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076B1 -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로빙섬유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로빙섬유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076B1
KR100830076B1 KR1020070044060A KR20070044060A KR100830076B1 KR 100830076 B1 KR100830076 B1 KR 100830076B1 KR 1020070044060 A KR1020070044060 A KR 1020070044060A KR 20070044060 A KR20070044060 A KR 20070044060A KR 100830076 B1 KR100830076 B1 KR 10083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ving fiber
spring wheel
rov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167A (ko
Inventor
김형모
조백순
Original Assignee
누리씨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씨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누리씨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0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0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the movements of two or more independently-moving members being combined into a single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보강이 필요한 교각, 연돌, 전망대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로빙섬유를 적정한 긴장이 주어진 상태에서 연결부가 없이 자동으로 래핑(wrapping) 할 수 있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프링이 구비된 롤러체인(roller chain)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은 롤러체인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는 체인블록 체인(200);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동모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륜(320)이 구비된 구동장치(300); 및,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조물에 래핑되는 보강재를 공급하는 로빙섬유공급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체로 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구동장치, 스프링바퀴 체인, 체인블록 체인, 로빙섬유공급장치, 표면절삭장치

Description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빙섬유 보강공법{Self-propelled Spring Wheel Chain Roving Fiber Wrapping Device and Wrapping method using thereof}
도1은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체인연결볼트(22)를 이용하여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측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인장스프링(150)에 의하여 제1링크(120)들이 접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은 체인블록 체인(200)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체인연결볼트(22)를 이용하여 스프링바퀴 체인(100)과 연결된 구조 및 체인블록(280)이 연결된 상태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4는 체인블록 체인(200)의 측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체인블록(280)에 의하여 제2링크(220)들이 최대한 접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구동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구동장치(300)가 교각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7은 로빙섬유공급장치(4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은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교각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9은 표면절삭장치(5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표면절삭장치(500)가 교각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1은 구동장치(300), 로빙섬유공급장치(400), 스프링바퀴 체인(100), 및 체인블록 체인(200)이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교각과 같은 구조물을 감싸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프링바퀴 체인
110:제1체인핀
120:제1링크
130:제1체인바퀴
140:스프링연결편
150:인장스프링
160:제1연결핀
170:제1체인연결용파이프
200:체인블록 체인
210:제2체인핀
220:제2링크
230:제2체인바퀴
260:제2연결핀
270:제2체인연결용파이프
280:체인블록
281:체인
300:구동장치
310:구동장치몸체부
320:구동륜
330:구동모터
340:전원공급장치
350:콘트롤박스
370:제3체인연결용파이프
400:로빙섬유공급장치
410:공급장치몸체부
420:공급장치주행륜
430:공급장치방향전환륜
440:공급장치조향핸들
450:선반지지편
451:가이드실린더
452:가이드바
453:스크류
454:스크류핸들
460:로빙섬유선반
461:제1로빙섬유가이드핀
470:제4체인연결용파이프
480:브레이크롤러부
481:브레이크롤러
482:함침수지보관용기
483:함침수지수거용기
484:제2로빙섬유가이드핀
485:제1형틀
486:제2형틀
487:제3형틀
488: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
500:표면절삭장치
510:절삭장치몸체부
520:절삭장치주행륜
530:절삭장치방향전환륜
540:절삭장치조향핸들
550:절삭부
551:절삭날
552:절삭날하우징
553:먼지배출구
560:절삭부핸들
570:제5체인연결용파이프
580:회전모터
590:먼지흡입집진기
11:너트
22:체인연결볼트
33:링
44:채널
55:로빙섬유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내진보강이 필요한 교각, 연돌, 전망대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로빙섬유를 적정한 긴장이 주어진 상태에서 연결부가 없이 자동으로 래핑(wrapping) 할 수 있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 한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프링이 구비된 롤러체인(roller chain)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은 롤러체인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는 체인블록 체인(200);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동모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륜(320)이 구비된 구동장치(300); 및,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조물에 래핑되는 보강재를 공급하는 로빙섬유공급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체로 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공법을 제시한다.
종래기술
콘크리트 교각 내진 보강을 위한 방법으로서 강판 접착공법, 유리섬유시트 보강공법, 탄소섬유시트 보강공법, 로빙유리섬유 래핑보강공법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강판 접착공법은 물에 접하지 않은 교량(주로 도심의 고가교)교각 및 건축물의 기둥 보강 등에 주로 사용되며, 내하력이 부족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증대 공법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보강재인 강판의 무거운 자중과 부식문제 등의 문제점이 있어 보강 시공 후 유지관리에 상당한 어려움과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탄소섬유시트, 유리섬유시트 등은 매우 가볍고 인장강도가 뛰어나지만 그 시공방법이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섬유시트가 느슨하게 시공될 수밖에 없어 보강효과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으며, 또한 시공 시 섬유시트의 시공이음부가 계속 발생되어 취약점으로 작용되고 있다.
로빙유리섬유 래핑은 어느 정도의 적정한 긴장과 함께 이음이 없는 시공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래핑 장비는 교각 기초부에 무한궤도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 위에 수직 리프트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이나, 현장 환경적으로 교각 기초에 무한궤도 레일을 설치할 수 있는 곳이 거의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그 사용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무한궤도 레일 및 수직 리프트가 무거워 이동용 및 설치용 중장비가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보강용 래핑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다양한 현장환경에 적용할 수 있은 보강용 래핑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공장에서 균일한 품질로 생산된 로빙섬유을 사용하여 단절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래핑할 수 있는 보강용 래핑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프링이 구비된 롤러체인(roller chain)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은 롤러체인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는 체인블록 체인(200);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동모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륜(320)이 구비된 구동장치(300); 및,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조물에 래핑되는 보강재를 공급하는 로빙섬유공급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체로 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와 교체되는 표면절삭장치(500)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표면절삭장치(5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조립하는 단계;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에 체인블 록(280)을 연결하고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겨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인장스프링(150) 텐션을 이용하여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표면절삭장치(500)에 동력을 공급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절삭하는 단계; 표면 강화용 프라이머를 절삭이 완료된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표면절삭장치(500)를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에 체인블록(280)을 연결하고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겨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인장스프링(150) 텐션을 이용하여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로빙섬유선반(460)에 거치된 로빙섬유(55)을 풀어서 브레이크롤러부(480)를 통과시키면서 함침수지보관용기(482)에 저장된 에폭시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후 구조물의 표면에 앵커로 고정하고 로빙섬유(55)를 긴장시키는 단계; 에폭시 합성수지를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구동장치(300)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에폭시 합성수지가 도포된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돌면서 긴장된 상태의 로빙섬유(55)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래핑하는 단계; 긴장된 상태로 압착 래핑된 로빙섬유(55) 외측으로 밀려나온 에폭시 합성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보강된 표면에 마감도장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이용한 로빙섬유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스프링바퀴 체인(10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120), 제1체인핀(110), 제1체인바퀴(130), 스프링연결편(140), 인장스프링(150), 제1연결핀(160) 및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로 구성된다.
제1체인핀(110)의 양측 단부에 제1링크(120)가 결합되어 자전거 체인과 유사한 형태의 롤러체인을 구성하게 된다.
스프링바퀴 체인(100)을 구성하는 제1링크(120)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링크(120)의 크기와 보강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체인바퀴(130)는 홀수 번째 제1체인핀(110)의 양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제1링크(120) 각각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체인바퀴(130)는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때, 바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체인바퀴(130)는 모든 연결 마디마다 구비되는 것이 아니며 홀수 번째의 제1체인핀(110)마다 구비된다.
스프링연결편(140)도 홀수 번째 제1체인핀(1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제1체인바퀴(130)가 구비되는 마디에 스프링연결편(140)도 함께 구비되는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120)와 제1체인바퀴(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인장스프링(150)은 이웃하는 스프링연결편(140)을 상호 연결하여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스프링바퀴 체인(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디마디가 접혀지는 상태가 되고, 외력이 작용하여 인장스프링(150)을 당겨주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50)이 늘어나면서 접혀진 마디가 펼쳐지게 된다.
제1연결핀(160)은 스프링바퀴 체인(100)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제1링크(120) 가운데 첫단 제1링크(120)와 끝단 제1링크(120)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가 제1연결핀(160)과 직각 방향으로 제1연결핀(160)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연결볼트(22)가 관통하게 되며, 스프링바퀴 체인(100)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확징시키는 체결구 역할을 하게 된다.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는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호 간을 연결시키는 체결구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체인블록 체인(200), 구동장치, 로빙섬유공급장치(400) 또는 표면절삭장치(500)를 연결하는 체결구 역할도 한다.
체인블록 체인(200)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220), 제2체인핀(210), 제2체인바퀴(230), 제2연결핀(260), 제2체인연결용파이프(270), 체인연결볼트(22) 및 너트(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체인핀(210)의 양측 단부에 제2링크(220)가 결합되어 자전거 체인과 유사 한 형태의 롤러체인을 구성하게 된다.
체인블록 체인(200)을 구성하는 제2링크(220)의 수량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2링크(220)의 크기와 보강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2체인바퀴(230)는 홀수 번째 제2체인핀(210)의 양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제2링크(220) 각각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2체인바퀴(230)는 스프링바퀴 체인(100)과 마찬가지로 체인블록 체인(200)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때, 바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2체인바퀴(230)는 모든 연결 마디마다 구비되는 것이 아니며 홀수 번째의 제2체인핀(210)마다 구비된다.
제2연결핀(260)은 체인블록 체인(200)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제2링크(220) 가운데 첫단 제2링크(220)와 끝단 제2링크(220)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2체인연결용파이프(270)가 제2연결핀(260)과 직각 방향으로 제2연결핀(260)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체인연결볼트(2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체인블록 체인(200)의 제2체인연결용파이프(270)를 통과하여 너트(11)에 체결되어 스프링바퀴 체인(100)과 체인블록 체인(200)이 하나로 연결된다.
체인연결볼트(22)의 머리부에는 링(33)이 구비되는데, 모든 체인연결볼 트(22)에 링(33)이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블록 체인(2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링(33)이 구비된 체인연결볼트(22)가 하나 씩만 체결되면 충분하다.
도3의 경우에는 체인블록 체인(200)과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각각 3개의 체인연결볼트(22) 및 너트(11)에 의하여 연결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체인연결볼트(22)에만 링(33)이 구비되어 있다.
체인블록(280)은 체인블록 체인(200)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체인연결용파이프(270) 각각에 체결된 상기 체인연결볼트(22)의 링(33)을 체인(281)으로 서로 연결한다.
체인블록(280)은 레버가 구비되어 레버를 이용하여 체인(281)을 당길 수 있으며 체인(281)을 당기는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블록 체인(200)의 마디마디가 접혀지는 상태가 된다.
체인블록(280)의 체인(281)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제2체인핀(210)의 상측을 가로지르고, 짝수 번째 제2체인핀(210)의 하측을 가로지르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런 과정을 반복해야만 체인(281)이 당겨진 경우 도4와 같이 체인블록 체인(200)의 마디마디가 접혀지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만약 체인(281)이 모든 제2체인핀(210)의 상측을 가로지르게 되면 체인(281)이 당겨지더라도 체인블록 체인(200)의 마디마디가 접혀질 수 없다.
필요한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81)을 수용하는 채널(44)을 제2체인핀(210)에 마련할 수도 있다.
채널(44)은 제2체인핀(2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2체인핀(210)을 가로지르는 체인(281)을 수용하여 흔들림이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장치(30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몸체부(310), 제3체인연결용파이프(370), 전원공급장치(340) 및 콘트롤박스(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장치몸체부(310)에는 구동모터(330)가 탑재되고 구동륜(320)이 구비된다.
제3체인연결용파이프(370)에는 구동장치몸체부(310)의 양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체인연결볼트(22)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제3체인연결용파이프(370)를 통과하여 너트(11)에 체결되어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구동장치(30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다.
전원공급장치(340)는 구동모터(33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데 밧데리가 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가 될 수도 있다.
콘트롤박스(350)는 구동모터(330)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동장치(300)는 구동모터(330)와 연결된 구동륜(320)에 의하여 양측 단부에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주행을 하게 된다.
로빙섬유공급장치(400)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몸체부(410), 공급장치조향핸들(440), 선반지지편(450), 제4체인연결용파이프(470), 로 빙섬유선반(460), 및 브레이크롤러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장치몸체부(410)에는 공급장치주행륜(420)과 공급장치방향전환륜(430)이 구비된다.
공급장치조향핸들(440)은 공급장치방향전환륜(430)의 주행방향을 조작한다.
제4체인연결용파이프(470)는 공급장치몸체부(410)의 양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체인연결볼트(22)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제4체인연결용파이프(470)를 통과하여 너트(11)에 체결되어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로빙섬유공급장치(40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300), 스프링바퀴 체인(100), 체인블록 체인(200) 및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하나로 연결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도11에는 8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과 2개의 체인블록 체인(200)이 사용되고 구동장치(300)와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각각 12시 방향과 6시 방향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사용되는 스프링바퀴 체인(100)과 체인블록 체인(200)의 수량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와 스프링바퀴 체인(100) 및 체인블록 체인(200)의 규격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구동장치(300)와 로빙섬유공급장치(40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무게 균형을 유지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도모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작동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하나로 연결된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는 체인블록 체인(200)에 연결된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기게 되면 체인블록 체인(200)의 전체 길이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어들게 되고(마디마디가 접혀지는 상태),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인장스프링(150)은 늘어나면서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전체 길이는 늘어나면서(마디마디가 펼쳐지는 상태) 인장스프링(150)의 텐션에 의하여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가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장치(300)가 주행을 하게 되면 하나로 연결된 스프링바퀴 체인(100), 체인블록 체인(200) 및 로빙섬유공급장치(400)도 함께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외주면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공급장치조향핸들(440)을 적절히 조작하면 외주면을 회전하면서 서서히 구조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선반지지편(45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몸체부(410)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로빙섬유선반(460)은 선반지지편(450)의 일측 단부에 다수 개 구비되어 롤 형태의 로빙섬유(55)가 거치된다.
제1로빙섬유가이드핀(461)은 로빙섬유선반(460)에 일체로 구비되고, 로빙섬유선반(460)에 거치된 롤 형태의 로빙섬유가 브레이크롤러부(480)로 공급되기 전에 통과하게 된다.
브레이크롤러부(480)는 선반지지편(450)의 타측 단부에 나란하게 결합된 가이드실린더(4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가이드바(452)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바(452)와 나란한 방향으로 선반지지편(450)의 타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453)를 돌려주는 스크류핸들(454)이 구비되고, 스크류핸들(454)을 돌려주면 브레이크롤러부(480)는 로빙섬유선반(460)과 함께 공급장치몸체부(410)의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스크류핸들(454)을 이용하면 공급장치몸체부(410)에서 브레이크롤러부(480) 및 로빙섬유선반(4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브레이크롤러부(480)의 제2로빙섬유가이드핀(484)은 제1로빙섬유가이드핀(461)을 통과한 각각의 로빙섬유(55)가 통과하면서 나란하게 놓여지도록 일렬로 배열된다.
제1형틀(485)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롤러(481)의 전단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2로빙섬유가이드핀(484)을 통과한 로빙섬유(55) 다발이 통과하면서 합쳐져 나란히 배열되도록 한다.
로빙섬유(55)는 이렇게 나란히 배열된 상태로 브레이크롤러(481)를 통과하게 된다.
브레이크롤러(481)는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고 이러한 브레이크롤러(481) 사이를 통과하는 로빙섬유(55)와 브레이크롤러(481)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로빙섬유(55)는 적절히 긴장된 상태로 구조물의 표면에 래핑될 수 있 다.
함침수지보관용기(482)는 에폭시 합성수지가 저장되는 곳이며, 브레이크롤러(481)는 이러한 함침수지보관용기(48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롤러(48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로빙섬유(55)는 자동적으로 에폭시 합성수지에 함침된다.
제2형틀(486)은 브레이크롤러(481)를 통과하면서 함침수지보관용기(482)에 저장된 에폭시 합성수지가 함침된 로빙섬유(55) 다발이 통과하면서 제1형틀(485)에서 만들어진 단면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열된 제1열 가이드 및 제1열 가이드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열 가이드로 구성되는데, 제2형틀(486)을 통과한 로빙섬유(55) 다발을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가닥을 나란하게 배열된 고리형태의 가이드(제1열가이드)를 통과시킨 후 다시 이와 수직을 이루면서 나란하게 배열된 고리형태의 가이드(제2열가이드)를 통과시켜 로빙섬유(55)의 배열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형틀(487)은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를 통과한 로빙섬유(55) 다발이 통과하면서 합쳐져 나란히 배열되도록 하여 래핑 직전의 최종 상태를 완성하게 된다.
함침수지수거용기(483)는 제2형틀(486),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 및 제3형틀(487)을 통과하면서 흘러내리는 여분의 에폭시 합성수지를 수거하여 함침수지보관용기(482)로 회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2형틀(486),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 드(488), 및 제3형틀(487)의 아래 부분을 따라 함침수지보관용기(482)를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교각과 같은 구조물의 최상단부를 래핑할 경우에는 도8과는 달리 제2로빙섬유가이드핀(484), 제1형틀, 브레이크롤러(481), 함침수지보관용기(482), 제2형틀(486),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 및 제3형틀(487)등이 로빙섬유선반(460)의 아래가 아니라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가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로빙섬유선반(460)의 로빙섬유(55)가 제1로빙섬유가이드핀(461), 제2로빙섬유가이드핀(484), 제1형틀, 브레이크롤러(481), 함침수지보관용기(482), 제2형틀(486),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 및 제3형틀(48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적절히 긴장된 상태로 구조물의 외주면에 래핑되어 보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로빙섬유(55)는 유리섬유로빙, 탄소섬유로빙, 아라미드섬유로빙, 케브라섬유로빙 등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표면절삭장치(500)는 로빙섬유공급장치(400)와 교체되는 것으로서, 보강될 구조물의 표면을 절삭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로빙섬유공급장치(400)를 사용하기 전에 우선 표면절삭장치(500)를 연결하여 표면절삭 작업을 수행한 후에 표면절삭장치(500)를 로빙섬유공급장치(400)로 교체하여 래핑작업을 실시한다.
따라서 표면절삭장치(500)가 연결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11과 동일하면 다 만 로빙섬유공급장치(400) 대신에 표면절삭장치(500)가 연결된다는 차이점만 있을 뿐이다.
표면절삭장치(500)는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장치몸체부(510), 절삭장치조향핸들(540), 제5체인연결용파이프(570), 절삭부(550), 절삭부핸들(560) 및 회전모터(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삭장치몸체부(510)에는 절삭장치주행륜(520)과 절삭장치방향전환륜(530)이 구비된다.
절삭장치조향핸들(540)은 절삭장치방향전환륜(530)의 주행방향을 조작하여 표면절삭장치(500)가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서서히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5체인연결용파이프(570)는 절삭장치몸체부(510)의 양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체인연결볼트(22)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제5체인연결용파이프(570)를 통과하여 너트(11)에 체결되어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표면절삭장치(50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300), 스프링바퀴 체인(100), 체인블록 체인(200) 및 표면절삭장치(500)가 하나로 연결되면 도11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도11의 로빙섬유공급장치(400)의 위치에 표면절삭장치(500)가 결합되는 형태가 된다.)
절삭부(550)는 절삭장치몸체부(510)의 하부면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절삭부핸들(560)을 돌려주면 절삭부(55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580)는 절삭부(55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데, 회전모터(580)를 구동시키는 전원은 구동장치(300)에 구비된 전원공급장치(340)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밧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절삭부(55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551), 절삭날하우징(552) 및 먼지배출구(553)로 구성된다.
절삭날(551)은 절삭날하우징(552)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회전하게 된다.
절삭날하우징(552)은 절삭날(551)의 상부를 덮는 구조로서 먼지배출구(553)가 구비되어 절삭날(551)의 절삭작업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모아서 배출하게 된다.
먼지배출구(553)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흡입집진기(59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은 아래와 같다.
(1) 제1단계
스프링바퀴 체인(100), 체인블록 체인(200), 구동장치(300) 및 표면절삭장치(5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교각과 같은 구조물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조립하는 단계이다.
이때, 구동장치(300)와 표면절삭장치(500)는 구조물 둘레의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하고, 구조물의 상부에 체인블록과 같은 호이스트 장치를 임시거치한 후 조립 완료된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보강위치로 상향 이동한다.
(2) 제2단계
체인블록 체인(200)에 체인블록(280)을 연결하고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겨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인장스프링(150) 텐션을 이용하여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체인블록 체인(200)에 연결된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겨 보강위치로 이동된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구조물에 밀착시킨다.
(3) 제3단계
구동장치(300) 및 표면절삭장치(500)에 동력을 공급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절삭하는 단계이다.
표면절삭 작업방향은 절삭장치조향핸들(540)을 이용하여 조절하고, 절삭부핸들(560)을 조절하여 구조물의 표면을 너무 깊게 절삭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제4단계
표면 강화용 프라이머를 절삭이 완료된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하고 경화시킨다.
(5) 제5단계
도포된 표면 강화용 프라이머가 경화되면 표면절삭장치(500)를 로빙섬유공급장치(400)로 교체하는데, 제1단계와 같은 작업이 반복된다.
만약 표면절삭 작업이 불필요하다면 처음부터 로빙섬유공급장치(400)를 장착하여 래핑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6) 제6단계
체인블록 체인(200)에 체인블록(280)을 연결하고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겨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인장스프링(150) 텐션을 이용하여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7) 제7단계
로빙섬유선반(460)에 거친된 롤 형태의 로빙섬유(55)을 풀어서 제1로빙섬유가이드핀(461), 제2로빙섬유가이드핀(484), 제1형틀(485), 브레이크롤러(480), 함침수지보관용기(482), 제2형틀(486),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 및 제3형틀(487)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구조물의 표면에 앵커로 고정하고, 로빙섬유선반(460)에 거치된 롤 형태의 로빙섬유(55)를 되감아서 로빙섬유(55)에 적정한 긴장력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8) 제8단계
로빙섬유(55)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래핑하기 직전에 구조물의 외주면에 에폭시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9) 제9단계
구동장치(300)에 동력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고, 공급장치조향핸들(440)을 조 작하여 로빙섬유공급장치(40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면서 래핑작업을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래핑된 로빙섬유의 섬유 결을 따라 롤러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가볍게 문질러주어 로빙섬유가 도포된 에폭시 합성수지에 충분히 함침되도록 한다.
또한 스크류핸들(454)을 조작하여 래핑되는 로빙섬유(55)의 위치 및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스크류핸들(454)을 돌려주면 공급장치몸체부(410)의 횡방향으로 브레이크롤러부(480)와 로빙섬유선반(460)이 함께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10) 제10단계
긴장된 상태로 압착 래핑된 로빙섬유(55) 외측으로 밀려나온 에폭시 합성수지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교각과 같은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된 에폭시 합성수지가 로빙섬유(55)의 긴장압착으로 인하여 로빙섬유(55)에 함침되고, 일정부분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는데, 이를 고무주걱 등을 사용 깨끗이 정리한다.
제9단계와 제10단계는 필요에 따라 구조물의 상하를 왕복하면서 수 회 반복될 수 있다.
(11) 제11단계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교각 등의 보강구간을 이음부 없이 연속 시공하여 시공완료 한 후, 로빙섬유(55) 끝 부분을 앵커로 고정하여 래핑작업을 완료한 후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제거한다.
이 경우 체인블록 체인(200)의 체인블록(280)을 풀어서 늘어뜨리고 체인연결볼트(22)를 헐겁게 푼 후 구조물의 상부에 임시거치된 체인블록과 같은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바닥으로 내려 해체작업을 수행한다.
(12) 제12단계
보강된 표면에 마감도장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직사광선 등 자연환경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마감 도장을 실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관용수단의 치환, 단순한 설계변경, 수치 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보강용 래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경우 체인연결볼트(22)와 너트(11)로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는 여러 부분으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 조립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현장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현장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현장환경에 적용될 수 있도록 롤러 체인 형태로 제작되어 교각이나 연도와 같은 구조물에 별도의 제약없이 쉽게 적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구동장치(300)와 로빙섬유공급장치(400) 또는 표면절삭장치(500)들이 체인에 의하여 단순한 고리형태로 연결되는 바, 다양한 현장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공장에서 균일한 품질로 생산된 로빙섬유을 사용하여 단절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래핑할 수 있다.

Claims (10)

  1. 교각, 전망타워, 또는 연도 등의 구조물의 외부에 보강재를 래핑(wrapping)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이 구비된 롤러체인(roller chain)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은 롤러체인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는 체인블록 체인(200);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동모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륜(320)이 구비된 구동장치(300); 및,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조물에 래핑되는 보강재를 공급하는 로빙섬유공급장치(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체로 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은,
    제1체인핀(110)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링크(120);
    홀수 번째 상기 제1체인핀(110)의 양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1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체인바퀴(130);
    홀수 번째 상기 제1체인핀(1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120)와 상기 제1체인바퀴(130)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연결편(140);
    이웃하는 상기 스프링연결편(140)을 상호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50);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제1링크(120) 가운데 첫단 제1링크(120)와 끝단 제1링크(120)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연결핀(160); 및,
    상기 제1연결핀(160)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핀(160)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은,
    제2체인핀(210)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2링크(220);
    홀수 번째 상기 제2체인핀(210)의 양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2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체인바퀴(23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제2링크(220) 가운데 첫단 제2링크(220)와 끝단 제2링크(220)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연결핀(260);
    상기 제2연결핀(260)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핀(260)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체인연결용파이프(270);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의 제2체인연결용파이프(270)를 통과하여 너트(11)에 체결되는 체인연결볼트(22);
    상기 체인연결볼트(22)의 머리부에는 링(33)이 구비되고 상기 제2체인연결용파이프(270) 각각에 체결된 상기 체인연결볼트(22)의 링(33)을 체인(281)으로 서로 연결하는 체인블록(28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체인블록(280)의 체인(281)은 홀수 번째 상기 제2체인핀(210)의 상측을 가로지르고, 짝수 번째 상기 제2체인핀(210)의 하측을 가로지르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구동장치(300)는,
    상기 구동모터(330)가 탑재되고 상기 구동륜(320)이 구비되는 구동장치몸체부(310);
    상기 구동장치몸체부(310)의 양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체인연결용파이프(370);
    상기 구동모터(33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340); 및,
    상기 구동모터(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3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상기 제3체인연결용파이프(370)를 통과하여 상기 너트(11)에 체결되는 상기 체인연결볼트(22)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상기 구동장치(30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는,
    공급장치주행륜(420)와 공급장치방향전환륜(430)이 구비된 공급장치몸체부(410);
    상기 공급장치방향전환륜(430)의 주행방향을 조작하는 공급장치조향핸들(440);
    상기 공급장치몸체부(410)의 양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체인연결용파이프(470);
    상기 공급장치몸체부(410)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선반지지편(450);
    상기 선반지지편(45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로빙섬유선 반(460);
    상기 선반지지편(450)의 타측 단부에 나사결합되고, 다수 개의 브레이크롤러(48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브레이크롤러부(480); 및,
    상기 로빙섬유선반(460)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로빙섬유선반(460)에 거치된 롤 형태의 로빙섬유가 상기 브레이크롤러부(480)로 공급되기 전에 통과하는 제1로빙섬유가이드핀(461);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상기 제4체인연결용파이프(470)를 통과하여 상기 너트(11)에 체결되는 상기 체인연결볼트(22)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브레이크롤러부(480)는,
    상기 선반지지편(450)의 타측 단부에 나란하게 결합된 가이드실린더(4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가이드바(45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452)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선반지지편(450)의 타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453)를 돌려주는 스크류핸들(454)이 구비되어 상기 로빙섬유선반(460)과 함께 상기 공급장치몸체부(410)의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브레이크롤러부(480)는,
    상기 제1로빙섬유가이드핀(461)을 통과한 각각의 로빙섬유(55)가 나란하게 놓여지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각각의 로빙섬유(55)가 통과하는 제2로빙섬유가이드핀(484);
    상기 브레이크롤러(481)의 전단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로빙섬유가이드핀(484)을 통과한 로빙섬유(55) 다발이 통과하면서 합쳐져 나란히 배열되는 제1형틀(485);
    상기 브레이크롤러(481)가 수용되고 에폭시 합성수지가 저장되는 함침수지보관용기(482);
    상기 브레이크롤러(481)를 통과하면서 상기 함침수지보관용기(482)에 저장된 에폭시 합성수지가 함침된 로빙섬유(55) 다발이 통과하는 제2형틀(486);
    상기 제2형틀(486)을 통과한 로빙섬유(55) 다발을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가닥을 나란하게 배열된 고리형태의 가이드를 통과시킨 후 다시 이와 수직을 이루면서 나란하게 배열된 고리형태의 가이드를 통과시켜 로빙섬유(55)의 배열 방향을 전환하는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
    상기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를 통과한 로빙섬유(55) 다발이 통과하면서 합쳐져 나란히 배열되는 제3형틀(487); 및,
    상기 제2형틀(486), 상기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 및 상기 제3형 틀(487)을 통과하면서 흘러내리는 여분의 에폭시 합성수지를 수거하여 상기 함침수지보관용기(482)로 회수하도록 상기 제2형틀(486), 상기 로빙섬유각도변경가이드(488), 및 상기 제3형틀(487)의 아래 부분을 따라 상기 함침수지보관용기(482)를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함침수지수거용기(48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8. 제4항에서,
    절삭장치주행륜(520)과 절삭장치방향전환륜(530)이 구비된 절삭장치몸체부(510);
    상기 절삭장치방향전환륜(530)의 주행방향을 조작하는 절삭장치조향핸들(540);
    상기 절삭장치몸체부(510)의 양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5체인연결용파이프(570);
    상기 절삭장치몸체부(510)의 하부면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절삭부(550);
    상기 절삭부(55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절삭부핸들(560); 및,
    상기 절삭부(55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모터(58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와 교체되는 표면절삭장치(5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체인연결용파이프(170)와 상기 제5체인연결용파이프(570)를 통과하여 상기 너트(11)에 체결되는 상기 체인연결볼트(22)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이 상기 표면절삭장치(50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절삭부(550)는,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는 다수 개의 절삭날(551);
    상기 절삭날(551)의 상부를 덮는 절삭날하우징(552); 및,
    상기 절삭날하우징(552)에 구비되고 먼지흡입집진기와 연결되는 먼지배출구(55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10. 교각, 전망타워, 또는 연도 등의 구조물의 외부에 보강재를 래핑(wrapping)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이 구비된 롤러체인(roller chain)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은 롤러체인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는 체인블록 체인(200); 양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동모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륜(320)이 구비된 구동 장치(300);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고 구조물에 래핑되는 보강재를 공급하는 로빙섬유공급장치(400); 및,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와 교체되어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에 연결되는 표면절삭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체로 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 또는 일체로 연결된 다수 개의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표면절삭장치(5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이용한 로빙섬유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표면절삭장치(500)가 하나의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구조물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조립하는 단계;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에 체인블록(280)을 연결하고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겨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인장스프링(150) 텐션을 이용하여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장치(300) 및 상기 표면절삭장치(500)에 동력을 공급하여 구조물의 외주면을 절삭하는 단계;
    표면 강화용 프라이머를 절삭이 완료된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표면절삭장치(500)를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체인블록 체인(200)에 체인블록(280)을 연결하고 체인블록(280)을 잡아당겨 상기 스프링바퀴 체인(100)의 인장스프링(150) 텐션을 이용하여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로빙섬유선반(460)에 거치된 로빙섬유(55)을 풀어서 브레이크롤러부(480)를 통과시키면서 함침수지보관용기(482)에 저장된 에폭시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후 구조물의 표면에 앵커로 고정하고 로빙섬유(55)를 긴장시키는 단계;
    에폭시 합성수지를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구동장치(300)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로빙섬유공급장치(400)가 에폭시 합성수지가 도포된 구조물의 외주면을 따라 돌면서 긴장된 상태의 로빙섬유(55)를 구조물의 외주면에 래핑하는 단계;
    긴장된 상태로 압착 래핑된 로빙섬유(55) 외측으로 밀려나온 에폭시 합성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보강된 표면에 마감도장을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를 이용한 로빙섬유 보강공법.
KR1020070044060A 2007-05-07 2007-05-07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로빙섬유 보강공법 KR10083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60A KR100830076B1 (ko) 2007-05-07 2007-05-07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로빙섬유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60A KR100830076B1 (ko) 2007-05-07 2007-05-07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로빙섬유 보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167A KR20070054167A (ko) 2007-05-28
KR100830076B1 true KR100830076B1 (ko) 2008-05-16

Family

ID=3827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060A KR100830076B1 (ko) 2007-05-07 2007-05-07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로빙섬유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07B1 (ko) 2009-03-06 2011-11-08 씨엠알기술연구원(주) 자동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 구조물 보강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229A (ja) * 1996-01-24 1997-07-29 Kido Kensetsu Kogyo Kk 柱状構造体の補強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強ワイヤ巻付装置
KR20040043551A (ko) * 2002-11-19 2004-05-24 주식회사 실리건설 보강섬유 와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KR100483342B1 (ko) 2002-10-31 2005-04-15 근형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과 보강을 위한 보강섬유 랩핑장치및 그 랩핑 공법
KR100751294B1 (ko) 2006-07-28 2007-08-23 씨엠알기술연구원(주) 체인이 구비된 보강섬유판 프리스트레싱 래핑장치 및 이를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229A (ja) * 1996-01-24 1997-07-29 Kido Kensetsu Kogyo Kk 柱状構造体の補強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強ワイヤ巻付装置
KR100483342B1 (ko) 2002-10-31 2005-04-15 근형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과 보강을 위한 보강섬유 랩핑장치및 그 랩핑 공법
KR20040043551A (ko) * 2002-11-19 2004-05-24 주식회사 실리건설 보강섬유 와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KR100751294B1 (ko) 2006-07-28 2007-08-23 씨엠알기술연구원(주) 체인이 구비된 보강섬유판 프리스트레싱 래핑장치 및 이를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07B1 (ko) 2009-03-06 2011-11-08 씨엠알기술연구원(주) 자동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 구조물 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167A (ko) 200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6750B (zh) 大跨度预应力张弦梁的施工方法
US8359810B2 (en) Method for building over an opening via incremental launching
KR20120023907A (ko)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CN113756201B (zh) 一种t构连续梁预应力钢绞线穿束方法及其穿束装置
CN106522555A (zh) 一种预锁式钢绞线浇筑支撑架及其安装使用方法
AU2003266439B2 (en) Method for erecting a stay
KR100830076B1 (ko)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로빙섬유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로빙섬유 보강공법
KR100829893B1 (ko)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섬유보강판 래핑장치 및 이를이용한 섬유보강판 보강공법
KR100819772B1 (ko) 자주식 스프링바퀴 체인 섬유시트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섬유시트 보강공법
KR100751294B1 (ko) 체인이 구비된 보강섬유판 프리스트레싱 래핑장치 및 이를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방법
CN206360367U (zh) 一种预锁式钢绞线浇筑支撑架
JP2667136B2 (ja) 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補強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74426B1 (ko) 고강도 섬유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원형기둥의 연속 래핑공법
CN112761069B (zh) 一种桥梁缆索固定的方法
CN210316627U (zh) 一种遮阳天幕自平衡装置
CN209430218U (zh) 一种隧道施工防水材料铺设用台车
CN114575265A (zh) 一种斜拉桥施工辅助设备
RU2131010C1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ое железобетон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020054259A (ko) 교량 점검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19709059U (zh) 风电高空施工的作业平台
KR101081407B1 (ko) 자동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 구조물 보강공법
KR100815202B1 (ko) 보강섬유판 프리스트레싱 래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보강방법
CN117945293B (zh) 一种适用于城市轨道桥梁双u箱组合连续梁的吊装设备
CN113944108B (zh) 一种桥塔施工用支撑装置及应用该支撑装置的施工方法
CN220274389U (zh) 一种带保温布收卷机构的桁架悬梁吊柱式日光温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