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607B1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 Google Patents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607B1
KR100834607B1 KR1020060119260A KR20060119260A KR100834607B1 KR 100834607 B1 KR100834607 B1 KR 100834607B1 KR 1020060119260 A KR1020060119260 A KR 1020060119260A KR 20060119260 A KR20060119260 A KR 20060119260A KR 100834607 B1 KR100834607 B1 KR 10083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eparator
polymer electrolyte
electrolyte fue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607B1/ko
Priority to US11/946,478 priority patent/US2008013581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6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은 직경이 작은 입자에서 큰 입자로 더해지는 누적 중량이 50%일 때 측정되는 흑연 분말의 최대 크기를 평균 직경으로 할 때, 그 평균 직경이 140 내지 160㎛인 흑연 분말 70~80 중량부; 카본파이버 3~10 중량부; 마그네슘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칼슘옥사이드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산화물 1~5 중량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1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전기 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수소 또는 산소 가스를 거의 투과하지 않아, 연료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연료 전지, 분리판, 흑연, 카본파이버, 금속 산화물, 열경화성 수지

Description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Compositionf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PEMFC and separator for PEMFC manufactured out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가스 투과도가 낮은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발전 시스템으로, 발생 되는 전기 에너지가 연소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생성되기 때문에 환경 오염 물질의 생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열효율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고분자전해질형, 인산형, 용융탄산염형, 고체산화물형 등으로 분류한다. 이들 중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는 다른 연료전지보다 운전 온도가 낮아 시동(start up) 시간이 짧고 출력 밀도가 높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술폰산기를 포함한 고체 상태의 전해질막을 포함하는데, 수소 이온이 원활하게 고체전해질막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고체전해질막에 70~90%의 습도를 유지해야 하며, 이러한 수소 이온의 이동과 함께 전자의 이동으로 전기가 생산된다. 이와 같은 환경의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강한 산성 분위기(pH 2~3)가 상시 존재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구성품들은 내부식 특성을 보유할 필요가 있다.
연료전지는 고체전해질막과 촉매 그리고 가스확산층으로 구성된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를 중심으로 한쪽면에는 수소가스 공급 및 배출용 홈이, 또 다른면에는 공기중의 산소가스 공급 및 배출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으로 조립되어 있는 단위전지를 다수로 적층한 스택(Stack)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보통 0.6~0.8볼트이므로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압(약 100볼트 이상)을 얻기 위해서는 단위전지를 다수로 적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단위전지를 다수로 적층하면 한 개의 분리판을 기준으로 한쪽은 수소 공급을 위한 면으로, 또 다른쪽은 공기 공급을 위한 면으로 사용 하게되며 결과적으로 하나의 분리판에 음극과 양극이 형성("Bipolar Plate"로 명칭됨)되기도 하고 분리판을 기준으로 단위전지가 분리("Separator" 로 명칭됨)되기도 한다.
따라서, 우수한 성능의 스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단위전지를 적층할 때 연결부위가 되는 분리판은 1)전압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야 하고, 2)적층시 체결을 위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야 하 고 3)수소와 산소 가스가 전해질막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판 자체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해 가스 투과도가 극히 낮아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분리판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금속재료, 흑연재료, 고분자복합재료 등이 있다. 금속재료는 전기 전도성은 우수하나 부식성이 커서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흑연 재료는 쉽게 부서지는 등 기계적 물성이 좋지않고 높은 가격으로 경제성이 없는 단점이 있는 반면, 고분자복합재료는 부식성이 없고 가격이 저렴하며 또한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만들 수 있어서 분리판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까지 고분자복합재료를 사용한 분리판에 대한 재료 기술은 흑연과 페놀수지를 사용한 기술(일본특허 특개 1981-138876)을 시작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주지의 사실에서 예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재를 충분히 사용하면 낮은 전기 전도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량의 도전재의 사용으로 수지의 함량이 줄어들어 바이더로서의 역할이 부족하여 기계적 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일본특허(특개 2001-189160) 및 대한민국특허공보(10-2005-0004204)에는 흑연과 열경화성 수지에 섬유 기재를 주성분으로 한 복합체 조성물로 기계적 물성을 보강토록 했으며, 특히 섬유 기재의 배향에 따른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가스투과도 억제를 위한 개선 사항은 언급이 없었다. 미국특허 6103413(일본특허 특개 2002-516467)에는 다공성에 대한 언급만 있을 뿐 이를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가스투과 특성에 민감한 미세기공에 관한 언급은 대한민국특허 10-0423181에 공지되어 있으나 연료전지 운 전 중에 양극(Cathod)에서 수소 이온과 산소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물을 관리할 목적(전해질막은 수분이 있어야 그 자체가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기능이 가능함)으로 제조 공정 중에 미세 기공을 만들거나 활용하는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실리카 등 친수성 제제 등을 추가하여 미세공 모세관에 물을 흡착시켜 모세관력에 의하여 가스를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재료 조성물 차원에서 근본적으로 미세 기공을 억제하여 가스투과도를 낮추는 기술은 공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별적인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궁극적으로 분리판에 요구되는 특성인 높은 전기 전도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낮은 가스투과도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은 없었다.
따라서, 높은 전기 전도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낮은 가스투과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관련 분야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이 출원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의 전기 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분리판을 통한 수소 및 산소 가스의 투과를 방지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은, 흑연 분말 70~80 중량부; 카본파이버 3~10 중량부; 마그네슘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칼슘옥사이드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산화물 1~5 중량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1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흑연 분말의 평균 직경은 140~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본파이버의 길이는 35~140㎛, 그리고 상기 금속산화물의 입경은 50~15㎛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은 디큐밀퍼옥사이드(DCP), 벤조일퍼옥사이드(BOP),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DTBP)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화개시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과 더불어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 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은 비닐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도전성 물질로서 흑연 분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로서 카본화이버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금속 산화물 첨가시 그래파이트 분말과 액체 상태의 수지의 혼합 상태를 좋게 해서 흑연 분말만의 뭉침 현상 등을 없애준다. 흑연분말만의 뭉침 현상 발생시 수지 또는 수지와 흑연이 섞인 상태에서의 기포보다 큰 기포가 발생하여 가스가 투과하기 쉬워진다.
흑연 분말의 직경은 메쉬(Mesh)로 걸러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도전성 물질로 사용되는 흑연 분말의 평균 직경은, 직경이 작은 입자에서 큰 입자로 더해지는 누적 중량이 50%일 때 측정되는 흑연 분말의 최대 크기를 평균 직경으로 할 때, 55~200㎛이 사용될 수 있으나, 140~16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흑연 분말의 평균 직경에 대한 수치 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는 전기전도도 및 굴곡강도 등 특성이 좋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특성의 불균일한 문제가 있다.
상기 카본파이버의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현재 제조되고 있는 직경 5~8㎛의 카본파이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파이버의 길이에 대한 수치 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는 물성 보강 효과가 줄어 들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수지 등과 잘 섞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의 입경에 대한 수치 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는 경우는 믹싱하기 힘들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불균일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들은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스틸렌 모노머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들은 경화제 또는 경화개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경화개시제로는 퍼옥사이드 계열의 디큐밀퍼옥사이드(DCP), 벤조일퍼옥사이드(BOP),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DTB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개시제의 사용량은 조성물에 첨가된 열경화성 수지 기준으로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반죽기(Mixing Device). 볼밀(Ball Mill), 니더(Kneader) 등에 의해 혼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반죽기에 모두 함께 넣어서 혼련시킬 수도 있으나, 흑연 분말, 카본화이버, 금속산화물을 혼련한 것과 수지 용액에 경화개시제를 섞은 것을 반죽기에서 함께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 온도는 20~30℃가 바람직하며, 혼련시간은 1시간 이상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외에 성능 향상을 위해 윤활제, 이형제, 안정제,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함께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된 각각의 조성물들을 실시예(1~2)와 비교예(1~6)로 각각 구분 설정하며, 이들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재료 시편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행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닐에스테르 13 13 23 18 13 13 13 13
흑연 76 80 77 69 77 82 84 87
카본파이버 8 4 - 8 - - - -
마그네슘옥사이드 3 3 - 5 10 5 3 -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6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굴곡 강도, 전기 전도성 및 가스 투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굴곡강도는 ASTM D-790 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전기 전도성 값은 체적 고유저항을 측정한 후 역수를 취한 값을 구하였으며(체적 고유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4 probe 저항측정기를 사용함), 가스투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조된 분리판을 밑판으로 압력용기를 만든 후 압력손실을 기준으로 10% 미만이면 Good, 10% 이상이면 Bad로 표시하였다. 압력용기의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cm, 10cm, 9cm로서 밑면만 분리판이고 다른 다섯면은 스텐레스 스틸로 제작하였다. 초기압력으로 1기압을 만든 다음 10일 후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손실을 계산함으로써 가스투과도를 계산할 수 있음 .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굴곡강도(Mpa) 50 42 29 52 27 27 27 27
전도성(S/cm) 95 92 50 50 53 74 90 130
가스투과도(cc/sec/cm2) good 1.81x10-7 good 5.16x10-7 bad 3.61x10-6 good 7.33x10-8 good 2.24x10-7 good 2.54x10-7 good 2.52x10-7 bad 8.15x10-4
상기 표 2를 통해 본 발명의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실시예 1, 2)로부터 형성된 시편이 비교예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시편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굴곡 강도 및 전기 전도성을 나타내고, 가스 투과도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전기 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수소 또는 산소 가스를 거의 투과하지 않아, 연료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직경이 작은 입자에서 큰 입자로 더해지는 누적 중량이 50%일 때 측정되는 흑연 분말의 최대 크기를 평균 직경으로 할 때, 그 평균 직경이 140 내지 160㎛인 흑연 분말 70~80 중량부;
    카본파이버 3~10 중량부;
    마그네슘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칼슘옥사이드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산화물 1~5 중량부; 및
    비닐에스테르수지, 페놀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되는 열경화성수지 1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파이버의 직경은 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파이버의 길이는 35~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의 입경은 5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은 디큐밀퍼옥사이드(DCP), 벤조일퍼옥사이드(BOP),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DTBP) 및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화개시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한 항에 따른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7. 삭제
KR1020060119260A 2006-11-29 2006-11-29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KR10083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260A KR100834607B1 (ko) 2006-11-29 2006-11-29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US11/946,478 US20080135814A1 (en) 2006-11-29 2007-11-28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pemfc and separator for pemfc manufactured out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260A KR100834607B1 (ko) 2006-11-29 2006-11-29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607B1 true KR100834607B1 (ko) 2008-06-02

Family

ID=3949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260A KR100834607B1 (ko) 2006-11-29 2006-11-29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35814A1 (ko)
KR (1) KR1008346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34B1 (ko) 2008-12-18 2011-06-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 분리판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분리판 및 연료전지
KR101262664B1 (ko) * 2011-04-27 2013-05-15 전자부품연구원 카본-흑연-금속 복합계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그를 갖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
EP2605319A1 (en) 2011-12-15 2013-06-19 Hankook Tire Co., Ltd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4075B (zh) * 2015-10-20 2017-03-29 国网河南镇平县供电公司 一种电力用导电膏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010A (ja) * 2001-03-19 2002-09-27 Nisshinbo Ind Inc 燃料電池セパレータ射出成形用コンパウンド、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セパレータ
US20050001352A1 (en) 2003-07-02 2005-01-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reparation of fuel cell composite bipolar plate
US6884538B2 (en) 2001-03-27 2005-04-26 Nichias Corporation Fuel cell sepa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79207A (ja) 2004-12-21 2006-07-06 Izuru Izeki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3413A (en) * 1998-05-21 2000-08-15 The Dow Chemical Company Bipolar plate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20030148164A1 (en) * 2001-09-07 2003-08-07 Koch Carol A. Efficient fuel cell water transport plates
JP2004079205A (ja) * 2002-08-09 2004-03-11 Nisshinbo Ind Inc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セパレータ
JP4243141B2 (ja) * 2002-12-24 2009-03-25 昭和電工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その成形体
TWI267220B (en) * 2005-05-24 2006-11-21 Univ Tsinghua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 gas permeability-resistance and heat-resistanc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010A (ja) * 2001-03-19 2002-09-27 Nisshinbo Ind Inc 燃料電池セパレータ射出成形用コンパウンド、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セパレータ
US6884538B2 (en) 2001-03-27 2005-04-26 Nichias Corporation Fuel cell sepa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01352A1 (en) 2003-07-02 2005-01-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reparation of fuel cell composite bipolar plate
JP2006179207A (ja) 2004-12-21 2006-07-06 Izuru Izeki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34B1 (ko) 2008-12-18 2011-06-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 분리판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분리판 및 연료전지
KR101262664B1 (ko) * 2011-04-27 2013-05-15 전자부품연구원 카본-흑연-금속 복합계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그를 갖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
EP2605319A1 (en) 2011-12-15 2013-06-19 Hankook Tire Co., Ltd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5814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697B1 (ko) 연료전지 분리판 성형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
KR101135477B1 (ko) 다공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JP2005514745A (ja) 電気伝導性親水性剤を有する燃料電池用の多孔質炭素体
CN1725538A (zh) 膜电极组件、燃料电池组、燃料电池系统以及膜电极组件的制造方法
KR20160041309A (ko) 공기극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상기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공기극 구조체의 제조방법
JP2005026076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用エンドプレート及び燃料電池発電装置
KR100834607B1 (ko)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형성용 조성물 및그로부터 형성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분리판
KR20070019868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제조방법
KR20070085506A (ko)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재와 그 제조 방법
US20030138686A1 (en) Fuel cell separator production method, fuel cell separators,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US20030194594A1 (en) Fuel cell separator. production method, and solid polymer fuel cells
KR20100020050A (ko) 자기치유 연료전지 분리판 제조용 혼합조성물 및 연료전지 분리판
EP2091100B1 (en)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material for solid polymer fuel cell
JP4508574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KR20200099332A (ko) 연료전지 분리판 실링용 조성물
KR100570765B1 (ko)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JP2006318790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ガス拡散電極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imura et al. Performance of graphite filled composite based on benzoxazine resin. II. Decreasing the moulding time of the composite
JP5845458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4430962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材とその製造方法
KR100612306B1 (ko) 연료전지의 바이폴러 플레이트용 복합재료
KR100827011B1 (ko) 연료전지용 금속제 분리판
KR100599711B1 (ko)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KR20070019837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230139229A (ko) 스테인리스 분말을 포함한 수소연료전지용 복합소재분리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