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028B1 -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028B1
KR100914028B1 KR1020070106950A KR20070106950A KR100914028B1 KR 100914028 B1 KR100914028 B1 KR 100914028B1 KR 1020070106950 A KR1020070106950 A KR 1020070106950A KR 20070106950 A KR20070106950 A KR 20070106950A KR 100914028 B1 KR100914028 B1 KR 100914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support
main base
pro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460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주)부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부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07010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0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25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0Undercarriages or bogies, e.g. end carriages, end b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겐트리 크레인의 하부 구조물인 보기(Bogie)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빔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베이스; 상기 메인베이스 양측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앵글;상기 메인베이스 상부에 형성되어, 좌우 조절이 가능한 서포트빔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로프빔으로 이루어진 조절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보기(Bogie)의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설치장소의 제약이 적고 설치비용이 절감되어 선박사업의 경쟁력이 강화된다.
보기(Bogie), 메인베이스, 조절부재, 앵글, 바디, 체결부재, 서포트빔, 프로프빔

Description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Bogie supporting device of diversification }
본 발명은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겐트리 크레인의 하부 구조물이 보기(Bogie)를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해 메인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를 지지하는 앵글과 상기 메인베이스 상부에 형성되어 좌우 및 높낮이 가능한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겐트리 크레인은 수직부재인 레그(leg)와 수평부재인 거더(Girder)로 이루어진 문 형상을 갖는 크레인으로서, 상부에 윈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트롤리가 상기 거더(Girder)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화물을 이동시키는 대형의 크레인이다.
그리고, 상기 겐트리 크레인의 하부에 차대를 부착하여 이동이 가능 하도록 한 것을 통칭 보기(Bogie) 또는 트랜스퍼크레인이라 한다. 상기 보기(Bogie)로 인해 상기 겐트리 크레인은 하역장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겐트리 크레인의 설치공법은 주행레일 위에 상기 보기(Bogie)를 설치하되, 상기 보기(Bogie)를 고정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기(Bogie)에 러그(lug)를 부착 후, 와이어 지지대를 이용하여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기(Bogie) 위로 레그(leg)와 거더(Girder)를 장착하는 공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기 보기(Bogie)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보기(Bogie) 주위로 넓은 하역장이 필요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설치환경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상기 보기(Bogie)를 고정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기(Bogie)에 러그를 부착 후,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지한는 공법이 있지만, 상기 이동식 크레인을 구비하거나 임대하는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체결부재가 장착된 메인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를 지지하는 앵글과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며 좌우 이동가능한 서포트빔과 상기 서포트빔 내측면과 상기 메인베이스 상부에 결합 되어 상하조절이 가능한 프로프빔으로 구성된 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설치환경에 제약이 따르지 않으며, 설치비용이 많이 발생 되지 않는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는 겐트리 크레인의 하부 구조물인 보기(Bogie)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빔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베이스; 상기 메인베이스 양측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앵글;상기 메인베이스 상부에 형성되어, 좌우 조절이 가능한 서포트빔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로프빔으로 이루어진 조절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보기(Bogie)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부에 빔홈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 양측에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빔의 일단부는 체결부재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보기(Bogie)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베이스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프로프빔의 상부는 상기 서포트빔의 일측과 결합하고 하부는 상기 메인베이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바디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 되고 상기 앵글이 지면과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H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내측으로 빔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프로프빔이 상기 빔홈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메인베이스 내측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상기 서포트빔이 볼트 체결되어, 상기 서포트빔이 내외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빔은 일측 끝단에 회전조절구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조절구에 지지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드는 일정각도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드는 전측에 보기(Bogie)보호대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프빔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로프체결공이 형성된 수용프로프빔과 상기 수용프로프빔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로프체결공에 체결되는 길이프로프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부재가 장착된 메인베이스와 상 기 메인베이스를 지지하는 앵글과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며 좌우 이동가능한 서포트빔과 상기 서포트빔 내측면과 상기 메인베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조절이 가능한 프로프빔으로 구성된 조절부재로 구성되어,
첫째, 구조가 간단하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둘째, 설치장소의 제약이 적고 설치비용이 절감되어 선박사업의 경쟁력이 강화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변화하는 보기(Bogie) 지지장치를 도시하는 다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베이스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빔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패드가 회동하는 실시도이고,.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프빔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빔 형상의 바디(12)가 형성되고 좌우에 체결부재(15)가 장착한 메인베이스(2)와, 상기 메인베이스(2) 좌우측 단부에는 상기 바디(12)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 되도록 지면과 접촉되는 앵글(6)과, 상기 체결부재(15)의 일측에 결합하여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메인베이스(2)와 일정각도 경사지는 서포트빔(20)이 장착되고 일측단부는 상기 서포트빔(20)의 내측면에 힌지(26)를 결합하고 타측단부는 상기 메인베이스(2)와 단단하게 체결되는 프로프빔(30)이 장착되는 조절부재(4)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베이스(2)는 강도와 경도가 높은 철재 빔의 바디(12)와, 상기 바디(12)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보기(Bogie)(1)의 하중을 흡수하기 위해 앵글(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12)의 하측 방향에는 상기 보기(Bogie)(1)가 이동하도록 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디(12)는 일정간격 지면과 이격 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앵글(6)만 지면과 접촉되므로, 효율적으로 상기 보기(Bogie)(1)의 하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바디(12)와 상기 앵글(6)은 수직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은 H 빔을 사용하며, 보기(Bogie)(1)의 무게, 너비에 따라 크기를 알맞게 제작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2)의 양측(좌우측부)에는 상기 서포트빔(20) 끝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부재(15)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5)는 상기 메인베이스(2)의 상부에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15)는 상기 메인베이스(2)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공(16)이 형성된다. 이는 다양한 체결공(16)의 형성으로 상기 서포트빔(20)의 좌우측 이동이 용이하기 위함이며, 실시예는 후술하기 한다. 한편, 상기 체결공(16)은 나사산으로 제작되어 상기 서포트빔(20)과 볼트체결로 결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2)는 상기 체결부재(15)가 형성된 내측방향으로 빔 홈(18)이 형성되어, 상기 프로프빔(30)이 상기 빔홈(18)으로 단단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빔홈(18)은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나, 보통은 상기 서포트빔(20)의 좌우이동과 상기 프로프빔(30)의 상하 길이조절로 상기 보기(Bogie)의 너비에 알맞게 조절된다. 또한, 상기 빔홈(18)은 상기 메인베이스(2)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나사산이 형성된 홈부재를 상기 메인베이스(2)에 장착해도 무방하다.
상기 조절부재(4)는 상기 서포트빔(20)과 상기 프로프빔(30)에 의해서 다변화 가능하며 각 구조에 관해서도 아래와 같다.
상기 서포트빔(20)은 상기 체결부재(15)의 체결공(16)에 결합 되며 볼트결합되어 있어 상기 메인베이스와 일정각도 경사지게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빔(20) 내측면에는 상기 프로프빔(30)과 결합하기 위해 힌지(26)가 부착되고, 끝단에는 회전조절구(2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기(Bogie)(1)를 지지하는 지지패드(24)가 상기 회전조절구(22)에 결합되어 상기 보기(Bogie)(1)의 측면에 최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회동이 가능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프로프빔(30)은 상기 빔홈(18)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힌지(26)와 단단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로프빔(30)은 수용프로프빔(32)과 길이프로프빔(34)으로 이루어져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이 상기 수용프로프빔(32) 내주면에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알아보면 도 1은 너비가 좁은 보기(Bogie)를 지지하는 일실시예이고, 도 2는 너비가 넓은 보기(Bogie)를 지지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빔(20)은 상기 체결부재(15)의 외측 체결공(16)에 결합하여 지면과 대략 40°~ 50°로 이루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은 상기 수용프로프빔(32) 내측방향으로 깊이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드(24)는 상기 보기(Bogie)의 측면에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일정각도 회동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빔(20)은 상기 체결부재(15)의 내측 체결공(16)에 결합하여 지면과 대략 60°~ 70°로 이루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은 상기 수용프로프빔(32) 내측 방향으로 얕게 삽입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기(Bogie)(1)의 너비에 따라 상기 서포트빔(20)과 상기 프로프빔(30)을 조절함으로 다양한 크기의 보기(Bogie)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베이스(2)에는 H 빔으로 이루어진 바디(12)와 좌우측면에 상기 바디(12)와 수직하게 앵글(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12)의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 빔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빔홈(18) 외측으로 체결부재(15)가 상기 바디(12)의 상부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빔홈(18)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프빔(30)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볼트와 체결 되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홈(18)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서포트빔(20)과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해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5)는 상부가 개구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5)의 상부방향으로 상기 서포트빔(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보기(Bogie)(1)의 측면에 대응하게 상기 서포트빔(20)을 상기 메인베이스(2)와 경사지게 형성한 후, 상기 체결부재(15)와 단단하게 볼트결합한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15)는 다수개 체결공(16)을 형성하여 상기 서포트빔(20)을 좌우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앵글(6)은 상기 바디(12)를 실제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폭보다는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 상기 바디(12)와 수직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앵글(6)은 상기 보기(Bogie)의 하중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빔(20)은 긴 빔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체결부재(15)와 결합하도록 나사산으로 관통되어 있고, 타단부는 회전조절구(2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빔(20)의 일측면에는 힌지(26)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프로프빔(30)의 상부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회전조절구(22)는 'ㄷ'자 형상으로 세로획은 상기 서포트빔(20)과 결합하고 가로획에는 4 모퉁이에 회전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절구(22)의 'ㄷ'자 홈에는 지지패드(24)가 삽입되되, 상기 지지패드(24)는 다수개의 지지관통공(29)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드(24)가 회동 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A,B,C와 같이, 상기 회전조절구(22)의 회전관통공(27)과 상기 지지패드(24)의 지지관통공(29)은 같은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에서 이르는 반지름이 같다. 따라서, A에 도시된 것은 상기 지지패드(24)가 70°~ 90°로 회동된 후, 지지구(25)로 결합하여 고정된 실시예이며, B에 도시된 것은 상기 지지패드(24)가 40°~ 60°로 회동된 후 지지구(25)로 결합하여 고정된 실시예이며, A에 도시된 것은 상기 지지패드가 0°~ 30°로 회동된 후 지지구(25)로 결합하여 고정된 실시예이다.
이것은 상기 서포트빔(2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기(Bogie)(1)와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조절구(22)와 상기 지지패드(24)가 단단하게 체결되도록 중심에는 볼트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드(24)는 상기 보기(Bogie)(1)와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보기(Bogie)(1)를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전측으로 보기(Bogie)보호대(28)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프빔(30)은 수용프로프빔(32)과 길이프로프빔(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프로프빔(32)은 상기 메인베이스(2)의 빔홈(18)과 결합되는 부재이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로프체결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프로프빔(32)의 직경은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되어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프체결공(36)이 다수개 형성되어 길이프로프빔(34)이 상하로 길이조절가능하게 된다.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은 일단부는 상기 힌지(26)와 결합하며, 타단부는 상기 수용프로프빔(32)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기 프로프빔(30)의 높이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이 얕게 삽입되고, 상기 프로프빔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프로프빔(34)이 깊게 삽입되어 체결된다.
한편, 상기 프로프빔(30)은 상기 보기(Bogie)에서 전달된 하중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메인베이스(2)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메인베이스에 서포트빔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보기(Bogie)를 지지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를 도시하는 다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베이스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빔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패드가 회동하는 실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프빔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보기(Bogie) 2: 메인베이스
4: 조절부재 6: 앵글
12: 바디 15: 체결부재
16: 체결공 18: 빔홈
20: 서포트빔 22: 회전조절구
24: 지지패드 25: 지지구
26: 힌지 27: 회전관통공
28: 보기(Bogie)보호대 29: 지지관통공
30: 프로프빔 32: 수용프로프빔
34: 길이프로프빔 36: 프로프체결공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겐트리 크레인의 하부 구조물인 보기(Bogie)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빔홈이 형성된 바디(12)와, 상기 바디 양측에 체결부재(15)로 구성되는 메인베이스(2);
    상기 메인베이스 양측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앵글(6);
    상기 메인베이스(2) 상부에 형성되어, 좌우 조절이 가능도록 일단부는 상기 체결부재(15)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보기(Bogie)(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베이스(2)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서포트빔(20)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는 상기 서포트빔(20)의 일측과 결합하고 하부는 상기 메인베이스(2)와 결합하는 프로프빔(30)으로 이루어진 조절부재(4);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부재(4)는 상기 보기(Bogie)(1)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2)는 내측으로 빔홈(18)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프로프빔(30)이 상기 빔홈(18)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5)는 상기 메인베이스(2) 내측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6)에 상기 서포트빔(20)이 볼트 체결되어, 상기 서포트빔(20)이 내외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빔(20)은 일측 끝단에 회전조절구(22)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조절구(22)에 지지패드(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24)는 일정각도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24)는 전측에 보기(Bogie)보호대(28)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프빔(3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로프체결공(36)이 형성된 수용프로프빔(32)과 상기 수용프로프빔(3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로프체결공(36)에 체결되는 길이프로프빔(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KR1020070106950A 2007-10-24 2007-10-24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KR100914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50A KR100914028B1 (ko) 2007-10-24 2007-10-24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50A KR100914028B1 (ko) 2007-10-24 2007-10-24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60A KR20090041460A (ko) 2009-04-29
KR100914028B1 true KR100914028B1 (ko) 2009-08-28

Family

ID=4076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50A KR100914028B1 (ko) 2007-10-24 2007-10-24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3253B (zh) * 2018-04-09 2024-03-15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南通分公司 一种大车防倾倒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62A (ja) * 1994-06-27 1996-01-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天井クレーンの設置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44993A (ja) 1996-08-01 1998-02-17 Sumitomo Metal Ind Ltd 鉄道車両用台車のリニアモータ装架装置
JP2002234434A (ja) 2001-02-09 2002-08-20 Kawasaki Heavy Ind Ltd 鉄道車両用一軸台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62A (ja) * 1994-06-27 1996-01-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天井クレーンの設置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44993A (ja) 1996-08-01 1998-02-17 Sumitomo Metal Ind Ltd 鉄道車両用台車のリニアモータ装架装置
JP2002234434A (ja) 2001-02-09 2002-08-20 Kawasaki Heavy Ind Ltd 鉄道車両用一軸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60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070B2 (en) Support base for equipment
KR101199721B1 (ko) 천정 주행차 시스템과 그 버퍼의 시공방법
KR102633259B1 (ko) 안테나 설치 구조물
KR100914028B1 (ko) 다변화하는 보기 지지장치
KR20170094822A (ko) 가변형 앵커소켓이 구비된 하부 교량받침대
JP3211758U (ja) 携帯基地局設置用架台
US5645180A (en) Floor mounted rotatable jib crane
KR100613591B1 (ko)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JP4168190B2 (ja) 金車吊りスタンド
KR100957533B1 (ko) 호이스트크레인의 바퀴 지지브라켓 장착용 지그
CN203766764U (zh) 一种地铁站台加固装置
JP3215605U (ja) 支持構造
KR200490353Y1 (ko) 핸드 레일 장치
CN204139574U (zh) 一种滚轮座及包括该滚轮座的自升降式物料平台
JP2007238197A (ja) 荷の昇降装置
KR101620044B1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KR20140001897U (ko) 높이조절 플레이트
KR101375258B1 (ko) 트롤리 전도 방지 장치
KR102034747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CN112265923A (zh) 一种可进行多方位旋转调节的起重机
JP5264299B2 (ja) クレーンのジブ支持装置
CN219672590U (zh) 一种可拆分式的注入头与井控装置集成撬
CN210550664U (zh) 一种可用于不同侧围零件定位的可调结构
CN220392026U (zh) 一种风电混塔管片运输保护装置
CN220080029U (zh) 围檩钢支撑安装的工具式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