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520B1 - 케이스 및 케이스 홀더 - Google Patents

케이스 및 케이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520B1
KR100830520B1 KR1020047007916A KR20047007916A KR100830520B1 KR 100830520 B1 KR100830520 B1 KR 100830520B1 KR 1020047007916 A KR1020047007916 A KR 1020047007916A KR 20047007916 A KR20047007916 A KR 20047007916A KR 100830520 B1 KR100830520 B1 KR 10083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ght
surface portion
prism
cas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366A (ko
Inventor
다이치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치 스기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치 스기야마 filed Critical 다이치 스기야마
Publication of KR2004005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54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gramophone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22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G11B33/0427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comprising centre hole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수납되어 있는 물품 표면을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볼 수 있게 하는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케이스는, 상면부(1), 바닥면부(2) 및 적어도 1개의 측면부(101, 201, 202)를 구비한 물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적어도 1개의 측면부(101, 201, 202)가 광의 수렴, 발산 및 진로 변경중 적어도 한가지를 행하는 투광성 부재를 갖는 것이다. 투광성 부재로서는, 볼록형상 렌즈, 오목형상 렌즈, 또는 프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렌즈 중심부를 제외한 부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Figure 112004022088312-pct00001
CD, 도광부, 볼록렌즈, 오목렌즈, 스크린부, 확대기능부, 투광성 부재, 프리즘

Description

케이스 및 케이스 홀더{CASE AND CASE HOLDER}
본 발명은, 물품의 수납 케이스, 특히, 컴퓨터용, 음악용 등의 컴팩트 디스크(CD), CDROM, DVD, 플렉시블 디스크 등, 또는 이것들과 유사한 기록 매체 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이것들을 복수 포개서 책장과 같이 수납하는 케이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히, 컴퓨터용, 음악용 등의 CD, CDROM, DVD 등의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스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케이스는, 덮개 부분과 예를 들면 음악용 CD를 부착하는 바닥면부로 나누어져, 덮개의 개폐에 의해, CD를 꺼내는 것이다. 이들 케이스는, 메이커로부터의 출시 시점에서, 종이 등의 라벨에 타이틀, 설명, 등부(spine) 표지용의 등부 표제 등을 인쇄하고, 이것을 CD와 함께 케이스에 장착하고 있었다. 이것에 의해, 특히, 등부 표제에 의해, 케이스 홀더에 기대어 세운 경우에도, 책과 마찬가지로 찾아 낼 수 있게 되어 있었다. 단지, 이 라벨의 디자인 설계, 인쇄, 장착 작업, 라벨 피팅 로스 등은, 메이커에 있어서, 큰 코스트 부담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라벨 인쇄의 개선책으로서, 일본 특개평 8-11412호 공보에는, 등부 표면 인자장치 및 등부 표면 형성 보조기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것 은 인쇄 정밀도를 높이는 기술이며, 라벨, 장착 작업 등을 전폐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러한 라벨부착 케이스에 들어가 있지 않은 CD 등의 기록 매체는, 범용의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를 사용자측에서 구입하여, 기록 매체를 수납 보존하고 있었다. 이 경우, 등부 표제가 없기 때문에, 케이스 측면부에서, 기록 매체가 보이지 않아, 필요한 기록 매체의 수색에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등부 표제를 붙이는 경우에도, 케이스의 측면부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10mm이하이기 때문에, 표기를 후에 붙이는 것은 곤란했다.
더욱이, 등부 표제를 붙인 경우에도, 기록 매체의 출납으로, 잘못하여 다른 케이스로 이동하여, 실제로 수납되어 있는 기록 매체가 아닌 경우가 있어, 항상, 일치시키는 등의 관리 작업도 포함하게 되어 번거로웠다.
한편, 케이스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4,863,026호 명세서에는, 정보기록 장치용 수납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케이스의 덮개 부분에 프레넬 렌즈를 장착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 케이스 내부의 내용표시 카드의 정보를 확대하는 것이다. 또, 동일하게, 케이스의 덮개부분으로부터 내용을 보이게 하는 기술로서, 일본 특표평 9-511203호 공보에는, 다중표시 렌즈를 구비한 평형 박스 장치가, 일본 특표평 11-510129호 공보에는, 다시각 광학체를 사용한 표시 시스템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케이스의 덮개 부분에, 미소한 평볼록렌즈를 설치하고, 덮개 뒤에 삽입하는 앨범 카드면상에, 인터레이스 형상으로 내용 설명을 인쇄해 두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덮개부분으로부터 보는 각도에 따라, 반면의 화상정보나 문자정보 등을 여러 배리에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케이스의 내용을 표시하는 별도의 기술로서, 미국특허 제 4,044,889호 명세서에는, 일체형 렌즈 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화장품 용기의 내측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표시 등을, 외측 커버에 부착한 프레넬 렌즈를 통해서 확대해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박스형 용기의 등부 표제의 정보를 확대하는 기술로서, 영국 특허출원 GB2222143A호 공보 및 미국특허 제 5,366,073호 명세서에는, 반원주렌즈를 컴팩트 디스크(CD) 케이스의 측면부에 배치하고, 그것에 대면한 등부 표지 라벨의 일부를 확대하는 기술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또, 미국특허 제 5,544,741호 명세서에는, 케이스의 측면부로부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카드의 인쇄 정보를 볼수 있게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케이스 측면부의 일부에 창을 설치하고, 프리즘을 케이스 내부의 인쇄 카드에 포개서 배치하고, 이 프리즘을 경유하여 인쇄 카드상의 정보를 상기 창으로부터 보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현행의 케이스의 형태를 유지하고, 또한, 측면부로부터,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기록 매체의 표면을 볼 수 있게 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1) 케이스에 수납하는 물품에 맞추어서, 라벨의 디자인 설계, 인쇄, 장착 등, 코스트 증가가 되고 있었다.
(2) 등부 표제와 항상 일치시켜서, 물품을 수납해야 했다.
(3) 등부 표제가 없는 범용 케이스에 물품을 수납한 경우, 해당 물품을 찾을 때, 수고와 시간이 든다는 불편이 있었다.
(4) 등부 표제를 붙이는 작업도, 표기가 힘들었다.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수납된 물품 표면에서 반사한 광을 굴절시켜서 케이스의 측면에서 물품 표면을 볼 수 있게 하는 투광성 부재를 케이스 측면부에 갖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스는, 형상으로서, 직방체, 다방체, 또한 원통체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케이스의 구조의 용어로서, 물품 예를 들면,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부분을 바닥면부, 바닥면부를 덮는 덮개를 상면부라고 하고, 바닥면부, 상면부 이외의 측면에 상당하는 부분을 측면부라 칭한다.
더욱이, 상면부, 바닥면부를 연결하는 부분을 연결부라 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볼록형상 렌즈는, 소위 구면의 볼록렌즈(평볼록렌즈, 볼록 메니스커스 렌즈, 구 렌즈)를 비롯하여, 비구면(원통, 단면이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의 곡선을 포함함) 렌즈, 프레넬 렌즈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완벽한 렌즈일 필요가 없이, 광의 집속 굴절 등, 볼록렌즈와 유사한 효과가 이루어지게 하는 형상의 것이라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 오목형상 렌즈도 동일하게, 구면의 오목렌즈(평오목렌즈, 오목 메니스커스 렌즈)를 비롯하여, 비구면(원통면, 단면이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의 곡선을 포함함) 렌즈, 프레넬 렌즈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완벽한 렌즈일 필요 가 없고, 광의 발산 굴절 등, 오목렌즈와 유사한 효과가 이루어지게 하는 형상의 것이라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용어를 기초하여 이하에 해결 수단을 열거한다.
(1) 바닥면부,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물품을 수납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의 물품 예를 들면 기록 매체의 표면을 반사한 광을, 집속, 발산 및 진로변경중 적어도 한가지를 행하고, 외부로 투과시키는 볼록, 오목형상 렌즈, 프리즘 등과 같은 투광성 부재를 케이스의 측면부에 설치한다.
(2) 볼록, 오목형상 렌즈의 중앙부에 비해, 비교적 굴절도가 높은 단부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을 사용한다.
(3) 상기 (1), (2)의 케이스의 측면부로부터의 투과광을, 렌즈, 프리즘, 거울, 광화이버 등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광의 통로를 정하는 도광 부재를 설치한다.
(4) 상기(1), (2)의 케이스의 측면부로부터의 투과광에 의한 상을 확대시키는, 볼록렌즈 등의 확대 부재를 설치한다.
(5) 상기 (1), (2)의 케이스의 측면부로부터의 투과광에 의한 상을, 그라운드 글래스, 스모크 글래스나 광을 산란시키는 반투명 스크린 등의 스크린부를 설치하고, 그 위에 결상시킴으로써, 광시야를 얻는다.
(6) 케이스를 수납하는 케이스 홀더에서, 발광부를 가지고, 수납된 케이스의 적어도 1면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케이스 내부에 입사되게 한다. 그것에 의해, 입사된 측면부 이외의 케이스 측면부로부터, 물품의 표 면을 볼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 면하여 배치된 바닥면부, 상기 상면부의 단부 및/또는 상기 바닥면부의 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측면부를 구비하는, 평판상의 물품을 상기 바닥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적어도 1개의 측면부가, 상기 측면부를 통해서 상기 물품의 표면이 보이도록, 바닥면부측으로부터 상면부측을 향해서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집속하는 제 1 투광성 부재, 및/ 또는, 상면부측으로부터 바닥면부측을 향하여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발산하는 제 2 투광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굴절도란, 광이 투광성 부재를 통과함으로써, 광이 굴절되는 정도를 말한다.
여기에서, 제 1 투광성 부재는, 예를 들면 볼록형상 렌즈의 일부의 단면형상, 원의 일부의 단면형상 등을 갖는 것이다. 또, 제 1 투광성 부재는, 바닥면부측으로부터 상면부측을 향하여, 물품을 수납하는 내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제 2 투광성 부재는, 예를 들면 오목형상 렌즈의 일부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다. 제 1 투광성 부재 및/또는 제 2 투광성 부재는, 스트레이트형 봉상 형상 또는, 만곡형 봉상 형상 또는 만곡 렌즈형 봉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제 1 투광성 부재 및/또는 제 2 투광성 부재는, 원통형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케이스의 측면부는, 측면부를 투과한 투과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도광부, 측면부를 투과한 투과광에 의한 상을 확대하는 확대기능부, 또는 측면부를 투과한 투과광에 의한 상을 결상하는 스크린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 면하여 배치된 바 닥면부, 상기 상면부의 단부 및/또는 상기 바닥면부의 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측면부를 구비하는, 평판형상의 물품을 상기 바닥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적어도 1개의 측면부가, 상기 측면부를 통해서 상기 물품의 표면이 보이도록, 상기 바닥면부측에 프리즘 베이스가 배치된 프리즘을 구비하는 것이다. 프리즘 베이스란, 광을 굴절하는 능선에 끼워진 프리즘 정상점에 대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이 프리즘은, 직각 프리즘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프리즘은, 스트레이트형 봉상 형상 또는 만곡형 봉상 형상 또는 만곡 렌즈형 봉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프리즘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제 1 투광성 부재 및/또는 제 2 투광성 부재, 또는 프리즘은, 물품배치측에 대치하고, 오목렌즈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 홀더는, 상기한 케이스를 유지하는 것으로, 케이스의 측면부로부터 내부에 광을 출사하도록 배치된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의 경로에는, 광을 집광 또는 산란하는 투광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1실시예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케이스의 상면부가 개방된 외관도이다.
도 3은, 단면도의 설명을 위한 파단선을 도시한 케이스의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볼록렌즈의 동작을 설명한 일반적인 원리설명도다.
도 7은, CDROM 인쇄면을 볼록렌즈 단부에 직각으로 배치한 경우의 원리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배치에서 상면에서 본 원리설명도이다.
도 9는, 도 4에 광의 반사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오목렌즈의 동작을 설명한 일반적인 원리설명도이다.
도 12는, CDROM 인쇄면을 오목렌즈 단부의 부분에 직각으로 배치한 경우의 원리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9와 동일하게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CDROM 인쇄면을 직각 프리즘에 직각으로 배치한 경우의 원리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9, 도 13과 동일하게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정면 측면부의 좌측에 확대기능부를 부착한 경우의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정면 측면부의 좌측에 스크린부를 부착한 경우의 광의 반사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실시예의 외관도이다.
도 19는, CDROM 인쇄면상의 인쇄 레이아웃 도면이다.
도 20은, 케이스 홀더의 1실시예의 외관도이다.
도 21은, 거치대에 연구를 시행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22는, 등부면 연결부의 도광부로부터 오는 상을 보이도록 한 배치도이다.
도 23은, 볼록렌즈 단부와 오목렌즈 단부를 상하에 조합시킨 돌출형 투광성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투광성 부재로서 원호형 투광성 부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a)∼(e)는 투광성 부재의 잘라내기 방법과 그 외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투광성 부재로서 원호형 투광성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거치대에 연구를 시행한 다른 내부구조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1실시예의 외관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스에 CDROM(4)을 수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CDROM 대신에 컴팩트 디스크(CD) 등의 다른 평판상의 물품을 수납하는 경우도 완전히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 케이스는, 상면부(1),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바닥면부(2), 상면부(1)와 바닥면부(2)를 연결하는 연결부(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정면에 대응하는 구별을 위해, 연결부에 등부면을 붙이고, 등부면 연결부(3)라 호칭한다.
본 케이스는, 4개의 측면을 가지고, 각각, 정면 측면부(201), 좌우의 2면의 좌우 측면부(101), 또한, 바닥면부(2)와 등부면 연결부(3)의 사이에 위치하는 등부면 측면부(본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본 도면에서는, 수납하고 있는 CDROM(4)의 표면의 문자나 도형 등의 인쇄면(이하, CDROM 인쇄면이라고 함)의 일부 화상이, 각각의 측면부에서 보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케이스의 상면부(1)가 개방된 외관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좌우 측면부(101)는, 상면부(1)에 접합되어 있고, 정면 측면부(201)는, 바닥면부(2)에 접합되어 있다. 이들 측면부의 접합은, 본 예에 구애되지 않아도 좋아, 각각의 측면부가, 상면부(1) 또는 바닥면부(2)중 어느쪽에 접합되어 있어도 문제는 없다.
도 3은, 케이스의 외관도에서, 이후의 단면도의 설명을 위한 파단선을 도시한 것이다. A-A, B-B의 2방향의 단면을 선택하고 있다.
도 4는, 케이스를 도 3에서의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102는, 상면부(1)와, 바닥면부(2)를 연결하는 케이스 스토퍼부를 나타낸다. 202는, 등부면측에 위치하는 등부면 측면부를 나타내고 있다. 203은, CDROM 등의 기 록 매체의 중심의 구멍과 끼워맞춤하는 CDROM 스토퍼부이다. 301은, 등부면 측면부(202)를 경유해 오는 광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본 예에서는, 프리즘으로 구성된 도광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도광부(301)는, 렌즈, 프리즘, 거울, 광화이버 등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케이스를 도 3에서의 B-B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면부(1)의 좌우에 좌우 측면부(101)가 접합되어 있다.
도 6은, 볼록렌즈의 동작을 설명한 일반적인 원리설명도를 도시하고 있다. 5가 볼록렌즈, 500은 광축, 501은, 볼록렌즈 중앙부, 502는, 볼록렌즈 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점광원(P0)이 촛점거리보다 바깥의 위치에 있으면, P0으로부터 나온 발산광은,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굴절하고, P1에 집속하여 결상하게 된다. P1의 장소는, 볼록렌즈(5)의 굴절율, 촛점거리, P0의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볼록렌즈 단부(502)을 투과하는 광쪽이, 볼록렌즈 중앙부(501)를 투과하는 광보다, 집속되도록 하여 크게 굴절하여, 진로가 변경되는 것이다.
더욱이, 정확하게 말하면, 볼록렌즈의 중앙으로부터 단부를 향하여, 투과하는 광의 굴절되는 정도(굴절도)가 커져 가는 것이다. 단, 그것에 따라, 보이는 범위가 좁아져 가는 동시에 상이 분명히 보이게 되어간다. 또한, 본 현상은, 다른 볼록형상 렌즈에 관해서도 동일한 현상이 확인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볼록렌즈의 공통의 기능으로서, 물품이 촛점거리의 외측에 있으면, 일반적으로 광의 집속 기능에 의한 확대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물품이 촛점거리의 내측에 있으면, 볼록렌즈에 의해, 물품으로부터의 광이 더욱 발산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도 7은, 볼록렌즈 단부(502)의 부분을 잘라내어, CDROM 인쇄면(401)을 볼록렌즈 단부(502)에 직각으로 배치한 경우의 원리설명도이다. CDROM 인쇄면(401)을 반사한 광의 일부가, 비스듬히, 볼록렌즈 단부(502)에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도 6의 설명과 동일하게, 집속되도록 크게 굴절하여, 우측의 시야에 들어가게 된다.
즉, 볼록렌즈 단부(502)의 상부일수록 굴절도가 크므로, CDROM 인쇄면(401)은, 도면중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치 인쇄면(401)의 안쪽이 실제의 판면보다 뜬 것처럼 상승하여 우하방으로 기운 것 같이 보이게 된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배치에서, 상면에서 본 원리설명도를 도시한다. CDROM 인쇄면(401)의 가시영역(402)을 반사한 광이, 볼록렌즈 단부(502)를 투과하여 집속되도록 굴절하여, 시야에 들어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가시영역(402)의 범위는, CDROM 인쇄면(401)인 기록 매체와 볼록렌즈 단부(502)와의 거리, 볼록렌즈 단부(502)의 굴절율, 촛점거리 등으로 정해진다.
도 7 및 도 8의 설명에서는, 볼록렌즈 단부(502)를 예로 설명했는데, 적용하는 케이스의 사이즈, 특히, 재질, 측면부의 높이, 기록 매체와 측면부와의 거리, 필요로 하는 가시영역의 크기 등의 조건에 의해, 반드시, 볼록렌즈 단부(502)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할 볼록렌즈(5)의 부분을 적당하게 정해도 된다.
단지, 일반적으로, CDROM 등의 기록 매체의 케이스는 비교적 얇기 때문에, 그 인쇄면을 직각방향에서 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볼록렌즈(5)의 단부에 가까운 장소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9는, 도 4에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정면 측면부(201), 등부면 측면부(202)에는, 볼록렌즈 단부(502) 형상의 것이, 넓어져 있는 기초부분을 하방으로 하여, 바닥면부(2)에 부착되어 있다. 즉, 이들 측면부는, 그것을 통해서 CDROM 인쇄면이 보이도록, 바닥면부(2)측으로부터 상면부(1)측을 향해서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집속하는 볼록렌즈 단부(502)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CDROM 인쇄면(A403), CDROM 인쇄면(B404)을 반사한 광은, 각각, 볼록렌즈 단부(502)로 이루어지는 양쪽 사이드의 정면 측면부(201), 등부면 측면부(202)에 입사된다. 정면 측면부(201)를 투과한 광은 그대로 시야(A)에 들어간다. 등부면 측면부(202)를 통과한 광은, 도광부(301)에 입사되고, 본 예에서는, 도광부(301)는 프리즘을 이용하고 있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면 부분에서 전반사하여, 상위 방향의 시야(B)에 들어가게 된다.
도 10은, 도 5에 광의 반사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좌우 측면부(101)에는, 볼록렌즈 단부(502) 형상의 것이, 가는 정상점 부분을 상방향으로 하여 상면부(1)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도, 이들 측면부는, 그것을 통해서 CDR0M 인쇄면이 보이도록, 바닥면부(2)측으로부터 상면부(1)측을 향해서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집속하는 볼록렌즈 단부(502) 형상 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9의 경우와 동일하게, CDROM 인쇄면을 반사한 광은, 각각, 양 사이드의 좌우 측면부(101)에 입사되고, 투과된 광은 그대로 양 사이드의 시야에 들어 간다. 좌우 측면부(101)를 상면부(1)가 아니라, 바닥면부(2)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볼록렌즈 단부(502) 형상의 것이, 넓어져 있는 기초 부분을 바닥면부(2)에 부착함으로써 동일하게 실현된다.
도 11은, 오목렌즈의 동작을 설명한 일반적인 원리설명도를 도시하고 있다. 6이 오목렌즈, 600은 광축, 601은, 오목렌즈 중앙부, 602는, 오목렌즈 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초점(f)의 외측에 있는 P0에 집중하는 방향의 실선과 같이 집속 광선이 입사되면, 도시된 점선과 같이, P1으로부터 나가는 것 처럼, 발산 광선이 되어서 허상이 보이게 된다. 결과로서, 실선과 같은, 광의 경로가 된다. P1의 장소는, 오목렌즈(6)의 굴절율, 촛점거리, P0의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볼록렌즈(5)와 동일하게 오목렌즈 단부(602)를 투과하는 광쪽이, 오목렌즈 중앙부(601)를 투과하는 광보다, 발산되도록 해서 크게 굴절하여, 진로가 변경되는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중앙으로부터 단부를 향하여, 투과하는 광이 굴절되는 정도(굴절도)가 커져 가는 것이다. 단, 그것에 따라, 보이는 범위는, 볼록렌즈(5)와 동일하게 좁아져 가는 동시에 상이 분명히 보이게 되어 간다. 또한, 본 현상은, 다른 오목형상 렌즈에 관해서도 동일한 현상이 확인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또, 오목렌즈의 공통의 기능으로서, 동시에, 초점 등과의 위치 관계에 의하는데, 일반적으로, 발산에 의해 축소되지만 광각상이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2는, 오목렌즈 단부(602)의 부분을 잘라내고, CDROM 인쇄면(401)을 직각으로 배치한 경우의 원리설명도이다. CDROM 인쇄면(401)을 반사한 광의 일부가, 비스듬히, 오목렌즈 단부(602)에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도 11의 설명과 동일하게, 발산하도록, 굴절하여 우측의 시야에 들어가게 된다.
즉, 오목렌즈 단부(602)의 하부일수록 굴절도가 크므로, CDROM 인쇄면(401)은, 도면중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치 실제의 디스크판면보다 떠올라, 인쇄면(401)의 속으로부터 앞쪽까지의 넓은 범위가, 우하방향으로 경사진 것 처럼 보이게 된다.
본 설명에서는, 오목렌즈 단부(602)를 예로 설명했는데, 볼록렌즈 단부(502)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하는 케이스의 사이즈, 특히, 재질, 측면부의 높이, 기록 매체와 측면부와의 거리, 필요로 하는 가시영역의 크기 등의 조건에 의해, 반드시, 오목렌즈 단부(602)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할 오목렌즈(6)의 부분을 적당하게 정해도 된다.
단지, 일반적으로, CDROM 등의 기록 매체의 케이스는 비교적 얇기 때문에, 그 인쇄면을 직각방향에서 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오목렌즈(6)의 단부에 가까운 장소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3은, 도 9와 동일하게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9와의 차이는, 정면 측면부(201)의 위치에, 볼록렌즈 단부(502) 형상의 것 대신에, 오목렌즈 단부(602) 형상의 것을, 넓은 기초 부분을 아래쪽으로 하여, 바닥면부(2)에 부착하고 있다. 즉, 이 측면부는, 그것을 통해서 CDROM 인쇄면이 보이도록, 상면부(1)측으로부터 바닥면부(2)측을 향하여 굴절도가 서서히 커진다, 광선속을 발산하는 오목렌즈 단부(602)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CDROM 인쇄면(A403)을 반사한 광은, 좌측의 정면 측면부(201)에 입사된다. 정면 측면부(201)를 투과한 광은 그대로 시야(A)에 들어 간다.
여기에서는, 볼록렌즈 단부(502)의 경우의 확대상과 달리, 일반적으로는 광각 축소상이 얻어진다.
또한, 오목렌즈 단부(602)는, 다른 좌우 측면부(101), 등부면 측면부(2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3은, 도 7의 볼록렌즈 단부와 도 12의 오목렌즈 단부를 상하로 조합시킨 돌출형 투광성 부재(55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CDROM 인쇄면(401)은, 볼록렌즈 단부(502)에 의해, 인쇄면(401)의 중심에 가까운 안쪽이 상승하여 우측으로 기울고, 또, 오목렌즈 단부(602)에 의해 인쇄면(401)의 속으로부터 전방까지 전체가, 우하 방향으로 기운 것 처럼 보여, 전체적으로 넓은 시야를 제공하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3의 돌출형 투광성 부재가 사용된다. 정면 측면부(201), 등부면 측면부(202)에는, 돌출형 투광성 부재(555)가 바닥면부(2)에 부착되어 있다. 즉, 이 경우의 측면부는, 그것을 통해서 CDROM 인쇄면(401)이 보이도록, 바닥면부(2)측으로부터 상면부(1)측을 향하여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집속하는 볼록렌즈 단부, 및, 상면부(1)측으로부터 바닥면부(2)측을 향하여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발산하는 오목렌즈 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4는, 지금까지의 렌즈와 달리, 1개의 각이 직각으로 되어 있는 직각 프리즘(7)을, CDROM 인쇄면(401)을 직각으로 배치한 경우의 원리설명도이다.
특히, 직각 프리즘(7)의 직각 부분의 프리즘 베이스(140)를 CDR0M 인쇄면(401)측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배치하고 있고, CDROM 인쇄면(401)을 반사한 광의 일부가, 비스듬히, 직각 프리즘(7)의 수직으로 선 능선에 입사된다. 프리즘 베이스(140)는, 광을 굴절하는 능선에 끼워진 프리즘 정상점에 대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입사된 광은, 직각 프리즘(7)내에서 2회 굴절하여 진로가 변경되어, 우측의 시야에 들어가게 된다.
본 설명에서는, 직각 프리즘(7)을 예로 설명했지만, 적용하는 케이스의 사이즈, 특히, 재질, 측면부의 높이, 기록 매체와 측면부와의 거리, 필요로 하는 가시영역의 크기 등의 조건에 의해, 반드시, 직각 프리즘(7)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각도의 프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단지, 일반적으로, CDROM 등의 기록 매체의 케이스는 비교적 얇기 때문에, 그 인쇄면을 직각 방향에서 보기 위해서는, 직각 프리즘(7)을 예시한 배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직각 프리즘 이외의 프리즘보다 비교적 넓은 가시영역을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도 9, 도 13과 동일하게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9, 도 13과의 차이는, 정면 측면부(201)로서, 직각 프리즘(7)을, 직각부분을 아래로, 또한, CDROM 인쇄면(A403)을 향해서 배치한 것이다. 프리즘(7)의 프리즘 베이스는, 케이스의 바닥면부에 배치된다.
CDROM 인쇄면A(403)을 반사한 광은, 직각 프리즘(7)으로 이루어지는 좌측의 정면 측면부(201)에 입사된다. 정면 측면부(201)를 투과한 광은 그대로 시야(A)에 들어간다.
여기에서는, 지금까지의 렌즈와 달리, 상은 굴절에 의해 진로변경되는 것만으로, 거의 같은 크기의 상이 얻어진다.
또한, 직각 프리즘(7)은, 다른 좌우 측면부(101), 등부면 측면부(2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 좌우 측면부(101), 정면 측면부(201), 등부면 측면부(202)의 4개의 측면부에 직각 프리즘(7), 오목렌즈 단부(602), 볼록렌즈 단부(502)를 조합시켜서 부착해도 좋고, 적어도 1면이라도 좋다. 단지, 직각 프리즘(7), 오목렌즈 단부(602), 볼록렌즈 단부(502)의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면에 설치하는 편이, 반사하기 위한 광을 복수면에서 받아들일 수 있어, 집광량이 증가한다는 면에서 유효하다.
도 16은, 도 9, 도 13, 도 15에서, 정면 측면부(201)의 좌측에 확대기능부(103)를 부착한 경우의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확대기능부(103)는, 단순한 확대 목적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볼록렌즈 중앙부(501)에 상당하는 부분을 부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정면 측면부(201)를 투과해 오는 상은 확대기능부(103)로, 더욱 확대된 형태로, 시야(A)에 들어 온다.
확대기능부(103)의 수단으로서, 정면 측면부(201)에서 선택하는 부재와의 조합, 상호의 거리로, 오목렌즈 중앙부(601)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 확대기능부(103)는, 다른 좌우 측면부(101), 등부면 측면부(2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7은, 도 9, 도 13, 도 15에서, 정면 측면부(201)의 좌측에 스크린부(104)를 부착한 경우의 광의 반사 경로를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이다.
스크린부(104)는, 정면 측면부(201)로부터의 광의 상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시야(A)의 범위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스크린부(104)는, 다른 좌우 측면부(101), 등부면 측면부(2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확대기능부(103)와 스크린부(104)를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5는, 일반 투광성 부재로서, 원의 일부의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호형 투광성 부재(703)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것은, 외측선부(702)가, 단면이 원의 일부가 되도록 원호형 형상을 잘라낸 것이다. CDROM 인쇄면(401) 상을 반사한 광은, a0→b0→c0, …, a2→b2→c2의 각 루트로 투과해 가, 넓은 각도로부터 가시 가능(넓은 시야각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호형 투광성 부재(703)의 내측선부(701)를 오목 형상으로 함으로써, CDROM 인쇄면(401) 상의 가시영역(402)을 넓게 잡을 수 있고, 또 외측선부(702)를 원호형으로 함으로써, 가시영역(402)에 기재된 문자 등을 확대할 수 있다. 단, 내측선부(701)는 오목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6(a)∼(e)는, 투광성 부재의 잘라내기 방법과 그 외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투광성 부재의 단면의 잘라내기 방법으로서,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원인 반경 r의 원(704)으로부터, 원(704)의 일부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O)으로부터 x, y 방향으로 각각, a, b의 변위로부터, 높이(h), 폭(d)의 원호(705)를 잘라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높이(h)의 값은, 케이스의 높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변위(a, b) 및 폭(d)은, 요구되는 가시영역 및 측면 외부로부터의 요구되는 시야각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투광성 부재의 형태로서는, 도 26(b)과 같은, 원호(705)를 단면으로 하여 형성된 스트레이트형의 봉 형상의 투광성 부재(706), 도 26(c)와 같은, 만곡형의 봉 형상의 투광성 부재(707), 게다가, 도 26(d)와 같은, 만곡 렌즈형의 봉 형상의 투광성 부재(708)를 사용할 수 있다. 만곡 렌즈형의 투광성 부재(708)는, 중앙부 단면을 높이(h), 폭(d)의 원호(705)로 하고, 그것을, 도 26(e)의 평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으로 갈수록 서서히 가늘게 한다. 특히, 만곡형 투광성 부재(707)나 만곡 렌즈형 투광성 부재(708)를 채용함으로써, 상하뿐만 아니라, 양단 방향에도, 확대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원호(705)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단면 형상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다른 측면부에 사용되는 각종 투광성 부재에 관해서도, 스트레이트형(706), 만곡형(707), 만곡 렌즈형(708)이 적용가능하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등부면 측면부(3)의 위치에, 투광성 부재로서, 도 25의 내측선부(701)를 직선으로 한 원호형 투광성 부재(703)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DROM 인쇄면(401)상에 넓은 가시영역(402)을 부여하고, 그 상을 확대하여, 측면 외부로부터의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외관형상으로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스트레이트형(706), 만곡형(707), 만곡 렌즈형(708)이 적용 가능하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등부면 측면부(3)의 위치에, 투광성 부재로서, 오목렌즈와 삼각 프리즘을 조합시킨 오목형 삼각 투광성 부재(604)를 사용하고 있다. 그 후방에, 볼록렌즈(605)를 배치하고 있다. 우선, 오목형 삼각 투광성 부재(604)의 오목부분에서, CDROM 인쇄면(401)상을 보다 광각으로 잡음으로써 더 넓은 가시영역(402)을 부여하고, 그 반사광선을 삼각 프리즘 부분에서, 광의 진로변경을 행하고, 후방의 볼록렌즈(605)에, 광선이 입사되어, 그 상을 확대하여, 측면 외부로부터의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외관 형상으로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스트레이트형(706), 만곡형(707), 만곡 렌즈형(708)이 적용가능하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등부면 측면부(3)의 위치에, 투광성 부재로서, 오목렌즈와 원호형을 조합시킨 오목 형 원호 투광성 부재(620)를 사용하고 있다. 우선, 오목형 원호 투광성 부재(620)의 오목부분에서, CDROM 인쇄면(401)상을 보다 광각으로 잡음으로써 더 넓은 가시영역(402)을 부여하고, 그 광선을 원호형의 사면 부분에서, 광의 진로변경을 행하고, 그 상을 확대하여, 측면 외부로부터의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호형의 외측선부(702)에서, 원 대신에, 포물선, 타원 등의 일반적인 곡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관형상으로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스트레이트형(706), 만곡형(707), 만곡 렌즈형(708)이 적용 가능하다.
도 30은, 도 25의 원호형 투광성 부재(703)에서, 내측선부(701)를 더욱 원호형의 형상으로 하고, 바닥면부(2)측으로부터 상면부(1)측에 걸쳐서, 물품측을 향해서 덮는 형태로 함으로써, 실현한 원호형 투광성 부재(609)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것에 의해, CDROM 인쇄면(401)상의 일부를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지금까지의 측면부 방향뿐만 아니라, 반사광선 루트로서, a3→b3→c3와 같이, 덮어져 있는 경사 상부분으로부터도 볼 수 있기 때문에, 넓은 가시영역(402)과 외부로부터의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완전한 측면부뿐만 아니라, 비스듬하게도, 등부 표지를 보는 것 같은 이미지로 자연스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실용상도 지장은 없는 것은 명백하다. 또, 본 예에서는, 외측선부(702), 내측선부(701)로서, 원호형을 사용했지만, 타원, 포물선 등 일반의 곡선, 직사각형, 직선과의 조합에 의해, 다른 덮개형의 투광성 부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투광성 부재로서, 도 30의 원호형 투광성 부재(609)를 사용하고 있다. 이 투광성 부재(609)는, 바닥면부로부터 상면부를 향하여 물품이 수납되는 내측에 만곡하여 있다. 투광성 부재(609)는, CDROM의 가시영역(402)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바닥면부(2)에 부착되어 있지만, 상면부(1)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면 측면부(201)에 상당하는 위치에 실장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좌우 측면부(101), 등부면 측면부(202)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외관 형상으로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스트레이트형(706), 만곡형(707), 만곡 렌즈형(708)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투광성 부재로서, 도 30의 원호형 투광성 부재(609)를 상하로 분할한 투광성 부재 하부분(610), 투광성 부재 상부분(611)이 각각 바닥면부(2), 상면부(1)에 부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배치예에서는, 정면 측면부(201)에 상당하는 위치에 실장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좌우 측면부(101), 등부면 측면부(202)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외관 형상으로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스트레이트형(706), 만곡형(707), 만곡 렌즈형(708)이 적용 가능하다.
도 3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실시예의 케이스 외관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의 투광성 부재(707)는, 길이방향에서 중앙부로부터 양단부에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해 있다. 본 도면에서는, 만곡형(707)의 투광성 부재를 정면 측면부(201)의 위치에 사용하고, 상면부(1), 바닥면부(2)도, 만곡형(707)의 투광성 부재의 만곡에 맞춘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또, 만곡형(707) 뿐만아니라, 만곡 렌즈형(708)도 적용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실시예의 외관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 204는, 원통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의 일부를 사용한 원통형 측면부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정면 측면부(201), 등부면 측면부(202), 좌우 측면부(101)등을 원통형상에 연결한 것이다. 원통형 측면부(204)의 실현 방법으로서, 지금까지 설명한 볼록 형상, 오목 형상 렌즈나, 프리즘의 단면 형상의 발명의 본질 부분을 변경하지 않고, 지금까지의 직선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변경하여 부착한 것이다. 부착 장소는, 반드시, 일주시킬 필요는 없고, 적당하게, 부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금까지의 4방향으로부터, 더욱이, 측면의 넓은 각도로부터, 가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투광성 부재는, 바닥면부(물품)에 대한 방향과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 상면부(1) 또는 바닥면부(2)중 어느곳 이라도 부착 가능하다.
도 19는, CDROM 인쇄면(401)상의 인쇄 레이아웃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야에 들어가는 범위로부터, 반대로, CDROM 인쇄면(401)상에 인쇄하는 내용이 유효하게 되도록, 가시영역(402)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CDROM 인쇄면(401)의 표면의 가시영역(402)에 상당하는 영역에 유용한 정보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는 측면부로부터의 상을, 유용한 정보로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CDROM 인쇄면(401)에 한하지 않고, 다른 물품, 특히 다른 기록 매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를 수납하는 케이스 홀더의 1실시예의 외관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은, 거치대(901) 및 등부(902)를 책장과 같이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거치대(901)의 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8)가 놓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케이스의 경우, 등부 표제의 라벨이 붙여져 있지 않으면 해당하는 것을 찾기 곤란했다.
지금까지의 케이스 및 기록 매체의 연구에 더불어, 도 21은, 거치대(901)에 연구를 행한 내부 구조도를 도시한다. 거치대(901)는,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부(10) 및 광투과 패널(11)을 구비하고, 발광부(10)로부터 출사된 광이, 광투과 패널(11)을 통과한다. 그것에 의해, 거치대(901)에 놓여져 있는 복수의 케이스(8)의 거치대(901)에 면한 측면부로부터 광이 입사되어, 케이스(8) 내부에서 반사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입사된 측면부 이외로부터, 케이스(8)의 내용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서, 광투과 패널(11)은, 반투명의 그라운드 글래스, 렌티큘러 글래스와 같은 광을 다방향으로 확산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CDROM 인쇄면(401)상의 지향성이 강한 반사를 방지하여, CDROM 인쇄면(401)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발광부(10)를 하부로부터 광을 출사하도록 했지만, 그 밖에, 등부(902) 등의 위치에, 더욱 복수의 측면부로부터 입사되게 하기 위해, 복수의 발광부(10)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34는, 케이스 홀더의 광투과 패널로서, 광의 출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서, 복수의 프리즘이 부설된 프리즘 패널(805)을 사용한 것이다. 그것에 의해, 프리즘 패널(805)을 통과한 광이, 케이스(8)의 측면부에, 최적인 각도로 입사됨으로써, CDROM 인쇄면(401)을 반사한 광은 반대측에 배치된 투광성 부재를 투과한다. 이것에 의해 반사면의 반사를 방지하여, 보기 쉽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프리즘 패널(805) 대신에, 광의 산란, 집광을 행하는 다른 광학적 수단으로도 가능하다.
또, 도 22의 외관도는, 등부면 연결부(3)의 도광부(301)로부터 오는 상을 보여주는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 더욱이, 높이 차이나 경사 배치도 가능하다.
또, 여기에서, 발광부(10)는, 전등이 아니라, 거울의 반사등에 의한 간접조명이라도 좋다.
일반적으로, 이하에 도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케이스의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고, 측면부로부터 수납된 물품 예를 들면 기록 매체 등의 육안 확인이 가능하다.
(2) 케이스에 수납하는 물품 예를 들면, 기록 매체에 맞추어서, 라벨의 디자인 설계, 인쇄, 장착 등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3) 등부 표제가 없어도, 해당 물품 예를 들면, 대상 기록 매체가 들어가 있는 케이스를 찾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4) 등부 표제를 붙이는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5) 케이스와 수납되어 있는 물품 예를 들면, 수납되어 있는 기록 매체와 일치시키는 등의 관리 수고를 저감한다.
(6) 케이스의 재료로서, 모두 동일한 투과재로 마무리함으로써, 성형 마무리가 가능하게 되어, 새로운 코스트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 면하여 배치된 바닥면부, 상기 상면부의 단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단부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측면부를 구비하는, 평판 형상의 물품을 상기 바닥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적어도 1개의 측면부가, 상기 측면부를 통해서 상기 물품의 표면이 보이도록, 바닥면부측으로부터 상면부측을 향하여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집속하는 제 1 투광성 부재와, 상면부측으로부터 바닥면부측을 향하여 굴절도가 서서히 커지는, 광선속을 발산하는 제 2 투광성 부재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부재가, 볼록형상 렌즈의 일부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부재가, 원의 일부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부재가, 바닥면부측으로부터 상면부측을 향하여, 물품이 수납되는 내측으로 만곡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투광성 부재가, 오목형상 렌즈의 일부의 단면 형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부재와 제 2 투광성 부재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스트레이트형 봉상 형상, 만곡형 봉상 형상 및 만곡 렌즈형 봉상 형상 중의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부재와 제 2 투광성 부재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부재와 제 2 투광성 부재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물품배치측에 대치하여, 오목렌즈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9. 상면부, 상기 상면부에 면하여 배치된 바닥면부, 상기 상면부의 단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단부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측면부를 구비하는, 평판 형상의 물품을 상기 바닥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적어도 1개의 측면부가, 상기 측면부를 통해서 상기 물품의 표면이 보이도록, 상기 바닥면부측에 프리즘 베이스가 배치된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프리즘이 직각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프리즘이 스트레이트형 봉상 형상, 만곡형 봉상 형상 및 만곡 렌즈형 봉상 형상 중의 하나의 형상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프리즘이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프리즘이 물품배치측에 대치하여, 오목렌즈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4.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측면부가 측면부를 투과한 투과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도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5.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측면부가 측면부를 투과한 투과광에 의한 상을 확대하는 확대기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6.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측면부가 측면부를 투과한 투과광에 의한 상을 결상하는 스크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7.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이스를 유지하는 케이스 홀더로서, 케이스의 측면부로부터 내부로 광을 출사하도록 배치된 발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홀더.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의 경로에, 광을 집광 또는 산란하는 투광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홀더.
KR1020047007916A 2001-11-26 2002-11-18 케이스 및 케이스 홀더 KR10083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59356 2001-11-26
JP2001359356 2001-11-26
PCT/JP2002/011996 WO2003045821A1 (fr) 2001-11-26 2002-11-18 Boitier et support de boit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366A KR20040053366A (ko) 2004-06-23
KR100830520B1 true KR100830520B1 (ko) 2008-05-21

Family

ID=1917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916A KR100830520B1 (ko) 2001-11-26 2002-11-18 케이스 및 케이스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44295B2 (ko)
JP (1) JP3488455B2 (ko)
KR (1) KR100830520B1 (ko)
CN (1) CN1290747C (ko)
AU (1) AU2002365354A1 (ko)
WO (1) WO2003045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8321B2 (en) * 2006-04-18 2010-09-21 Wynalda Jr Robert M Media storage and display sleeve
US8240466B2 (en) * 2007-08-22 2012-08-14 Meador Iii William Edward Paperboard media package
US7726477B1 (en) * 2008-10-12 2010-06-01 Gaither Deborah L Media disc package with magnifier attachment
US7907048B1 (en) 2008-11-13 2011-03-15 Werner Jeffrey P Fire extinguisher accessory device providing voice instructions
US8331749B2 (en) 2009-12-31 2012-12-11 Juniper Networks, Inc. Using a waveguide to display information on electronic devices
EP3016881B1 (en) 2013-07-02 2017-05-2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package and kit therefor
CN104566018A (zh) * 2014-12-15 2015-04-29 苏州汉克山姆照明科技有限公司 应用于太空飞船的led灯具
KR102326236B1 (ko) * 2015-08-11 2021-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액세서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309B2 (ko) * 1981-12-30 1990-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JPH08167263A (ja) * 1994-12-09 1996-06-25 Konica Corp 画像情報記録媒体収容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9977A (en) * 1962-08-20 1964-07-07 Burdick Richard Coin storing and displaying devices
US3632191A (en) * 1970-03-26 1972-01-04 Magnavne Inc Mirror and lens assembly
USD244085S (en) * 1974-12-11 1977-04-19 Giddings Daniel S Display container for mineral specimens
US4040724A (en) * 1975-08-22 1977-08-09 Klingler Josef F Magnifying display article
US4044889A (en) 1976-09-13 1977-08-30 Seymour Orentreich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integrated lens structure
JPS6299581U (ko) * 1985-12-11 1987-06-25
US4863026A (en) 1988-05-13 1989-09-05 Perkowski Thomas J Storage cases for information recording devices
GB2222143A (en) 1988-07-07 1990-02-28 Ryford Ltd Box-like container
US5280385A (en) * 1989-04-25 1994-01-18 Wybrow Brian R A Container including a viewing aid
US5042650A (en) * 1990-04-09 1991-08-27 Professional Coin Grading Service, Inc. Tamperproof coin case
US5366073A (en) 1993-08-02 1994-11-22 Jaja, Inc. Storage container for media records
US5706140A (en) * 1993-09-06 1998-01-06 Kansei Corp. Optical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US5941382A (en) * 1994-04-01 1999-08-24 Insight, Inc. Box container systems and display frames with multiple view optics
US5588526A (en) * 1994-04-01 1996-12-31 Insight, Inc. Flat box system with multiple view optics
US5544741A (en) 1994-04-01 1996-08-13 Insight, Inc. Flat box system with edge view optics
US5769227A (en) * 1994-04-01 1998-06-23 Insight, Inc. Box container systems and display frames with two-dimensional multiple view optics
US5782347A (en) * 1994-04-01 1998-07-21 Insight, Inc. Box container systems and display frames with multiple view optics
AU2231895A (en) * 1994-04-01 1995-10-23 Insight, Inc. Flat box system with multiple view optics
JPH0811412A (ja) 1994-04-28 1996-01-16 Toyo Syst Kaihatsu Kk 背表面印字装置および背表面形成補助具
US5823344A (en) * 1995-07-31 1998-10-20 Insight, Inc. Display systems with multiple view optics
DE69913484T2 (de) * 1999-04-02 2004-11-25 Ferrero Ohg Mbh Verpackung mit Vergrösserungslinse insbesondere für Nahrungsmittelprodukte
DE10041828A1 (de) * 2000-08-25 2002-03-07 Robert Nacken Gehäuse für eine optische Diskette, insbesondere CD-Gehä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309B2 (ko) * 1981-12-30 1990-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JPH08167263A (ja) * 1994-12-09 1996-06-25 Konica Corp 画像情報記録媒体収容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5821A1 (fr) 2003-06-05
JPWO2003045821A1 (ja) 2005-04-07
AU2002365354A1 (en) 2003-06-10
US7044295B2 (en) 2006-05-16
US20040256255A1 (en) 2004-12-23
US20060163090A1 (en) 2006-07-27
CN1290747C (zh) 2006-12-20
KR20040053366A (ko) 2004-06-23
CN1592706A (zh) 2005-03-09
JP3488455B2 (ja) 200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298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erial image
US5506728A (en) Dual combiner eyepiece
JP4007633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20060163090A1 (en) Case and case holder
JPS647397Y2 (ko)
JP2006302902A (ja) カットオフビームを与える自動車用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この照明モジュールを備えるヘッドライト
JP2000514204A (ja) 浸漬式ビームスプリッタを備えた二段拡大方式のコンパクトな表示装置
US4261657A (en) Optical display device
US20240027759A1 (en) Optical system, illumination system, display system, and moving vehicle
CN100435043C (zh) 图象再现装置和图象再现方法
US5313326A (en) Car head-up display including a Fresnel mirror and a curved mirror
CN217954772U (zh) 光波导器件、近眼显示装置以及智能眼镜
US4082440A (en) Compact microform reader
JP2004133483A5 (ko)
US6315416B1 (en) Optical system capable of crea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an object in space without inversion
US4185901A (en) Reading device
JPH07507148A (ja) 映写機
US11537079B2 (en) 3D hologram image producing lamp for vehicle
JP2015018738A (ja) リレー
US5825636A (en) Planar luminescent device and planar luminescent element
JP2016151763A (ja) 空間映像結像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113049A (ko) 발광 유닛,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20090056866A (ko) 면광원 장치
JP3846544B2 (ja) 光デジタイザ
KR101332024B1 (ko)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 이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