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891B1 - 우물통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우물통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891B1
KR101068891B1 KR1020080068857A KR20080068857A KR101068891B1 KR 101068891 B1 KR101068891 B1 KR 101068891B1 KR 1020080068857 A KR1020080068857 A KR 1020080068857A KR 20080068857 A KR20080068857 A KR 20080068857A KR 101068891 B1 KR101068891 B1 KR 10106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support
support ring
supporting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98A (ko
Inventor
이규창
Original Assignee
이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창 filed Critical 이규창
Priority to KR102008006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8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2Caissons able to be floated on water and to be lowered into water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물통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우물통을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여, 우물통을 만들 때에 용접으로 인해 우물통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우물통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우물통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물통, 슈, 지지

Description

우물통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caisson}
본 발명은 우물통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우물통을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여, 우물통을 만들 때에 용접으로 인해 우물통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물통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물통 속채움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 도 1과 같이 철판 거푸집을 사용하여 우물통(3)을 시공한다. 우물통(3) 시공에 사용되는 기초 우물통 거푸집틀은 내부 철판 거푸집(1)과 외부 철판 거푸집(2)으로 따로 나누어 금속 철판으로 만들고, 내부 철판 거푸집(1)과 외부 철판 거푸집(2)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앵글을 대 인장재로 기능 하도록 하였으며, 구조적으로는 측압에 안전하도록 설계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우물통 제조시 앵글을 설치할 때에 용접을 통해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용접과정을 통해 우물통이 뒤틀리게 되어 치수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물통을 만들 때에 용접으로 인해 우물통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물통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물통 지지장치는, 우물통을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지링은 빔으로 구비되며, 상기 빔의 양단은 직경조절장치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링 및 상기 지지기둥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에는 상기 체결공이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우물통 지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물통을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여, 우물통을 만들 때에 용접으로 인해 우물통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우물통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수개의 우물통을 동일한 치수로 형성할 수 있고, 지지기둥이 구비되어, 지지링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은 빔으로 구비되며, 상기 빔의 양단은 직경조절장치로 연결되어, 직경조절장치를 통해 지지링의 외경을 조절하여 작업이 끝난 다음에 우물통과 지지링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내경을 갖는 우물통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지지링 및 상기 지지기둥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에는 상기 체결공이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통 지지장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통 지지장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우물통 지지장치는, 우물통(500)을 지지하는 지지링(100)과, 상기 지지링(100)을 지지하는 지지기둥(200)을 포함한다.
지지링(100)은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우물통(500) 내부에 배치되어 우물통(500)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링(100)은 내측판(110)과 외측판(120)과 내측판(110)과 외측판(120)을 연결하는 연결판(130)을 포함하는 "H" 빔으로 구비되며, 상기 빔의 양단은 직경조절장치(300)로 연결된다. 직경조절장치(300)는 유압실린더 또는 턴버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링(100)은 직경조절장치(300)를 통해 양단 사이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지지링(300)의 외경이 조절된다.
또한, 내측판(110)에는 볼트(400)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공(미도시)이 원주방향을 따라 4개씩 4곳 또는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기둥(200)은 지지링(10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링(100)을 지지한다. 지지기둥(200)도 지지링(300)과 같이 내측판(220)과, 외측판(210)과, 내측판(220)과 외측판(210)을 연결하는 연결판(230)을 포함하는 "H"빔으로 구비된다.
지지기둥(200)에는 외측판(210)에 볼트(400)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공(201)이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체결공(201)이 형성되어 지지기둥(200)은 지지링(10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지지링(100)을 안정적으로 원하는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공(201)이 다수개 구비되어 지지링(1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200)의 하단에는 지지부(250)가 수평하게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250)가 구비되어 지지링(100)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나아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지기둥(20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250)를 연결하는 보강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240)가 구비되어 지 지기둥(2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우물통 지지장치는 우물통(500)의 슈를 만들 때, 우물통(500) 내측에 지지링(100)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하게 되면, 우물통(500)의 내벽을 지지하여 우물통(50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우물통(500)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수개의 우물통(500)을 동일한 치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용접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지지링(100)의 높이를 지지기둥(200)을 통해 조절하여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된다.
나아가, 우물통(500)을 만드는 작업이 끝나면, 직경조절장치(300)를 통해 우물통(500) 내벽에 밀착되어 있던 지지링(100)의 직경을 줄여서, 우물통(500)과 지지링(1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링(100)의 직경이 조절되어 지지링(100)은 다양한 내경을 갖는 우물통(500)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물통 지지장치는, 특히, 우물통의 슈를 제조할 때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우물통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통 지지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물통 지지장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링 110 : 내측판
120 : 외측판 130 : 연결판
200 : 지지기둥 201 : 체결공
210 : 외측판 220 : 내측판
230 : 연결판 240 : 보강부
250 : 지지부 300 : 직경조절장치
400 : 볼트 500 : 우물통

Claims (2)

  1. 삭제
  2. 우물통(500)의 내벽을 지지하는 지지링(100);
    상기 지지링(100)을 지지하는 지지기둥(2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링은 빔으로 구비되며, 상기 빔의 양단은 직경조절장치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링 및 상기 지지기둥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에는 상기 체결공이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우물통 지지장치.
KR1020080068857A 2008-07-16 2008-07-16 우물통 지지장치 KR101068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57A KR101068891B1 (ko) 2008-07-16 2008-07-16 우물통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57A KR101068891B1 (ko) 2008-07-16 2008-07-16 우물통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98A KR20100008398A (ko) 2010-01-26
KR101068891B1 true KR101068891B1 (ko) 2011-09-29

Family

ID=4181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57A KR101068891B1 (ko) 2008-07-16 2008-07-16 우물통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80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과학기술원 수직구 굴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2797B (zh) * 2018-07-05 2020-07-28 浙江科技学院 加固沉井封底及监测沉井封底裂纹的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92A (ja) 1998-04-23 2000-01-11 Hitachi Cable Ltd 水平連動型伸縮支保工材
KR200285572Y1 (ko) 2002-05-23 2002-08-13 비비엠코리아(주) 강관말뚝 머리보강 연결구
KR20030078484A (ko) * 2002-03-29 2003-10-08 안판상 맨홀의 높이조절링 고정장치
KR20070068663A (ko) * 2005-12-27 2007-07-02 비비엠코리아(주)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92A (ja) 1998-04-23 2000-01-11 Hitachi Cable Ltd 水平連動型伸縮支保工材
KR20030078484A (ko) * 2002-03-29 2003-10-08 안판상 맨홀의 높이조절링 고정장치
KR200285572Y1 (ko) 2002-05-23 2002-08-13 비비엠코리아(주) 강관말뚝 머리보강 연결구
KR20070068663A (ko) * 2005-12-27 2007-07-02 비비엠코리아(주)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80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과학기술원 수직구 굴착 시스템
KR102079802B1 (ko) * 2017-11-23 2020-02-20 한국과학기술원 수직구 굴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98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891B1 (ko) 우물통 지지장치
KR101249408B1 (ko)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용 철근 받침기둥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철근 배근방법
KR101204966B1 (ko) 증가된 단면강성을 가진 강재거더의 구속콘크리트 제작방법
KR101515348B1 (ko) 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체
JP2010174557A (ja) 鉄筋の組立構造および組立方法
CN204435361U (zh) 弓形铁及采用该弓形铁的桩钢筋安装结构
CN106592623B (zh) 底坑结构安装方法
JP5953186B2 (ja) ボイラとボイラ建屋の同時解体方法
KR20110049811A (ko)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
KR101683616B1 (ko) 콘크리트 기초와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초와 강관말뚝의 결합구조
KR101586376B1 (ko) 인상잭이 설치된 강관을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0462794Y1 (ko) 수로관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시공 구조
JP2014020017A (ja) 杭頭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6149682A (zh) 一种灌注桩基双排钢筋笼结构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CN105113510B (zh) 逆作法中基坑出土洞口的内支撑梁结构及施工方法
JP2016145494A (ja) タービン発電機基礎台、タービン建屋、およびタービン建屋の構築方法
KR101905787B1 (ko) 두부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보강장치 시공방법
JP2016044470A (ja) 仮設柱の設置方法
JP2015007317A (ja) 柱鉄筋の建て込み装置
JP6999281B2 (ja) 杭基礎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6916643B2 (ja) 杭基礎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210482862U (zh) 一种圆柱形石材干挂支撑系统
CN106193116A (zh) 叠合装配式地下管廊墙板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