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925B1 - 모듈식 조금구 - Google Patents

모듈식 조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925B1
KR100830925B1 KR1020070088192A KR20070088192A KR100830925B1 KR 100830925 B1 KR100830925 B1 KR 100830925B1 KR 1020070088192 A KR1020070088192 A KR 1020070088192A KR 20070088192 A KR20070088192 A KR 20070088192A KR 100830925 B1 KR100830925 B1 KR 100830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llow
support member
tubular body
ro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공만
문용석
양복준
이욱동
윤성환
Original Assignee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을 결합하여 전체 프레임을 이루도록 하고, 적정한 위치의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만 로프 지지부재를 삽입시켜 로프를 가이드하도록 하여 조금구 전체의 중량을 최소화시키며, 또한 대형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조금구의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하로 관통된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단위 프레임이 인접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과 체결되어 전체 프레임을 이루며 ;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상기 로프 지지부재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설되어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상기 관체의 중공과 동일한 형태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환봉을 벤딩하여 마련되는 링 형태의 상부 로프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조금구{MODULE TYPE GUIDE FRAME}
본 발명은 모듈식 조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교각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설치할 때, 대형 구조물이 수평을 이루도록 로프를 가이드하는 모듈식 조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이나 해상의 일정한 위치에 대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크레인(2)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크레인(2)에 구비된 다수의 로프(3)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형 구조물(4)에 연결하여 설치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대형 구조물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대형 구조물의 하중 분배가 불안정하게 되어 설치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조금구(1, Guide Frame)을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조금구는 특정 대형 구조물에 맞는 맞춤형 조금구이므로, 다른 종류의 대형 구조물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099호 "조립식 조금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966호 "조립식 조금구" 등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을 결합하여 전체 프레임을 이루도록 하고, 적정한 위치의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만 로프 지지부재를 삽입시켜 로프를 가이드하도록 하여 조금구 전체의 중량을 최소화시키며, 또한 대형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조금구의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관통된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단위 프레임이 인접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과 체결되어 전체 프레임을 이루며 ;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상기 로프 지지부재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설되어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상기 관체의 중공과 동일한 형태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환봉을 벤딩하여 마련되는 링 형태의 상부 로프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로프 지지부재의 숫자를 최소화시켜 조금구 전체의 중량을 최소화시키며, 또한 대형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조금구의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로프 접촉부가 환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로프와 접촉되는 철 구조물의 모서리 가공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모듈식 조금구의 전체 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모듈식 조금구를 단위 프레임 단위로 분해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모듈식 조금구에 로프 지지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로프 지지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 및 B-B단면도이다.
도 8은 로프 위치 조정 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제1볼트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0은 제2볼트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로프 위치 조정 부재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로프 지지부재가 단위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이다.
본 실시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프레임(110)들이 서로 체결되어 전체 프레임(100)을 이루는 모듈식 조금구이다.
각 단위 프레임(110)에는 상하로 관통된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에는 후술하는 로프 지지부재(200)가 장착되며, 또한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는 그 평면상 형태가 정사각형이다.
상기 단위 프레임(110)들의 구조는 H-Beam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물이 격자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며, 또한 단위 프레임(110)들간의 체결은 체결판 등을 통하여 양 단위 프레임(110)들을 하나의 체결판에 볼트체결하는 방식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프레임들의 구조 및 단위 프레임들의 체결 방식은 여러가지 방식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앞서 언급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099호 "조립식 조금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966호 "조립식 조금구" 등의 기술도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프레임(110)들의 체결에 의하여 전체 프레임(100)을 이루므로, 크레인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대형 구조물에 따라 단위 프레임(110)을 다양하게 결합하여 적당한 형태의 전체 프레임(100)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각 단위 프레임(110)에는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가 형성되며, 크레인과 대형 구조물을 연결하는 로프(3)가 지나갈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에만 로프 지지부재(200)를 장착하고 로프(3)를 설치함으로써, 로프 지지부재(200)의 숫자를 최소화시켜 전체 조금구의 중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로프 지지부재(20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형 구조물의 구조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단위 프레임(110)들 중에는 보강부재(112)가 마련된 단위 프레임(110)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단위 프레임(110)들 중 어느 것에는 리프팅 러그(Lifting Lug)가 마련되어야 하나, 조금구의 기술분야에서는 일반적인 것이라 별도로 도시하 지 않았다.
이하에서는 로프 지지부재(20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로프 지지부재(200)는 크게 관체(210)와 지지판(220)과 상부 로프 접촉부(230)와 하부 로프 접촉부(240)로 이루어진다.
관체(210)는 중공이 형성된 관 형태로서 도 12와 같이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또한 관체(210)의 중공을 따라 로프(3)가 지나가게 된다.
관체(210)의 평면상 형태는 정사각형 형태이며, 또한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의 형태 또한 정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이는 관체(210)가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 내에서 그 위치가 변경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프 지지부재(200)의 장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정사각형 형태를 취한 것이다.
관체(210)의 상부에 지지판(220)이 마련된다.
지지판(220)은 관체(210)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설되어 도 12와 같이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의 상면에 지지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로프 지지부재(200)가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220)에 볼트 구멍(221)을 형성하여, 도 12와 같이 로프 지지부재(200)가 단위 프레임(110)에 볼트 체결되도록 하였다. 물론 이러한 경우 단위 프레임(110) 또한 이에 대응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지지판(220)의 상부에 상부 로프 접촉부(230)가 마련된다.
상부 로프 접촉부(230)는 환봉을 벤딩하여 링 형태로 마련한 것으로서, 관체(210)의 중공과 동일한 형태의 중공을 형성한다.
이는 크레인과 대형구조물을 연결하는 로프(3)가, 각이 진 철구조물과 접촉하게 되면, 로프(3) 자체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통상 로프(3)와 만나는 철구조물 부위는 그라인딩 등을 통하여 원만한 호형을 이루도록 가공을 하여야 하나, 본 실시례에서는 환봉 자체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서 별도의 ㅁ모서리 가공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환봉의 원만한 원형이 로프(3)와 접촉되도록 하였다.
또한 관체(210)의 하부에는 하부 로프 접촉부(240)가 마련된다.
하부 로프 접촉부(240)는 환봉을 벤딩하여 링 형태로 마련한 것으로서, 관체(210)의 중공과 동일한 형태의 중공을 형성한다.
하부 로프 접촉부(240)는 상부 로프 접촉부(230)와 동일한 목적으로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부 로프 접촉부(240)에 로프(3)가 접촉하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즉, 본 하부 로프 접촉부(240)는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로프 지지부재(200)의 형태와 구조로 인하여 로프 지지부재(200)를 단위 프레임(110)의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11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 대형 구조물에 본 조금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로프(3)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례의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관체(210)에 형성되는 중공은 그 면적이 상당하므로 정확하게 로프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관체(210)를 지나는 로프(3)는 상부 로프 접촉부(230)와 접촉한 후 관체(210)의 내측을 따라 위치될 뿐이다.
또한 관체(210)를 지나는 로프(3)가 관체(210)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지 않고 정사각형을 이루는 변의 중간쯤에 위치하게 될 경우, 로프(3)의 위치는 외부의 작은 요인에도 쉽게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로프(3)의 위치 변화는 크레인의 대형 구조물 설치 작업을 위험하게 만드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관체(210)의 중공에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는 수직으로 로프 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에는 2개의 제1볼트구멍(312)과 2개의 제2볼트구멍(3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볼트구멍(312)과 제2볼트구멍(313)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나 서로 직교한다.
제1볼트구멍(312)은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를 관통하는 형태인 반면, 제2볼트구멍(313)은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에 일단이 막힌 홈 형태로 형성된다.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는 그 제작의 편의를 위하여 도 8과 같이 분할 제작된 후 조립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제1볼트구멍(312)에 제1볼트(320)가 삽입 결합된다.
제1볼트(320)의 중간부에는 나사부(321)가 형성되며, 양 단부(322)는 관체(210)의 내측에 지지된다.
제1볼트(320)의 양 단부(322)가 관체(210)의 내측에 지지되기 위하여 관체(210)의 내측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1볼트(320)를 관체(210)의 상부에서 아래로 투입하면 관체(210)의 중간쯤 높이에서 제1볼트(320)의 양단부(322)가 관체(210)의 내측에 쐐기 형태로 지지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지지방식 외에도 제1볼트(320)의 양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등을 마련하여 상기 너트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너트가 관체(210)의 내측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제1볼트(320)를 관체(210)에 지지하기 이전에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를 제1볼트(320)에 대하여 적당한 위치로 조정하는 작업이 먼저 진행된다. 그리고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가 제1볼트(320)에 대하여 적당한 위치에 조정이 되면 너트(323)가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에 접할 때까지 너트(323)를 회전시켜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를 고정시킨다.
한편, 제2볼트구멍(313)에 제2볼트(330)가 삽입 결합된다.
제2볼트(330)의 일단에는 나사부(331)가 형성되며, 타단(332)이 관체(210)의 내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2볼트(330)를 회전시키면 타단(332)이 관체(210)의 내측에 지지되면서,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가 가로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에 의하여 도 11과 같이 로프 위치 조정 부재(310)를 관체(210)의 중공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의 대형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조금구의 사용 상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모듈식 조금구의 전체 프레임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모듈식 조금구를 단위 프레임 단위로 분해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모듈식 조금구에 로프 지지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로프 지지부재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 및 B-B단면도,
도 8은 로프 위치 조정 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1볼트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10은 제2볼트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11은 로프 위치 조정 부재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로프 지지부재가 단위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체 프레임 110 : 단위 프레임
111 :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
200 : 로프 지지부재 210 : 관체
220 : 지지판 230 : 상부 로프 접촉부
240 : 하부 로프 접촉부
310 : 로프 위치 조정부재 320 : 제1볼트
330 : 제2볼트

Claims (5)

  1. 상하로 관통된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단위 프레임이 인접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과 체결되어 전체 프레임을 이루며 ;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상기 로프 지지부재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설되어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상기 관체의 중공과 동일한 형태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환봉을 벤딩하여 마련되는 링 형태의 상부 로프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관체의 중공에 수직 방향으로 로프 관통구가 형성된 로프 위치 조정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로프 위치 조정 부재가 상기 관체의 중공 내에서 그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로프 위치 조정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관체의 내측에 지지되는 2개의 제1볼트가 마련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지지부재 삽입구 및 상기 관체의 중공은 그 평면상 형태가 정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금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관체의 중공과 동일한 형태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환봉을 벤딩하여 마련되는 링 형태의 하부 로프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금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와 직교하면서 일단이 상기 로프 위치 조정 부재에 나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관체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상기 로프 위치 조정 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제2볼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금구.
KR1020070088192A 2007-08-31 2007-08-31 모듈식 조금구 KR100830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92A KR100830925B1 (ko) 2007-08-31 2007-08-31 모듈식 조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92A KR100830925B1 (ko) 2007-08-31 2007-08-31 모듈식 조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925B1 true KR100830925B1 (ko) 2008-05-22

Family

ID=3966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192A KR100830925B1 (ko) 2007-08-31 2007-08-31 모듈식 조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9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684A (ja) * 1992-03-09 1993-09-24 Yamamoto Tekkosho:Kk 起重機における吊りワイヤ−垂設用ガイド
KR200352099Y1 (ko) 2004-02-24 2004-06-10 (주)상아개발 조립식 조금구
KR200420966Y1 (ko) 2006-04-24 2006-07-07 (주)상아개발 조립식 조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684A (ja) * 1992-03-09 1993-09-24 Yamamoto Tekkosho:Kk 起重機における吊りワイヤ−垂設用ガイド
KR200352099Y1 (ko) 2004-02-24 2004-06-10 (주)상아개발 조립식 조금구
KR200420966Y1 (ko) 2006-04-24 2006-07-07 (주)상아개발 조립식 조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7050B1 (en) A tower of a wind turbine and a method for arranging a platform inside a tower
US20130313045A1 (en) Scaffolding attachment arrangement
CN106087744B (zh) 斜拉桥混凝土梁索导管支撑定位装置及方法
US4958960A (en) Well conductor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CN111946902A (zh) 一种模块化组合装配式抗震支吊架
ES2526680T3 (es) Interfaz de medios de suspensión y de tracción para ascensores
KR100830925B1 (ko) 모듈식 조금구
CN112922358A (zh) 一种拉杆式悬挑卸料平台装置
KR100476659B1 (ko) 안전작업대 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120117818A (ko) 텔레스코프식 구조물 및 리프팅 시스템
CN106704333B (zh) 螺栓安装结构及采用该螺栓安装结构的顶驱线缆马鞍架
KR20110132153A (ko)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KR101068891B1 (ko) 우물통 지지장치
CN219793641U (zh) 一种钢箱提篮拱钢拱肋节段快速安装定位装置
KR101073874B1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CN218712958U (zh) 一种大型钢护筒连续下放装置
CN214143236U (zh) 一种下承式贝雷片桥梁
JP2014172712A (ja) エレベーター
CN220364873U (zh) 一种盖梁钢筋骨架预制胎架
CN103953040B (zh) 地脚锚栓拼装支架及地脚锚栓拼装方法
CN219671366U (zh) 一种防止基坑变形的支护装置
CN215977359U (zh) 一种可调预埋支架
KR101219200B1 (ko) 시공이 용이한 밴드형 교통시설물 철주
KR100914028B1 (ko)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CN212317455U (zh) 一种施工电梯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