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907A -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907A
KR20120023907A KR1020100086197A KR20100086197A KR20120023907A KR 20120023907 A KR20120023907 A KR 20120023907A KR 1020100086197 A KR1020100086197 A KR 1020100086197A KR 20100086197 A KR20100086197 A KR 20100086197A KR 20120023907 A KR20120023907 A KR 2012002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pan
main span
cabl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039B1 (ko
Inventor
노정휘
이상훈
박종헌
유 후세인 나임
카터 멧
제이 짐싱 닐스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오베아룹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오베아룹코리아(주)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039B1/ko
Priority to PCT/KR2010/007232 priority patent/WO2012030018A1/ko
Priority to US13/820,147 priority patent/US8695142B2/en
Publication of KR2012002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01D21/105Balanced cantilevered e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사장교의 주경간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에 긴장장치와 긴장부재를 포함하는 긴장수단을 이용하여 종래 내풍케이블의 역할과 인장응력 도입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사장교가 개시되어 주경간에 있어 발생하는 압축응력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긴장부재에 의한 인장응력으로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PARTIALLY AND FULLY EARTH-ANCHORED CABLE-STAYED BRIDGE USING MAIN SPAN PRESTRESSING APP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하여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사장교를 시공할 수 있는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장교는 주탑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주경간을 지지하는 교량이다. 사장교는 주경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넓은 폭을 가지는 강이나 바다에도 시공되고 있다.
사장교는 주탑의 양측에 데크 세그먼트(Deck Segment)를 각각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주경간(Main Span)과 측경간(Side Span)을 만들되,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주경간과 측경간의 데크 세그먼트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양측의 데크 세그먼트에는 수평 방향으로 압축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도 1a와 같이 케이블(1)이 주탑(3) 양 측방(주경간, 측경간)의 데크 세그먼트(2)를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케이블(1)이 작용하는 힘 중에서 수평방향 분력(F2)은 데크 세그먼트(2)에 압축응력으로써 작용하고 수직방향 분력(F1)은 상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압축응력은 주탑(3)이 설치된 곳(M)에서 최대로 되고 주경간(Main Span)의 중앙 지점(C)에서 제로가 된다. 이는 주탑으로부터 데크 세그먼트(2)의 설치가 시작됨에 따라 작용하는 압축응력이 데크 세그먼트(2)에 누적되어 증가되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데크 세그먼트(2)에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은 주경간의 길이(L) 즉, 주탑(3)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진다.
도 1b는 상기 최대 압축응력과 주경간 길이(L)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2)의 단면적이 일정하다는 가정(assumption)하에 만들어진 것이다.
즉, 예컨대 주경간의 길이(L)가 1000m인 경우에 160MPa이던 최대 압축응력이 주경간의 길이(L)가 2000m가 되면 500MPa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압축응력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 데크 세그먼트(2)는 고강도 강(Higher Strength Steel)을 사용하거나 단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에 상기 방법 중에서 고강도 강을 사용하는 방법은 압축응력의 증가에 어느 정도까지는 대응할 수 있으나 주경간의 길이(L)가 2000m에 가까워지면 고강도 강만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작용하는 압축응력에 충분히 저항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작용하는 압축응력으로 인해 데크 세그먼트(2)를 이루는 강의 국부좌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재로 제작되는 데크 세그먼트(2) 내측에 보강재(예컨대 종방향 및 횡방향 리브 등)가 촘촘히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데크 세그먼트(2)에 의한 사하중(Dead Load)이 증가하기 때문에 케이블(1)과 주탑(3)도 증가된 사하중을 가진 데크 세그먼트(2)에 맞추어 설계하다면 보면 그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대 압축응력은 주탑(3)이 있는 곳(M)에서 발생되는데, 도 1a와 같이, 주탑(3) 부근에서 압축응력의 크기가 서서히 감소하기 때문에 국부좌굴 방지를 위한 보강재 설치가 요구되는 범위(B)도 상대적으로 넓어져 져 보강재 설치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2) 작업공종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아래의 [표 1]은 도 1c와 같이 현수교(Earth Anchored Suspension Bridge)와 사장교(Self Anchored Cable-stayed Bridge)를 만들기 위해서 소요되는 강(steel)의 양을 주경간의 길이(L) 별로 비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장교는 ‘Cable-stayed Bridge’로 불리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인 ‘Partially and Fully Earth-anchored Cable-stayed Bridge’와의 비교를 위해서 ‘Self Anchored Cable-stayed Bridge’라고 표현하기로 하며, [표 1]을 검토할 때, 사장교의 케이블에 소요되는 강(steel)의 단가가 현수교의 케이블에 소요되는 강(steel)의 단가보다 비싸다는 것과, 현수교의 주경간과 주탑에 소요되는 강의 단가가 사장교의 주경간과 주탑에 소요되는 강의 단가보다 일반적으로 비싸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구분 케이블에 소요되는 강 주경간과 주탑에 소요되는 강
주경간의 길이(L)
: 1000m
현수교 7,500t 23,000t
사장교 3,900t 25,000t
주경간의 길이(L)
: 2000m
현수교 36,000t 55,000t
사장교 19,000t 94,000t
이때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경간의 길이(L)가 1500m~2000m 사이인 어떤 지점에서 사장교는 현수교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매력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주경간의 길이(L)가 길어짐에 따라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이 커져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소요되는 자재(강)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큰 폭의 강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장대교량이 많이 건설되고 있는 바, 장대교량으로써 시공되는 사장교에서 주경간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면 이는 사장교를 경제적으로 시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임을 알 수 있다.
이에 경제적인 사장교 시공 즉,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된 바 있는데 도 1d는 이러한 연구에 있어 2006년 Gimsing 교수에 의하여 제시된 방법이다.
즉, 2개의 주탑(3)을 시공하고, 각 주탑의 측경간 쪽으로 설치된 앵커리지(5)와 주탑 상단 사이에 인장케이블(6)을 일단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인장케이블(6)의 타 단부를 주탑으로부터 주경간 쪽으로 연장하여 주경간 중앙부위에 위치한 중앙부 데크 세그먼트(4)들을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인장케이블(6)에 의하여 상기 중앙부 데크 세그먼트(4)들에는 인장응력(T)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인장 데크 세그먼트(4)들을 제외한 구간(L2)에 인장 데크 세그먼트(4)들과 연결시켜 설치되는 압축 데크 세그먼트들은 케이블에 의하여 압축응력(C)이 발생되기는 하지만 종전과 같이 과도한 압축응력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어 결국 데크 세그먼트들의 단면적을 줄여 경제적인 사장교 시공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케이블(6)과 중앙부 데크 세그먼트(4)들을 설치하는 공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e와 같이, 제1 주탑(3)과 제2 주탑(3')을 소정 거리(L)만큼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제1,2 앵커리지(5)(5')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앵커리지(113)는 제1 주탑(3)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반(G)에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제2 앵커리지(5')도 제2 주탑(112)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반(G)에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이어서, 제1,2 주탑(3)(3')을 연결하는 임시 로프웨이(Temporary Ropeway)(7)를 설치하고, 임시 로프웨이(7)를 이용하여 인장케이블(6)을 설치한다.
이에 상기 인장케이블(6)을 설치하기 위해서 예컨대 임시 로프웨이(7)를 따라 주행하는 이동장치(8)를 이용하는데, 이동장치(8)를 이용하여 인장케이블(6)을 제1,2 주탑(3)(3')의 중앙으로 이동시킨 후, 이동장치(8)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연결부재(9) 양측에 힌지 결합시킨다.
이에 도 1f와 같이 상기 이동장치(8)로부터 분리된 연결부재(9)에 의하여 연결된 인장케이블(6)이 하방으로 쳐지면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장케이블(6)의 양쪽 끝단은 제1,2 앵커리지(5)(5')에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인장케이블(6)을 연결부재(9)의 양측에 힌지 결합한 후, 도 1g와 같이 이동장치(8)를 이용하여 데크 세그먼트(Deck Segment)(21)를 주경간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연결부재(9)에 결합된 인장케이블(6)이 데크 세그먼트(Deck Segment)(21)에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부재(9)를 제거하고,
상기 데크 세그먼트(21)를 설치한 후에는, 도 1h와 같이 데크 세그먼트(21)의 양측에 각각 데크 세그먼트(22)(23)를 미 도시된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데크 세그먼트(21)의 일측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22)는 인장케이블(6)에 의해서 제1 앵커리지(5)에 연결되고, 데크 세그먼트(21)의 타측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23)는 인장케이블(6)에 의해서 제2 앵커리지(5')에 연결된다. 따라서, 데크 세그먼트(21)(22)(23)는 인장케이블(6)에 의해서 양쪽으로 잡아 당겨지기 때문에 도 1i와 같이 인장응력(T)이 작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i와 같이 제1,2 주탑(30)(3')의 양측으로 각각 데크 세그먼트(40)를 설치한다.
제1 주탑(3) 양측의 데크 세그먼트(40)는 압축케이블(5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되, 압축케이블(50)이 발생시키는 수평방향 분력에 의해서 제1 주탑(3) 쪽으로 작용하는 압축응력(C)을 받는다.
제1 주탑(3)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주탑(3') 양측의 데크 세그먼트(40)는 압축케이블(5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되, 압축케이블(50)이 발생시키는 수평방향 분력에 의해서 제2 주탑(3') 쪽으로 작용하는 압축응력(C)을 받는다.
이에 제1 주탑(3) 양측으로 데크 세그먼트(21,22,23)를 다른 데크 세그먼트(40)와 서로 연결 시공하고, 제2 주탑(3') 양측으로 상기 데크 세그먼트(21,22,23)를 다른 데크 세그먼트(40)와 서로 연결 시공하는 것에 의해서 최종 사장교(10)가 완성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사장교 시공방법은 주경간에 인장응력(T)을 발생시켜 전체 사장교에 작용하는 압축응력(C)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주경간에 발생하는 인장응력(T)을 조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었다.
또한, 도 1i에는 사장교 시공 중 바람에 의하여 데크 세그먼트가 상,하,좌,우로 진동 및 변위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데크 세그먼트의 위치를 시공중 구속시켜 주기 위하여 설치된 내풍케이블(60)이 도시되어 있는데,
통상 데크 세그먼트 하부 수중 등에 블록을 설치하고, 블록에 케이블을 연결한 뒤, 상단을 데크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풍케이블(6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중에서 블록을 침강시키는 등 시공성이 좋지 않고, 이러한 내풍케이블(60)이 수상에서의 선박운행에 방해가 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지만, 사장교의 특성상 이러한 내풍케이블(60)의 설치는 피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 세그먼트에 발생되는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장교 시공방법에 있어서,
특히 중앙경간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제어가 용이하며, 종래 내풍케이블의 효과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사장교 시공방법을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사장교는 주탑이 있는 곳에서 최대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상기 최대 압축응력은 주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커진다. 이에 따라 주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을 보강하기 위해서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이 커지거나 고강도 강(higher strength steel)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경간의 길이가 1200m~2000m를 넘는 경우에는 사장교의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장교는 주경간의 중앙부의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주탑이 있는 곳의 데크 세그먼트에서 발생하는 상기 최대 압축응력을 줄일 수 있는 사장교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사장교 시공방법은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상기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시공방법은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주탑 주위에 위치한 데크 세그먼트에서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을 줄일 수 있는 사장교 시공방법에 있어서,
(a)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각각 설치하고, 제1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1 앵커리지를 설치하고, 제2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2 앵커리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측경간 및 주경간 중앙쪽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 측경간 데크 세그먼트 및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를 제1 주탑과 제2 주탑에 연결된 압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 설치하되, 상기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가 주경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앵커리지로부터 제1 주탑과 제2주탑을 경유하여 주경간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인장케이블을 상기 압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된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추가 연결된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각각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제1 및 제 2정착장치 사이에 강연선을 포함하는 긴장부재를 장착하여 주경간에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을 교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긴장부재를 긴장 및 정착시켜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사장교 시공방법은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전부 타정식 사장교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상기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전부 타정식 사장교시공방법은
(a)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각각 설치하고, 제1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1 앵커리지를 설치하고, 제2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2 앵커리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앵커리지와 제2 앵커리지로부터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경유하여 주경간 쪽으로 인장케이블을 연장시키되 상기 인장케이블을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주경간 중앙부로 차례대로 연속 설치되는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연결시켜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연속 설치되어 주경간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연결은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설치된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긴장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주탑과 제2주탑으로부터 측경간쪽으로 측경간 세그먼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 1,2는 모두 제1,2 앵커리지 및 인장케이블에 의해서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에는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주탑 주위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상기 제1,2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에 의해서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를 서로 교축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속되도록 하여, 종래 내풍케이블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긴장부재의 긴장 및 정착에 의하여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주탑 주위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실시예 1에 의한 사장교는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중심으로 각각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제1 앵커리와 제2 앵커리지;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측경간 및 주경간 중앙쪽으로 연장 되도록 설치되되 주경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에 연결된 압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상기 주경간에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와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각각 설치된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 2정착장치 사이에 장착되어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와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긴장 후 정착된 강연선을 포함하는 긴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긴장부재에 의하여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실시예 2에 의한 사장교는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
상기 제1 주탑과 제2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제1 앵커리지와 제2 앵커리지;
상기 제1 앵커리지와 제2 앵커리지로부터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경유하여 주경간 쪽으로 연장되어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주경간 중앙부로 차례대로 연속 설치되는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인장케이블;
상기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연속 설치되어 주경간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설치된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긴장 후 정착되는 긴장부재; 및
상기 제1 주탑과 제2주탑으로부터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측경간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주탑 사이의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둘째,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구조강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초장대 사장교가 다른 형태의 교량에 비하여 경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한 제1,2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는 주탑들 사이에 케이블에 의하여 매달려 설치됨에 따른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한 진동 등을 구속(내풍 기능)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종래 내풍케이블 설치방식과 대비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선박등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의 긴장부재는 도입되는 긴장력의 크기를 운반이 용이한 유압잭 등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주경간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정밀한 데크 세그먼트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장교의 정면도 및 작용하는 압축응력의 형태를 보여주는 응력도,
도 1b는 사장교에서 주경간의 길이(L)와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c는 종래 일반적인 현수교와 사장교의 정면도
도 1d는 종래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핵심 시공도,
도 1e, 도 1f, 도 1g, 도 1h 및 도 1i는 종래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앵커리지 시공순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시공순서도 및 응력작용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시공순서도 및 응력작용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의 설치예들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 세그먼트와 종래 데크 세그먼트의 강 소모량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2에 따른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공과정을 설명하면서 사장교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장교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에 있어 사장교(100)는 초 장대 교량으로 설치되는데 1200~2000m 정도를 기준으로 보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장교는 기본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은 방식으로 일부 타정식 사장교로 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하는 이유는 결국 도 1d와 같이 주경간에 있어 소정구간(중앙부)의 데크플레이트들에 인장응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장교 전체에 있어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이러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시공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와 같이,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을 소정 거리(L)만큼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제1,2 앵커리지(113)(114)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데크 지지용 앵커리지(113)는 제1 주탑(111)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예컨대 이격된 위치의 지반 등에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중에 상기 제1 앵커리지(1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성위치는 제1 주탑으로부터 외측 측경간쪽이라면 달리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앵커리지(114)도 제2 주탑(112)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반 등에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수중에 상기 제2 앵커리지(114)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성위치 역시 제2 주탑으로부터 외측 측경간 쪽이라면 달리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으로부터 측경간 및 주경간 중앙쪽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 측경간 데크 세그먼트(120) 및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를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에 연결된 압축케이블(200)에 의하여 연결 설치하되, 상기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가 주경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측경간 및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20,130)는 제 1,2주탑에 케이블에 의하여 매달려 설치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압축응력이 발생되는 데크 세그먼트를 제1,2 주탑에 연결한다는 의미에서 상기 케이블을 압축케이블이라 지칭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앵커리지(111)(112)로부터 제1 주탑(111)과 제2주탑(112)을 경유하여 주경간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인장케이블(300)을 압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된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에 추가 연결된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각각에 연결하게 된다.
이에,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는 제1,2 앵커리지(113,114)에 연결된 인장케이블(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에 의하여 제1 측경간 데크 세그먼트(120) 및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이 누적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후술되는 긴장부재(430)를 설치함으로서 이러한 압축응력을 상쇄시키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에 각각 제 1정착장치(410)와 제 2정착장치(42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 1정착장치(410)와 제 2정착장치(420)는 예컨대, PC 강연선을 긴장 후 정착시키는 정착구 및 유압잭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장치 자체는 교량용 PC 강연선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구입 가능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데크 세그먼트는 통상 강재로 제작된 것인데 상기 제 1정착장치(410)와 제 2정착장치(420)는 바람직하게는 데크 세그먼트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추후 긴장부재의 긴장 및 정착의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정착장치는 데크 세그먼트를 주경간에서 예컨대 바지선을 이용하여 인양한 후 먼서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의 연결시킴에 있어 방해 또는 간섭이 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함은 당연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 사이에 강연선을 포함하는 긴장부재(430)를 장착하여 주경간에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140)(150)을 교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긴장부재(430)를 긴장 및 정착시켜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긴장부재(430)는 강봉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강봉은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강연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 단부가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
도 2a에는 한 쌍의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 사이에 1개의 긴장부재(430)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설치개수 및 설치량은 변동가능하며, 정착장치에 따른 위치도 당연히 변동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이러한 긴장부재(430)의 설치형태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4a에 의하면,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에 각각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 사이에 긴장부재(430)가 설치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도 4b에 의하면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 사이에 추가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추가로 설치된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 다시 긴장부재(430')가 더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긴장부재(430,430')는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140)(150)(140')(150')의 설치개수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된 다중 설치방식에 따라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위치에 있는 정착장치들에 긴장부재를 배치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착장치들 사이에 브라켓과 같는 지지구를 가설하고, 상기 지지구 사이에 임시가설케이블을 연결한 뒤, 상기 임시가설케이블에 긴장부재를 태울 수 있는 대차를 설치하고, 상기 대차를 임시가설케이블을 통해 건너편으로 이동시켜 긴장부재를 정착장치에 장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긴장부재(430)는 본 발명에 있어 2가지 역할을 하게 된다.
첫째, 종래 내풍케이블의 역할이다. 즉, 상기 긴장부재(430)는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 사이에 설치되어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데크 세그먼트에 작용하는 바람 등에 의한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종래 도 1d와 같이 설치되는 내풍케이블(60)과 대비하여 설치작업이 간단해지고 특히 연육교로 설치되는 사장교에 있어 수중에 블록에 의한 내풍케이블에 대비하여 선박등의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긴장부재(430)는 유압잭 등에 의하여 긴장 후,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 사이에 정착됨으로써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에 인장응력이 발생되도록 하게 되며, 이는 인장케이블(3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응력을 상쇄시키게 되며 유압잭에 의한 것이므로 도입되는 인장응력의 크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는 주경간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에 있어 인장응력을 도입시키는 작용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착장치, 긴장부재에 의한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의 연결 및 인장응력의 도입은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가 주경간에서 모두 설치될 때가지 반복할 수 있음을 도 4a 및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도 2b에 의하면 최종 제4 주경간 세그먼트(160)가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 사이에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2b와 같이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에 압축케이블(200)을 더 설치하여 측경간에 측경간 데그 세그먼트(170)를 더 설치함으로써 사장교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를 최종 설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와 긴장부재(430)는 최종 제거되어 도 2c와 같이 사장교에 데크 세그먼트 연결 설치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2c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장교에서는 주경간의 소정구간에 설치되는 제2,3,4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160)는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를 경유하는 인장케이블(300)에 의해서 제1,2 주탑(110)(120)쪽으로 잡아당겨지기 때문에 인장응력(T)이 발생한다.
한편,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는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에 설치되는 압축케이블(20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압축응력(C)이 발생한다.
결국 주경간의 중앙부분의 데크 세그먼트(140,150,160)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제1,2 주탑(110)(120)의 양측의 측경간 및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는 (120,140,130)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 'C'는 압축응력을 나타내고, ‘T'는 인장응력을 나타낸다.
이로써, 본 발명은
첫째, 주탑(111)(112) 사이의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도 1d와 대비하여 그 크기를 줄임으로써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으며,
둘째,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구조강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초장대 사장교가 다른 형태의 교량에 비하여 경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주경간 중앙부에 설치되는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일부는 인장케이블과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에 의하여 인장응력이 도입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도입되는 인장응력의 크기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넷째, 상기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는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시켜 구속시켜 줌에 따라 종래 내풍 케이블의 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정량적인 실험에 의하면 측경간의 길이가 합당한 경우(대략, 측경간의 길이가 주경간 길이(L)의 비가 1:2 또는 1:2.5인 경우)에는 최대 압축응력이 기존의 사장교에 비하여 개략 절반이상 줄어든다.
이때, 무게 증가를 더 줄이기 위해서는 인장케이블 또는 압축케이블에 있어 강케이블(steel cable) 보다 더 큰 강도/밀도 비(a higher strength-to-density ratio)를 가지는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탄소 섬유(carbon fibre)로 만들어진 인장 및 압축케이블은 단위 힘당 무게비(weight per force unit)가 강케이블에 비해서 약 1/4이고 고강도 구조강(high strength structural steel)에 비해 약 1/10이다.
이에 탄소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무게증가를 줄이기 위해서 적절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데크 세그먼트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잘 보호될 수 있고 검사 및 재배치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상기 일부 타정식 사장교를 만들기 위해서 소요되는 강(steel)의 양과 종래 사장교를 만들기 위해서 소요되는 강(steel)의 양을 경간(주경간 및 측경간)의 길이에 따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한 사장교에 대한 것이고 점선은 종래 사장교에 대한 것이며 x축(가로축)은 교량 중앙부로부터의 거리(m)를 나타낸다.
도 5와 같이, 사장교(100)(10)는 주탑이 있는 곳(-700m, 700m)에서 가장 많은 강(steel)이 필요한데, 이것은 주탑이 있는 곳에서 최대 압축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사장교는 종래 사장교에 비하여 최대 압축응력이 작기 때문에 필요한 강의 양도 사장교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장교 및 그 시공방법>
먼저, 앞서 살펴본 실시예1에 따른 본 발명의 사장교는 일부 타정식으로써 주경간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 일부 소정구간에만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지만 이와 대비되는 실시예2는 주경간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 전체에 인장응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전부 타정식 사장교의 시공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같이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을 각각 설치하고, 제1 주탑(111)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제1 앵커리지(113)를 설치하고, 제2 주탑(112)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제2 앵커리지(114)를 설치하게 된다.
역시 상기 제1 앵커리지(113)는 제1 주탑(111)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예컨대 이격된 위치의 지반 등에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수중에 상기 제1 앵커리지(1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성위치는 제1 주탑으로부터 외측 측경간쪽이라면 달리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앵커리지(114)도 제2 주탑(112)을 중심으로 외측 측경간쪽으로 이격된 이격된 위치의 지반 등에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수중에 상기 제2 앵커리지(114)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성위치 역시 제2 주탑으로부터 외측 측경간 쪽이라면 달리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 앵커리지(113)와 제2 앵커리지(114)로부터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을 경유하여 주경간 쪽으로 인장케이블(300)을 연장시키되 상기 인장케이블(300)을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으로부터 주경간 중앙부로 차례대로 연속 설치되는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 각각에 연결시켜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게 된다.
즉,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는 제1,2 주탑으로부터 주경간 중앙쪽으로 연속하여 연장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제1,2 앵커리지(113,114)에 연결된 인장케이블(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나 제1,2주탑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실시예 2에 의한 사장교는 상기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는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으로부터 연속 설치되어 주경간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연결은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 각각에 설치된 제1 정착장치(410,410')와 제2 정착장치(420,420') 사이에 긴장부재(430,43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긴장부재(430,430‘)는 상기 제1 정착장치v와 제2 정착장치(420,420') 사이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에 각각 제 1정착장치(410)와 제 2정착장치(42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 1정착장치(410)와 제 2정착장치(420)는 역시 예컨대, PC 강연선을 긴장 후 정착시키는 정착구 및 유압잭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장치 자체는 교량용 PC 강연선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구입 가능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역시 데크 세그먼트는 통상 강재로 제작된 것인데 상기 제 1정착장치(410)와 제 2정착장치(420)는 바람직하게는 데크 세그먼트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추후 긴장부재의 긴장 및 정착의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 사이에 강연선을 포함하는 긴장부재(430)를 장착하여 주경간에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130)을 교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긴장부재(430)를 긴장 및 정착시켜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게 된다.
먼저, 상기 긴장부재(430)는 강봉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강봉은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강연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 단부가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
도 3a에는 한 쌍의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 사이에 1개의 긴장부재(430)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설치개수 및 설치량은 변동가능하며, 정착장치에 따른 위치도 당연히 변동가능하다.
즉 도 3b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에는 추가 제2 ,3,4 주경간 데크세그먼트(140,150,160)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제 2와 제3 데크 세그먼트(140,150)에 추가로 제3,4 정착장치(410',420')가 설치되고 긴장부재(430')가 추가 설치되고 있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긴장부재(430,430')는 역시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140)(150)의 설치개수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된 다중 설치방식에 따라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있는 정착장치들에 긴장부재를 배치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긴장부재(430,430')는 본 발명에 있어 역시 2가지 역할을 하게 된다.
첫째, 종래 내풍케이블의 역할이다. 즉, 상기 긴장부재(430,430')는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 사이에 설치되어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데크 세그먼트에 작용하는 바람 등에 의한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종래 도 1d와 같이 설치되는 내풍케이블(60)과 대비하여 설치작업이 간단해지고 특히 연육교로 설치되는 사장교에 있어 수중에 블록에 의한 내풍케이블에 대비하여 선박등의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역시 긴장부재(430,430')는 유압잭 등에 의하여 긴장 후, 제1 및 제 2정착장치(410)(420) 사이에 정착됨으로써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에 인장응력이 발생되도록 하게 되며, 이는 인장케이블(3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응력을 상쇄시켜 주게 되며 유압잭에 의한 것이므로 도입되는 인장응력의 크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는 주경간에 설치되는 데크 세그먼트에 있어 인장응력을 추가 도입시키는 작용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으로부터 측경간쪽으로 측경간 세그먼트(170)를 설치하게 된다.
즉, 도 3b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주경간에는 모두 인장응력이 인가되는 주경간 세그먼트(130,140,150,160)가 설치되고, 상기 측경간 세그먼트(170)는 케이블에 의하여 주탑에 매달려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앵커리지와 제2 앵커리지 주위에 설치된 교대(500)에 제1 주탑과 제2 주탑 사이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 2는 도 3c와 같이 모두 제1,2 앵커리지(113,114) 및 인장케이블(300)에 의한 압축응력이 정착장치들 및 긴장부재들에 의하여 모두 상쇄되고 남아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에는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주탑 주위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크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긴장부재에 의하여 도입되는 인장응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경간의 소정구간에 설치되는 제2,3,4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40,150,160)는 인장응력이 제1 주탑(111)과 제2 주탑(112)를 경유하는 인장케이블(300)에 의한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130)는 압축응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역시 도면에서 ‘T'는 인장응력을 나타낸다.
이로써, 실시예2에 의한 본 발명은
첫째, 주탑(111)(112) 사이의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최대 압축응력은 제로가 되고 인장응력만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인장응력에 유리한 강으로 데크 세그먼트의 제작에 매우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로써 역시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구조강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초장대 사장교가 다른 형태의 교량에 비하여 경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역시 주경간 중앙부에 설치되는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인장케이블과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에 의하여 인장응력이 도입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도입되는 인장응력의 크기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넷째, 역시 상기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는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시켜 구속시켜 줌에 따라 종래 내풍 케이블의 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100: 일부 타정식 사장교
111,112: 주탑
113,114: 데크 지지용 앵커리지
120,170: 측경간 데크 세그먼트
130,140,150,160: 제1,2,3,4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200:압축케이블
300: 인장케이블

Claims (8)

  1. (a)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각각 설치하고, 제1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1 앵커리지를 설치하고, 제2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2 앵커리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측경간 및 주경간 중앙쪽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 측경간 데크 세그먼트 및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를 제1 주탑과 제2 주탑에 연결된 압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 설치하되, 상기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가 주경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앵커리지로부터 제1 주탑과 제2주탑을 경유하여 주경간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인장케이블을 상기 압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된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추가 연결된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각각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제1 및 제 2정착장치 사이에 강연선을 포함하는 긴장부재를 장착하여 주경간에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을 교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긴장부재를 긴장 및 정착시켜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는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되,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한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적어도 한쌍 이상 연속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가 교축방향으로 다중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방법.
  3. (a)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각각 설치하고, 제1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1 앵커리지를 설치하고, 제2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2 앵커리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앵커리지와 제2 앵커리지로부터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경유하여 주경간 쪽으로 인장케이블을 연장시키되 상기 인장케이블을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주경간 중앙부로 차례대로 연속 설치되는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연결시켜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들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연속 설치되어 주경간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연결은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설치된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긴장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주탑과 제2주탑으로부터 측경간쪽으로 측경간 세그먼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전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는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되,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한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적어도 한쌍 이상 연속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가 교축방향으로 다중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전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방법.
  5.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중심으로 각각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제1 앵커리와 제2 앵커리지;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측경간 및 주경간 중앙쪽으로 연장 되도록 설치되되 주경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에 연결된 압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상기 주경간에서 교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와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각각 설치된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 2정착장치 사이에 장착되어 제1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와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긴장 후 정착된 강연선을 포함하는 긴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긴장부재에 의하여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는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되,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한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적어도 한쌍 이상 연속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가 교축방향으로 다중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7.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주탑과 제2 주탑;
    상기 제1 주탑과 제2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제1 앵커리지와 제2 앵커리지;
    상기 제1 앵커리지와 제2 앵커리지로부터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경유하여 주경간 쪽으로 연장되어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주경간 중앙부로 차례대로 연속 설치되는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연결되어 상게 제1,2주경간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인장케이블;
    상기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제1 주탑과 제2 주탑으로부터 연속 설치되어 주경간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각각에 설치된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정착장치와 제2 정착장치 사이에 긴장 후 정착되는 긴장부재; 및
    상기 제1 주탑과 제2주탑으로부터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측경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전부 타정식 사장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착장치와 제 2정착장치는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되,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한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및 제3 주경간 데크 세그먼트는 적어도 한쌍 이상 연속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정착장치 및 긴장부재가 교축방향으로 다중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전부 타정식 사장교.
KR1020100086197A 2010-09-02 2010-09-02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KR10117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97A KR101171039B1 (ko) 2010-09-02 2010-09-02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PCT/KR2010/007232 WO2012030018A1 (ko) 2010-09-02 2010-10-21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US13/820,147 US8695142B2 (en) 2010-09-02 2010-10-21 Partially and fully earth-anchored cable-stayed bridges using main-span prestressing uni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97A KR101171039B1 (ko) 2010-09-02 2010-09-02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907A true KR20120023907A (ko) 2012-03-14
KR101171039B1 KR101171039B1 (ko) 2012-08-06

Family

ID=4577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197A KR101171039B1 (ko) 2010-09-02 2010-09-02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95142B2 (ko)
KR (1) KR101171039B1 (ko)
WO (1) WO20120300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956B1 (ko) * 2012-05-04 2014-01-27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다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 방법
CN104612033A (zh) * 2014-12-16 2015-05-1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设置有多功能大悬臂箱梁的斜拉桥
CN104674668A (zh) * 2015-01-19 2015-06-03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通过缆索吊装施工主梁节段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2668B2 (ja) * 2012-06-01 2014-08-13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斜ケーブルの取り替え方法及び斜ケーブル取り替え用仮ハンガー
KR101373169B1 (ko) 2012-11-29 2014-03-1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데크세그먼트를 이용한 단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방법
CN104452573A (zh) * 2014-12-12 2015-03-25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斜拉桥结构及斜拉桥施工方法
CN104631343B (zh) * 2015-02-15 2016-08-24 河海大学 自走行菱形销结桁架式挂篮结构及挂篮走行和施工方法
ITUB20151943A1 (it) * 2015-07-06 2017-01-06 Usha Martin Italia S R L Sistema per la mobilita’ pedonale.
CN105256720A (zh) * 2015-09-17 2016-01-20 中铁大桥科学研究院有限公司 部分地锚平衡索斜拉桥
CN106758767B (zh) * 2016-11-25 2018-10-30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悬索桥分段式猫道及其施工方法
JP6956037B2 (ja) * 2018-03-26 2021-10-27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ラーメン構造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橋の橋桁を架設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可能な仮閉合構造
CN108505428B (zh) * 2018-05-23 2023-12-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大夹角小半径多塔曲线斜拉桥
CN113322812B (zh) * 2021-04-30 2024-05-03 中国铁路南宁局集团有限公司南宁铁路工程建设指挥部 临时单斜撑桥塔的施工方法
CN113338162B (zh) * 2021-04-30 2024-02-27 广西北投交通养护科技集团有限公司 多斜撑支撑桥塔的施工方法
CN113356064A (zh) * 2021-06-11 2021-09-07 中交二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三塔斜拉桥中跨无合龙段顶推合龙施工方法
CN114808755A (zh) * 2022-05-30 2022-07-29 中铁大桥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连续钢箱梁转体结构及施工方法
CN115952711B (zh) * 2022-12-03 2024-06-18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斜拉-悬索协作体系桥设计方法及协作体系桥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627A (en) 1976-09-24 1978-04-11 Sasebo Heavy Ind Skew bridge that generate no axial force
FR2629111B1 (fr) * 1988-03-25 1990-11-30 Muller Jean Tablier pour pont de grande longueur
FR2661434B1 (fr) 1990-04-25 1992-12-11 Scetauroute Pont comprenant un tablier et au moins deux pylones, et son procede de construction.
US5060332A (en) 1990-06-21 1991-10-29 H. J. G. Mclean Limited Cable stayed bridge construction
JPH05171619A (ja) * 1991-12-25 1993-07-09 Hitachi Zosen Corp 斜張橋ケーブルの架設方法
US5896609A (en) * 1997-11-21 1999-04-27 Lin; Wei-Hwang Safety method of construction a prestressed cable-stay bridge
FR2780127B1 (fr) * 1998-06-19 2000-09-08 Freyssinet Int Stup Procede et dispositif d'accrochage d'un element transmetteur de charge sur un cable, et pont suspendu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FR2797893B1 (fr) * 1999-08-24 2002-03-22 Freyssinet Int Stup Procede de construction d'un pont haubane
US6292967B1 (en) * 1999-09-14 2001-09-25 Construction Technology Laboratories, Inc. TMD-damped stay cable and method and TMD
FR2798408B1 (fr) * 1999-09-15 2002-01-18 Freyssinet Int Stup Cable a fils paralleles pour structure d'ouvrage de construction, ancrage d'un tel cable, et procede d'ancrage
US6785925B1 (en) * 2002-04-15 2004-09-07 Curtis L. Donaldson Bridge system
US6728987B1 (en) * 2002-04-23 2004-05-04 Ch2M Hill, Inc. Method of adjusting the vertical profile of a cable supported bridge
WO2005121456A1 (ja) * 2004-06-09 2005-12-22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一箱桁二箱桁併用斜張吊橋
WO2006033565A1 (en) * 2004-09-25 2006-03-30 Ajou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Hollow prestressed concrete (hpc) girder and spliced hollow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hpc)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0641822B1 (ko) * 2005-03-11 2006-11-06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온도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일부타정식 사장교의시공방법
US7415746B2 (en) * 2005-12-01 2008-08-26 Sc Solutions Method for constructing a self anchored suspension bridge
US8572787B2 (en) * 2012-01-10 2013-11-05 David S. Toguchi Aligned support brid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956B1 (ko) * 2012-05-04 2014-01-27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다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 방법
CN104612033A (zh) * 2014-12-16 2015-05-1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设置有多功能大悬臂箱梁的斜拉桥
CN104612033B (zh) * 2014-12-16 2016-06-1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设置有多功能大悬臂箱梁的斜拉桥
CN104674668A (zh) * 2015-01-19 2015-06-03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通过缆索吊装施工主梁节段的方法
CN104674668B (zh) * 2015-01-19 2016-06-29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通过缆索吊装施工主梁节段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0018A1 (ko) 2012-03-08
US20130160224A1 (en) 2013-06-27
US8695142B2 (en) 2014-04-15
KR101171039B1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039B1 (ko)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CN105863145B (zh) 张弦结构、张弦梁和建筑
CN107190627B (zh) 部分地锚式悬索桥及其施工方法
KR20130036890A (ko)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A2053429C (en) Bridge comprising a deck and at least two towers and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thereof
CN101793010A (zh) 大吨位多跨组合拱桥带拱整体顶推方法
KR101354641B1 (ko) 긴장재와 측방 정착블록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 방법
CN107059593A (zh) 一种内悬索组合截面桥梁及其施工方法
KR101161644B1 (ko)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KR101335382B1 (ko)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KR20100025161A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912584B1 (ko) 횡방향 좌굴을 방지하는 피에스씨 빔의 제조방법 및 횡방향좌굴 방지장치
CN106758883B (zh) 用于钢管桁架混凝土拱桥吊杆更换的钢丝绳临时兜吊装置及其用于吊杆更换的方法
KR101356675B1 (ko) 가압정착시스템을 이용한 구조용 거더
CN211815595U (zh) 用于索塔的下塔柱拉压结构
KR100707726B1 (ko) 활의 원리를 이용한 비-케이블(B-Cable)장스팬 및이의 시공방법
CN109972531B (zh) 一种用于提高贝雷梁临时支架跨度的体外预应力装置
CN104775365B (zh) 一种斜拉桥施工方法
CN206752288U (zh) 一种内悬索组合截面桥梁
CN209619862U (zh) 一种适用于环境限制大的吊索拱桥拱肋安装支撑架
KR101352956B1 (ko) 다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 방법
KR20090076593A (ko) 가교 및 강재교량 구조물의 처짐 방지 구조
KR100569226B1 (ko) 경사진 긴장재에 의한 연속교의 바닥판 보강공법
CN113356018B (zh) 提升斜拉索预应力效应的刚柔组合拉杆构造的施工方法
CN113356017B (zh) 提升斜拉索预应力效应的刚柔组合拉杆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