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655A -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655A
KR20060109655A KR1020050031882A KR20050031882A KR20060109655A KR 20060109655 A KR20060109655 A KR 20060109655A KR 1020050031882 A KR1020050031882 A KR 1020050031882A KR 20050031882 A KR20050031882 A KR 20050031882A KR 20060109655 A KR20060109655 A KR 2006010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inted circuit
display panel
dummy wiring
flexibl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655A/ko
Publication of KR2006010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18Propellers with means for diminishing cavitation, e.g. supercav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6Bla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인쇄 회로막은 베이스 필름(base film)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호 이격 절연된 다수의 전기접속용 배선부 및 다수의 더미(dummy) 배선부를 갖는 도전막과, 상기 도전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더미 배선부의 일부를 드러내는 다수의 접촉 구멍(contact hole)을 갖는 절연막, 및 상기 절연막을 덮으며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더미 배선부와 접촉된 접지층을 포함한다.
EMI, 표시 장치, 전자파, 가요성 인쇄 회로막

Description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AND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 회로막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요성 인쇄 회로막에서 접지층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의 결합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표시 패널 어셈블리 48 : 가요성 인쇄 회로막
50 : 표시 패널 60 : 탑 섀시
70 : 백라이트 어셈블리 75 : 바텀 섀시
80 : 구동 회로부 90 : 도전성 부재
본 발명은 전자파 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이하 "EMI"라 한다) 및 정전기 방출(electro-static discharge; ESD, 이하 "ESD"라 한다)을 억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이하 "FPC"라 한다)으로부터 발생되는 EMI 및 ESD를 억제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FPC를 비롯한 각종 전기 전자 장비를 사용하므로, 이러한 장비로부터 발생된 EMI로 인해 표시 장치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EMI를 억제시키는 것이 표시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표시 장치에 있어, 근래 들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소형 및 경량화되면서 성능이 더욱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표시 장치가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통상,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이하 "PCB"라 한다)인 컨트롤 보드(control board)를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에 제공하여 구동된다. 이때, 컨트롤 보드와 액정 표시 패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은 FPC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FPC는 물론, 컨트롤 보드에서도 EMI 및 ESD가 발생 되고 있으며, 특히 FPC는 액정 표시 패널 측의 PCB와 연결된 부위에서 많은 EMI 및 ESD를 발생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EMI 및 ESD를 저감시키기 위해 해당 전기 전자 장비를 접지(GND)시켜 노이즈(noise)를 흡수시키는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나, 쉽게 접지할 수 없어서 EMI 및 ESD의 발생을 억제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파 장애(EMI) 및 정전기 방출(ESD)의 발생을 억제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FPC)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인쇄 회로막은 베이스 필름(base film),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호 이격 절연된 다수의 전기접속용 배선부 및 다수의 더미(dummy) 배선부를 갖는 도전막, 상기 도전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더미 배선부의 일부를 드러내는 다수의 접촉 구멍(contact hole)을 갖는 절연막, 및 상기 절연막을 덮으며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더미 배선부와 접촉된 접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전기접속용 배선부 사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접촉 구멍은 상기 더미 배선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 배선부를 이루는 라인(line)의 폭은 상기 전기접속용 배선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상에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층은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포함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은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호 이격 절연된 다수의 전기접속용 배선부 및 다수의 더미 배선부를 갖는 도전막과, 상기 도전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더미 배선부의 일부를 드러내는 다수의 접촉 구멍을 갖는 절연막, 및 상기 절연막을 덮으며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더미 배선부와 접촉된 접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상에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층은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포함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을 내부에 수용하여 전후방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결합되는 탑 섀시(top chassis) 및 바텀 섀시(bottom chassis)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의 접지층과 상기 바텀 섀시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접지층과 상기 바텀 섀시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층은 상기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바텀 섀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전자파 장애 및 정전기 방출의 발생을 억제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이하 "FPC"라 한다)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C(48)를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C(48)는 베이스 필름(481), 도전막(482), 절연막(483), 및 접지층(484)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481)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과 같은 수지계열의 재질을 포함하여 만들어진다.
도전막(482)은 서로 다른 전기 전자 장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접속용 배선부(482a)와, 전기접속용 배선부(482a)에 대해 절연되어 이격 배치된 더미(dummy) 배선부(482b)를 포함한다. 즉, 도전막(482)은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인쇄 회로 기판(PCB) 및 컨트롤 보드(control board) 등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도전막(482)은 도전성 금속막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도전성 금속막은 통상 구리(Cu)를 포함한 재질이 주로 사용된다.
절연막(483)은 베이스 필름(481)과 같이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의 수지계열을 포함하여 만들어지거나, 솔더 마스크(solder mask) 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전막(482)의 전기접속용 배선부(482a)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절연막(483)을 형성하여 전기접속용 배선부(482a)가 각각 서로 다른 전기 전자 장비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접지층(484)은 더미 배선부(482b)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접지층(484)은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FPC(48)의 적층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481)의 일면 상에 도전막(482)을 형성한다. 도전막(482) 위에 절연막(483)을 덮으며, 절연막(483)은 더미 배선부(482b)의 일부를 드러내는 다수의 접촉 구멍(488)을 가진다. 절연막(483) 위에 접지층(484)을 형성하며, 접치층(484)은 접촉 구멍(488)을 통해 더미 배선부(482b)와 접촉된다. 그리고, FPC(48)는 베이스 필름(481), 도전막(482), 및 절연막(483)들 을 상호 접착시키는 접착제(4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PC(48)에 있어서 이러한 접착제(485)는 생산 공정이나 완제품의 사용 시에 열충격에 노출될 경우 내열성에 가장 밀접한 부분이다. 접착제(485)는 아크릴(acrylic resin)과 에폭시(epoxy)를 혼합한 재질을 포함하여 만들어진다.
도 3은 도전막(482)의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막(482)의 더미 배선부(482b)는 베이스 필름(481)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다. 또한, 더미 배선부(482b)는 전기접속용 배선부(48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미 배선부(482b)를 이루는 라인(line)의 폭은 전기접속용 배선부(482a)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488은 더미 배선부(482b) 상에 형성된 절연막(483)의 접촉 구멍(488)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다수의 접촉 구멍(488)은 더미 배선부(48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C(48)는 도전막(482)의 더미 배선부(482b)에 접촉된 접지층(484)을 포함한다. 이 접지층(484)을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다른 구조물에 접촉시키면, FPC(484)에서 전자파 장애(EMI) 및 정전기 방출(ESD)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도시한 FPC(48)를 사용한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다. 이때, 표시 장치(100)는, 일 실시예로, 다수의 광원 유닛(76)이 표시 패널(50)인 액정 표시 패널을 향하여 나란하게 배열된 직하형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직하형 표시 장치는 주로 TV 등 대형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첨부도면에서는 표시 패널(50)의 일 실시예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갖는 수광형의 표시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발광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의 자체 발광형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에서 도시한 표시 장치(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구조의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크게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와 빛을 제공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50)를 포함한다. 이외에, 표시 장치(100)는 이외에 이들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탑 섀시(top chassis)(60)를 더 포함하며, 기타 필요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탑 섀시(60)는 대각방향으로 2분할된 분할형 섀시로 구비된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40)는 표시 패널(50), 구동 IC 패키지(driver integrated circuit package)(43, 44), 및 소스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이하 "소스 PCB"라 한다)(41, 42)을 포함한다. 구동 IC 패키지(43, 44)s는 COF(chip on film)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e)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50)은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한다.
표시 패널(50)은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1)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1)에 대향 배치된 컬러필터 기판(53) 및 이들 양 기판(51, 53)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미도시)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컬러필터 기판(53)의 전면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1)의 배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70)에서 공급한 가시광선을 선편광시킨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1)은 투명한 절연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전성 재질로서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로 만들어진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스 단자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는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는 화소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소스 PCB(41, 42)로부터 공급받은 구동 신호가 표시 패널(5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전달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고, 이들 구동 신호 정보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를 턴 온 또는 턴 오프하여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 화소 전극을 스위칭하게 하게 된다. 이때, 소스 PCB는 게이트 라인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PCB(41)와 데이터 라인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PCB(42)로 구분된다.
한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1)에 대향하여 그 위에 컬러필터 기판(53)이 배치된다. 컬러필터 기판(53)은 빛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3원색(적색, 녹색 및 청색 또는 청록색, 자홍색 및 노랑색)의 화소가 형성된 기판으로, 통상 전면에 걸쳐 ITO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계(electric field)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1)과 컬러필터 기판(53)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며, 이에 따라 변경되는 광투과도에 의해 원하는 화소를 얻게 된다.
액정의 배열각과 액정이 배열되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1)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은 구동 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구동 IC 패키지(43, 44)는 표시 패널(50)에 부착되고 소스 PCB(41, 42)에 접속되어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소스 PCB(41, 42)를 각각 연결한다. 또한, 구동 IC 패키지(43, 44)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는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의 인가시기를 결정한다. 여기서, 구동 IC 패키지는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PCB(41)를 연결하는 게이트 구동 IC 패키지(43) 및 데이터 라인과 데이터 PCB(42)를 연결하는 데이터 구동 IC 패키지(44)로 구분된다. 즉, 표시 패널(50)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PCB(41)는 표시 패널(50)에 부착된 게이트 구동 IC 패키지(43)와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트 PCB(42)는 표시 패널(50)에 부착된 데이터 구동 IC 패키지(44)와 접속한다.
데이터 라인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PCB(42)는 전기적 연결부재인 FPC(48)에 의해 구동 회로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송받고, 표시 패널(50)에 부착된 데이터 구동 IC 패키지(44)와 접속하여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50)로 전달한다. 이때, 데이터 PCB(42)는 표시 장치(100)가 대형화될수록 그 크기 또한 커짐에 따라 많은 장력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도면에서와 같이 적어도 2분할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40)의 하부에는 표시 패널(50)에 빛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70)가 배치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70)는 ??자형의 분할형 미들 섀시(middle chassis)(71)와 바텀 섀시(75)가 상,하 위치 관계를 갖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광원(76)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들을 제공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미들 섀시(71)와 바텀 섀시(75)는 표시 패널(50)을 고정 지지하며, 탑 섀시(60)는 미들 섀시(71)와 함께 바텀 섀시(75)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70)는 바텀 섀시(75) 상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광원 유닛(76), 바텀 섀시(75)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수납되어 광원 유닛(76)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79), 광원 유닛(76)의 양단에서 광원 유닛(76)을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 몰드 사이드(frame mold side)(78), 그리고 광원 유닛(76)으로부터의 빛의 휘도 특성을 확보하여 표시 패널(50)로 빛을 제공하기 위한 광학 시트류(72) 및 확산판(74)을 포함한다. 도 1에는 광원 유닛(76)의 한 예로서 램프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광원 유닛(76)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할 수 있고, 선광원 또는 면광원 형태의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텀 섀시(75)의 배면에는 광원 유닛(76)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버터(inverter) 회로부(73) 및 데이터 PCB(42)와 FPC(48)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80)가 설치된다. 이때, 인버터 회로부(73)와 구동 회로부(80)는 각각 인쇄 회로 기판에 필요한 회로 소자를 실장시켜 형성되며, 각각의 케이스들(77, 82)을 통해 커버된다. 즉, 인버터 회로부(73)에 대해서는 다수의 방열용 홀(771)을 갖는 보호 케이스(77)가 인버터 회로부(73)를 덮으면서 바텀 섀시(75)의 일측에 결합되며, 구동 회로부(80)에 대해서도 이 구동 회로부(8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82)가 구동 회로부(80)를 덮으면서 바텀 섀시(75)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보호 케이스(77, 82)와 바텀 섀시(75)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호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 회로부(80)용 보호케이스(82)는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구동 회로부(8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구동 회로부(80)로부터 발생되는 EMI를 차폐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100)를 조립하여 FPC(48)가 배치된 곳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FPC(48)는 접지층(484)이 도전성 부재(90)를 통해 바텀 섀시(75)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바텀 섀시(75)도 도전 성 재질로 만들어졌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FPC(48)의 접지층(484)이 도전성 부재(9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바텀 섀시(75)와 접촉될 수 있다.
도전성 부재(90)는 통상 바텀 섀시(75)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스테인리스강(stainless use steel, sus),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전성 부재(90)의 내부에는 스펀지와 같은 쿠션(cushion)재가 내장될 수 있는데, 이 쿠션재는 외부 환경에 의해 FPC(48)로 충격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우, 이를 흡수하여 FPC(4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동 회로부(80)와 데이터 PCB(42)를 연결하는 FPC(48)에는 많은 EMI 및 ESD가 발생될 수 있지만, FPC(48)의 접지층(484)을 바텀 섀시(75)와 같은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EMI 및 ESD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FPC(48)가 접지(GND)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EMI 및 ESD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고주파 성분을 바텀 섀시(75) 전체로 분할하기 때문에 특성 주파 대역을 리니어(linear)하게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파 장애(EMI) 및 정전기 방출(ESD)의 발생을 억제한 가요성 인쇄 회로막(FPC)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장애 및 정전기 방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3)

  1. 베이스 필름(base film);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호 이격 절연된 다수의 전기접속용 배선부 및 다수의 더미(dummy) 배선부를 갖는 도전막;
    상기 도전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더미 배선부의 일부를 드러내는 다수의 접촉 구멍(contact hole)을 갖는 절연막; 및
    상기 절연막을 덮으며,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더미 배선부와 접촉된 접지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가요성 인쇄 회로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부는 상기 전기접속용 배선부 사이에 형성된 가요성 인쇄 회로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촉 구멍은 상기 더미 배선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요 성 인쇄 회로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부를 이루는 라인(line)의 폭은 상기 전기접속용 배선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가요성 인쇄 회로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상에만 형성된 가용성 인쇄 회로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층은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포함한 재질로 만들어진 가요성 인쇄 회로막.
  8.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은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호 이격 절연된 다수의 전기접속용 배선부 및 다수의 더미 배선부를 갖는 도전막 과, 상기 도전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더미 배선부의 일부를 드러내는 다수의 접촉 구멍을 갖는 절연막, 및 상기 절연막을 덮으며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더미 배선부와 접촉된 접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상에만 형성된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층은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포함한 재질로 만들어진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내부에 수용하여 전후방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결합되는 탑 섀시(top chassis) 및 바텀 섀시(bottom chassis)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의 접지층과 상기 바텀 섀시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층과 상기 바텀 섀시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층은 상기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바텀 섀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표시 장치.
  13. 제8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인 표시 장치.
KR1020050031882A 2005-04-18 2005-04-18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60109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82A KR20060109655A (ko) 2005-04-18 2005-04-18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82A KR20060109655A (ko) 2005-04-18 2005-04-18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655A true KR20060109655A (ko) 2006-10-23

Family

ID=3761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82A KR20060109655A (ko) 2005-04-18 2005-04-18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6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9300B2 (en) 2018-11-28 2022-0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9300B2 (en) 2018-11-28 2022-0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7999341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evice, film, and module
KR101152125B1 (ko) 표시장치
KR20080024826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26070A (ko) 구동 집적 회로칩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60090392A (ko)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KR102420788B1 (ko) 표시장치
KR102396021B1 (ko) 구동칩이 구비된 인쇄 회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55279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060124912A (ko) 집적 회로칩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060081590A (ko) 회로부 커버용 케이스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KR20060124913A (ko) 표시 장치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060109655A (ko) 가요성 인쇄 회로막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421508B1 (ko) 표시장치
KR100766933B1 (ko) 평판 표시장치
KR20170023239A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JPH10143090A (ja) 表示装置
KR20060079520A (ko) 회로보드 커버용 케이스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KR101852998B1 (ko) 액정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KR20080010930A (ko) 표시장치
KR20080017770A (ko) 구동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661096B1 (ko) 표시장치
KR20080000848A (ko) 액정 표시 모듈
KR20080013263A (ko) 구동 집적회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