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311B1 -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311B1
KR100832311B1 KR1020010087188A KR20010087188A KR100832311B1 KR 100832311 B1 KR100832311 B1 KR 100832311B1 KR 1020010087188 A KR1020010087188 A KR 1020010087188A KR 20010087188 A KR20010087188 A KR 20010087188A KR 100832311 B1 KR100832311 B1 KR 10083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valve
attachment
switch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446A (ko
Inventor
쿠스야마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5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161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with sensing of servomotor demand or load
    • F15B11/166Controlling a pilot pressure in response to the load, i.e. supply to at least one user is regulated by adjusting either the system pilot pressure or one or more of the individual pilot command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329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1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 F15B2211/41509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d a directional control valve
    • F15B2211/41518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d a directional control valve being connected to multiple pressure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426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55Control of flow in the feed line, i.e. meter-i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54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down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e.g. pressure reducing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75Pilot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1Secondary circuits
    • F15B2211/611Diverting circuits, e.g. for cooling or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3Electronic controllers
    • F15B2211/6303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 F15B2211/6306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representing a pressure
    • F15B2211/6316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representing a pressure the pressure being a pilot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35Circuits providing pilot pressure to pilot pressure-controlled fluid circuit elements
    • F15B2211/6355Circuits providing pilot pressure to pilot pressure-controlled fluid circuit elements having val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5Control of speed of the outpu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유압 쇼벨의 어태치먼트 작업에 있어서, 조작량의 변동률에 대한 유량의 변동률을 작게 하여, 어태치먼트 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유압펌프(1,2)로부터의 토출유를 어태치먼트로 공급하는 조작밸브(6)와, 조작밸브(6)에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 신호를 전달하는 어태치먼트 조작수단(11), 컨트롤러(19)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파일럿 신호의 유량 특성을 변경시키는 전자 제어밸브(12)를 갖고, 모니터 장치(18)로부터 컨트롤러(19)를 개재하여 전자 제어밸브(12)로 증감신호가 보내짐으로써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증감시킨다.
Figure R1020010087188
건설기계, 압유, 유량제어장치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FLUID FLOW RATE OF CONSTRUCTION MACHINERY}
도 1은 유압 쇼벨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로서 브레이커를 장착한 경우의 조작회로도이다.
도 2는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도이다.
도 3은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도이다.
도 4는 조작시에 있어서의 모니터 장치의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브레이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모니터 화면, (b)는, 크라셔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모니터 화면이다.
도 5는 최대 유량을 적게 하기 전의 답량과 유량의 관계 및 최대 유량을 적게 한 후의 답량과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쇼벨의 개략적인 전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유압펌프 2:제 2유압펌프
3: 분합류 밸브 4: 주 토출라인
5: 제 1조작밸브 5A: 작업기 실린더용 관로
5B: 작업기 실린더용 관로 5a: 제 1파일럿실
6: 제 2조작밸브 6A: 제 1관로
6B: 제 2관로 6a: 제 2파일럿실
7: 감압밸브 8: 작업기 실린더
10: 브레이커 11: 조작페달
11a: 제 2감압부 12: 전자 제어밸브
13: 파일럿압 공급라인 14: 제 1파일럿 관로
15: 관로 16: 관로
17: 관로 18: 모니터 장치
19: 컨트롤러 20: 크라셔
21: 절환밸브 22: 관로
23: 전자밸브 24: 제 2파일럿 관로
본 발명은 유압 쇼벨(shovel) 등의 건설기계의 유압유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 쇼벨의 어태치먼트 작업에 적합한 압유유량을 컨트롤하는 건설기계의 압유(壓油)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유압 쇼벨(45)의 개략적인 전체도면을 나타낸다. 유압 쇼벨(45)은, 하부 주행체(46)와, 그 위에 선회(旋回)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47)와, 이 상부 선회체(47)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회동 가능한 붐(48)과, 붐(48)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암(49)과, 암(49)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버켓(51)을 갖고 있다. 통상, 유압 쇼벨(45)에 의한 굴삭작업은, 작업자가 조작실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행한다. 작업자가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유압펌프로부터의 유압은, 조작 레버의 조작량에 따라 조작밸브로부터 유출된다. 유출된 압유는, 주요 액추에이터로 압유가 공급된다. 주요 액추에이터로 압유가 공급됨으로써, 액추에이터가 구동되고, 굴삭 작업이 행해진다. 또, 유압 쇼벨(45)은, 버켓(51)으로 교체하여 브레이커나 크라셔 등의 각종 어태치먼트를 장착함으로써, 파쇄나 압쇄 등의 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파쇄나 압쇄 등의 작업은, 작업자가 조작실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페달을 조작하여 행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조작페달의 답량(踏量)과 조작밸브로부터 유출되는 압유유량의 관계는, 조작페달을 밟지 않을 때에 유량은 제로이고, 조작페달을 밟아 감에 따라 유량이 증가하며, 조작페달을 최대로 밟을 때에는 최대유량이 된다. 조작페달을 밟기 시작한 때부터 최대로 밟을 때까지 답량에 대해서 유량은, 일의적으로 정한다. 조작페달의 답량과 유량과의 관계는, 통상은 대략 직선형상의 관계로 되어 있다.
유압 쇼벨에 있어서의 조작밸브로부터 유출되는 유량은, 주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유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주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유량에 비해, 가령, 브레이커 단일체와 같은 소형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유량은 매우 적다. 주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유량으로 소형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면, 조작페달을 최대로 밟을 때의 최대유량은, 소형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유량에 비해 너무 많다. 때문에, 소형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유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조작페달의 답량을 적게 하여, 보다 조작페달의 답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조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조작페달의 전체 답량이 어태치먼트의 필요유량에 대해서 과대하게 설정된 최대 유량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페달의 답량의 변동률에 대한 유량의 변동률이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약간 조작페달의 답량을 증감시키기만 해도 유량이 크게 변동해버리고, 조작페달의 답량을 증감시켜 소형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유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량의 변동률에 대한 유량의 변동률을 작게 하고, 어태치먼트 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는, 유압펌프(1,2)로부터의 압유를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조작밸브(6)와,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 신호를 조작밸브(6)로 전달하는 어태치먼트 조작수단(11)과, 컨트롤러(19)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파일럿 신호의 유량 특성을 변경하는 전자 제어밸브(12)를 갖는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18)로부터 컨트롤러(19)를 개재하여 전자 제어밸브(12)로 증감신호가 보내짐으로써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이 증감됨과 동시에, 모니터 화면에 증감신호에 의해 결정된 유량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1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서는, 모니터 장치(18)로부터 컨트롤러(19)를 개재하여 전자 제어밸브(12)로 토출유의 유량을 감소하는 신호가 보내지면, 전자 제어밸브(12)에 의해, 조작밸브(6)에 작용하는 파일럿 신호의 유량 특성, 가령 파일럿압이 감소한다. 파일럿압이 감소됨에 따라, 어태치먼트 조작수단의 조작량에 따라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어태치먼트 조작수단의 조작량의 변동률에 대한 유량의 변동률이 작게 된다. 이 때문에, 어태치먼트 조작수단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종류가 다른 어태치먼트에 대해 최적의 유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불필요한 유량의 배출 손실을 줄이며, 동력효율을 높여 에너지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량을 증감시킴으로써 결정한 유량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고, 설정 유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조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는, 상기 모니터 화면 또는 그 근방에 설치한 증감 스위치에 의해, 증감신호를 컨트롤러(19)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2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서는,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유량을 증감시키는 증감 스위치가, 모니터 화면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압유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스위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스위치 조작성을 향상시켜, 조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는, 복수의 유압펌프(1,2)와 단독의 유압펌프(2)의 구동의 절환을 행하는 분합류 밸브(3)를 갖고, 어태치먼트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 스위치로부터의 선택신호를 컨트롤러(19)로 전달함과 동시에, 컨트롤러(19)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분합류 밸브(3)의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3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서는, 복수의 유압펌프(1,2)와 단독의 유압펌프(2)의 구동 절환을 행함으로써, 어태치먼트에 따라 복수의 유압펌프(1,2)의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는, 단동(單動) 유압회로와 복동(複動) 유압회로의 절환을 행하는 절환밸브(21)를 갖고, 어태치먼트의 선택 스위치에 의해 절환밸브(21)의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4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서는, 절환밸브(21)에 의해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의 절환을 행할 수 있고, 단동 유압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경우에, 단동 유압회로로 절환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부터 유출된 압유가 절환밸브(21)로부터 제 1조작밸브(6)로 돌아가지 않고 직접 탱크로 되돌아오므로 배압(背壓)이 낮아져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 발명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의 조작회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유압 쇼벨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로서 브레이커를 장착한 경우의 조작회로를 나타낸다. 상기 조작회로는 제 1유압펌프(1)와 제 2유압펌프(2)를 갖고 있다. 제 1유압펌프(1)는, 분합류 밸브(3)를 개재하여 제 2유압펌프(2)와 합류하고, 주(主) 토출라인(4)에 접속되어 있다. 주 토출라인(4)은 분기(分岐)되어 제 1조작밸브(5)와, 제 2조작밸브(6), 감압밸브(7)에 접속되어 있다. 제 1조작밸브(5)는 하류관로(5A,5B)를 개재하여 주요 액추에이터로서의 작업기 실린더(8)와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는 제 1감압부를 구비하고, 제 1감압부는 제 1조작밸브(5)의 제 1파일럿실(室)(5a)과 접속되어 있다. 제 2조작밸브(6)는 제 1관로(6A)를 개재하여 브레이커(10)와 접속되어 있다. 조작페달(11)은 제 2감압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감압밸브(7)는 전자 제어밸브(12)를 개재하여 파일럿압 공급라인(13)에 의해 제 2감압부(11a)와 접속되어 있다. 제 2감압부(11a)는 제 1파일럿 관로(14)를 개재하여 제 2조작밸브(6)의 제 2파일럿실(6a)과 접속되어 있다. 관로(15), 관로(16) 및 관로(17)는, 드레인 관로이다. 모니터 장치(18)는 컨트롤러(1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컨트롤러(19)는 분합류 밸브(3) 및 전자 제어밸브(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 이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로서 브레이커(10)를 장착한 경우의 조작회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기 실린더(8)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기 실린더(8)를 신장(伸張)측에서 구동시킬 경우,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신장측에서 조작함으로써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압이 제 1조작밸브(5)의 제 1파일럿실(5a)에 작용한다. 제 1파일럿실(5a)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에 의해, 제 1조작밸브(5)의 개도가 결정되고, 주 토출라인(4)으로부터 분기되어 제 1조작밸브(5)로 보내진 압유는 관로(5A)를 개재하여 작업기 실린더(8)로 유입되어 작업기 실린더(8)가 신장된다.
다음으로, 브레이커(10)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커(10)를 구동할 경우, 후술할 1펌프·2펌프의 절환에 의해 토출량이 제 2유압펌프(2)만의 토출량이 된다. 제 2유압펌프(2)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주 토출라인(4)으로부터 분기되어 감압밸브(7)를 개재하여 감압된다. 감압된 압유는, 전자 제어밸브(12)를 개재하여 파일럿압 공급라인(13)으로 보내진다. 파일럿압 공급라인(13)으로 보내어진 압유의 압력은, 조작페달(11)의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한다. 조작페달(11)을 밟으면 제 2감압부(11a)로부터 답량에 따른 파일럿압이 제 1파일럿 관로(14)를 개재하여 제 2파일럿실(6a)에 작용한다. 제 2파일럿실(6a)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에 의해 제 2 조작밸브(6)의 개도가 결정되고, 주 토출라인(4)으로부터 제 2조작밸브(6)로 보내어진 압유가 제 1관로(6A)를 개재하여 브레이커(10)의 액추에이터로 유입하여, 브레이커(10)를 구동한다. 이 때, 조작페달(11)의 답량과 제 2조작밸브(6)로부터 유출되는 유량과의 관계는, 조작페달(11)의 답량에 따라 유량이 일의적으로 결정되고, 조작페달(11)의 답량의 변동률에 대한 유량의 변동률이 일정한 경사를 보이는 1차 함수 관계가 된다. 조작페달(11)을 최대로 밟을 때에 브레이커(10)로의 유량은 최대 유량이 된다.
또한, 이 압유 유량제어장치는,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단동 유압회로란, 브레이커(10)와 같이 압유를 항상 액추에이터의 한쪽 포트로부터 유입시키고, 다른 쪽의 포트로부터 배출시키는 유압회로를 말한다. 복동 유압회로는, 크라셔(20)와 같이 압유를 액추에이터의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가 교대로 절환되는 유압회로를 말한다. 도 2는,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단동 유압회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과 동일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구성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조작밸브(6)는, 제 1관로(6A) 및 제 2관로(6B)를 개재하여, 액추에이터의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관로(6B)는, 절환밸브(21)를 갖고 있다. 관로(22)는 드레인관로이다. 콘트롤러(19)는 절환밸브(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크라셔(20)를 장착한 경우, 유압회로는 제 2조작밸브(6)로부터의 유출유를 제 1관로(6A) 및 제 2관로(6B)를 개재하여 액추에이터의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가 교대로 절환되어 복동 유압회로가 된다. 브레이커(10)를 장착한 경우, 절환밸브(21)를 절환함으로써, 유압회로는 제 2조작밸브(6)로부터의 유출유가 제 1관로(6A)를 개재하여 액추에이터의 입구 포트로 유입되고, 출구 포트로부터 유출된 유출유가 제 2관로(6B)를 개재하여 절환밸브(21)로부터 탱크로 배출되는 단동 유압회로가 된다. 브레이커(10)를 장착한 경우에, 단동 유압회로로 절환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출구 포트로부터 유출된 압유는, 제 2조작밸브(6)를 경유하지 않고, 절환밸브(21)로부터 직접 탱크로 되돌아가므로, 배압이 낮아져서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는, 도 3에 보인 절환회로로 할 수도 있다. 도 3에 보인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구성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감압밸브(7)는, 파일럿압 공급라인(13)을 개재하여 전자밸브(23)와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23)는 제 2파일럿 관로(24)를 개재하여 절환밸브(21)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19)는 전자밸브(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크라셔(20)를 장착한 경우, 유압회로는 복동 유압회로가 된다. 브레이커(10)를 장착한 경우, 전자밸브(23)가 절환되고, 제 2파일럿 관로(24)를 개재하여 절환밸브(21)에 파일럿압이 작용한다. 절환밸브(21)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에 의해 절환밸브(21)가 절환되고, 유압회로는 단동 유압회로가 된다.
다음으로, 모니터 장치(18)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니터 장치(18)는 조작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니터 화면과, 어태치먼트 선택 스위치와, 선택버튼과, 결정버튼과, 증감버튼을 갖고 있다. 어태치먼트 선택 스위치와, 선택버튼과, 결정버튼과, 증감버튼은 어느 것이나 모니터 화면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모니터 화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화면으로써 유압 쇼벨의 수온, 오일온도, 잔여 연료 등이 표시되어 있다. 어태치먼트 선택 스위치는, B모드 또는 A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B모드는 브레이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모드이다. A모드는, 특수작업 및 다른 어태치먼트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모드이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에는, 최 대 유량을 증감시키는 작업과, 1펌프·2펌프의 절환조작과,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조작이 있다. 도 4는, 조작시에 있어서의 모니터 장치의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고, (a)는 브레이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모니터 화면, (b)는 크라셔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모니터 화면이다.
먼저, 브레이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기 실린더(8)에 의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최대로 밟을 때에 있어서의 최대 유량을 아주 적게 하도록 설정한다. 즉, 조작페달(11)의 답량과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기울기를 낮춰 조작페달(11)의 답량의 변동률에 대한 유량의 변동률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 브레이커(10)는, 제조 메이커나 기종에 따라 필요한 유량이 다르지만, 필요한 유량에 비해 최대 유량이 많으면 불필요한 유량의 배출 손실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종류가 다른 브레이커(10)에 대해서는, 필요한 유량에 대응시켜 최대 유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브레이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최대 유량을 증감시키는 조작에는, 최대 유량을 대폭 적게 설정하는 조작과, 적게 설정한 최대 유량 내에서 보다 단계적으로 최대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는 최대 유량 증감조작이 필요하다.
먼저, 최대 유량을 아주 적게 설정하는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실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18)의 어태치먼트 선택 스위치로 B모드를 선택한다. 모니터 화면의 좌측 상부에 B가 표시되고(도 4(a) 상단 모니터 화면), 모니터 장치로부터 선택신호가 컨트롤러(19)로 전달되어, 컨트롤러(19)로부터 전자 제어밸브(12)로 지령이 나오게 된다. 전자 제어밸브(12)에 의해, 파일럿압 공급라인(13)으로 보내지는 압력이 큰폭으로 낮게 설정된다. 파일럿압 공급라인(13)으로 보내지는 압력은,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이 급격히 낮아진다.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에 비례하여 제 2조작밸브(6)의 제 2파일럿실(6a)에 작용하는 파일럿압도 큰폭으로 낮아지고, 조작페달(11)의 답량에 따른 제 2조작밸브(6)의 개도가 큰폭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조작페달(11)을 최대로 밟을 때에 있어서의 최대 유량은, 작업기 실린더(8)에 필요한 유량보다 큰폭으로 적어진다.
최대 유량을 적게 한 경우의 조작페달(11)의 답량과 유량의 관계를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5는, 최대 유량을 적게 하기 전의 답량과 유량의 관계 및 최대 유량을 적게 한 후의 답량과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최대 유량을 적게 하기 전의 최대 유량을 Q1으로 한다. 답량과 유량은 A1선도에 나타낸 관계에 있다. 최대 유량을 적게 설정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조작페달(11)을 최대로 밟을 때에 있어서의 최대 유량은 Q1에서 Q2로, 적어진다. 최대 유량을 적게 한 후의 답량과 유량의 관계는, B1선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고 최대 유량을 적게 하기 전의 답량과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A1선도에 비해 기울기가 낮아진다. 답량과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울기가 낮아짐으로써, 조작페달(11)의 답량 변화율에 대한 제 2조작밸브(6)로부터의 유량의 변동률이 작아져서 조작페달(1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령,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을 q1에서 q2의 범위에서 조정할 경우, 최대 유량을 적게 하기 전에는, 조작페달(11)의 답량의 조정범위가 A1인데 대하여, 최대 유량을 적게 한 후에는, 답량의 조정범위는 A2로 확대되어 조작페달(1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최대 유량 증감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니터 장치의 선택버튼에 의해 유량 조정 화면을 선택한다. 모니터 화면에는, 유량 조정 화면이 표시된다(도 4(a) 하단 모니터 화면). 유량 조정 화면을 보면서 최대 유량을 단계적(가령 10단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증감버튼에 의해 최대 유량을 증감시키고, 필요한 최대 유량으로 조정하며, 결정버튼을 누름으로써 최대 유량을 결정한다. 결정한 최대 유량의 증감신호가 컨트롤러(19)로 전달되어, 컨트롤러(19)로부터 전자 제어밸브(12)로 지령이 나오게 된다. 전자 제어밸브(12)에 의해, 파일럿압 공급라인(13)으로 보내지는 압력이 증감하고,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이 증감한다.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에 비례하여, 제 2조작밸브(6)의 제 2파일럿실(6a)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이 증감한다. 파일럿압이 증감함에 따라, 조작페달(11)의 답량에 따른 제 2조작밸브(6)의 개도가 증감하고, 조작페달(11)을 최대로 밟을 때에 있어서의 최대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최대 유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종류가 다른 브레이커(10)에 대해 최적의 최대 유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불필요한 유량의 배출 손실을 줄이고, 동력 효율을 높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때, 분합류 밸브(3)에 의해, 1펌프·2펌프의 절환조작이 이루어지고, 토출량이 제 2유압펌프(2)만의 토출량이 된다.
1펌프·2펌프의 절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압 쇼벨에 있어서, 작업기 실린더(8)에 필요한 유량에 비해, 브레이커(10)의 구동에 필요한 유량은, 매우 적다. 작업기 실린더(8)를 구동하는데는, 제 1유압펌프(1) 및 제 2유압펌프(2)의 2대의 유압펌프를 구동하여 대량의 토출량을 필요로 하지만, 브레이커(10)를 구동하는데는, 토출량이 적어도 되며, 2대의 유압펌프로부터의 토출량으로 할 필요는 없다. 제 1유압펌프(1)는, 분합류 밸브(3)를 개재하여 제 2유압펌프(2)와 합류되어, 주 토출라인(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기 실린더(8)를 구동할 경우에는, 제 1유압펌프(1) 및 제 2유압펌프(2)의 2대의 유압펌프로부터의 토출량으로 함으로써, 대량의 토출량이 주 토출라인(4)으로 흐르고, 브레이커(10)를 구동할 경우에는, 분합류 밸브(3)를 절환함으로써, 토출량이 제 2유압펌프(2)만의 토출량으로 하여, 토출량을 줄인다. 이로 인해, 어태치먼트에 따라 복수의 유압펌프(1,2)의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컨트롤러(19)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절환밸브(21)에 의해,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조작이 이루어지고, 브레이커(10)의 유압회로가 단동 유압회로가 된다. 단동 유압회로가 됨으로써, 브레이커(10)의 액추에이터의 한쪽 포트로부터 유입된 압유가 다른 쪽 포트로부터 유출되고, 절환밸브(21)로부터 제 2조작밸브(6)로 돌아가지 않고 직접 탱크로 되돌아오므로 배압이 낮아져,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수작업 및 어태치먼트 작업에 있어서의 크라셔 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크라셔 작업을 행하는 경우, 크라셔 작업에 필요한 유량은, 브레이커 작업에 필요한 유량에 비해 많기 때문에, 최대로 밟을 때에 있어서의 최대 유량이 브레이커 작업시보다 많아지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 크라셔(20)는, 제조 메이커나 기종에 따라 필요한 유량이 다르다. 필요한 유량에 대하여 최대 유량이 많으면 불필요한 유량의 배출 손실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종류가 다른 크라셔(20)에 대해서 최대 유량을 대응시켜 설정할 필요도 있다. 그래서, 크라셔 작업시의 최대 유량을 증감시키는 조작에는, 최대 유량을 많게 설정하는 조작과 설정한 최대 유량 내에서 단계적으로 최대 유량을 증감시키는 최대 유량 증감조작이 필요하다.
먼저, 최대 유량을 많게 설정하는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실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18)의 어태치먼트 선택 스위치로 A모드를 선택한다. 모니터 화면의 좌측 상부에 A가 표시되고(도 4(b) 상단 모니터 화면), 선택신호가 컨트롤러(19)로 전달되어, 컨트롤러(19)로부터 전자 제어밸브(12)로 지령이 나오게 된다. 전자 제어밸브(12)에 의해, 파일럿압 공급라인(13)으로 보내지는 압력이 브레이커 작업시보다 높게 설정된다. 파일럿압 공급라인(13)으로 보내지는 압력은,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이며,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이 브레이커 작업시보다 높아진다. 제 2감압부(11a)에 작용하는 압력에 비례하여 제 2조작밸브(6)의 제 2파일럿실(6a)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이 높아지고, 조작페달의 답량에 따른 제 2조작밸브(6)의 개도가 브레이커 작업시보다 커진다. 따라서, 조작페달(11)을 최대로 밟을 때에 있어서의 최대 유량은, 브레이커 작업시보다 많아진다.
다음으로, 최대 유량 증감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니터 화면의 선택버튼으로써 선택화면을 선택한다. 모니터 화면에는, 선택화면으로서 복수의 작업형태(가령 특수작업 4 형태와 크라셔 작업 1 형태)가 표시된다(도 4(b) 하단 좌측 모니터 화면). 복수의 작업형태로부터 크라셔 작업을 선택하고, 결정버튼을 누름으로써 선택 화면에 중첩되어 유량 조정 화면이 표시된다(도 4(b) 하단 우측 모니터 화면). 유량 조정 화면에 있어서 브레이커 작업에 있어서의 최대 유량 증감조작과 동일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최대 유량을 단계적(가령 10단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최대 유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종류가 다른 크라셔(20)에 대해 최적의 최대 유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불필요한 유량의 배출 손실을 줄이며, 동력 효율을 높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때, 분합류 밸브(3)에 의해, 1펌프·2펌프의 절환조작이 이루어지고, 제 1유압펌프(1) 및 제 2유압펌프(2)의 2대의 유압펌프로부터의 토출량으로 함으로써 크라셔 작업에 필요한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때, 절환밸브(21)에 의해,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를 절환하는 절환작업이 행해져, 크라셔(20)의 유압회로는 복동 유압회로가 된다.
이상으로 이 발명의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페달의 답량과 조작밸브로부터의 유량은, 1차 함수 관계였지만, 답량과 유량은 1차 함수 관계에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태치먼트 작업 중에, 특히 브레이커 작업에 적합한 유량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어태치먼트 작업에 적합한 유량의 제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유압펌프(1,2)로부터의 압유를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조작밸브(6)와,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 신호를 조작밸브(6)로 전달하는 어태치먼트 조작수단(11)과, 컨트롤러(19)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파일럿 신호의 유량 특성을 변경시키는 전자 제어밸브(12)를 갖는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18)로부터 컨트롤러(19)를 개재하여 전자 제어밸브(12)로 증감신호가 보내짐으로써 어태치먼트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이 증감됨과 동시에, 증감신호에 의해 결정된 유량이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화면 또는 그 근방에 설치한 증감 스위치에 의해, 증감신호를 컨트롤러(19)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압펌프(1,2)와 단독의 유압펌프(2)의 구동의 절환을 행하는 분합류 밸브(3)를 갖고, 어태치먼트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 스위치로부터의 선택신호를 컨트롤러(19)로 전달함과 동시에, 컨트롤러(19)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분합류 밸브(3)의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4.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의 절환을 행하는 절환밸브(21)를 갖고, 어태치먼트 선택스위치에 의해 절환밸브(21)의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단동 유압회로와 복동 유압회로의 절환을 행하는 절환밸브(21)를 갖고, 어태치먼트 선택스위치에 의해 절환밸브(21)의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KR1020010087188A 2000-12-28 2001-12-28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KR100832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00696A JP4519315B2 (ja) 2000-12-28 2000-12-28 建設機械の圧油流量制御装置
JPJP-P-2000-00400696 200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446A KR20020055446A (ko) 2002-07-08
KR100832311B1 true KR100832311B1 (ko) 2008-05-26

Family

ID=1886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188A KR100832311B1 (ko) 2000-12-28 2001-12-28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15581B2 (ko)
JP (1) JP4519315B2 (ko)
KR (1) KR100832311B1 (ko)
CN (1) CN125366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1681B2 (en) 2010-10-27 2015-11-10 Yanmar Co., Ltd. Working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0315B3 (de) * 2003-03-10 2004-12-02 Sauer-Danfoss Aps Antriebsanordnung, insbesondere Hebevorrichtung eines Arbeitsfahrzeugs
US7099722B2 (en) * 2004-08-26 2006-08-29 Caterpillar Inc. Work machine attachment control system
KR101155818B1 (ko) * 2004-12-31 2012-06-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옵션작업장치의 제어장치
JP4281714B2 (ja) * 2005-06-22 2009-06-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油圧回路
JP4494318B2 (ja) * 2005-09-26 2010-06-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4873945B2 (ja) * 2005-12-15 2012-02-08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械の流量制御装置
JP4353190B2 (ja) * 2006-02-27 2009-10-2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4458083B2 (ja) * 2006-11-27 2010-04-2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械のリリーフ圧切換装置
US8656711B2 (en) * 2007-01-26 2014-02-25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Hydraulic circuit for operating a tool
JP4782052B2 (ja) * 2007-03-16 2011-09-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5073330B2 (ja) * 2007-03-16 2012-11-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08266975A (ja) * 2007-04-19 2008-11-06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US7797934B2 (en) * 2007-04-30 2010-09-21 Caterpillar Inc Anti-stall system utilizing implement pilot relief
JP4700077B2 (ja) * 2008-03-26 2011-06-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表示装置
JP4953325B2 (ja) * 2009-03-12 2012-06-13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
JP2011047211A (ja) * 2009-08-27 2011-03-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駆動装置
JP2011163031A (ja) * 2010-02-10 2011-08-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制御装置
US9091284B2 (en) 2010-07-28 2015-07-28 Illinois Tool Works Inc. Operator interface for hydraulic tool control
KR101640609B1 (ko) * 2010-12-22 2016-07-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JP6347936B2 (ja) * 2013-10-23 2018-06-27 住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KR101575090B1 (ko) * 2014-04-28 2015-12-0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굴삭기 옵션 작업장치용 파이핑키트 컨트롤러
KR102425743B1 (ko) * 2015-08-21 2022-07-28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DE112017007331T5 (de) * 2017-03-29 2019-12-19 Komatsu Ltd. Arbeitsmaschinen-management-vorrichtung
US11525238B2 (en) 2018-02-28 2022-12-13 Deere & Company Stability control for hydraulic work machine
US10648154B2 (en) 2018-02-28 2020-05-12 Deere & Company Method of limiting flow in response to sensed pressure
US10829907B2 (en) 2018-02-28 2020-11-10 Deere & Company Method of limiting flow through sensed kinetic energy
US11293168B2 (en) 2018-02-28 2022-04-05 Deere & Company Method of limiting flow through accelerometer feedback
US10954650B2 (en) 2018-02-28 2021-03-23 Deere & Company Hydraulic derate stability control
US10954654B2 (en) 2018-02-28 2021-03-23 Deere & Company Hydraulic derate stability control and calibration
US11512447B2 (en) 2018-11-06 2022-11-29 Deere & Company Systems and methods to improve work machine stability based on operating values
KR20210143749A (ko) * 2019-03-30 2021-11-29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정보처리장치
CN117098898A (zh) * 2021-03-31 2023-11-21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CN114855900B (zh) * 2022-06-15 2023-12-05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装载机控制方法及装载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707A (ja) * 1994-06-02 1995-12-1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が装備された油圧式建設機械
JPH08199632A (ja) * 1995-01-20 1996-08-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JPH11100869A (ja) * 1997-09-29 1999-04-13 Yutani Heavy Ind Ltd 油圧作業機械
JP2000282514A (ja) * 1999-03-31 2000-10-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油圧回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846B2 (ja) * 1988-12-19 1995-10-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パワーショベルのサービス弁回路
JP2972530B2 (ja) * 1994-11-16 1999-11-0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業機制御装置
JPH08270021A (ja) * 1995-03-31 1996-10-15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3210221B2 (ja) * 1995-10-11 2001-09-1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回路
JP3244257B2 (ja) * 1995-12-28 2002-01-0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作業機制御回路
JP4155381B2 (ja) * 2000-10-06 2008-09-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707A (ja) * 1994-06-02 1995-12-1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が装備された油圧式建設機械
JPH08199632A (ja) * 1995-01-20 1996-08-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JPH11100869A (ja) * 1997-09-29 1999-04-13 Yutani Heavy Ind Ltd 油圧作業機械
JP2000282514A (ja) * 1999-03-31 2000-10-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油圧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1681B2 (en) 2010-10-27 2015-11-10 Yanmar Co., Ltd. Work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01675A (ja) 2002-07-19
CN1253665C (zh) 2006-04-26
KR20020055446A (ko) 2002-07-08
US20020083825A1 (en) 2002-07-04
JP4519315B2 (ja) 2010-08-04
US6615581B2 (en) 2003-09-09
CN1362586A (zh)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311B1 (ko) 건설기계의 압유 유량제어장치
EP1743980B1 (en) Hydraulic excavator having a hydraulic control apparatus
JP5383537B2 (ja) 油圧システムのポンプ制御装置
EP2048369A1 (en) Fluid pressure circuit
EP2660478B1 (en) Boom-swivel compound drive hydraulic control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KR100289769B1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장치
US7895833B2 (en) Hydraulic drive apparatus
CN104364535A (zh) 液压驱动装置
JP2021032316A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KR20190112633A (ko) 건설 기계
JPH10205368A (ja) エンジンおよび可変容量型ポンプの制御装置
KR20070095446A (ko) 유압 구동 장치
JP2010047984A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JP2002294758A (ja) 作業機用の油圧回路
JP2016205451A (ja) 流体圧回路および作業機械
CN108978770B (zh) 挖掘机液压供油控制系统及挖掘机
JP7005416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102141511B1 (ko) 건설장비에서의 유압펌프 유량 제어 시스템
KR100762078B1 (ko) 굴삭기 유압펌프의 유량제어장치
JP2006029468A (ja) 流体圧制御装置
KR20040080177A (ko) 릴리프밸브를 이용한 유압펌프의 유량 제어장치
CN218233634U (zh) 装载机液压系统和装载机
US20090113887A1 (en) Hydraulic Drive Device
JP2006257713A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回路
JP2009097579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