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985B1 -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 - Google Patents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985B1
KR100832985B1 KR1020010042289A KR20010042289A KR100832985B1 KR 100832985 B1 KR100832985 B1 KR 100832985B1 KR 1020010042289 A KR1020010042289 A KR 1020010042289A KR 20010042289 A KR20010042289 A KR 20010042289A KR 100832985 B1 KR100832985 B1 KR 10083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end line
crown
thickness profil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495A (ko
Inventor
신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9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42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a combination of roll bending and axial shifting of th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의 압연 공정에서 행하는 판재의 압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판재 압연방법은 압연시스템(10)의 온라인 판 프로파일 계측기(12)에서 전회(前回)의 금속 판재(1)에 대한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T1)을 계측하고, 이 프로파일로부터 형상제어 계산기(14)에서 수식모델을 통해 스폿에 대한 영향이 없는 추세선(Gn)을 도출한다. 그 다음, 추세선(Gn)을 이용하여 판 크라운값(CRn)을 계산하고, 이 크라운값(CRn)과 목표 크라운값을 비교한다. 상기 판 크라운값과 목표 크라운값의 차이를 다음 금속 판재의 크라운 제어용 설정계산모델의 학습치로 피드백하여 PLC(16)에서 작업롤(18a)의 페어크로스 각도와 벤더력을 설정하여 다음의 금속 판재를 압연한다.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통해 판재를 압연하면 판 크라운 제어가 정확하고 결국 정밀도가 높은 판재를 얻게 된다.
판재, 압연, 크라운(crown), 스폿(spot), 프로파일(profile)

Description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A Method for Rolling Plates with Improved Crown Control}
도1은 판재의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과 종래의 방법에 의해 도출된 추세선 그래프이다.
도2는 일반적인 열연 사상압연시스템에 대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3a 내지 도3h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로부터 추세선을 구하는 과정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열연판 10 ..... 압연시스템
12 ..... 온라인 프로파일계측기
14 ..... 형상제어 계산기 16 ..... PLC
18 ..... 압연기 T1 ..... 판 프로파일
G1 ..... 추세선
본 발명은 제철소의 압연 공정에서 행하는 판재의 압연에 관한 것으로서, 보 다 상세하게는 판재의 폭방향 두께에 대한 개선된 프로파일(profile) 평가를 통해 판재를 압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연공정에서 판재를 압연할 때 통상 폭방향 분포인 판 프로파일을 제어하여 압연을 행한다. 판재의 압연에 있어서 판재의 프로파일을 평가하는 방식과 그 평가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적용한 제어방식은 곧 판재의 형상과 정도(精度)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판 프로파일의 평가는 대단히 중요하다.
판재의 압연공정에서 판재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에 미치는 압연기의 운용기술에 관련된 인자들은 여러 가지이다. 예를들면, 판재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정의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크라운(crown), 에지드롭(edge drop), 하이스폿(hi-spot), 로스폿(low spot) 등이다.
여기서, 크라운(CR)이라 함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프로파일에서의 중앙부 두께[T1(c)]와 양 에지부 두께[T1(a), T1(b)]의 평균과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7044222364-pat00011
수학식1에서 T1은 판 두께를 나타내는 함수이며, a, b, c는 판 폭방향 위치로서, c는 판 폭방향 정중앙부, a, b는 판 폭방향 극선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25mm, 50mm, 75mm 등의 위치를 정의해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25mm 지점이 가장 널리 쓰이며, 최근 고정도의 판형상 품질관리를 위해 그 지점이 점점 극선단 부 쪽으로 근접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판 프로파일을 고려한 판 크라운 예측방법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99-526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판 크라운의 발생과정을 보면, 크게 작업롤(work roll)의 양단부에 가해지는 압연하중에 의한 작업롤의 굽힘변형, 압연판의 매수 증가에 따른 작업롤의 마모, 열팽창 등으로 형성되는 작업롤 크라운의 압연판으로의 전사, 압연판 에지부 부근에서 작업롤의 편평 탄성변형 회복에 의한 급격한 판 두께 감소 영역인 에지 드롭 등으로 발생된다.
또한, 하이스폿과 로스폿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식모델을 통해 판 프로파일로부터 도출한 4차 이하의 다항식을 이용한 근사추세선 프로파일(G1)과 소스(source)가 되는 판 프로파일(T1)의 차이를 이용해 나타내며, 근사추세선 대비 판 프로파일과의 차이가 가장 큰 부분을 하이스폿(HS), 가장 적은 부분을 로스폿(LS)이라고 정의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1017312346-pat00002
Figure 112001017312346-pat00003
수학식 2, 3에서 T1과 G1은 각각 판 두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두께 함수로서, 4차 이하의 다항식에 의한 추세선 함수이고, x는 판 폭방향 임의의 위치를 나 타낸다. x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에지 드롭 등의 영향으로 두께 변화가 심한 판 에지부에서의 T1과 G1의 차이는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으로 판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x 판단부 위치를 판의 극에지부로부터 30~ 50mm 안쪽으로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하이스폿, 로스폿의 발생을 살펴보면, 크라운과는 달리, 작업롤 상의 온도편차, 온라인 롤 연마기(ORG)의 연삭 불량 등에 따라 생기는 작업롤의 국부적인 형상 이상 또는 롤 혹은 판재 스트립 표면상의 이물에 의해 발생하는 국부적인 판 두께 변화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크라운과 하이스폿, 로스폿의 발생은 판재의 형상 품질을 저하시키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므로 종래의 압연공정에서는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이 발생할 때 작업자의 판단 하에 하이스폿 또는 로스폿의 원인이 되는 작업롤을 교체 작업하였다. 그러나, 실 압연공정에서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은 롤 자체의 형상 이상이외에도 롤과는 관계없이 이물 등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되므로 무엇보다 판 프로파일을 정확히 평가하여 이를 통해 각종 인자를 제어하여 압연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말하면, 판 프로파일을 정확히 평가하여 압연을 행하여야만 고정도의 판재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판 프로파일을 평가하여 각종 작업인자를 제어하는 압연기술은 대체로 판 크라운을 목표하는 수치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판 크라운 제어는 크게 롤 갭(roll gap)을 제어하는 방법이나 롤 형상을 변형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롤 갭 조정을 통한 크라운 제어는 보통 페어크로스 밀(pair cross mill)과 작업롤 벤더(work roll bender)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작업롤의 형상을 적절하게 변형하 고 작업롤 쉬프트(shift) 기능을 이용한 제어는 작업롤의 양단부에 테이퍼를 주는 테이퍼 롤이나 롤 전체에 걸쳐 굴곡을 준 CVC 롤(continuous variable crown roll) 또는 압연 초기에 크라운을 준 초기롤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 중에서 페어크로스 밀과 작업롤 벤더를 사용함에 있어, 설비의 적절한 설정값을 부여하기 위한 판 형상 수식모델을 별도로 마련하여 그 설정값을 수식에 의해 자동 계산으로 산출, 설정하는 기증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2는 열연공정에서 열연판의 프로파일을 제어하여 사상압연하는 종래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연 사상압연시스템(10)에서 온라인 프로파일 계측기(12)를 통해 계측된 열연판(1)의 판 프로파일(T1)이 형상제어 계산기(14)로 입력되면 형상제어 계산기(14)에서는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을 고려한 수식모델을 통해 판 크라운 등을 계산해서 PLC(16)에서 이를 목표 크라운값과 비교한다. 이러한 수식모델에 있어서 전회(前回) 열연판의 크라운은 현재 열연판의 크라운 제어를 위한 페어크로스와 벤더의 설정값 계산시 학습치로 사용된다. 그리고, 전회 열연판의 크라운과 목표 판 크라운의 차이를 이용해 현재 열연판의 압연제어 시스템 설정값에 학습계수를 이용해 반영하고 있다. 즉, PLC(16)에서 수식모델을 통해 계산된 판 크라운값과 목표 크라운값과의 차이를 다음 열연판의 크라운 제어용 설정계산모델의 학습치로 피드백하고 이를 통해 판 크라운 제어가 가능한 수치로 설정하도록 압연기(18)에서 작업롤(18a)의 페어크로스(pair cross)와 벤더(bender)의 설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적어도 2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는 하이스폿과 로스폿을 산출하기 위한 4차 이하의 다항함수를 소스 프 로파일을 이용해 추세선을 산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산출된 추세선에는 이미 하이스폿과 로스폿으로 평가되는 부분도 반영되어 있고, 결국 하이스폿과 관계없는 순수 크라운을 나타내는 기준선과 특정 부위의 두께 돌출부위의 차이값을 하이스폿 또는 로스폿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근본 원리와 맞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순수한 의미의 하이스폿과 로스폿을 산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는 종래의 판 크라운 평가를 통한 압연방법은 그 발생원인이 다른 하이스폿, 로스폿을 판 크라운 산출시 포함하게 되므로써 순수한 판 크라운을 산출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이스폿과 로스폿에 의해 판 크라운 자체가 변동하게 되며, 이는 크라운 제어를 위한 수식모델에 그대로 반영되어 판 크라운 제어 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결국, 종래에는 순수한 의미의 하이스폿과 로스폿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 상태에서 판 프로파일을 평가하여 압연을 행하게 되어 압연재의 정도가 충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스폿과 로스폿의 영향을 고려한 순수 판 크라운을 평가하여 고정도의 판재를 얻을 수 있는 압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은 금속 판재의 압연방법에 있어서,
전회(前回)의 금속 판재에 대한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T1)로부터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에 대한 영향이 없는 추세선(Gn)을 도출하고, 도출된 추세선(Gn)을 이용하여 판 크라운값(CRn)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판 크라운값(CRn)과 목표 크라운값을 비교하여 상기 판 크라운값과 목표 크라운값의 차이를 다음 금속 판재의 크라운 제어용 설정계산모델의 학습치로 피드백하여 작업롤의 페어크로스 각도와 벤더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설정된 페어크로스 각도와 벤더력을 적용하여 다음의 금속 판재를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판재의 압연방법은 하이스폿과 로스폿의 영향이 없는 새로운 판 프로파일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추세선을 도출하여 이를 판 크라운 제어에 응용하므로써, 금속 판재를 압연함에 있어 두께 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데 특징이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서는 판재의 폭방향 두께 실데이타인 판 프로파일(T1)에 대하여 도1과 같은 근사추세선(G1)을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새로운 개념의 추세선을 도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추세선 도출과정을 도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추세선 도출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회(前回)의 금속 판재에 대한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T1)로부터 첫번째 추세선(G1)을 도출한다. 상기 추세선(G1)은 통상의 수식모델로 구할 수 있으며, 보통 4차 이하의 다항함수로 표현된다. 종래에는 도1과 같이, 추세선(G1)을 이용하여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을 정의하여 이 값들을 바로 판 크라운계산에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3b와 같이, 전회의 금속 판재에 대한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T1)로부터 도출된 추세선(G1)과 상기 두께 프로파일(T1)을 합성하여 새로운 판 두께 프로파일, 즉 2번째 판 두께 프로파일(T2)을 구한다. 이때, 상기 2번째의 판 두께 프로파일(T2)은, 도3a, b에 보는 바와 같이, 첫번째 두께 프로파일(T1)과 추세선(G1)이 만나는 두개의 접점(e)(f)를 기준으로 판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접점들과 극선단부 사이의 구간, (a-e) 구간 및 (b-f) 구간에서는 첫번째 두께 프로파일(T1)을 이용하고, 상기 접점들 사이의 구간, 즉 (e-f) 구간에서는 첫번째 추세선(G1)을 이용하여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합성된 2번째 판 두께 프로파일(T2)은 다음 추세선을 구하기 위한 판 폭방향 두께의 실 데이타로 사용된다. 즉, 도3c와 같이, 상기 2번째 판 두께 프로파일(T2)을 이용하면 동일한 수식모델을 통해 다른 추세선, 2번째 추세선(G2)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세선(G1)과 2번째 추세선(G2)의 판 폭방향 중앙부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차이값이 설비 사양이나 제품 특성에 따라 결정된 값, 즉 미리 정해진 설정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2번째 추세선(G2)를 최종 추세선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그 차이값이 설정치보다 클 경우 도3d와 같이, 2번째 추세선(G2)과 2번째 판 두께 프로파일(T2)를 합성하여 새로운 다른 판 두께 프로파일, 즉 3번째 판 두께 프로파일(T3)를 구한다. 그리고, 상기 3번째 판 두께 프로파일(T3)로부터 동일한 수식모델을 통해 도3e와 같이, 또 다른 추세선, 3번째 추세선(G3)를 도출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3f 내지 도 3g와 같이, 반복하여 G3, T4, 나아가 (n-1)번째 추세선(Gn-1)과 (n)번째 추세선(Gn)의 판 폭방향 중앙부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설정치 이내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최종 판 두께 프로파일(Tn)을 구한다. 그리고, 이 최종 판 두께 프로파일(Tn)로부터 도3h와 같이, 수식모델을 통해 최종 추세선(Gn)을 구한다.
이와같이 도출한 본 발명에 의한 추세선(Gn)은 다음 판재의 판 크라운을 제어할 때 적용하는 경우 전회 판재에서 생기는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에 대한 영향이 없는 추세선이 된다. 즉, 종래에는 도1과 같이, 실 데이타 판 프로파일(T1)과 추세선(G1)과의 차이를 판폭방향 각점에서 비교해 차이가 가장 큰 부분을 하이스폿, 가장 작은 부분을 로스폿이라고 정의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3h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추세선(Gn)과 판 프로파일(T1)과의 차이를 판 폭방향 각점에서 비교해 차이가 가장 큰 부분을 하이스폿, 가장 작은 부분을 로스폿이라고 정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추세선(Gn)을 이용할 때 하이스폿(HSn)과 로스폿(LSn)은 각각 수학식 4, 5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1017312346-pat00004
Figure 112001017312346-pat00005
수학식 4, 5에서 x는 판 폭방향 임의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하이스폿 또는 로스폿의 폭은 도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fn-en) 구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에 대한 정의와 본 발명에 의한 그것과 비교해 볼 때 종래의 경우 산출된 추세선에는 이미 하이스폿과 로스폿으로 평가되는 부분도 반영되어 있고, 결국 하이스폿과 관계없는 순수 크라운을 나타내는 기준선과 특정 부위의 두께 돌출부위의 차이값을 하이스폿 또는 로스폿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근본 원리와 맞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순수한 의미의 하이스폿과 로스폿을 산출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정확한 하이스폿과 로스폿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음 판재에 대한 판 프로파일을 평가하게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도출된 추세선(Gn)은 도3h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하이스폿과 로스폿에 대한 영향이 미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 도출된 추세선(Gn)을 이용하면 다음 판재에 대한 판 크라운값(CRn)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추세선(Gn)을 적용하여 판재의 판 크라운(CRn)을 계산하면 수학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4222364-pat00012
이렇게 판 크라운이 계산되면, 계산된 판 크라운값(CRn)과 목표 크라운값을 비교하여 상기 판 크라운값과 목표 크라운값의 차이를 다음 금속 판재의 크라운 제어용 설정계산모델의 학습치로 피드백하여 작업롤의 페어크로스 각도와 벤더력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에서 설정된 페어크로스 각도와 벤더력을 적용하여 다음의 금 속 판재를 압연한다. 이러한 압연과정은 도2에 제시된 기존의 압연시스템(10)과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종래의 압연판 형상 평가에 따른 압연과 본 발명의 평가에 의한 압연 시뮬레이션을 각각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각각 아래 표1, 2에 나타내었다. 표에서 시험재2는 시험재1의 후행재로 시험재1의 실적을 학습한 학습재이다.
구분 로스폿(㎛) 실적 크라운값(㎛) 목표 크라운값(㎛) 페어크로스(˚) 롤벤더력(tonf) 비고
시험재1 10 27 40 0.5 103 종래예
시험재2 0 46 40 0.2 81

구분 로스폿(㎛) 실적 크라운값(㎛) 목표 크라운값(㎛) 페어크로스(˚) 롤벤더력(tonf) 비고
시험재1 12 42 40 0.5 103 발명예
시험재2 0 41 40 0.5 100
표1과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시험재1에 대하여 종래 및 본 발명에 의한 평가에 따르면 로스폿이 약 2㎛ 정도 차이가 생겼으며, 특히 크라운값에서 큰 차이가 발생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시험재2의 경우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한 평가결과 로스폿은 없었으나, 크라운값에 대한 차이가 있어 종래의 압연방법과 본 발명에 의한 압연방법은 그 제어 실적이 서로 다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본 발명에 의해 도출된 스폿값이 원본 판 파로파일의 스폿의 영향도를 배제한 추세선으로부터 도출되어 그 값이 순수 스폿을 나타내므로 이로부터 도출된 크라운도 순수한 판 크라운값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순수 판 크라운값을 피드백해서 설정한 페어크로스와 벤더력은 종래의 설정치의 오류를 없애 목표 크라운값으로 정확하게 제어가 가능하며, 고정도의 판 크라운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압연방법은 새로운 개념의 스폿을 도출하여 합리적인 목표 크라운 제어를 위한 피드백 설정이 가능해져 고정도의 판 크라운 제어로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이 가능하다.

Claims (5)

  1. 금속 판재를 압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회(前回)의 금속 판재에 대한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T1)로부터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에 대한 영향이 없는 추세선(Gn)을 도출함에 있어서, 상기 하이스폿이나 로스폿에 대한 영향이 없는 추세선(Gn)은,
    전회(前回)의 금속 판재에 대한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T1)로부터 수식모델을 통해 추세선(G1)을 도출하고, 도출된 추세선(G1)과 상기 두께 프로파일(T1)을 합성하여 새로운 판 두께 프로파일(T2)을 구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판 두께 프로파일(T2)로부터 동일한 수식모델을 통해 다른 추세선(G2)를 도출하고, 상기 추세선(G1)과 다른 추세선(G2)의 판 폭방향 중앙부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클 경우 다른 추세선(G2)와 새로운 판 두께 프로파일(T2)를 합성하여 새로운 다른 판 두께 프로파일(T3)를 구하는 단계; 및
    새로운 다른 판 두께 프로파일(T3)로부터 동일한 수식모델을 통해 또 다른 추세선(G3)를 도출하고, 상기 다른 추세선(G2)와 또 다른 추세선(G3)의 판 폭방향 중앙부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내로 들 때까지 추세선과 판 두께 프로파일의 합성과정을 (n)번 반복하여 최종 판 두께 프로파일(Tn)을 구한 다음, 이 최종 판 두께 프로파일(Tn)로부터 최종 추세선(Gn)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도출된 추세선(Gn)을 이용하여 판 크라운값(CRn)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판 크라운값(CRn)과 목표 크라운값을 비교하여 상기 판 크라운값과 목표 크라운값의 차이를 다음 금속 판재의 크라운 제어용 설정계산모델의 학습치로 피드백하여 작업롤의 페어크로스 각도와 벤더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설정된 페어크로스 각도와 벤더력을 적용하여 다음의 금속 판재를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재의 압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세선들은 모두 4차 이하의 다항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압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크라운(CRn)은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압연방법.
    [수학식 6]
    Figure 112007092690120-pat00013
    (단, 상수 a, b, c는 각각 판 폭방향 위치로서, c는 판 폭방향의 정중앙부이고 a, b는 판 폭방향 극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나타내고, Gn(c)는 최종 추세선, T1(a),T1(b)는 a,b 각 위치에서의 판 두께를 나타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번째의 판 두께 프로파일(Tn)은 (n-1)번째 두께 프로파일(Tn-1)과 (n-1)번째 추세선(Gn-1)이 만나는 접점(e, f)를 기준으로 판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접점들과 극선단부 사이의 구간에서는 (n-1)번째 두께 프로파일(Tn-1)을 이용하고, 상기 접점들 사이의 구간에서는 (n-1)번째 추세선(Gn-1)을 이용하여 합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압연방법.
KR1020010042289A 2001-07-13 2001-07-13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 KR10083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289A KR100832985B1 (ko) 2001-07-13 2001-07-13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289A KR100832985B1 (ko) 2001-07-13 2001-07-13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495A KR20030006495A (ko) 2003-01-23
KR100832985B1 true KR100832985B1 (ko) 2008-05-27

Family

ID=2771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289A KR100832985B1 (ko) 2001-07-13 2001-07-13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129B1 (ko) * 2001-12-22 2005-11-0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판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압연방법
KR100971982B1 (ko) * 2003-07-18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소재의 프로필 정량화를 통한 압연기 제어 방법
KR100957924B1 (ko) * 2003-08-12 2010-05-13 주식회사 포스코 페어 크로스 압연기를 이용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KR101372773B1 (ko) * 2012-12-27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페어크로스 설비의 통판성 불량 진단 장치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851A (en) * 1990-12-14 1993-01-19 T. Sendzimir, Inc. Crown adjustment control system for cluster mills
JPH0780517A (ja) * 1993-09-16 1995-03-28 Nippon Steel Corp 圧延ロールにおける熱膨張量の計算方法
JPH07195104A (ja) * 1993-12-28 1995-08-01 Kobe Steel Ltd ホットストリップミル
US6119500A (en) * 1999-05-20 2000-09-19 Danieli Corporation Inverse symmetrical variable crown roll and associated method
US6164103A (en) * 1998-04-29 2000-12-26 Voest-Alpine Industrieanlagenbau Gmbh Method for improving the contour of rolled material
WO2001019544A1 (en) * 1999-09-14 2001-03-22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Method to control the profile of strip in a rolling stand for strip and/or sheet
KR20010060945A (ko) * 1999-12-28 2001-07-07 이구택 퍼지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텐션레벨러 자동 셋업 방법
KR20030053619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판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압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851A (en) * 1990-12-14 1993-01-19 T. Sendzimir, Inc. Crown adjustment control system for cluster mills
JPH0780517A (ja) * 1993-09-16 1995-03-28 Nippon Steel Corp 圧延ロールにおける熱膨張量の計算方法
JPH07195104A (ja) * 1993-12-28 1995-08-01 Kobe Steel Ltd ホットストリップミル
US6164103A (en) * 1998-04-29 2000-12-26 Voest-Alpine Industrieanlagenbau Gmbh Method for improving the contour of rolled material
US6119500A (en) * 1999-05-20 2000-09-19 Danieli Corporation Inverse symmetrical variable crown roll and associated method
JP2000334503A (ja) * 1999-05-20 2000-12-05 Danieli United A Division Of Danieli Corp 逆対称性クラウン可変ロールおよび操作方法
WO2001019544A1 (en) * 1999-09-14 2001-03-22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Method to control the profile of strip in a rolling stand for strip and/or sheet
KR20010060945A (ko) * 1999-12-28 2001-07-07 이구택 퍼지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텐션레벨러 자동 셋업 방법
KR20030053619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판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압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495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9294B (zh) 冷轧带钢横向厚差控制方法
KR900001824B1 (ko) 판재(板材)의 형상제어방법
CA1303705C (en) Controlling the profile of sheet during rolling thereof
US20070006625A1 (en)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mill train for metal strip
KR20000063033A (ko) 판 압연시의 판 형상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832985B1 (ko) 정밀도가 높은 판재의 압연방법
JPH04167910A (ja) 圧延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986463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CN114042760B (zh) 一种通过下工作辊窜辊补偿值改善带钢截面楔形的方法
KR100526129B1 (ko) 열간 압연판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압연방법
KR100362662B1 (ko) 열간압연강판의 폭방향으로의 형상제어방법
JPS6029563B2 (ja) 工作物の形状を制御する方法
JP4330134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KR100325332B1 (ko) 열연판폭방향두께프로파일을고려한판크라운예측방법
KR20030053733A (ko) 후판강의 캠버 방지를 위한 폭내기 압연방법
JP4227686B2 (ja) 冷間圧延時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KR100513821B1 (ko) 열간 후판 압연에서의 평면형상 제어방법
JP2000135506A (ja) 可逆式圧延機の板材の圧延方法
JP2714118B2 (ja) 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069001B2 (ja) 板クラウン・形状モデルのフィードバック制御方法
JP4086120B2 (ja) 酸洗前熱延鋼帯の冷間圧延方法
KR20020051653A (ko) 열간압연 온라인 판 폭 제어방법
JP2978056B2 (ja) 圧延機のロール間接触摩耗予測方法
KR100971982B1 (ko) 압연 소재의 프로필 정량화를 통한 압연기 제어 방법
JP2719215B2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