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521B1 - 이동식 화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화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521B1
KR100832521B1 KR1020070062266A KR20070062266A KR100832521B1 KR 100832521 B1 KR100832521 B1 KR 100832521B1 KR 1020070062266 A KR1020070062266 A KR 1020070062266A KR 20070062266 A KR20070062266 A KR 20070062266A KR 100832521 B1 KR100832521 B1 KR 10083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exhaust gas
air supply
control devic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상
Original Assignee
조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상 filed Critical 조남상
Priority to KR102007006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0Portable or mobile inci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60Mobile furnace
    • F23G2203/601Mobile furnace carried by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식 화장장치는 화장 전에 관을 안치시키고 화장 후에 골분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전실; 상기 관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입장치; 상기 관을 화장시키며, 제 1 연소실 및 제 2 연소실을 구비한 화장로; 상기 제 1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에 각각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 상기 제 1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에 각각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2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여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습식세정반응기; 상기 습식세정반응기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 상기 제 2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출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습식세정반응기, 상기 필터, 및 상기 배기장치를 연결하는 덕트(duct);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냉각전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및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식, 화장장치

Description

이동식 화장장치{Movable Crematory}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이동식 화장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 중 냉각장치, 집진장치 및 탈취장치의 개략적인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화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이동식 화장장치의 연소실의 연소 방식을 버너 연소 방식에서 전기히터 연소 방식으로 대체하면서, 화장장치의 예열 온도의 설정 및 제어, 연소 온도의 설정 및 제어, 전기 에너지의 공급 및 차단, 공기의 공급 및 조절 등의 동작을 하나의 제어 장치로 자동 제어함으로써, 사용되는 에너지량의 현저한 절감 및 배기 가스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식 화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장례풍습은 매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사후에 매장되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및 각 단체에서는 국토의 묘지화, 생태계의 파괴 등을 이유로 점차로 화장을 장려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도 공원묘지 등의 신규허가를 불허하는 등의 행정적 조치와 더불어 매장될 묘지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고 있고, 공원묘지에 매장된 시신의 경우에도 일정 시간 후에는 폐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향후 장례 방법으로 화장이 대세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화장을 위한 화장장 등 여러 가지 제반 시설이 갖추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화장에 필요한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새로운 화장시설의 설립은 이러한 화장시설이 혐오 시설물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 매립장, 하수 및 분뇨 처리장 등의 혐오시설을 기피하는 소위 님비현상(NIMBY : not in my backyard)과 같은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인하여 화장시설의 건립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화장을 한 후에도 화장하고 남은 골분을 강이나 바다에 뿌리거나, 혹은 납골당과 같은 시설물에 안치하거나 별도의 장소에 매장하기 위해서는, 시신을 일단 화장시설까지 운구하여 화장한 후, 골분을 다시 제 3의 장소로 옮겨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식 화장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2001년 5월 11일자로 조동섭에 의해 “이동식화장장치”라는 발 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01-0026020호로 출원되어, 2004년 2월 5일자도 등록된 특허등록 제 419297호(이하 “‘297호 특허”라 합니다)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며, 시신이 담긴 관을 화장시키기 전에 관을 안치시키고 화장 후에 골분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전실과, 상기 관을 화장시키기 위한 화장로와, 상기 화장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장치와, 상기 열교환장치를 거친 배출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배출가스를 탈취시키기 위한 탈취장치를 포함한 이동식 화장장치(이하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로”라 합니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이동식 화장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 중 냉각장치, 집진장치 및 탈취장치의 개략적인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1)는 차량(2)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1)는 시신이 담긴 관(7)을 화장시키기 전에 관을 안치시키고 화장 후에 골분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전실(10)과, 상기 관(7)을 화장시키기 위한 화장로(20)와, 상기 화장로(2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장치(30)와, 상기 열교환장치(30)를 거친 배출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집진장치(40)와, 상기 집진장치(40)를 거친 배출가스를 탈취시키기 위한 탈취장치(50)를 포함하고 있다. 그밖에도,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1)에는 화장에 필요한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연료 통(도시생략)이 구비되어 있으며, 화장에 필요한 연료로 LNG, LPG, 및 경유가 사용된다. 또한, 화장로(20)는 하부의 주연소로(22)와 상부의 부연소로(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연소로(22)에는 주버너(24)가 설치되고, 또한 부연소로(23)에는 부버너(25)가 설치되어 있다. 부버너(25)는, 화장시간의 단축 등을 위하여 상기 화장로(20) 내부의 온도를 항상 750℃ ∼ 850℃ 사이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화장로(20) 내부온도가 750℃ 이하로 내려가면 점화되고 850℃ 이상으로 올라가면 소화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주버너(24)는, 화장될 관이 상기 냉각전실(10)을 통하여 상기 화장로(20) 내로 이송된 후 상기 단열문(21)이 완벽하게 폐쇄되었을 때 점화된다. 화장작업 중에 발생되는 배출가스는 상기 화장로(20)로부터 연도(9)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30)로 전달되고, 열교환장치(30)는 화장로(2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낮춘다. 또한, 열교환장치(30) 내에서 냉각된 배출가스는 계속해서 집진장치(40)로 보내진 후 정화된 다음, 탈취장치(50)로 보내진다. 탈취장치(50)는 집진장치(40)로부터 공급된 배출가스의 냄새를 탈취한 후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므로 1) 화장시설의 건립에 소요되는 비용 및 토지 등이 절감된다는 점, 2) 화장시설의 건립에 따른 주민들과의 마찰이 불필요하다는 점, 3) 기존의 화장장에 비해 간편하고, 화장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감소된다는 점, 4) 매장된 시신의 화장시 시신을 화장장까지 옮겨올 필요 없이 묘지 근처에서 보다 용이하게 화장시킬 수 있다는 점 등의 다양한 장점이 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는 화장에 필요한 연료로 LNG, LPG, 경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므로, 연료 소비에 따른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 별도의 연료통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가 이동 중에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화재 또는 폭발로 인하여 화장 중인 시신이 유실 또는 인명 피해 등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므로, 화석연료 자체의 연소로 인한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집진장치(40) 및 탈취장치(50)를 사용하더라도 오염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이동식 화장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화장장치는 화장 전에 관을 안치시키고 화장 후에 골분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전실; 상기 관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입장치; 상기 관을 화장시키며, 제 1 연소실 및 제 2 연소실을 구비한 화장로; 상기 제 1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에 각각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 상기 제 1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에 각각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2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여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습식세정반응기; 상기 습식세정반응기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 상기 제 2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출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습식세정반응기, 상기 필터, 및 상기 배기장치를 연결하는 덕트(duct);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냉각전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및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1)와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술한 ‘297 특허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로에 대한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되어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식 화장장치(200) 중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1)와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장치(200)는 화장 전에 관(202)을 안치시키고 화장 후에 골분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전실(미도시); 상기 관(202)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입장치(210); 상기 관(202)을 화장시키기 위한 화장로(220); 상기 화장로(220)에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 상기 화장로(220)에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a,240b); 상기 화장로(22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여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50);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50)를 통과한 배출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습식세정반응기(260); 상기 습식세정반응기(260)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270);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280); 상기 화장로(22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출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50), 상기 습식세정반응기(260), 상기 필터(270), 및 상기 배기장치(280)를 연결하는 덕트(duct: 282);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290); 및 상기 냉각전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a,240b),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50), 및 상기 발전기(2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92)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이동식 화장장치(200)의 화장로(220)는 제 1 연소실(222) 및 제 2 연소실(224)로 구성된다. 제 1 연소실(222) 및 제 2 연소실(224)로 구성되며, 제 1 연소실(222) 및 제 2 연소실(224)은 복수의 연결통로(223,223)에 의해 서 로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연소실(222)에는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a)를 구비되어 있고, 제 2 연소실(224)에는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 1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a)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b)는 각각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송풍기(240c) 및 제 2 송풍기(240d)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a)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b)에 의한 공기의 공급 및 공급되는 공기의 양의 조절은 각각 제어장치(292)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제어장치(292)는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화장장치(200)에서는, 제 1 연소실(222)은 제 1 연소실(222)에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가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발명의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및 스트립 발열체(최고 1400℃까지 가능), 금속 발열체(열선: 하나에서 여러 형태로 직접 제작하는 금속 발열체)(최고 1400℃까지 가능), 튜브탈 발열체(여러 종류의 금속발열체로 라디안트 튜브(radiant tube)에서 최대 전력으로 사용하면서도 긴 수명이 보장되는 발열체)(최고 1300℃까지 가능), 실리콘 카바이드 발열체(최고 1600℃까지 가능), 칸탈 슈퍼(Kanthal Super) 발열체(최고 1900℃까지 가능), 메몰 발열체(Fibrothal: 금속발열체와 단열체를 결합한 모듈형 발열체)(최고 1200℃까지 가능), 지르코탈 발열체(최고 2000℃까지 가능) 등의 전기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 발열체는 예를 들어 충남 천안시 다가동 336-1번지(우편번호: 330-110)에 소재한 하나 엔지니어링(전화 +82-41-573-9198, 홈페이지 주소: http://www.hmhana.co.kr)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식 화장장치(200)에서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를 사용하므로, 이러한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발전기(290)가 사용된다. 발전기(290)는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에 각각 전선 또는 리드선(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의 이동식 화장장치에서 시신 1구를 화장하는데 필요한 연료량은 LNG의 경우 대략 50㎥, LPG의 경우 45㎏, 경유의 경우 65ℓ정도가 소요된다. 이러한 화석연료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이동식 화장장치(200)에서 요구되는 발전기(290)의 용량은 대략 15Kw이면 충분하다. 또한, 발전기(290)의 방전에 따른 충전은 별도의 충전기(미도시)를 사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이동식 화장장치(200)가 탑재되는 차량(도 1a에 도시된 차량(2) 참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발전기(제너레이터: 미도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를 사용하면, 종래 기술의 주버너(24) 및 부버너(25)에 비해 제 1 연소실(222) 및 제 2 연소실(224)을 신속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며, 온도 제어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화장장치(200)에서는, 제 1 연소실(222) 내에서 관(202)을 화장을 위해 대략 800℃까지 미리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열에 의해, 제 1 연소실(222) 내로 관(202)이 진입되면, 빠른 시간 내에 연소가 가능하여 화장 시간이 줄어든다.
아울러, 제 1 연소실(222) 내로 관(202)이 진입되어 시신 및 관(202)의 연소가 시작되면, 제 1 전기 히터(230a)에 의해 인가된 열에 의해 열분해 가스가 발생한다. 그 후, 발생된 열분해 가스 자체가 연료로 사용되므로 제 1 연소실(222)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대략 950 내지 1000℃에 이른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제 1 연소실(222)의 온도를 대략 800 내지 850℃로 유지하기 위해, 제어장치(292)는 제 1 연소실(222)의 온도가 800℃ 이하가 되면 제 1 전기 히터(230a)를 가동하고, 제 1 연소실(222)의 온도가 850℃ 이상이 되면 제 1 전기 히터(230a)의 가동을 중단하는 간헐 가열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간헐 가열 방식에 의해 제 1 전기 히터(230a)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연소실(222)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 1 온도 센서(미도시)가 제 1 연소실(222) 내에 장착된다. 여기서 간헐 가열 방식에 따른 제 1 연소실(222)의 온도 범위인 800 내지 850℃는 하나 설정값으로,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780 내지 830℃ 또는 850 내지 900℃ 등 화장에 필요한 최소 온도인 750℃ 이상의 임의 범위의 설정값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화장시간을 줄이기 위해 대략 제 1 연소실(222)의 온도가 950 내지 1000℃에 이르더라도, 제 1 전기 히터(230a)가 간헐 가열 방식이 아닌 연속 가열 방식으로 가동될 수도 있다.
한편, 탈관 상태가 되면, 연료로 사용되는 시신, 관(202), 및 열분해 가스가 줄어들면서 제 1 연소실(222)의 온도가 750℃ 이하로 떨어진다. 이 때, 제어장치(292)는 제 2 전기 히터(230b)를 가동하여, 제 2 연소실(224) 내의 열분해 가스 를 연소시켜, 화장로(220) 내부의 전체 온도를 750℃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이 경우, 제어장치(292)는 제 2 전기 히터(230b)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줄이기 위해, 제 2 연소실(224)의 온도가 750℃ 이하가 되면 제 2 전기 히터(230b)를 가동하고, 제 2 연소실(224)의 온도가 800℃ 이상이 되면 제 2 전기 히터(230b)의 가동을 중단하는 간헐 가열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간헐 가열 방식에 따른 제 2 연소실(224)의 온도 범위인 750 내지 800℃는 하나의 설정값으로,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770 내지 820℃ 또는 750 내지 900℃ 등 화장에 필요한 최소 온도인 750℃ 이상의 임의 범위의 설정값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어장치(292)는 제 2 연소실(224)의 온도가 800℃ 이상이 되더라도 제 2 전기 히터(230b)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는 연속으로 가동하는 연속 가열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장치(292)는 상기 냉각전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230a,230b),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40a,240b),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250), 및 상기 발전기(290)의 동작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동식 화장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화석연료 대신 전기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2. 화석연료의 미사용에 따라 오염물질의 발생이 없거나 현저하게 감소된다.
3. 이동식 화장장치의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더라도, 화재 또는 폭발 가능성 및 그에 따른 시신의 유실 시신이 유실 또는 인명 피해 등 대형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화장장치에 있어서,
    화장 전에 관을 안치시키고 화장 후에 골분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전실;
    상기 관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입장치;
    상기 관을 화장시키며, 제 1 연소실 및 제 2 연소실을 구비한 화장로;
    상기 제 1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에 각각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
    상기 제 1 연소실 및 상기 제 2 연소실에 각각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2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공기를 공급 및 조절하여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를 통과한 배출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습식세정반응기;
    상기 습식세정반응기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
    상기 제 2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출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습식세정반응기, 상기 필터, 및 상기 배기장치를 연결하는 덕트(duct);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냉각전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상기 제 3 에어 공급 및 조절 장치, 및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는 각각 와이어와 스트립 발열체, 금속 발열체(열선), 튜브탈 발열체, 실리콘 카바이드 발열체, 칸탈 슈퍼 발열체, 매몰 발열체(Fibrothal), 및 지르코탈 발열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히터로 구현되는 이동식 화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히터가 각각 소정온도 이하에서 가동되고 소정온도 이상에서 가동 중지되는 간헐 가열 방식으로 가동되는 이동식 화장장치.
KR1020070062266A 2007-06-25 2007-06-25 이동식 화장장치 KR10083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66A KR100832521B1 (ko) 2007-06-25 2007-06-25 이동식 화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66A KR100832521B1 (ko) 2007-06-25 2007-06-25 이동식 화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521B1 true KR100832521B1 (ko) 2008-05-26

Family

ID=3966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266A KR100832521B1 (ko) 2007-06-25 2007-06-25 이동식 화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44A (ko) 2016-11-24 2018-06-01 조남상 개장 유골 전용 이동식 화장 장치
CN113958961A (zh) * 2021-10-28 2022-01-21 北京奥科瑞丰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以糠醛渣为燃料的多级燃烧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978U (ko) * 1996-10-15 1998-07-15 강승인 영구차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 장치
KR20010069813A (ko) * 2001-05-12 2001-07-25 조동섭 이동식 화장장치
KR200244006Y1 (ko) * 2001-05-12 2001-10-15 조동섭 이동식 화장장치
JP2001324115A (ja) * 2000-05-16 2001-11-22 Shidan Yo 移動式遺体焼却装置
KR20020078027A (ko) * 2001-04-04 2002-10-18 홍은영 이동식 화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978U (ko) * 1996-10-15 1998-07-15 강승인 영구차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 장치
JP2001324115A (ja) * 2000-05-16 2001-11-22 Shidan Yo 移動式遺体焼却装置
KR20020078027A (ko) * 2001-04-04 2002-10-18 홍은영 이동식 화장 장치
KR20010069813A (ko) * 2001-05-12 2001-07-25 조동섭 이동식 화장장치
KR200244006Y1 (ko) * 2001-05-12 2001-10-15 조동섭 이동식 화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44A (ko) 2016-11-24 2018-06-01 조남상 개장 유골 전용 이동식 화장 장치
CN113958961A (zh) * 2021-10-28 2022-01-21 北京奥科瑞丰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以糠醛渣为燃料的多级燃烧炉
CN113958961B (zh) * 2021-10-28 2022-07-12 北京奥科瑞丰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以糠醛渣为燃料的多级燃烧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244626U (zh) 污泥热解装置
US53537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processing of materials
JP6958489B2 (ja) 廃棄物焼却によるエネルギーの貯蔵供給装置
JP2015194306A (ja) 焼却処理設備及び焼却処理方法
KR100832521B1 (ko) 이동식 화장장치
JP2000039123A (ja) ブラウンガスを使用する廃棄物の焼却方法及び焼却装置
JP2008275179A (ja) Pcb等の難燃性高粘度廃棄物の燃焼システム
KR101880062B1 (ko) 고효율 소형 다중 화장로 시스템
JP6932089B2 (ja) 紙おむつ乾燥装置及び方法、燃料製造装置及び方法
KR101001198B1 (ko) 친환경형 화장 소각로
KR200231985Y1 (ko)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용융처리 장치
KR20180058544A (ko) 개장 유골 전용 이동식 화장 장치
KR100822870B1 (ko) 연소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스템
JP3162060U (ja) 炭化灰化処理装置
KR20020078027A (ko) 이동식 화장 장치
JP3635139B2 (ja) 廃棄物処理炉
JPH0712321A (ja) 焼却排ガス有害物質熱分解炉
KR20000073008A (ko) 가연성쓰레기 소각방법 및 그 장치
KR101855115B1 (ko)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ES2736159B2 (es)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 un horno crematorio energéticamente mejorado y urna funeraria acumuladora de energía eléctrica
KR100559785B1 (ko) 전기식 화장로
JP2000266324A (ja) 廃棄物熱分解処理装置
RU21241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мации
JP2004044894A (ja) 火格子式廃棄物焼却炉及びその操業方法
ES2733698T3 (es) Cremato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