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059B1 -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 Google Patents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059B1
KR100833059B1 KR1020010071719A KR20010071719A KR100833059B1 KR 100833059 B1 KR100833059 B1 KR 100833059B1 KR 1020010071719 A KR1020010071719 A KR 1020010071719A KR 20010071719 A KR20010071719 A KR 20010071719A KR 100833059 B1 KR100833059 B1 KR 10083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size
upper light
light
sintering machine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009A (ko
Inventor
문근식
최혁
유기룡
신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0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6Particulate materials
    • F27D2003/0009Separation of different types of fines, e.g. by a bl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75Regulation of the charge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07Monitoring th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3/00Type of treatment of the charge
    • F27M2003/04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제철공장의 소결광 제조공정에서 소결기에 상부광을 장입하는 때에 상기 상부광을 입도별로 분리하여 소결기에 순차로 장입시킬 수 있도록 한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광 장입장치는, 상부광 호퍼의 불출피더와 연결되어 상부광이 내부에 공급되고, 하부에는 여러 입도별로 분리된 상부광들을 소결기에 분리 불출시키는 다수의 불출슈트들을 갖춘 상부광 슈트;와, 상기 상부광 슈트의 불출슈트들의 상측에 경사방향으로 모터로서 구동토록 설치되어 상부광을 일정 입도별로 분리시키는 다수의 상부광 입도분리롤들; 및, 상기 소결기의 하부 풍상에 설치되고 풍상에서의 공기부압을 측정하여 상부광 불출을 조정토록 제공되는 부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기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통기부압에 따라 장입되는 상부광의 혼합상태를 조절하여 소결기의 통기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소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10071719
소결공정, 소결기, 상부광, 통기성, 상부광 장입장치, 부압

Description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AN APPARATUS FOR CHARGINH BED ORES INTO A SINTERING MACHINE}
도 1은 소결광 제조공정의 전체 공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상부광의 입도별 분리를 위한 입도분리롤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b)는 상부광의 입도별 분리를 위한 입도분리롤들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에서 입도분리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10.... 상부광 슈트
12.... 불출슈트 30.... 입도분리롤
32.... 구동모터 34.... 구동축
36.... 메인기어 38.... 메인체인
40.... 피동축 42.... 피동기어
44.... 롤축 46.... 롤기어
48.... 연결체인 50.... 부압센서
104.... 상부광 저장호퍼 106.... 소결기
111.... 풍상 116.... 배합원료
117.... 상부광 121.... 불출피더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소결광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결기에 상부광을 장입하는 때에 상기 상부광을 입도별로 분리하여 소결기에 순차로 장입시킬 수 있도록 한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소결공정을 위한 상부광의 소결기 장입시 상기 상부광의 입도크기에 따라 소결기의 바닥에서 부터 상부로 입도가 큰 상부광에서 입도가 작은 상부광을 장입시킴으로서, 소결기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통기부압에 따라 장입되는 상부광의 혼합상태를 조절하여 소결기의 통기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소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제철공장에서 고로작업시 사용되는 소결광 제조공정을 공정 흐름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저장빈(100)에서 8mm 이하의 분철광석과 부원료인 석회석,규사,사문암 등의 융제와 연료인 분코크스,무연탄 등을 일정한 비율로 절출하여 1차 믹서(101)에서 적정수분 즉, 대략 6~7%의 수분을 갖도록 조정함과 동시에, 의사입화 즉, 1mm이하의 미립자가 1mm이상의 핵입자 주위에 부착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계속해서 2차 믹서(102)에서 의사입화된 조립원료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료간의 믹싱을 행한 후 벨트컨베어를 이용하여 서지호파(103)에 저장한다.
다음, 상기 서지호퍼(103)에 저장된 배합원료(116)는 드럼피더(120)를 통하여 소결기(106)에 장입되어 공기와 코크스 오븐 가스(COKE OVEN GAS)의 연소열로 인하여 상부표면이 착화되고, 소결기(106)의 하부 방향으로 설치된 대략 25개의 풍상(111)을 통해 배가스관(112)으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용융 환원되어 소결광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소결광은 괴소결체로서 1차파쇄기(107)에 장입되어 250mm이하의 크기로 파쇄되고, 냉각기(108)로 보내어져 적정온도로 냉각된 후 그 다음 2차파쇄기(109)에서 5-50mm 정도의 적정입도로 재차 파쇄된 후, 선별기(100)를 통한 선별작업후 고로작업에 투입되거나 선별된 소결광은 다시 서지호퍼(103)로 보내지는 것이다.
이때, 설명하지 않은 부호 105는 점화로이고, 113은 연소가스 집진기이고, 112는 블로어이며, 115는 스택이다.
한편, 상기 선별기(110)에서는 5-50 mm 정도의 입도를 가진 소결광을 고로에 투입하고, 이중 8-13mm 정도의 입도를 선별하여 서지호퍼(103)의 하측에 설치된 상부광호퍼(104)에 보내게 된다.
그리고, 상부광 호퍼(104)에서 불출되는 상부광(117)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결기(106)의 바닥측에 일정두께로 장입된후, 그 위로 배합원료(116)가 장입되는데, 이와 같은 상부광(117)은 소결작업시 블로어(113)에 의한 풍상(111)을통한 공기흡입성 즉, 소결기(106)의 통기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인데, 만약 배합원료(116)를 소결기(106)의 바닥 즉 그레이트바아(미도시)에 장입시키면 통기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결공정을 거친 8-13mm 정도의 입자를 갖는 상부광(117)을 소결기(106)의 그레이트바아 측에 먼저 장입시키고, 이와 같은 상부광(117)은 소결기 높이의 10% 정도로 장입된다.
그런데, 초기 소결작업시에는 상부광의 제조가 없으므로 소결기(106)에 배합원료를 저층으로 장입시키어 어느정도의 통기성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결작업을 하고, 이후 선별작업을 통하여 상부광호퍼(104)에 상부광(117)이 저장되면, 소결기(106)에 상부광(117)와 배합원료(116) 순으로 장입시키어 점화로(105)로서 착화하여 소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광호퍼(104)에서 불출피더(121)를 통하여 상부광(117)이 소결기(106)의 그레이트바아 위로 일정두께로 장입되면, 그 다음 서지호퍼(103)에서 드럼피더(120)로서 배합원료(116)를 소결기(106)에 장입시키는데, 8-13mm 정도의 입도를 갖는 상부광(117)이 그 입도별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입되기 때문에, 수직편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상부광의 소결기 장입에 의하면, 미립(117a),소립(117b) 및 중립(117c)의 상부광들이 혼합되어 소결기(106)에 수직편석이 이루어 지지않고 혼합된 상태로 장입됨으로서, 미립의 상부광(117a)이 그레이트바아측에 근접하여 장입되면 그 만큼 5mm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된 그레이트바아사이의 공기통과 즉, 통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결국, 소결작업시 통기성의 불량으로 소결광의 소성을 불균일하게 하거나 또는, 미소성된 소결광이 후공정에 그대로 불출됨으로써, 많은 양의 냉각공기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벨트컨베어 이송시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상부광의 소결기 장입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광(117)을 슬리트바(미도시)를 이용하여 입도의 분리를 수행하는 종래의 기술이 있지만, 실제적으로 슬리트바에 의한 상부광의 입도분리는 그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광(117)의 소결기(106) 장입시 미리 미립,소립 및 중립으로 입도 분리된 각각의 상부광이 별도의 슈트를 통하여 소결기에 중립,미립,소립의 순으로 장입되도록 한다면, 소결기의 통기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되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부광 저장호퍼에서부터 상부광이 소결기에 장입되기 전에 다단계의 입도분리롤로서 상부광을 소립,미립 그리고 중립의 입도로 분리한후, 각각의 입도별 슈트를 통하여 소결기의 그레이트바아측 부터 중립, 미립,그리고 소립의 상부광을 순차로 장입시킴으로서, 소결기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광의 입도별 분리시 그 이동속도를 제어함으로서, 소결기 풍상에서의 부압에 따라 상부광의 소결기 장입상태를 조정함으로서, 소결기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적정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한편, 소결광의 소결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광 호퍼의 불출피더와 연결되어 상부광이 내부에 공급되고, 하부에는 여러 입도별로 분리된 상부광들을 소결기에 분리 불출시키는 다수의 불출슈트들을 갖춘 상부광 슈트;와,
상기 상부광 슈트의 불출슈트들의 상측에 경사방향으로 모터로서 구동토록 설치되어 상부광을 일정 입도별로 분리시키는 다수의 상부광 입도분리롤들; 및,
상기 소결기의 하부 풍상에 설치되고 풍상에서의 공기부압을 측정하여 상부광 불출을 조정토록 제공되는 부압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상부광의 입도별 분리를 위한 입도분리롤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고, (b)는 상부광의 입도별 분리를 위한 입도분리롤들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에서 입도분리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이때 종래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상부광 슈트(10)와 그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광(117)을 입도별로 분리시키는 입도분리롤(30)들 및, 소결기(106)의 풍상(111) 부압을 측정하는 부압측정센서(50)로 나누어 질수 있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10)(30)(5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상부광 장입장치(1)의 상기 상부광 슈트(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부광 슈트(10)는 서지호퍼(103) 에서 배합원료(116)가 소결기(106)상에 장입되기 전에 상부광(117)을 먼저 소결기 (106)에 장입하도록 상기 서지호퍼(103)보다는 앞쪽에 위치되는 상부광 저장호퍼 (104)와 소결기(106)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광 슈트(10)는 상기 상부저장 호퍼(104)의 불출피더(121)와 연결되어 상기 불출피더(121)로부터 상부광(117)이 내부에 장입되고, 상기 상부광 슈트(10)의 하부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여러 입도별로 분리된 상부광(117)들을 소결기(106)에 분리 불출시키는 다수의 불출슈트(12)들을 갖추고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광슈트(10)의 상부 일측단부에는 불출피더(121)로 부터 공급되는 상부광(117)이 슈트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불출슈트(12)들은 그 내측에 설치되는 입도분리롤(30)들로서 분리된 미립상부광(117a), 소립상부광(117b), 중립상부광 (117c) 및, 대립상부광(117d)이 각각 분리되어 장입되어 소결기(106)에 분리 불출시키는 미립,소립,중립 및 대립 불출슈트(12a)(12b)(12c)(12d)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각의 슈트(12)에는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입도분리롤들의 작동에 따라 미립 및 소립 상부광(117a)(117b)등이 서로 혼합되어 그 내부로 장입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불출슈트들 즉, 미립,소립,중립 및, 대립 불출슈트(12a)(12b)(12c)(12d)들의 하부에는 각각의 상부광(117)들을 소결기(106)내에 원활하면서 일정하게 장입시키기 위한 유도롤(16)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부광 슈트(10)는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불출슈트(12)들도 하단부는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상부광 (117)의 소결기(106) 장입을 원활토록 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상부광 장입장치(1)의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입도분리롤(30)들은 상기 상부광 슈트(10)의 각 불출슈트(12)들의 상부 내측에 경사방향으로 모터(32) 구동토록 설치되어 상부광을 일정 입도별로 분리시키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입도분리롤 (30)들은 미립 입도분리롤(30a)과 소립 입도분리롤(30b) 및 중입 입도분리롤(30c)로서 나누어 지는데, 이와 같은 분리분리롤(30)들은 앞의 각각의 불출슈트(12a) ∼(12d)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립 입도분리롤(30a)은 상기 미립 불출슈트(12a)의 상측으로 2열의 롤들이 한쌍식 설치되고 미립 상부광의 직경과 같은 롤간격(D1)을 갖고, 상기 소립 입도분리롤(30b)은 상기 소립 불출슈트 (12b)의 상측으로 2열의 롤들이 한쌍식 설치되고 소립 상부광의 직경과 같은 롤간격(D2)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입 입도분리롤(30c)은 상기 중립 불출슈트(12c)의 상측으로 2열의 롤들이 한쌍식 설치되고 중립상부광의 직경과 같은 롤간격(D3)을 갖추고 있고, 결국 상기 롤간격(D1-D3)을 통과하는 상부광(117)은 미립,소립 또는 중립 상부광으로 분리되아 있다.
다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입도분리롤(30)들은 모터 (32)의 구동으로 회전작동하는 메인 구동축(34)의 메인기어(36)에 체결되는 메인체인(38)으로서 구동되는 피동축(40)에 설치된 피동기어(42)들과 슈트외곽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롤축(44)에 장착된 롤기어(46)가 연결체인(48)으로 체결되어 상기 모터(32)구동시 상기 분리분리롤(30)들은 구동토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메인 구동축(34)이 구동되면 그 구동력이 메인체인(38)으로서 병렬로 설치된 3쌍의 각 입도분리롤(30a)(30b)(30c)들측으로 배치된 피동축(40)의 피동기어(42)와 롤축(44)의 롤기어(46)들을 연결체인(48)으로서 전달하여 총 12개의 입도분리롤(30)들을 하나의 구동모터(32)로서 같은 속도로 구동토록 설치한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미립, 소립 및 중립 입도분리롤(30a)(30b)(30c)들은 별도의 구동모터로서 각각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 같은 경우 입도분리롤(30a)(30b)(30c)들의 개별 속도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의 원주면에는 상부광들의 분리 및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베인(31)들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입도분리롤(30)들의 간격 즉, 베인(31)사이의 간격(D1'∼D3')(이때, 도 5에서는 D1'만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입도분리롤들에 대응하여 베인 간격 D2',D3'가 형성된다)은 상기 미립, 소립 및 중립 상부광(117a)(117b)(117c)의 입도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앞에서 설명한 상기 미립,소립,중립 및, 대립 상부광(117a)(117b) (117c)(117d)들은 8mm 이하, 10mm 이하, 12mm이하 및, 13 - 50mm 사이의 입도들로 각각 분리되는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선별기(110)에 의하여 8-13mm사이의 입도로 선별된 상부광(117)은 보다 일정하게 소결기(106)에 장입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의 간격을 조정하면 상부광(117)의 입도별 분리가 수행되면서 더 큰 부피를 갖는 상부광(117)을 장입(110)을 수행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부압센서(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부압센서(50)는 상기 소결기(106)의 하부 풍상 (111)에 설치되어 풍상(111)에서의 공기부압을 측정하여 상부광 불출을 조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소결기(106)의 풍상(111)에 설치되는 부압측정센서(50)는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을 구동시키는 모터(32) 및, 상기 상부광 호퍼(104)의 하측에 설치된 불출피더(121)의 모터와 제어부(C)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압센서 (50)는 풍상(111)에서의 부압에 따라 제어부(C)를 통하여 입도분리롤(30)들의 회전속도와 불출피더의 상부광 불출량을 제어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합원료(116)으 소결공정을 거쳐 선별기(110)를 통하여 8-13mm로 선별된 상부광(117)은 상부광 저장호퍼(104)에 장입되면, 그 하측에 설치된 불출피더 (121)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상부광 슈트(10)의 유입구(14)를 통하여 슈트(10)내부에 연속 장입된다.
다음,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광슈트(10)에 장입된 상부광(117)은 제일 먼저 미립 입도분리롤(30a)측으로 낙하하면서, 8mm이하의 입도를 갖는 미립 상부광(117a)들은 상기 한쌍으로 2열로 설치된 미립 입도분리롤(30a)사이의 간격 즉, 베인(32)사이의 간격(D1)을 통과하여 미립 불출슈트(12a)로 낙하되면, 그 하측의 유도롤(16)에 의하여 소결기(16)내에 미립 상부광(117a)이 장입되게 된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립 입도분리롤(30a)에 설치된 베인(31)은 상부광(117)들을 그 간격(D1)으로 상부광을 유도하면서 상기 베인(31)사이의 간격(D1')이 8mm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광(117)중 8mm이하의 미립 상부광(117a)이 상기 미립 불출슈트(12a)를 통하여 소결기(106)에 장입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소결기(106)에는 다음에 설명하면 대립 상부광(117d)이 먼저 장입되고 그 다음 순차로 중립,소립,미립 상부광(117c) (117b)(117a)의 순으로 장입되기 때문에, 소결기 그레이트바아에서 부터 입도가 큰 상부광에서 입도가 작은 상부광이 적층 장입된 후, 그 위에 배합원료(116)가 장입됨으로서, 소결기의 통기성이 양호하게 되는데, 이는 그레이트바아들의 간격이 5mm정도이므로 13-50 mm 사이의 대립 상부광(117d)은 그 만큼 블로어(도 1의 113)에 의한 공기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립 상부광(117a)을 제외한 나머지 상부광(117)중 10mm이하의 소립 상부광(117b)이 그 다음의 소립 입도분리롤(30b)의 베인(31)의 간격(D2')이 10mm 정도이므로 이를 통하여 소립 불출슈트(12b)를 통하여 유도롤(16)로서 소결기(106)에 장입된다.
그 다음, 미립 및 소립 상부광을 제외한 나머지 상부광중 12mm이하의 중립 상부광(117c)은 그 다음 설치된 중립 입도분리롤(30c)의 베인(31)의 간격(D3')이 12mm 이므로 이를 통하여 중립 불출슈트(12c)와 유도롤(16)을 통하여 소결기(106)에 장입된다.
마지막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립, 소립 및 중입 상부광 (117a)(117b)(117c)이 불출슈트들로 낙하된 13mm이하의 상부광은 별도의 입도분리롤들을 거칠 필요없이 마지막 불출슈트(12d)를 통하여 유도롤(16)을 통하여 소결기(106)에 장입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각각의 입도분리롤(30)들은 모터(32)로 구동되는 메인 구동축(34)의 메인기어(36)에 체결되는 메인체인(38)의 구동으로 피동기어(42)의 구동으로 피동축(40)이 일체로 구동하고, 상기 피동축(40)에 설치된 다른 피동기어(42)들이 연결체인(48)으로 각롤축(44)에 장착된 롤기어(46)와 체결되어 있어, 결과적으로는 구동모터(32)가 구동되면 메인 및 연결체인(36)(48)로서 전체의 입도분리롤(30)들이 일체로 구동되는데, 2개식 한쌍의 입도분리롤들은 서로 마주하면서 상부광들을 불출슈트(12)들측으로 유도 낙하시키게 구동된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결기(106)의 소결을 위한 공기흡입을 위하여 블로어(113)와 연결된 하측의 풍상(111)에는 부압센서(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부압센서(50)는 입도분리롤(30)들을 구동시키는 모터(32)와 기 상부광 호퍼(104)의 불출피더(121)의 모터와 제어부(C)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압센서(50)가 설정된 이상으로 부압을 감지하면 이는 소결기에 장입된 상부광(117)과 배합원료(116)의 통기성이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C)는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속도를 늦추고, 불출피더(121)의 상부광 불출량을 적게한다.
즉, 소결기의 통기성이 떨어지면, 가장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는 상부광의 적층순서 즉, 대립,중립,소립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립의 순으로 상부광이 장입되지 않기 때문이고, 이를 위하여는 상부광(117)을 분리하는 입도분리롤의 속도를 지연시키면 그 만큼 정확하게 상부광(117)을 입도별로 분리하여 각각의 불출슈트(12)들을 통하여 각각의 상부광(117a0(117b)(117c)(117d)을 소결기 장입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부압이 기준치 이하로 낮으면, 상기 센서(50)는 제어부(C)를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32)와 불출피더(121)의 속도를 높이게 하고, 결국 입도분리롤(30)들의 회전속도가 증대되면, 상부광 중 각각의 입도분리롤(30)들을 통과하지 않고 그 다음의 입도분리롤들로 넘어가면서 앞에서의 대립,중립,소립 및 미립 상부광(117a)(117b) (117c)(117d)의 순으로 소결기(106)에 장입되지 못하고, 대립 불출슈트(12d)측으로 여러 입도의 상부광들이 넘어오면서 소결기의 통기성을 떨어트리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압센서(50)는 소결기(106)에 장입되는 상부광의 입도별 적층상태를 조정함으로서, 소결기(106)의 소결공정효율을 높이는데, 통기성이 너무 높으면 소결시간은 단축되지만 소결광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통기성이 너무 낮으면 소결시간은 지연되지만 소결광의 소결품질은 양호하기 때문에, 실제 소 결공정에서는 적당한 통기성을 제공하여 적당한 시간동안 소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의 상부광 분리장입으로서 이와 같은 통기성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부압센서(50)의 측정 기준치는 소결공정의 여러 작업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실제 소결공정에서는 이와 같은 부압센서(50)의 기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 상부광을 입도 분리없이 소결기에 장입시키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소결기 상부광 장입장치(1)에 의하면 상부광의 소결기 장입상태를 그 입도별로 수직편석되도록 순차로 장입하든가 아니면, 이를 혼합하여 장입되도록 함으로서, 소결기의 통기성을 적정한 상태로 유지시키어 소결공정의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에 의하면, 상부광 저장호퍼에서부터 상부광이 소결기에 장입되기 전에 다단계의 입도분리롤로서 상부광을 소립,미립 그리고 중립의 입도로 분리한후, 각각의 입도별 슈트를 통하여 소결기의 그레이트바아측 부터 중립, 미립,그리고 소립의 상부광을 순차로 장입시킴으로서, 소결기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부광의 입도별 분리시 그 이동속도를 제어함으로서, 소결기 풍상에서의 부압에 따라 상부광의 소결기 장입상태를 조정함으로서, 소결기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적정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한편, 소결광의 소결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상부광 호퍼(104)의 불출피더(121)와 연결되어 상부광(117)이 내부에 공급되고, 하부에는 여러 입도별로 분리된 상부광(117)들을 소결기(106)에 분리 불출시키는 다수의 불출슈트(12)들을 갖춘 상부광 슈트(10);와,
    상기 상부광 슈트(10)의 불출슈트(12)들의 상측에 경사방향으로 모터(32)로서 구동토록 설치되어 상부광을 일정 입도별로 분리시키는 다수의 상부광 입도분리롤(30)들; 및,
    상기 소결기(106)의 하부 풍상(111)에 설치되고 풍상(111)에서의 공기부압을 측정하여 상부광 불출을 조정토록 제공되는 부압센서(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광슈트(10)의 상부 일측단부에는 불출피더(121)로 부터 공급되는 상부광(117)이 슈트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불출슈트(12)들은, 그 내측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입도분리롤(30)들로서 분리된 미립 상부광(117a),소립 상부광(117b), 중립 상부광(117c) 및, 대립 상부광(117d)을 분리 불출하는 미립, 소립, 중립 및 대립 불출슈트(12a)(12b) (12c)(12d)로 구성되며,
    상기 각 불출슈트(12)들의 하부에는 상부광 불출을 일정하게 하는 유도롤 (16)들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은,
    상기 미립 불출슈트(12a)의 상측으로 2열의 롤들이 한쌍식 설치되고 미립 상부광의 직경과 같은 롤간격(D1)을 갖는 미립 입도분리롤(30a);
    상기 소립 불출슈트(12b)의 상측으로 2열의 롤들이 한쌍식 설치되고 소립 상부광의 직경과 같은 롤간격(D2)을 갖는 소립 입도분리롤(30b); 및,
    상기 중립 불출슈트(12c)의 상측으로 2열의 롤들이 한쌍식 설치되고 중립 상부광의 직경과 같은 롤간격(D3)을 갖는 중립 입도분리롤(30c);
    을 포함하여 상기 롤 사이에 형성된 간격(D1∼D3)을 통과하는 상부광(117)이 미립, 소립 및 중립 상부광으로 분리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은 상기 모터(32)의 구동으로 회전작동하는 메인 구동축(34)의 메인기어(36)에 체결되는 메인체인(38)으로서 구동되는 피동축(40)에 설치된 피동기어(42)들과 슈트외곽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롤축(44)에 장착된 롤기어(46)가 연결체인(48)으로 체결되어 상기 모터(32)구동시 상기 분리롤(30)들은 구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의 원주면에는 상부광들의 분리 및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다수개의 베인(31)들이 더 설치되어 상기 각 입도분리롤(30)들의 간격(D1∼D3)은 상기 베인(31)들의 간격(D1'∼D3')으로 조정되되 상기 베인(31)들의 간격(D1'∼D3')은 상기 미립, 소립 및 중립 상부광(117a)(117b)(117c)의 입도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미립, 소립, 중립 및 대립 상부광(117a)(117b)(117c)(117d)들은 8mm 이하, 10mm 이하, 12mm 이하 및 13∼50㎜ 사이의 입도로 각각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기(106)의 풍상(111)에 설치되는 부압측정센서 (50)는 상기 입도분리롤(30)들을 구동시키는 모터(32) 및, 상기 상부광 호퍼(104)의 하측에 설치된 불출피더(121)의 모터와 제어부(C)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압센서(50)는 풍상(111)에서의 부압에 따라 제어부(C)를 통하여 입도분리롤(30)들의 회전속도와 불출피더의 상부광 불출량을 제어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KR1020010071719A 2001-11-19 2001-11-19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KR10083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719A KR100833059B1 (ko) 2001-11-19 2001-11-19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719A KR100833059B1 (ko) 2001-11-19 2001-11-19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009A KR20030041009A (ko) 2003-05-23
KR100833059B1 true KR100833059B1 (ko) 2008-05-27

Family

ID=2957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719A KR100833059B1 (ko) 2001-11-19 2001-11-19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74B1 (ko) 2009-03-27 2011-12-08 주식회사 포스코 상부광 장입밀도 제어장치
KR101287881B1 (ko) * 2011-08-08 2013-07-19 주식회사 포스코 통기성 향상을 위한 소결광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561B1 (ko) * 2012-10-26 201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롤의 갭 차이를 이용한 장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018B1 (ko) * 2001-11-21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상부광 입도별 공급 제어장치
KR100833004B1 (ko) * 2001-12-15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상부광 및 원료 장입장치
KR100564991B1 (ko) * 2001-12-26 2006-03-28 주식회사 포스코 상부광 공급장치
KR100832439B1 (ko) * 2002-05-08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로터리킬른의 석회석 입도 분리에 의한 생석회 제조장치
KR101148941B1 (ko) * 2009-04-27 2012-05-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원료 장입장치
KR101274998B1 (ko) * 2011-12-28 2013-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소결대차의 연료 장입장치 및 연료 장입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567A (ja) * 1996-02-20 1997-09-05 Nkk Corp 焼結原料の装入装置および装入方法
KR20000041272A (ko) * 1998-12-22 2000-07-15 이구택 소결기의 상부광 적출방법
KR20010057130A (ko) * 1999-12-18 2001-07-04 이구택 반광 입도정립을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567A (ja) * 1996-02-20 1997-09-05 Nkk Corp 焼結原料の装入装置および装入方法
KR20000041272A (ko) * 1998-12-22 2000-07-15 이구택 소결기의 상부광 적출방법
KR20010057130A (ko) * 1999-12-18 2001-07-04 이구택 반광 입도정립을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74B1 (ko) 2009-03-27 2011-12-08 주식회사 포스코 상부광 장입밀도 제어장치
KR101287881B1 (ko) * 2011-08-08 2013-07-19 주식회사 포스코 통기성 향상을 위한 소결광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561B1 (ko) * 2012-10-26 201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롤의 갭 차이를 이용한 장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009A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059B1 (ko) 입도별 분리장입이 가능한 소결기의 상부광 장입장치
KR100236796B1 (ko) 고온 벌크재의 냉각방법 및 그레이트냉각기
EP086190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intered ore and sintering machine therefor
KR101841961B1 (ko) 소결 장치 및 방법
CN210773373U (zh) 一种卧式水泥熟料篦式颗粒分级冷却机
KR100544434B1 (ko) 소결원료장입장치
CN208395223U (zh) 脱氧剂生产装置
JP2018536837A (ja) 原料装入装置及び方法
KR102065065B1 (ko)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결 장치
KR100361742B1 (ko) 소결기의원료장입방법및그장치
KR920006706Y1 (ko)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장치
KR100890801B1 (ko) 세립 소결원료의 대차 가장자리 장입장치
CN110715547A (zh) 一种卧式水泥熟料篦式颗粒分级冷却机及冷却方法
JP2005281810A (ja) 焼結鉱の移動トラフ式冷却機への給鉱方法及び装置
KR100832439B1 (ko) 로터리킬른의 석회석 입도 분리에 의한 생석회 제조장치
JP2608425B2 (ja) 燒結原料の装入方法
JP3706468B2 (ja) 焼結原料の装入方法及び装置
JP2982690B2 (ja) 焼結機の原料供給装置
KR0118997B1 (ko) 소결광 제조방법 및 장치
CN108588332A (zh) 脱氧剂生产装置及用此装置生产脱氧剂的工艺
JPS5930776B2 (ja) 焼結機の原料装入方法及び装置
CN116967008A (zh) 一种降低带式焙烧机球团矿中FeO的系统及方法
JPH05272872A (ja) 焼結原料の供給量制御装置
KR20020000343A (ko) 미립소결광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
CN114558779A (zh) 一种整粒筛分装置及整粒筛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