 부분적 고착 완전 제거 완전 제거 완전 제거
1시간 완전 제거 20%정도 부분적 고착 완전 제거 완전 제거 완전 제거
실험예 2: 이형지 부착시트
실시예 22 내지 32에 따라 제조된 이형지 부착 방수 시트를 물이 담긴 수조에 일정 시간 침지시킨 후 시간대별로 정체 시간을 각각 10분, 30분, 1시간 순으로 박리시험을 하였다. 10분 후 시험은 부분적 접착현상에 의해 완전 박리가 불가능하였으며, 30분 이후 모두 완전 박리가 되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5분 10%정도 부분적 고착 5%정도 부분적 고착 5%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5%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10%정도 부분적 고착
10분 5%정도 부분적 고착 완전 박리 완전 박리 완전 박리 완전 박리 완전 박리 완전 박리 5%정도 부분적 고착 완전 박리 완전 박리
15분 완전 박리 완전 박리 완전 박리 완전 박리
30분
1시간
부착 실험
실험예 3
부착실험은 실시예 8 내지 14에 따른 방수시트 및 실시예 23 내지 32에 따른 이형지 방수 시트를 실험예 1 및 2에 따라 완전 박리한 후 물기가 있는 방수시트를 모르터(mortar) 시험편 상부에 부착시킨 후 동일한 크기의 시험편을 시트 상부에 거치해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시간대별로 부착 정도를 측정하였다. 바탕체로 사용한 모르터 시험편은 가로 30cm x 세로 30cm x 두께 5cm 이며, 표면에 형성된 레이턴스(laitance)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누름층(가압판)은 동일 크기의 모르터 시험편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가압 시간은 30분, 1시간, 6시간, 24시간, 48시간 순으로 하여 각각 부착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및 7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8 9 10 11 12 13 14
30분 20% 55% 80% 10% 20% 30% 55%
1시간 30% 80% 100% 20% 30% 55% 80%
6시간 55% 100% 30% 55% 80% 100%
24시간 80% 80% 80% 100%
48시간 100% 100% 100%
실시예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0분 50% 50% 50% 30% 30% 50% 50% 50% 95% 95%
1시간 90% 95% 95% 50% 50% 85% 95% 95% 100% 100%
6시간 100% 100% 100% 90% 90% 100% 100% 100%
24시간 100% 100%
48시간
본 실험에 사용한 점착 물질은 일정한 점도를 유지하면서도 물에 용해되지 않는 점착 물질로 한정하여 시행 하였다. 점착 물질은 제조 방법에 따라 바탕면 모르터에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부착이 이루어지는 물질과 바탕체에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부착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닌 것을 모두 포함 하였다. 또한 점착 물질은 벤토나이트, 또는 고흡수성 수지 등 팽창성 물질이 혼합되어 물의 접촉, 흡수(수화)를 통해 팽창되는 점착 물질을 모두 포함하였다.
물 접촉후 점착 물질의 표면 점착력은 건조 상태에 비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또 다시 건조 상황으로 전환 될 경우 표면 부착력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에서도 젖은 시트를 모르터 시험편에 부착한 뒤 수분이 증발된 경우 모두 우수한 점착을을 발휘하여 시험편에 안정된 부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수중에 다시 함수시켜 벗김(박리)시험을 하였으나 우수한 부착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점착제가 바탕체에 부착된 이후에는 수분에 의한 부착 저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므로 점착 시트 표면에 고착된 수분은 일시적으로 부착에 영향을 줄 수는 있으나 장기적으로 바탕체와의 부착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종래 접착제의 사용 또는 열 용융에 의해 부착되는 방식을 지닌 기존 시트는 시공 시 수분 또는 시공 부실 원인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경년 이후에도 전혀 부착을 이룰 수 없는 것과는 달리 본 시트는 경년 이후에도 수분이 제거된 경우 또 다시 점성 발휘에 의한 부착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트는 점착력이 우수한 점성 물질을 사용하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물질을 도포 경화시킴으로써 방수시트끼리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 단순히 물에 접촉시키는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수경화물질을 제거하여 바로 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에 롤형상으로 보관 운반되는 방수시트의 특성상 시트끼리 부착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이형지까지도 부착되어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Claims (33)

  1. 시트;
    점착 물질층; 및
    수용해성 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해성 물질은 폴리비닐 알콜을 주성분으로 하여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더 혼합하여 사용되고,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은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연소다, 염화칼슘, 계면활성제 및 아크릴 아마이드 등 수용해가 가능한 물질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이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물질이 아크릴아마이드 및 퍼설페이트를 혼합하여 자체 반응에 의해 경화하여 필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물질이 아크릴아마이드 및 퍼설페이트를 50~70:30~5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설페이트는 소디움, 암모니움, 및 포타슘 퍼설페이트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가 물에 대하여 100~20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설페이트가 물에 대하여 40~8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아마이드 및 퍼설페이트의 수용해성 물질이 폴리비닐 알콜,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성소다, 염화 칼슘, 계면 활성제 등과 같이 수용해가 가능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이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트.
  13. 시트;
    점착 물질층; 및
    수용해성 물질이 도포 또는 함침된 박리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해성 물질은 폴리비닐 알콜을 주성분으로 하여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더 혼합하여 사용되고,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은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연소다, 염화칼슘, 계면활성제 및 아크릴 아마이드 등 수용해가 가능한 물질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부착 방수 시트.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이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방수 시트.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물질이 아크릴아마이드 및 퍼설페이트를 50~70:30~5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부착 방수 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가 물에 대하여 100~20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부착 방수 시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퍼설페이트가 물에 대하여 40~8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부착 방수 시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아마이드 및 퍼설페이트의 수용해성 물질이 폴리비닐 알콜,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성소다, 염화 칼슘, 계면 활성제 등과 같이 수용해가 가능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부착 방수 시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이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부착 방수 시트.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지층에 사용되는 필름, 종이 또는 부직포가 다수의 가는 구멍이 형성된 것인 이형지 방수시트.
  24. 배수형 시트 또는 패널 표면에 점착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물질층 상부에 수용해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시트 제조방법.
  25. 방수 시트를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점착 물질층의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 물질층의 보호층이 수용해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해성 물질은 폴리비닐 알콜을 주성분으로 하여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연소다, 염화칼슘, 계면활성제 및 아크릴 아마이드 등과 같이 수용해가 가능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 방법.
  26. 삭제
  27. 삭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이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물질이 아크릴아마이드 및 소디움 퍼설페이트를 50~70:30~5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가 물에 대하여 100~20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소디움 퍼설페이트가 물에 대하여 40~8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아마이드 및 소디움 퍼설페이트의 수용해성 물질이 폴리비닐 알콜, 설탕, 염화나트륨 등 이온성 물질, 구연산, 가성소다, 염화 칼슘, 계면 활성제 등과 같이 수용해가 가능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수용해성 물질이 총 수용해성 물질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KR1020060054024A 2006-06-15 2006-06-15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24A KR100834877B1 (ko) 2006-06-15 2006-06-15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24A KR100834877B1 (ko) 2006-06-15 2006-06-15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13A KR20070119413A (ko) 2007-12-20
KR100834877B1 true KR100834877B1 (ko) 2008-06-03

Family

ID=3913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024A KR100834877B1 (ko) 2006-06-15 2006-06-15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56A1 (ko)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리뉴시스템 재생고무를 이용한 비가황계 점착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065B1 (ko) 2010-12-30 2011-06-0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방근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복합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82B1 (ko) 2007-11-21 2010-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자화 잡음 처리를 위한 적용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과,그를 이용한 양자화 잡음 처리 방법
KR101529857B1 (ko) * 2015-03-23 2015-06-17 대복건설 주식회사 건축 자재용 소금 모르타르 조성물
KR101980154B1 (ko) * 2018-02-01 2019-05-20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역타설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15463952A (zh) * 2021-06-11 2022-12-13 华南师范大学 一种促进废塑料向次生碳源转化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2413A (ko) * 1994-03-25 1997-05-13 자끄 사비나 콘크리트 방수 처리용 투습성 복합 시이트(moisture-permeable composite sheet for water-proofing concre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2413A (ko) * 1994-03-25 1997-05-13 자끄 사비나 콘크리트 방수 처리용 투습성 복합 시이트(moisture-permeable composite sheet for water-proofing concre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56A1 (ko)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리뉴시스템 재생고무를 이용한 비가황계 점착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065B1 (ko) 2010-12-30 2011-06-0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방근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복합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13A (ko)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877B1 (ko) 유동성을 지닌 방수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US3741856A (en) Novel sealants and adhesives
US7842739B2 (en) Method of applying a compact hardened coating to a building surface and a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KR101980154B1 (ko) 역타설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256108B1 (ko) 교면방수공법
CA2617825A1 (en) Skid resistant surfaces
JP201406604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養生用フィルム
KR101021419B1 (ko) 방수시트용 점착성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성형 방법및 방수 시공 방법
KR20060085447A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43897A (ko) 박리 방지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US6071833A (en) Method of repairing walls and ceilings
KR100907647B1 (ko)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방수시트
KR102362505B1 (ko) 2액형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KR10179858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체 시공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EP1440213A2 (en) Composite mat product for roofing construction
KR20080013488A (ko) 폐타이어 고무분말로 개질된 아스팔트를 이용한 방수지 및그의 제조방법 과 개질아스팔트
JP2003292942A (ja) コンクリート用補修剤、それを用いた補修材及び補修方法
CN207863199U (zh) 一种防水保温一体化板
TWI822421B (zh) 構造物保護片及補強的構造物之製造方法
GB2052378A (en) Preformed sheet-like structures
JP2003118023A (ja) 自己修復性防水シート
KR0177903B1 (ko) 수세미상 또는 스폰지상 구조를 갖는 벤토나이트 방수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9508B1 (ko) 방수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0002438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