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150B1 -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 Google Patents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150B1
KR100833150B1 KR1020080021262A KR20080021262A KR100833150B1 KR 100833150 B1 KR100833150 B1 KR 100833150B1 KR 1020080021262 A KR1020080021262 A KR 1020080021262A KR 20080021262 A KR20080021262 A KR 20080021262A KR 100833150 B1 KR100833150 B1 KR 10083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unit
connector
tax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돈
Original Assignee
(주)대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코리아 filed Critical (주)대림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2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07B13/02Details; Accessories
    • G07B13/04Details; Accessories for indicating fare or state of hi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81Types of network addresses using addresses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or wireless sensor networks, e.g. Zigbee addr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택시미터기의 통신수단이 적외선통신으로 이루어져 10m 이내에서만 데이터통신이 되고, 영수증 출력시 한글입력이 어려워 제작초기에 프로그램을 조작해서 세팅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직사각형상의 본체, 화면표시부, 키패드부, 영수증 출력부, 지그비 통신수단 및 한글변환프로그램이 구비된 PCB 제어 모듈로 구성됨으로서, 차량의 운행 내역을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Data)를 수집하며 단말기와 연동하여 중앙관리센터와 송수신할 수 있고, 차량 내에 위치한 택시미터 단말기를 통해 장거리에서 추적할 수 있으며, 입력된 지역번호를 한글로 변환한 후 요금과 함께 영수증에 바로 출력할 수 있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그비 통신수단, 한글변환프로그램, PCB 제어모듈

Description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THE TAXI METER}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의 본체, 화면표시부, 키패드부, 영수증 출력부, 지그비 통신수단 및 한글변환프로그램이 구비된 PCB 제어 모듈로 구성됨으로서, 차량의 운행 내역을 지그비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Data)를 수집하며 단말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중앙관리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고, 차량내에 위치한 택시미터 단말기를 장거리에서 추적할 수 있으며, 입력된 지역번호를 한글로 변환한 후 요금과 함께 영수증에 바로 출력할 수 있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이 택시에 승차하게 되면 택시 운전자는 택시미터기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 요금을 자동적으로 계산하게끔 한다. 즉, 택시 운전자가 택시미터기의 주행 또는 할증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시간과 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이 계산되어 택시미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택시미터기에 차량에 이미 설치된 적산계 등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어 가능하다. 즉,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게 되면, 바퀴의 회전수에 따라 주행거리가 계산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차축의 회전수를 계산하여 주행거리를 계산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는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택시미터기는 이와 같은 적산계에 프로그램되어 있고, 그 내부에 다른 여러 전자부품을 구비하여 주행시간을 계산하며, 계산된 주행거리 및 주행시간을 일정한 수식으로 연산하여 승객이 지불해야 하는 요금을 계산하게 되고, 그 계산된 요금은 택시미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운전자와 사용자가 모두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택시미터기는 택시미터기의 통신수단이 적외선통신으로 이루어져 10m 이내에서만 데이터통신이 되고, 영수증 출력시 한글입력이 어려워 제작초기에 프로그램을 조작해서 직접 세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운행 내역을 지그비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Data)를 수집하며 단말기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중앙관리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고, 입력된 지역번호를 한글로 변환한 후 요금과 함께 영수증에 바로 출력할 수 있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는 주행거리와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택시 요금을 계산하는 택시미터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택시미터기는 직사각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주행거리와 요금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그 화면표시부 일측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영수증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숫자버튼 및 기능키 버튼을 입력하는 키패드부와,
그 PCB 제어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PCB 제어모듈로부터 명령을 받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자장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거나, 또는 입력된 지역번호를 한글로 변환한 후 프린트 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PCB 제어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택시미터기에 PCB 제어모듈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호환성이 좋고, 차량의 운행 내역을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며 단말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택시가 운집해 있는 택시운송사업장 및 중앙관리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차량내에 위치한 택시미터 단말기를 통해 장거리에서 추적할 수 있으며, 입력된 지역번호를 한글로 변환한 후 요금과 함께 영수증에 바로 출력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택시미터기로부터 얻어진 총주행거리, 총영업거리, 총영업회수, 총영업이후회수, 총수입금, 시간, 날짜, 승차감소거리, 승차거리, 당일시작시간, 당일주행거리, 당일영업거리, 당일영업회수, 당일이후회수, 당일총수입금, 과속값, 센서옵션 및 감속율비, 차량번호, 현재속도에 관한 차량 운행 내역을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Data)를 수집하며 단말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중앙관리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고, 차량내에 위치한 택시미터 단말기를 통해 장거리에서 추적할 수 있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설명되는 지그비 통신모듈에 관해 설명한다.
지그비(ZigBee)는 저전력 무선 근거리 표준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가격이 저렴하고, 전력소모가 매우 적고, 크기와 프로그램이 작으며, 근거리에서 속도가 크게 빠르지 않고, 네트워크 사용 빈도가 드문 경우에 가장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일반적인 배터리로도 1년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전송속도는 2.4GHz 대역에서 최대 250 Kbps, 칩의 가격은 $1 정도이다.
네트워크에 최대 65,536개의 노드를 붙일 수 있고, 스타(Star), 클러스터 트리(uster Tree) 및 메쉬(Mesh) 네트워크 망까지도 지원이 된다. IEEE 802.15.4의 PHY 및 MAC 표준을 바탕으로 지그비(ZigBee) 연합(기업체 및 연구소 등)이 중심이 되어 상위계층인 네트워크 및 응용 계층의 ZigBee 스펙을 제정하였다.
전송거리는 10~75m range, 75m/1mW(0dBm)이하, 30mA TX이고, 2.4GHz 하드웨어의 경우 30m/indoor, over 100m/outdoor이며, 배터리 수명은 100~1,000day이상의 수명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지그비(ZigBee)의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택시미터기 내에 지그비 통신 모듈을 부착하여, 택시가 운집해 있는 택시운송사업장 및 중앙관리센터 등에 저속 통신으로 근거리에서 택시 운행 내역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100), 화면표시부(200), 키패드부(300), 영수증 출력부(400), PCB 제어 모듈(5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면에 화면표시부(200), 키패드부(300), 영수증 출력부(400)가 구성되고, 후면에 방열판이 구성되며, 후면 하단부에 차량에 설치된 속도센서, 도어 온/오프 측정센서, 네비게이션, 배터리, MDT 등의 차량 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소켓(콘넥터)이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 내부에 화면표시부의 형광표시관(VFD : Vacuum Flourescent Display)(210)과 PCB 제어모듈(500)이 함께 구성되어 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재질은 열가소성수지로서 PP (Polypropylene), PA (Polyamide), PPA(Polyphethal Amide), PC (Polycarbonate), PBT (Polybuthylene Terephathalate) PPE (Polyphemylene Ether), PE (Polyethylene)수지등이 사용된다.
특히, PP (Polypropylene)는 알루미늄알킬 / 사염화티탄계의 지글러, 타나촉 매를 이용하여 용제 존재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은 아이소택틱 폴리머(isotactic polymer)로서, 밀도는 0.90로 모든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가벼운 플라스틱이며, 인장 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면을 가진다.
PP는 55 중량% ~ 95 중량%가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 80 중량%를 사용하며 그 이유는 PP의 함량이 60 중량% 이상이 되어야 성형 후 충분한 내충격성 및 인장 강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P를 80 중량% 이상 사용하면 가소제 및 안정제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성형이 어렵고 또한 추후 응력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PA (Polyamide)와 PPA (Polyphethal Amide)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합 중합체인 나일론 66과 ε-카프로락탐의 중합체인 나일론 6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특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면을 가진다.
PC (Polycarbonate)는 향족 폴리탄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수지로서, 기계적 성질, 내열성, 전기적 성질 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며, PB(Polybuthylene Terephathalate)는 테레프탈산디메틸(DMT)DHK 1?4브탄디올(TPA)의 1.4BG의 직접에스테르 화법에 의해 합성된 것으로,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가지며, 내피로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PPE (Polyphemylene Ether)는 메타놀과 페놀에서 2.6 Xylenol을 합성한 것으로, 기계적특성, 전기적특성, 내열수성, 내열성이 우수한 면을 가지며, PE (Polyethylene)은 에틸렌의 중합(CH2=CH2)으로 생기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물질 로서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성형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상기 화면표시부(200)는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주행거리와 요금의 정보를 표시하는 곳으로, 이는 형광표시관(VFD : Vacuum Flourescent Display)(210)으로 구성된다.
형광표시관(VFD)(2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에 투명 도전막을 코팅하여 VFD의 발광시 외부의 전계, 자계등으로부터 발광 보호 및 정전기 방지 역할을 하는 전면유리(Face Glass)(211)와, 텅스텐 와이어에 탄산염을 코팅한 선으로서 열전자 방출하는 필라멘트(212)와, 관내의 공기를 뽑아 진공상태를 만드는 배기관과, 공간확보 및 진공을 만들기 위한 벽체 역할을 하는 측면유리(Side Glass)(213)와, 필라멘트 및 배선층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 핀(Lead Pin)(214)과, 형광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과 형광체가 인쇄된 기판유리(215)와, Filament에서 방출된 전자를 제어, 가속하는 그물형태의 금속 망을 이루는 그리드(216)와, 배선층과 도전층의 통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절연층(217), +인가시 전자를 당겨서 형광체 발광을 유도하고, -인가시 전자를 밀어내어 비발광시키는 애노드(218)와, 각 부품의 배출가스나 이물을 흡착하여 진공도를 유지시켜주는 개터(Getter)(21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광표시관(VFD)(21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Filament)(212)에 전압을 인가하여 열전자를 발생시키고, 그리드(Grid)(216)에서 전자가 가속되어 애노드(Anode)(218)에 도달하도록 하여, 패터 링(Patterning)된 형광체에 부딪혀 발광함으로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키패드부(300)는 화면표시부 일측에 형성되어 화면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영수증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숫자버튼 및 기능키 버튼을 입력하는 곳으로, 이는 미터기 구동프로그램(310)과 한글변환프로그램(320)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미터기 구동프로그램(310)은 다음의 표1과 같이 기능키 버튼을 통해 총주행거리, 총영업거리, 총영업회수, 총영업이후회수, 총수입금, 시간, 날짜, 승차감소거리, 승차거리, 당일시작시간, 당일주행거리, 당일영업거리, 당일영업회수, 당일이후회수, 당일총수입금, 과속값, 센서옵션 및 감속율비, 차량번호, 현재속도, 운행속도분석 등이 설정된다.
표 1
구분번호 내용 구분번호 내용
1 총주행거리 11 당일주행거리
2 총영업거리 12 당일영업거리
3 총영업횟수 13 당일영업회수
4 총영업이후회수 14 당일이후회수
5 총수입금 15 당일총수입금
6 시간 16 과속값
7 날짜 17 센서옵션 및 감속율비
8 승차감소거리 18 차량번호
9 승차거리 19 현재속도
10 당일시작시간 20 운행속도분석
본 발명에 따른 미터기 구동프로그램(310) 중 영업데이터 초기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빈차상태에서 구분번호 10번을 맞추고, 설정버튼을 누른다.
이어서, 구분내용쪽에 일시분이 기록되고, 구분내용 맨앞자리 숫자가 점멸된다.
이어서, 설정버튼을 누르면 영업데이터 초기화가 완료되고, 구분내용 11-15번까지가 모두 지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미터기 구동프로그램(310) 중 과속경고 속도조정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빈차상태에서 구분번호 16번을 맞춘다.
이어서, 설정버튼을 누르면, 구분내용쪽에 과속값이 표시된다.
이어서, 구분내용 맨앞자리 숫자가 점멸되고, 키버튼으로 과속값을 수정입력한다.
이어서, 설정버튼을 누르면 완료된다.
다음으로, 미터기 구동프로그램(310) 중 영수증 입력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빈차상태에서 구분번호 18번을 맞춘다.
이어서, 설정버튼을 누르면, 구분내용쪽에 차량번호가 표시된다.
이어서, 엑스트라(EXTRA) 요금표시쪽에 Set-01이 표시된다.
이어서, 설정버튼을 온(On)하면, 엑스트라(EXTRA) 요금표시쪽이 Set-02로 변하고, 구분내용도 변하게 된다.
이어서, 설정버튼을 계속 온(On)하면, 엑스트라(EXTRA) 요금표시쪽 16번까지 올라가면서 셋팅되고, 구분내용 데이터 수정은 키 버튼에 의해서 행해져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역기호 및 용도기호가 각각 한글과 숫자로 연계되어 설정됨으로서, 숫자키를 누르면 바로 그 숫자에 해당되는 지역명과 용도명으로 변환되어 영수증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글변환프로그램(320)이 작동한다.
이는 영수증 출력시, 사용자가 차량번호(일예 : '서울33아1234')를 입력할 경우에, 다음의 표 2와 표 3에 설정된 지역기호 및 용도기호의 한글변환프로그램을 통해 '2'를 누르면 지역명인 '서울'로 한글변환되어 영수증에 표시되고, '02'를 누르면 용도명인 '아'로 한글변환되어 영수증에 차량번호(일예 : '서울33아1234')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표 2지역기호
서울 : 2 울산 : 52
경기 : 31 대구 : 53
인천 :32 경북 : 54
강원 : 33 전남 : 61
충남 : 41 광주 : 62
충북 : 43 전북 : 63
부산 : 51 제주 : 64
표 3용도기호
00 : 바
01 : 사
02 : 아
03 : 자
04 : 차
05 : 카
06 : 타
07 : 파
08 : 하
상기 영수증 출력부(400)는 PCB 제어모듈(5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PCB 제어모듈로부터 명령을 받아 영수증을 출력하는 곳으로, 이는 화면표시부의 우측으로 영수증 출력부의 커버(4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커버에는 영수증의 자유단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4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 하단에는 톱니형상의 치형들이 형성된 절단기(4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는 사용자가 커버의 상단부의 손잡이(440)를 잡고 아래로 약간 누른 상태에서 전방 쪽으로 당기게 되면 커버(410)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수증 출력부(400)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PCB 제어모듈(5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키패드부의 기능키 버튼 중 인쇄버튼이 눌려지면, 영수증에 사업자번호, 차량번호, 전화번호, 휴대전화, 날짜, 승하차시간, 승차요금, 호출요금 등이 표시되어 출력된다.
이러한 영수증 데이터는 PCB 제어모듈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PCB 제어모듈(500)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자장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거나, 또는 입력된 지역번호를 한글로 변환한 후 프린트 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 이는 전원부(510), 디지털 입력부(520), 디지털 출력부(530), 모뎀 인터페이스부(540), MDT 인터페이스부(550), 화면표시제어부(560), 메인제어부(560), 메모리부(570), 지그비 통신 모듈(580), 메인컨넥터(59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510)는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곳으로, 이는 택시미터기의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영수증 출력용 전원부와, 화면표시용 구동전원부로 나누어 구성된다.
주전원부(511)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 단자(M12A)로부터 전원(12V)을 인가받아 저항 R36과, 전해콘덴서 C36, C33을 통해 평활되어 LM2576S로 입력되고, LM2576S에서는 인덕터 L16로 증폭시키고, 전해콘덴서 C34, C35, C37로 평활시켜 AVR 전원인 5V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영수증 출력용 전원부(512)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 단자(M12B)로부터 전원(12V)을 인가받아, 전해콘덴서 C41, C38을 통해 평활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프린터 전원 온(On) 신호(PRT_PWR)를 입력받아 트랜지스터 Q4가 턴온되면, LM2576S로 평활된 전원(12V)이 입력되고, LM2576S에서는 인덕터 L17로 증폭시키고, 전해콘덴서 C39, C40, C42로 평활시켜 영수증 출력용 전원인 7.2V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화면표시용 구동전원부(513)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전원부로부터 5V 전원을 공급받아, 저항 R48을 통해 센싱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화면표시용 구동 전원 온(On) 신호(VFD_PWR)를 입력받아 트랜지스터 Q7가 턴온되면, 트랜스포머 T1의 1차 코일로 5V 전원이 입력되고, 트랜스포머 T1의 2차코일에서 출력된 35~38V의 전원이 다이오드 D21를 통해 정류되고, 전해콘덴서 C47과 콘덴서 C48을 통해 평활되어 화면표시부의 형광표시관(VFD)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입력부(520)는 차량의 속도, 승객의 탑승 횟수, 시동횟수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입력시키는 곳으로, 이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제어부로부터 차량의 속도 검출신호(EXT_SPEED)가 입력되면, 증폭기(U1C)로 증폭시켜 저항 R20을 통해 속도 센서(U3)를 구동시키고, 그 속도 센서(U3)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21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12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590)의 차량 속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SPEED)에 전달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승객의 탑승 횟수신호(EXT_DOOR)가 입력되면, 증폭기(U1D)로 증폭시켜 저항 R26을 통해 도어 온/오프 검출센서(U4)를 구동시키고, 그 도어 온/오프 검출센서(U4)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25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17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590)의 도어 온/오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DOOR)에 전달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시동 횟수신호(EXT_KEY)가 입력되면, 증폭기(U1E)로 증폭시켜 저항 R32를 통해 차량의 시동 검출센서(U5)를 구동시키고, 그 시동 검출센서(U5)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33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28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590)의 차량의 시동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KEY)에 전달된다.
상기 디지털 출력부(530)는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빈차신호 및 할증신호가 택시 지붕의 방범등에 표시되도록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키는 곳으로, 이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제어부로부터 빈차표시 신호(EXT_BIN)가 입력되면, 증폭기(U2A)로 증폭시키고, 저항 R6를 통해 트랜지스터 Q1를 턴온시키면, 빈차표시 구동 전원(VCC)이 저항 R1을 지나 다이오드 D1을 통해 정류되고, 콘덴서 C2를 통해 평활되어 메인컨넥터(590)의 빈차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BIN)에 전달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로부터 할증표시 신호(EXT_HAL)가 입력되면, 증폭기(U2D)로 증폭시키고, 저항 R13를 통해 트랜지스터 Q2를 턴온시키면, 할증표시 구동 전원(VCC)이 저항 R8을 지나 다이오드 D5를 통해 정류되고, 콘덴서 C6를 통해 평활되어 메인컨넥터(590)의 할증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HAL)에 전달된다.
상기 모뎀 인터페이스부(540)는 MDT 장비 및 지그비 통신 모듈(580)과 연결되어 메인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조(modulation)해 주고,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복조(demodulation)해 주는 곳으로, 이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컨넥터(590)의 수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RXD)에서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차량 운행 내역 요청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수신받아 증폭기(U1A)로 증폭시킨 후 디지털신호로 복조시켜, 지그비 통신 모듈(580)로 관리서버의 차량 운행 내역 요청 신호(EXT_MOD_RXD)를 수신받도록 구성된다.
지그비 통신 모듈(580)로부터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 차량 운행 내역 송신 신호(EXT_MOD_TXD)가 전달되면, 증폭기(U2B)로 1차 증폭시키고, 증폭기(U2C)로 2차 증폭시킨 후 아날로그신호로 변조시켜, 메인컨넥터(590)의 송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TXD)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MDT 인터페이스부(550)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하여 승객이 콜(Call)한 위치를 네비게이션의 맵(Map)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곳으로, 이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모듈(CDMA, GSM, TRS 등)과 결합한 MDT(Mobile Data Terminal)가 택시미터기 일측에 구성된다.
그리고, MDT와 택시미터기를 연계시켜 주는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이 구성된다.
즉, 메인제어부로 전달되는 MDT 수신신호(EXT_MDT_RXD)가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R1OUT 단자와 연결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송신된 MDT 송신신호(EXT_MDT_TXD)가 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T2IN 단자와 연결되며, 메인컨넥터(590)의 MDT 수신용 단자(CON_MDT_RXD232)가 저항 R23을 통해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R1IN 단자와 연결되고, 메인컨넥터(590)의 MDT 송신용 단자(CON_MDT_TXD232)가 저항 R29를 통해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T1OUT 단자와 연결되며, 메인컨넥터(590)의 수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RXD)가 저항 R30을 통해 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R2IN 단자와 연결되고, 메인컨넥터(590)의 송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TXD)가 저항 R34를 통해 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T2OUT 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화면표시제어부(560)는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키패드부에 입력된 주행거리, 요금, 할증의 정보를 화면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과, 형광표시관(VFD) 연결 컨넥터(U12), 키패드부 연결 컨넥터(J3), 기능키 버튼(빈차, 주행, 할증, 지불, 호출, 복합, 시외, 인쇄, 구분, 셋트)이 표시램프와 함께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DOUT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SPI_SDI 신호가 연결되고,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DIN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SPI_SDO 신호가 연결되며,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CLK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SPI_SCK 신호가 연결되고,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STB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VFD_STB 신호가 연결되며, 기능키 버튼(빈차, 주행, 할증, 지불, 호출, 복합, 시외, 인쇄, 구분, 셋트)이 다이오드 D2, D3, D4를 통해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SG1/KS1, SG2/KS2, SG3/KS3 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SG4/KS4, SG5/KS5, SG6/KS6, SG7/KS7 단자와 키패드부 연결 컨넥터(J3)가 연결되어, 키패드부의 숫자키를 누르면 바로 그 숫자에 해당되는 지역명과 용도명으로 변환되어 영수증에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제어부(570)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 이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Tmega128-16AU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즉, 출력단자 PB0는 화면표시 구동신호(VFD_STB 신호)를 보내 형광표시관(VFD) 드 라이버 IC(PT6311)의 STB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단자 PB1는 SPI 통신을 위한 시리얼 클럭 신호(SPI_SCK 신호)를 보내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CLK 단자(SPI_SCK)와 연결되도록 하며, 출력단자 PB2는 SPI 통신을 통한 데이터 출력 신호(SPI_SDO 신호)를 보내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DIN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단자 PB3는 SPI 통신을 통한 데이터 입력 신호(SPI_SDI 신호)를 보내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DOUT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며, 출력단자 PFO~PF7단자는 영수증 출력부와 연결되며, 출력단자 PD0는 리얼타임 클럭신호(RTC_CLK 신호)를 보내 시계회로 IC의 CLK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단자 PD1는 리얼타임 데이터입출력 신호(RTC_DIO 신호)를 보내 시계회로 IC의 DIO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며, 출력단자 PD2는 지그비 통신 모듈로 부터 수신 신호(RXD1)를 받을 수 있도록 택시미터기의 컨넥터 단자(J1)를 통해 지그비 통신 모듈과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단자 PD3는 지그비 통신 모듈로 송신 신호(TXD1)를 보낼 수 있도록 택시미터기의 컨넥터 단자(J1)를 통해 지그비 통신 모듈과 연결되도록 하며, 출력단자 PD4는 리얼타임클럭 칩 구동신호(RTC_ CE신호)를 보내 시계회로 IC의 CE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단자 PE0는 MDT 수신신호(EXT_MDT_RXD)를 보내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R1OUT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며, 출력단자 PE1는 MDT 송신신호(EXT_MDT_TXD)를 보내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T1IN 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출력단자 PE2는 빈차표시신호(EXT_BIN)를 보내 디지털 출력부의 증폭기(U1A)와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단자 PE3는 할증표시신호(EXT_HAL)를 보내 디지 털 출력부의 증폭기(U2D)와 연결되도록 하며, 출력단자 PE4는 차량의 속도 검출신호(EXT_SPEED)를 보내 디지털 입력부의 증폭기(U1C)와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단자 PE5는 승객의 탑승 횟수신호(EXT_DOOR)를 보내 디지털 입력부의 증폭기(U1D)와 연결되도록 하며, 출력단자 PE6는 시동 횟수신호(EXT_KEY)를 보내 디지털 입력부의 증폭기(U1E)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580)은 메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택시가 운집해 있는 택시운송사업장 및 중앙관리센터에 저속 통신으로 근거리에서 택시 운행 내역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는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컨넥터(CON3)(581), RS-232통신용 드라이버 IC(582), 스위치 IC(583), 지그비 모듈 제어부(584), 지그비 통신부(585)로 구성된다.
연결컨넥터(CON3)(581)는 메인제어부(570)와 연결된 택시미터기의 연결컨넥터(J1)와 (삭제 )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RS-232통신용 드라이버 IC(582)는 메인제어부(570)와 지그비통신모듈간의 시리얼 통신(RS-232통신)이 되도록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 IC(583)는 지그비 모듈 제어부(584)의 제어를 통해 MDT(단말기)와 지그비 통신부, 택시 미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지그비 모듈 제어부(584)는 택시미터로부터 차량 운행 내역 데이터 및 영수증 출력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MDT 인터페이스부(550)로부터 승객이 콜(Call)한 위치를 입력받아, 택시미터 단말기를 통해 택시운송사업장 및 중앙관리센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지그비 통신부(585)는 지그비 모듈 제어부(584)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저속 통신으로 근거리에서 택시 운행 내역 데이터를 송신하고, 택시운송사업장 및 중앙관리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컨넥터(590)는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 단자(M12A) 연결 컨넥터, 차량용 배터리 단자(M12B) 연결 컨넥터, 차량 속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SPEED), 도어 온/오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DOOR), 차량의 시동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KEY), MDT 송신용 단자(CON_MDT_TXD232), 수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RXD), 송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TXD), MDT 송신용 단자(CON_MDT_TXD232), 빈차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BIN), 할증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HAL)로 구성되어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주전원부에서 차량용 배터리 단자(M12A)로부터 전원(12V)을 인가받아 저항 R36과, 전해콘덴서 C36, C33을 통해 평활되어 LM2576S로 입력되고, LM2576S에서는 인덕터 L16로 증폭시키고, 전해콘덴서 C34, C35, C37로 평활시켜 AVR 전원인 5V가 출력되어 메인제어부가 구동된다.
그리고, 영수증 출력용 전원부에서 차량용 배터리 단자(M12B)로부터 전 원(12V)을 인가받아, 전해콘덴서 C41, C38을 통해 평활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프린터 전원 온(On) 신호(PRT_PWR)를 입력받아 트랜지스터 Q4가 턴온되면, LM2576S로 평활된 전원(12V)이 입력되고, LM2576S에서는 인덕터 L17로 증폭시키고, 전해콘덴서 C39, C40, C42로 평활시켜 영수증 출력용 전원인 7.2V가 출력되어 영수증 출력부가 구동된다.
화면표시용 구동전원부에서 주전원부로부터 5V 전원을 공급받아, 저항 R48을 통해 센싱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화면표시용 구동 전원 온(On) 신호(VFD_PWR)를 입력받아 트랜지스터 Q7가 턴온되면, 트랜스포머 T1의 1차 코일로 5V 전원이 입력되고, 트랜스포머 T1의 2차코일에서 출력된 35~38V의 전원이 다이오드 D21를 통해 정류되고, 전해콘덴서 C47과 콘덴서 C48을 통해 평활되어 화면표시부의 형광표시관(VFD)로 전달하여 화면표시부가 구동된다.
이어서, 디지털 입력부에서는 메인제어부로부터 차량의 속도 검출신호(EXT_SPEED)가 입력되면, 증폭기(U1C)로 증폭시켜 저항 R20을 통해 속도 센서(U3)를 구동시키고, 그 속도 센서(U3)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21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12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차량 속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SPEED)에 전달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승객의 탑승 횟수신호(EXT_DOOR)가 입력되면, 증폭기(U1D)로 증폭시켜 저항 R26을 통해 도어 온/오프 검출센서(U4)를 구동시키고, 그 도어 온/오프 검출센서(U4)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25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 서 C17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도어 온/오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DOOR)에 전달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시동 횟수신호(EXT_KEY)가 입력되면, 증폭기(U1E)로 증폭시켜 저항 R32를 통해 차량의 시동 검출센서(U5)를 구동시키고, 그 시동 검출센서(U5)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33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28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차량의 시동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KEY)에 전달된다.
이어서, 메인제어부로부터 빈차표시 신호(EXT_BIN)가 입력되면, 증폭기(U2A)로 증폭시키고, 저항 R6를 통해 트랜지스터 Q1를 턴온시키면, 빈차표시 구동 전원(VCC)이 저항 R1을 지나 다이오드 D1을 통해 정류되고, 콘덴서 C2를 통해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빈차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BIN)에 전달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로부터 할증표시 신호(EXT_HAL)가 입력되면, 증폭기(U2D)로 증폭시키고, 저항 R13를 통해 트랜지스터 Q2를 턴온시키면, 할증표시 구동 전원(VCC)이 저항 R8을 지나 다이오드 D5를 통해 정류되고, 콘덴서 C6를 통해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할증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HAL)에 전달된다.
이어서, 모뎀 인터페이스부에서는 메인컨넥터의 수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RXD)에서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차량 운행 내역 요청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수신받아 증폭기(U1A)로 증폭시킨 후 디지털신호로 복조시켜, 지그비 통신 모듈(580)로 관리서버의 차량 운행 내역 요청 신호(EXT_MOD_RXD) 를 수신받도록 전달한다.
그리고, 지그비 통신 모듈(580)로부터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 차량 운행 내역 송신 신호(EXT_MOD_TXD)가 전달되면, 증폭기(U2B)로 1차 증폭시키고, 증폭기(U2C)로 2차 증폭시킨 후 아날로그신호로 변조시켜, 메인컨넥터의 송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TXD)로 전달한다.
이어서, MDT 인터페이스부에서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하여 승객이 콜(Call)한 위치를 네비게이션의 맵(Map) 상에 표시한다.
이어서, 화면표시제어부에서는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키패드부에 입력된 주행거리, 요금, 할증의 정보를 화면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DOUT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SPI_SDI 신호가 전달되고,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DIN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SPI_SDO 신호가 전달되며,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CLK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SPI_SCK 신호가 전달되고,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STB 단자에 메인제어부의 VFD_STB 신호가 전달되어 화면표시부가 구동된다.
그리고, 기능키 버튼을 통해 빈차, 주행, 할증, 지불, 호출, 복합, 시외, 인쇄, 구분, 셋트 등의 기능이 화면표시부에 표시된다.
그리고, 형광표시관(VFD) 드라이버 IC(PT6311)의 SG4/KS4, SG5/KS5, SG6/KS6, SG7/KS7 단자와 키패드부 연결 컨넥터(J3)가 연결되어, 키패드부의 숫자키를 누르면 바로 그 숫자에 해당되는 자료가 기억되고, 지역명과 용도명은 한글변환프로그램을 통해 한글로 변환되어 영수증에 출력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표시부의 구성인 형광표시관(VFD)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표시부의 구성인 형광표시관(VFD)의 동작과정을 설명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부의 내부에 저장된 미터기 구동프로그램과 한글변환 프로그램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주전원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영수증 출력용 전원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화면표시용 구동전원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디지털 입력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디지털 출력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모뎀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회로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MDT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메인제어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지그비 통신모듈을 도시한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제어모듈 중 메인컨넥터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본체 200 : 화면표시부
300 : 키패드부 400 : 영수증 출력부
500 : PCB 제어 모듈

Claims (7)

  1. 주행거리와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택시 요금을 계산하는 택시미터기(1)에 있어서,
    상기 택시미터기(1)는 직사각형상의 본체(100)와,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주행거리와 요금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200)와,
    그 화면표시부 일측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영수증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숫자버튼 및 기능키 버튼을 입력하는 키패드부(300)와,
    그 PCB 제어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PCB 제어모듈로부터 명령을 받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400)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자장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거나, 또는 입력된 지역번호를 한글로 변환한 후 프린트 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PCB 제어 모듈(5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2. 제1항에 있어서, 화면표시부(200)는 필라멘트(Filament)에 전압을 인가하여 열전자를 발생시키고, 그리드(Grid)에서 전자가 가속되어 애노드(Anode)에 도달하 도록 하여, 패터링(Patterning)된 형광체에 부딪혀 발광함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형광표시관(VFD : Vacuum Flourescent Display)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3. 제1항에 있어서, PCB 제어 모듈(500)은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부(510)와,
    차량의 속도, 승객의 탑승 횟수, 시동횟수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입력시키는 디지털 입력부(520)와,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빈차신호 및 할증신호가 택시 지붕의 방범등에 표시되도록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키는 디지털 출력부(530)와,
    MDT 장비 및 지그비 통신 모듈(580)과 연결되어 메인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조(modulation)해 주고,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복조(demodulation)해 주는 모뎀 인터페이스부(540)와,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하여 승객이 콜(Call)한 위치를 네비게이션의 맵(Map)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MDT 인터페이스부(550)와,
    메인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키패드부에 입력된 주행거리, 요금, 할증의 정보를 화면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표시제어부(560)와,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570)와,
    메인제어부(570)의 제어신호를 통해 택시가 운집해 있는 택시운송사업장 및 중앙관리센터에 저속 통신으로 근거리에서 택시 운행 내역 데이터를 송신하고, 택시운송사업장 및 중앙관리센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지그비 통신 모듈(58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4. 제3항에 있어서, 디지털 입력부(520)는 메인제어부로부터 차량의 속도 검출신호(EXT_SPEED)가 입력되면, 증폭기(U1C)로 증폭시켜 저항 R20을 통해 속도 센서(U3)를 구동시키고, 그 속도 센서(U3)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21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12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차량 속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SPEED)에 전달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승객의 탑승 횟수신호(EXT_DOOR)가 입력되면, 증폭기(U1D)로 증폭시켜 저항 R26을 통해 도어 온/오프 검출센서(U4)를 구동시키고, 그 도어 온/오프 검출센서(U4)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25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17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도어 온/오프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DOOR)에 전달되며;
    메인제어부로부터 시동 횟수신호(EXT_KEY)가 입력되면, 증폭기(U1E)로 증폭시켜 저항 R32를 통해 차량의 시동 검출센서(U5)를 구동시키고, 그 시동 검출센서(U5)에서 측정된 신호는 저항 R33를 통해 센싱되고, 콘덴서 C28로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차량의 시동 검출용 컨넥터 단자(CON_KEY)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5. 제3항에 있어서, 디지털 출력부(530)는 메인제어부로부터 빈차표시 신호(EXT_BIN)가 입력되면, 증폭기(U2A)로 증폭시키고, 저항 R6를 통해 트랜지스터 Q1를 턴온시키면, 빈차표시 구동 전원(VCC)이 저항 R1을 지나 다이오드 D1을 통해 정류되고, 콘덴서 C2를 통해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빈차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BIN)에 전달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할증표시 신호(EXT_HAL)가 입력되면, 증폭기(U2D)로 증폭시키고, 저항 R13를 통해 트랜지스터 Q2를 턴온시키면, 할증표시 구동 전원(VCC)이 저항 R8을 지나 다이오드 D5를 통해 정류되고, 콘덴서 C6를 통해 평활되어 메인컨넥터의 할증 표시용 컨넥터 단자(CON_HAL)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6. 제3항에 있어서, 모뎀 인터페이스부(540)는 메인컨넥터의 수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RXD)에서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차량 운행 내역 요청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수신받아 증폭기(U1A)로 증폭시킨 후 디지털신호로 복조시켜, 지그비 통신 모듈(580)로 관리서버의 차량 운행 내역 요청 신호(EXT_MOD_RXD)를 수신받도록 하고, 지그비 통신 모듈(580)로부터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 차량 운행 내역 송신 신호(EXT_MOD_TXD)가 전달되면, 증폭기(U2B)로 1차 증폭시키고, 증폭기(U2C)로 2차 증폭시킨 후 아날로그신호로 변조시켜, 메인컨넥터의 송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TXD)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7. 제3항에 있어서, MDT 인터페이스부(550)는 메인제어부로 전달되는 MDT 수신신호(EXT_MDT_RXD)가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R1OUT 단자와 연결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송신된 MDT 송신신호(EXT_MDT_TXD)가 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T2IN 단자와 연결되며, 메인컨넥터의 MDT 수신용 단자(CON_MDT_RXD232)가 저항 R23을 통해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R1IN 단자와 연결되고, 메인컨넥터의 MDT 송신용 단자(CON_MDT_TXD232)가 저항 R29를 통해 C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T1OUT 단자와 연결되며, 메인컨넥터의 수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RXD)가 저항 R30을 통해 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R2IN 단자와 연결되고, 메인컨넥터의 송신모드용 컨넥터 단자(CON_MOD_TXD)가 저항 R34를 통해 MOS RS-232 드라이버 수신기(ADM22AARN)의 T2OUT 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KR1020080021262A 2008-03-07 2008-03-07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KR10083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62A KR100833150B1 (ko) 2008-03-07 2008-03-07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62A KR100833150B1 (ko) 2008-03-07 2008-03-07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150B1 true KR100833150B1 (ko) 2008-05-28

Family

ID=3966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262A KR100833150B1 (ko) 2008-03-07 2008-03-07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16B1 (ko) 2012-10-30 2013-12-26 (주)플라토 탑승 감지 및 기록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012A (ja) * 1995-10-16 1997-05-02 Yoshiaki Masuno Gps付タクシーメータ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2002260026A (ja) 2001-03-01 2002-09-13 Yoshinori Okazaki 運賃精算システム
KR20030087796A (ko) * 2002-05-10 2003-11-15 최길호 택시미터기
KR200375039Y1 (ko) 2004-06-14 2005-02-05 한국미터산업 주식회사 키패드입력부가 구비된 택시미터
KR20060116404A (ko) * 2005-05-10 2006-11-15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무선전파를 이용한 근거리 요금계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012A (ja) * 1995-10-16 1997-05-02 Yoshiaki Masuno Gps付タクシーメータ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2002260026A (ja) 2001-03-01 2002-09-13 Yoshinori Okazaki 運賃精算システム
KR20030087796A (ko) * 2002-05-10 2003-11-15 최길호 택시미터기
KR200375039Y1 (ko) 2004-06-14 2005-02-05 한국미터산업 주식회사 키패드입력부가 구비된 택시미터
KR20060116404A (ko) * 2005-05-10 2006-11-15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무선전파를 이용한 근거리 요금계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16B1 (ko) 2012-10-30 2013-12-26 (주)플라토 탑승 감지 및 기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84006U (zh) 汽车数据采集发送服务装置
CN101118694A (zh) 汽车智能化管理系统
CN205048205U (zh) 内置天线的led球泡灯
CN104882919B (zh) 一种基于无线传输电池管理系统的电池组
CN108656978A (zh) 基于互联网及无线传输的电动车电池管理系统及方法
CN106205407A (zh) 一种用于地铁屏蔽门的显示系统
CN101799673A (zh) 一种冷藏集装箱数据远程监控的装置和方法
KR100833150B1 (ko)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우수한 택시미터기
CN105093950A (zh) 基于gsm的智能家居高散热性能的防窃电电表抄表系统
CN202166729U (zh) 嵌入式太阳能光伏组件状态实时监测模块
CN201749192U (zh) 一种车载gps定位终端、车辆及车辆远程监控管理系统
CN202404770U (zh) 智能车位传感器
CN110733374A (zh) 一种充电控制装置及充电枪
CN203383163U (zh) 交互式路标系统
CN201000710Y (zh) 公交车站太阳能电子路牌
CN1326721C (zh) 带can网络的汽车行驶记录仪
CN110736055A (zh) 一种多用途多功能的智慧路灯杆
CN101393685B (zh) 一种以ism频段实现接力式通讯的电子公交站牌
CN104578272B (zh) 充电桩及其控制电路
CN106641933A (zh) 路灯设备
CN212841471U (zh) 一种智慧光伏树
CN207067274U (zh) 一种电能质量在线监测装置
CN206307627U (zh) 一种管道内传输系统
CN205989660U (zh) 一种电动汽车用智能化无线仪表系统
CN1583435A (zh) 汽车轮胎压力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