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115B1 -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115B1
KR101855115B1 KR1020170130262A KR20170130262A KR101855115B1 KR 101855115 B1 KR101855115 B1 KR 101855115B1 KR 1020170130262 A KR1020170130262 A KR 1020170130262A KR 20170130262 A KR20170130262 A KR 20170130262A KR 101855115 B1 KR101855115 B1 KR 10185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haust gas
waste fuel
boil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3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8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liqu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23G2206/203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with a power/heat generating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0Liqu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0211Evaporating, e.g. liquid waste before bur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고열량의 폐연료를 제공하는 폐연료 제공수단; 상기 폐연료를 승온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승온된 폐연료를 연소시킨 후 제1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연소산화장치; 상기 제1 배기가스의 폐열 중 일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제2 배기가스로 배출시켜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변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전달하는 에너지 회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폐연료는 상기 열교환부에 축적된 상기 제2 배기가스의 여열에 의하여 승온된 후 상기 연소산화장치에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출가스는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SYSTEM FOR TREATING WASTE FUEL AND GENERATING ENERGY HAVING THERMAL OXIDIZER}
본 발명은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s Compounds), 음폐수, 하수슬러지, 축분, 소화조, 목초발효지 및 매립지 등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및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사용 후 저장중인 액상 폐용제 등은 유해한 대기물질로써, 악취를 발생시키고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시킨다.
상술한 유해한 대기물질들의 경우 다량의 폐열량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열량을 이용한 에너지 생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유해한 대기물질들을 발전기 또는 보일러 버너로 직접 공급하여 에너지를 생성 또는 회수하는 시스템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별도의 탈황 설비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유해 대기물질들이 버너에 직접 연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투입되는 연료의 열량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고장이 잦으며,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경우, 축열식 연소장치(RTO: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 또는 회수하는 시스템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고비점 물질 등에 의한 하부 축열재가 막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가스의 유로 스위칭으로 인한 축열식 연소장치의 입구 및 출구 유로의 오염으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연소 후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방법으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보일러와 가스 엔진 발전기에 연결시켜 전기에너지로 전환 활용하고,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폐액을 정화 처리 후 방류시키지 않고 퇴비화(액비)시켜 유기농법에 활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내용만 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4623호
본 발명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보일러에 유해대기물질들을 직접 공급하지 않고 간접적인 발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보일러의 고장이 적은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고열량의 폐연료를 제공하는 폐연료 제공수단; 상기 폐연료를 승온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승온된 폐연료를 연소시킨 후 제1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연소산화장치; 상기 제1 배기가스의 폐열 중 일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제2 배기가스로 배출시켜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변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전달하는 에너지 회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폐연료는 상기 열교환부에 축적된 상기 제2 배기가스의 여열에 의하여 승온된 후 상기 연소산화장치에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출가스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산화장치와 상기 보일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 상기 보일러 및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보일러 및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기가스는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보일러에 유입되고,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에너지는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배기가스는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 상의 유체 이동을 단속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은 상기 보일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팀을 전달하는 스팀 전달 수단, 상기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된 열매를 전달하는 열매 전달 수단 및 상기 보일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풍을 전달하는 열풍 전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폐연료는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제2 배기가스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한 후 상기 연소산화장치에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연료 제공수단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 바이오가스 배출원 및 액상 폐용제 배출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 폐용제 배출원은 상기 액상 폐용제를 기화시키는 기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오가스 배출원과 상기 열교환수단 사이, 또는 상기 액상 폐용제 배출원과 상기 열교환수단 사이에는 폐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연료 제공수단 및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는 상기 폐연료를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기 위한 블로워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기 위한 추가환경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산화장치 내부에는 세라믹 축열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가스가 유로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팩트(Compact)하게 설비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작은 면적의 부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가 적게 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연료 제공수단, 열교환부(200), 연소산화장치(300), 보일러(400) 및 에너지 회수 수단(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폐연료 제공수단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시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원(110)이 구비된다.
열교환부(200)는 상술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원(110)으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전달받은 후,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승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연소산화장치(300)는 열교환부에 의해 승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연소시킨 후 발생되는 제1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연소산화장치(300)는 열적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연소시키기 위한 불꽃 발생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일러(400)는 연소산화장치(300)에서 배출된 제1 배기가스를 전달받은 후, 제1 배기가스의 폐열 중 일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제2 배기가스로 배출시켜 상술한 열교환부(2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회수 수단(500)은 보일러(400)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변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에너지 회수 수단(500)으로는 보일러(4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팀을 전달하는 스팀 전달 수단, 보일러(400)에 의해 가열된 열매를 전달하는 열매 전달 수단 및 보일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풍을 전달하는 열풍 전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에너지 회수 수단(500)으로는 보일러(400)에 의해 발생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스팀 발전수단 또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서의 유체 이동을 위하여 상술한 각 구성들 사이에는 유로들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연소산화장치(300)와 보일러(400) 사이에는 제1 유로(710)가 형성되고, 보일러(200)와 에너지 회수 수단(500) 사이에는 제2 유로(720)가 형성되고, 보일러(400)와 열교환부(200) 사이에는 제3 유로(730)가 형성된다.
또한, 폐연료 제공수단과 열교환부(200) 사이에는 제4 유로(740)가 형성되고, 열교환부(200)와 연소산화장치(300) 사이에는 제5 유로(750)가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각 구성들 및 유로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서의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110)으로부터 배출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한 공정가스는 제4 유로(740)를 통하여 열교환부(200)로 이동하며, 이러한 폐연료의 일측 방향 이동을 담보하기 위하여 제4 유로(740) 상에는 블로워(6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한 공정가스는 열교환부(200)에 축적된 제2 배기가스의 여열에 의하여 승온되고, 열교환부(200)에 의하여 승온된 공정가스는 제5 유로(750)를 통하여 연소산화장치(300)로 유입된다.
즉, 열교환부(200)에 의하여 공정가스가 예열되는 과정을 거친 후 연소산화장치(300)에 유입되므로, 연소산화장치(300)의 연소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한 공정가스는 연소산화장치에서 연소되어 높은 열에너지를 갖는 제1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고, 제1 배기가스는 제1 유로(710)를 통하여 보일러(400)로 전달된다.
보일러(400)에서는 제1 배기가스의 폐열 중 일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킨 후 이를 에너지 회수 수단(500)으로 전달하고, 나머지는 제2 배기가스로 배출시켜 제3 유로(730)를 통해 열교환부(200)로 전달한다.
열교환부(2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배기가스의 여열이 축적되고, 제4 유로(740)를 통해 유입된 공정가스와 열교환하여 공정가스를 승온시키고, 연교환부(200)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출가스, 즉 유해물질이 제거된 가스는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갖는 열량이 중열량 이하인 경우, 시스템 전체 효율을 위한 연소산화장치(300) 유입 이전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농축시키기 위한 농축처리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연소산화장치에 유입되는 유체를 승온시키거나 또는 에너지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서 바이패스 유로(760) 및 바이패스 밸브(810)가 추가된 시스템이다.
바이패스 유로(760)는 제1 유로(710) 및 제3 유로(730)를 직접 연결하는 유로이며, 바이패스 밸브(810)는 바이패스 유로(760) 상의 유체 이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이패스 밸브(810)에 의하여 바이패스 유로(760)가 폐쇄된 상태라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와 같이 유체가 시스템 내에서 이동하지만, 바이패스 밸브(810)에 의하여 바이패스 유로(760)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연소산화장치(710)에서 배출된 고온의 제1 배기가스 중 일부는 바이패스 유로(760)를 통해 열교환부(200)로 바로 전달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연소산화장치(300)에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를 좀 더 높일 필요가 있거나, 또는 보일러(400)를 통하여 생성되는 에너지량을 줄일 필요가 있을 경우, 바이패스 유로(760)가 개방될 수 있도록 바이패스 밸브(8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패스 유로(760)가 개방되는 경우 연소산화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제1 배기가스는 보일러(400)와 열교환부(200)로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바이패스 유로(760) 폐쇄시와 비교하여 보일러(400)에 직접 전달되는 제1 배기가스량은 감소될 것이며, 열교환부(200)에는 제2 배기가스 뿐만 아니라 제2 배기가스보다 더 높은 온도의 제1 배기가스의 일부가 직접 전달됨으로써 목적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서 열교환부(200)가 복수 개의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시예이다.
열교환부(200)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되, 열교환부(200)로 유입되는 폐연료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통하여 제2 배기가스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한 후 연소산화장치(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00)가 두 개의 열교환기, 즉 제1 열교환기(210) 및 제2 열교환기(220)로 구성됨을 가정하여 상술한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열교환기(210) 및 제2 열교환기(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일러(400)에서 배출된 제2 배기가스는 제1 열교환기(210) 및 제2 열교환기(220)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폐연료 제공수단에서 제공되는 폐연료는 먼저 제2 열교환기(220)에서 1차 승온되고, 1차 승온된 폐연료는 제1 열교환기(210)에서 2차 승온된 후 연소산화장치(30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폐연료의 예열을 좀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서 폐연료 제공수단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110) 뿐만 아니라 바이오가스 배출원(120) 및 액상 폐용제 배출원(130)을 함께 연결한 시스템이다.
또한, 바이오가스 배출원(120)과 열교환부(200) 사이 및 액상 폐용제 배출원(130) 및 열교환부(200) 사이에는 각각 폐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수단(820, 830)을 마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110)으로부터만 폐연료가 공급되어 에너지 생성 기능을 수행하다가, 좀 더 많은 에너지의 생성이 필요하거나 또는 좀 더 많은 폐연료의 처리가 필요한 상황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110), 바이오가스 배출원(120) 및 액상 폐용제 배출원(130)으로부터 폐연료가 함께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액상 폐용제 배출원(130)의 경우, 연소산화장치(300)에 유입되기 위하여 액상 폐용제를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110)으로부터 저농도의 공정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연소산화장치(300)에 부착된 보조연료공급기의 작동없이 상기 공급된 공정가스가 보조연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폐연료 제공수단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110), 바이오가스 배출원(120) 및 액상 폐용제 배출원(130)을 언급하였으나, 본 시스템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LPG, LNG 등 고열량을 구비한 가스가 공급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에서 추가환경설비(900)를 더 구비하고, 연소산화장치(300) 내부에 세라믹 축열재(310)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추가환경설비(900)는 연소산화장치(300)에서 제거가 어렵거나 또는 제거 후 잔류하는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탈황설비, 탈질설비 또는 악취제거설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추가환경설비(90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교환부(200)의 배출구 측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시스템의 여러 부분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연소산화장치(300) 내부에는 세라믹 축열재(310)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라믹 축열재(310)는 연소산화장치(300) 내부의 폐연료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측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폐연료의 체류기간을 늘리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폐연료의 연소산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세라믹 축열재(310)는 폐연료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여열을 축적함으로써, 본 시스템의 Off 후 재가동할 경우 시스템 자체의 예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배출원 120: 바이오가스 배출원
130: 액상 폐용제 배출원 200: 열교환부
300: 연소산화장치 400: 보일러
500: 에너지 회수 수단 600: 블로워

Claims (11)

  1. 고열량의 폐연료를 제공하는 폐연료 제공수단;
    상기 폐연료를 승온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승온된 폐연료를 연소시킨 후 제1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연소산화장치;
    상기 제1 배기가스의 폐열 중 일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제2 배기가스로 배출시켜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변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전달하는 에너지 회수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폐연료는 상기 열교환부에 축적된 상기 제2 배기가스의 여열에 의하여 승온된 후 상기 연소산화장치에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폐연료 제공수단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 바이오가스 배출원 및 액상 폐용제 배출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폐용제 배출원은 상기 액상 폐용제를 기화시키는 기화수단을 구비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2. 고열량의 폐연료를 제공하는 폐연료 제공수단;
    상기 폐연료를 승온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승온된 폐연료를 연소시킨 후 제1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연소산화장치;
    상기 제1 배기가스의 폐열 중 일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제2 배기가스로 배출시켜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변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전달하는 에너지 회수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폐연료는 상기 열교환부에 축적된 상기 제2 배기가스의 여열에 의하여 승온된 후 상기 연소산화장치에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폐연료 제공수단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 바이오가스 배출원 및 액상 폐용제 배출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가스 배출원과 상기 열교환부 사이, 또는 상기 액상 폐용제 배출원과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는 각각 폐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산화장치와 상기 보일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
    상기 보일러 및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보일러 및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기가스는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보일러에 유입되고,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에너지는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배기가스는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 상의 유체 이동을 단속하는 바이패스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은 상기 보일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팀을 전달하는 스팀 전달 수단, 상기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된 열매를 전달하는 열매 전달 수단, 상기 보일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풍을 전달하는 열풍 전달 수단 및 상기 보일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스팀 발전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인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폐연료는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제2 배기가스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한 후 상기 연소산화장치에 유입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연료 제공수단 및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는 상기 폐연료를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기 위한 블로워가 배치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제2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환경설비를 더 포함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산화장치 내부에는 세라믹 축열재가 배치되는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30262A 2017-10-11 2017-10-11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KR10185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262A KR101855115B1 (ko) 2017-10-11 2017-10-11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262A KR101855115B1 (ko) 2017-10-11 2017-10-11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115B1 true KR101855115B1 (ko) 2018-06-08

Family

ID=6259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262A KR101855115B1 (ko) 2017-10-11 2017-10-11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1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623A (ko) 2004-03-23 2005-09-28 이상옥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 및 퇴비 액비 제조방법
KR20060126884A (ko) * 2006-11-21 2006-12-11 주식회사세진환경 축열식 연소산화장치의 폐열활용 스팀생산 시스템
KR101145934B1 (ko) * 2011-10-13 2012-05-15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유동층 연소로 하부호퍼 열교환장치와 유동사 냉각장치를 구비한 폐열 재활용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623A (ko) 2004-03-23 2005-09-28 이상옥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 및 퇴비 액비 제조방법
KR20060126884A (ko) * 2006-11-21 2006-12-11 주식회사세진환경 축열식 연소산화장치의 폐열활용 스팀생산 시스템
KR101145934B1 (ko) * 2011-10-13 2012-05-15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유동층 연소로 하부호퍼 열교환장치와 유동사 냉각장치를 구비한 폐열 재활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137B1 (en) Advanced combined cycle co-generation abatement system
JP4081102B2 (ja) 廃棄物複合処理施設
CN105234165A (zh) 一种异位土壤热脱附方法
JP2005319374A (ja) 汚泥の燃料化方法及び装置
CN101885574A (zh) 市政污泥热氧化处理成套装备
KR20110054096A (ko) 열기류순환 감압건조 방법 및 장치
CN112062435B (zh) 一种油泥热解处理装置及其工艺
JP2008275179A (ja) Pcb等の難燃性高粘度廃棄物の燃焼システム
KR101855115B1 (ko)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KR101613968B1 (ko)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JP2007170704A (ja) 加圧流動焼却設備及びその立上げ方法
KR101252289B1 (ko)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CN110953594A (zh) 多段干燥机及流化床焚烧炉处理污泥并回收能源的系统
JP2010247111A (ja) 汚泥乾燥システム
KR10075778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탄화처리장치
KR101582528B1 (ko) 차량탑재형 유기성폐기물 탄화처리장치
FI108960B (fi) Menetelmä ja sovitelma vaikeasti poltettavien aineiden polttamiseksi
KR101416679B1 (ko) 음식물 쓰레기 및 폐기물 고주파 탄화처리장치
JP4241578B2 (ja) 含水廃棄物の燃焼方法及び装置
JP6766772B2 (ja) 下水汚泥焼却設備における廃熱を利用した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01107707A (ja) 消化ガス燃焼処理システム
WO2010064025A1 (en) Method, system and plant for treating process gasses, co generative thermal oxidizer
CN105805756A (zh) 垃圾环保高效热解装置
JP4449704B2 (ja) 燃焼方法及び装置
KR101657649B1 (ko)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와 태양광 집광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