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746B1 -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746B1
KR100833746B1 KR1020070000785A KR20070000785A KR100833746B1 KR 100833746 B1 KR100833746 B1 KR 100833746B1 KR 1020070000785 A KR1020070000785 A KR 1020070000785A KR 20070000785 A KR20070000785 A KR 20070000785A KR 100833746 B1 KR100833746 B1 KR 10083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light
circuit board
region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모
김성환
성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746B1/ko
Priority to JP2007156726A priority patent/JP4660507B2/ja
Priority to US11/949,138 priority patent/US20080158470A1/en
Priority to DE602008003460T priority patent/DE602008003460D1/de
Priority to EP08100004A priority patent/EP1942709B1/en
Priority to CN2008100001263A priority patent/CN10121785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12Absorbing light, e.g. dielectric layer with carbon filler for laser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전 패턴 및 수동 소자에 유입되지 않도록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절연 필름과,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 패턴과,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되어 다수의 도전 패턴을 덮는 제2절연 필름과,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광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흡수하는 광흡수층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 연성 회로 기판, 광흡수층, 수동 소자, 도전 패턴

Description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CIRCUIT BOARD F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LIGHT ABSORBING LAYER}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서 광원이 실장(mount)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10; 제1절연 필름 120; 도전 패턴
130; 제2절연 필름 140; 광원
150; 수동 소자 160; 광흡수층
161; 제1광흡수층 162; 제2광흡수층
163; 윈도우 170; 제1영역
180; 제2영역 181; 제1절개부
182; 제2절개부 183; 패널 접속부
185; 잉크층 190; 제3영역
191; 컨트롤 접속부 199; 고정용 홀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 전압 및 낮은 소비 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 기판과, 상기 TFT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광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액정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인가하는 구동 모듈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구동 모듈 사이에는 통상 연성 회로 기판이 개재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에 포함된 액정이 자체적으로 발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소정 휘도 이상의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필요로 한다.
최근의 휴대 전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에서는 두께를 더욱 얇게 하고 무게를 더욱 가볍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 상기 광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러한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도광판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 실장된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모두 도광판으로 전달되어야 하지만, 일부의 빛은 도광판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원하지 않는 영역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는 도전 패턴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저항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수동 소자가 실장되는데,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도전 패턴 및 상기 수동 소자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에는 일정 세기의 에너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너지가 상기 도전 패턴 및 상기 수동 소자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수동 소자 및 액정 표시 패널이 오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에 광원을 장착한 구조는 최근의 슬림화 및 경량화 추세에 반드시 채택되어야 할 기술이지만,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각종 수동 소자를 오동작시킴으로써, 이를 채택한 기술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전 패턴 및 수동 소자에 유입되지 않도록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절연 필름과,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 패턴과,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도전 패턴을 덮는 제2절연 필름과,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광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제1절연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제1광흡수층과, 상기 광원의 외주연으로서 상기 제2절연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제2광흡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광흡수층에는 상기 광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패턴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넓이가 상기 도전 패턴의 넓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광흡수층의 면적이 상기 제2광흡수층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2광흡수층의 외주연에는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소자와 대응되는 제1절연 필름의 표면에도 제1광흡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타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및 에폭시 레진(epoxy res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제1절연 필름은 상기 광원 및 광흡수층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상호간 이격된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개부 사이에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가 이루는 절개 영역에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에는 외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과 제3영역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광원의 외주연에 제1광흡수층 및 제2광흡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도전 패턴 및 수동 소자쪽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동 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의 오동작도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에 광원 및 수동 소자를 형성하고, 제2영역에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를 형성하며, 제3영역에 외부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면적에 다수의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전기 접속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최근의 슬림화 및 경량화한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이 모두 연성의 제1절연 필름 및 제2절연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고, 따라서 절곡 부분이 많은 각종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쉽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서 광원이 실장되기 전의 상태가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100)은 제1절연 필름(110), 도전 패턴(120), 제2절연 필름(130), 광원(140), 수동 소자(150) 및 광흡수층(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연 필름(110)은 연성 회로 기판(100)의 기본층으로서, 연성의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 패턴(120)은 상기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 패턴(120)은 도전성이 우수한 구리 박막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 패턴(120)은 연성 회로 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종 전자 부품 예를 들면, 광원(14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동 소자(150)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 및 도 2에서는, 일부의 도전 패턴(12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도전 패턴(120)은 수십에서 수천개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2절연 필름(130)이 거의 불투명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은 상기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 패턴(120)을 덮는다. 따라서,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은 상기 도전 패턴(120)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은 예를 들면 광원(140)이나 수동 소자(1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부분(도전 패드)의 도전 패턴(120)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절연 필름(130)은 연성의 커버 레이 필름(cover lay film)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원(140)은 상기 도전 패턴(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도전 패턴(120)에는 도전 패드(120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전 패드(120a)는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140)은 납땜 등에 의해 상기 도전 패드(12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광원(140)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일렬로 배치된 3개의 광원(140)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광원(140)의 개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동 소자(150) 역시 상기 도전 패턴(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도전 패턴(120)에는 도전 패드(120b: 도 5참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전 패드(120b)는 제2절연 필름(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 소자(150)는 납땜 등에 의해 상기 도전 패턴(12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동 소자(15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저항,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수동 소자(15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일렬로 배치된 7개의 수동 소자(15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동 소자(150)의 개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흡수층(160)은 상기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된 제1광흡수층(161)과, 상기 제2절연 필름(130)에 형성된 제2광흡수층(16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광흡수층(161)은 상기 광원(140) 및 수동 소자(150)가 전기 접속된 면의 반대면인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광흡수층(162)은 상기 광원(14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제2절연 필름(130)에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을 통해 노출된 도전 패드(120a)에 광원(140)이 용이하게 전기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광흡수층(162)은 상기 도전 패드(120a)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2광흡수층(162)에는 윈도우(1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163)를 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120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윈도우(163)의 넓이가 상기 도전 패드(120a)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광흡수층(161) 및 제2광흡수층(162)의 구조에 의해 상기 광원(140)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도전 패턴(120) 및 수동 소자(150)로 유입되기 어렵게 된다. 즉, 상기 광원(140)으로부터의 빛이 도시되지 않은 도광판으로만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도전 패턴(120)이나 수동 소자(150)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광흡수층(160)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C8H16O4), 타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O2Ti) 및 에폭시 레진(epoxy resin)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16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의 광흡수층(160)은 검은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통상 블랙 실크(black silk)라고도 한다. 더욱이, 상기 광흡수층(160)이 검은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더불어, 이러한 광흡수층(160)은 스크링 프린팅(screen printing),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및 그 등가 방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형성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광흡수층(160)은 무전해 도금하거나 또는 전해 도금하여 형성할 수 있고, 더욱이 검은색의 고분자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100)은 평면적인 구조로 보았을 때 제1영역(170), 제2영역(180) 및 제3영역(190)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제1절연 필름(110)을 제1영역(170), 제2영역(180) 및 제3영역(190)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영역(17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광원(140), 수동 소자(150) 및 광흡수층(160)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160)중 상기 제1광흡수층(161)은 제1영역(170)에 대응되는 제1절연 필름(110)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흡수층(160)중 상기 제2광흡수층(162)은 제2절연 필름(130)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광흡수층(162)은 상기 광원(140)에만 형성되고, 상기 수동 소자(150)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광흡수층(161)의 면적이 상기 제2광흡수층(162)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된다.
상기 제2영역(180)은 상기 제1영역(17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패널 접속부(183)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영역(180)에는 상호간 소정 거리 이격된 제1절개부(18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개부(181) 사이에는 제2절개부(18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절개부(181)와 제2절개부(182)는 대략 "H"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181)와 제2절개부(182)가 이루는 절개 영역에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패널 접속부(183)에는 다수의 도전 패턴(120c: 도1c 참조)이 제1절연 필름(1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1c에서 미설명 부호 185는 제2영역(180)의 절곡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제1절연층보다 연성이 훨씬 우수한 잉크층이다.
상기 제3영역(190)은 상기 제2영역(18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외부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 접속부(19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 접속부(191)에는 다수의 도전 패턴(120d)이 제1절연 필름(110) 및 제2절연 필름(13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영역(170)과 제3영역(190)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홀(199a,199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홀(199a,199b)은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회로 기판(100)이 몰딩 프레임의 고정 돌기에 결합됨으로써, 그 몰딩 프레임에 연성 회로 기판(100)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3-3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은 제1영역(170), 제2영역(180) 및 제3영역(19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70)에는 광원(140)이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동 소자(150)가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영역(170)중 제1절연 필름(110)의 표면에는 제1광흡수층(1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영(170)중 제2절연 필름(130)의 표면에는 제2광흡수층(16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광흡수층(162)은 도전 패드(120a)의 외주연에 윈도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140)이 상기 도전 패드(12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있어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광원(140)으로부터의 빛은 상기 도전 패턴(120) 및 이러한 도전 패턴(120)을 통하여 상기 수동 소자(150)에까지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2광흡수층(162)은 상기 수동 소자(150)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영역(180)에는 패널 접속부(1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패널 접속부(183)에는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c)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영역(180)에는 절곡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일부 영역에 제1절연층보다 연성이 좋은 잉크층(18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잉크층(185)은 통상의 자외선 경화 잉크, 적외선 경화 잉크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제3영역(190)에는 컨트롤러 접속부(19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러 접속부(191)에는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d)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4-4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1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광원(140)은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a)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도전 패드(120a) 및 도전 패턴(12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물론, 제1절연층(110)의 표면에는 제1광흡수층(161)이 형성되고, 제2절연층(130)의 표면에는 제2광흡수층(16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140)으로부터의 빛이 도전 패턴(120)에 전달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5-5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저항,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와 같은 수동 소자(1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수동 소자(150)는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b)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도전 패드(120b) 및 도전 패턴(120)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6-6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제2영역(180)중 제1절연 필름(110) 대신 상대적으로 절곡이 더 잘되는 잉크층(18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절연 필름과 제2절연 필름이 상호 접착된 구성이 아닌 잉크층(185)과 제2절연 필름(130)이 상호 접착된 구성을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2영역(180)에 대하여 절곡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영역(180)중 패널 접속부(183)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소정 각도 절곡되는데 이때 상기 절곡 영역에 응력이 집중하여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절곡되는 제2영역(180)에 제1절연 필름(110) 대신 잉크층(185)을 형성함으로써, 절곡 공정중 응력을 흡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7-7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제2영역(180)중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18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 접속부(183)는 실질적으로 제1절연 기판(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다수의 도전 패턴(120c)일 수 있다. 즉, 이러한 다수의 도전 패턴(120c)이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외부 컨트롤러 접속부(191)를 통한 각종 전기적 신호가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광원의 외주연에 제1광흡수층 및 제2광흡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수동 소자 및 도전 패턴쪽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동 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의 오동작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광원으로부터 빛이 원하지 않는 영역(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용 드라이버 IC 등이 위치된 영역)으로 유출되지 않음으로써 화면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에 광원 및 수동 소자를 형성하고, 제2영역에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를 형성하며, 제3영역에 외부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면적에 다수의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전기 접속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최근의 슬림화 및 경량화한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이 모두 연성의 제1절연 필름 및 제2절연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고, 따라서 절곡 부분이 많은 각종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절연 필름;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 패턴;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도전 패턴을 덮는 제2절연 필름;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제1절연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제1광흡수층과, 상기 광원의 외주연으로서 상기 제2절연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제2광흡수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기판.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흡수층의 면적이 상기 제2광흡수층의 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흡수층의 외주연에는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동 소자와 대응되는 제1절연 필름의 표면에도 제1광흡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타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및 에폭시 레진(epoxy res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 필름은 상기 광원 및 광흡수층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 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상호간 이격된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개부 사이에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가 이루는 절개 영역에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에는 외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3영역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KR1020070000785A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KR10083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85A KR100833746B1 (ko)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JP2007156726A JP4660507B2 (ja) 2007-01-03 2007-06-13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11/949,138 US20080158470A1 (en) 2007-01-03 2007-12-03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DE602008003460T DE602008003460D1 (de) 2007-01-03 2008-01-02 Flexible Leiterplatte und Flüssigkristallanzeige damit
EP08100004A EP1942709B1 (en) 2007-01-03 2008-01-02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2008100001263A CN101217852B (zh) 2007-01-03 2008-01-03 柔性电路板及具有其的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85A KR100833746B1 (ko)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746B1 true KR100833746B1 (ko) 2008-05-29

Family

ID=3962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785A KR100833746B1 (ko)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3746B1 (ko)
CN (1) CN1012178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4502A (zh) * 2011-11-18 2012-03-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框及其背光系统
CN103486492B (zh) * 2012-06-13 2017-01-1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器及其背光模块及其光源模块
TWI509189B (zh) * 2012-06-13 2015-11-2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顯示器及其背光模組及其光源模組
KR102467737B1 (ko) * 2018-01-03 2022-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안테나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298A (ko) * 2004-10-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연성 회로 기판을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60058596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20060082471A (ko) *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23912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00073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818A (en) * 1983-02-25 1984-03-27 Scheib Joseph J Flexible light display with evenly distributed illumin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298A (ko) * 2004-10-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연성 회로 기판을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60058596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20060082471A (ko) *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23912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00073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7852B (zh) 2010-12-08
CN101217852A (zh)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556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US933264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packag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942709B1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8067697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88557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US9807880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KR100833746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KR102420788B1 (ko) 표시장치
KR100833748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KR100833747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US86250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70033507A (ko)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79566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421508B1 (ko) 표시장치
KR101273009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패턴 마스크
KR20080017770A (ko) 구동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287254B1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JP5115117B2 (ja) 液晶表示装置
JP2021096387A (ja) 表示装置
KR20060109655A (ko)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60018627A (ko)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KR20060086672A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