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644B1 -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1644B1 KR101161644B1 KR1020100075929A KR20100075929A KR101161644B1 KR 101161644 B1 KR101161644 B1 KR 101161644B1 KR 1020100075929 A KR1020100075929 A KR 1020100075929A KR 20100075929 A KR20100075929 A KR 20100075929A KR 101161644 B1 KR101161644 B1 KR 101161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 cable
- main
- span
- seg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 분 | 케이블에 소요되는 강 | 주경간과 주탑에 소요되는 강 | |
주경간의 길이(L) : 1000m |
현수교 | 7,500t | 23,000t |
사장교 | 3,900t | 25,000t | |
주경간의 길이(L) : 2000m |
현수교 | 36,000t | 55,000t |
사장교 | 19,000t | 94,000t |
도 1b는 사장교에서 주경간의 길이(L)와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c는 종래 일반적인 현수교와 사장교의 정면도,
도 1d는 종래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핵심 시공 순서도,
도 1e는 종래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앵커리지 시공도,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의 시공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정식 사장교와 종래 사장교에 사용되는 데크 제작에 필요한 강재량의 비교도이다.
111,112: 제1 주탑, 제2 주탑
113,114: 제1 및 제2 데크고정용 앵커리지
115,116: 제1,2 내측 교각
210,220: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
310: 임시 로프웨이
320: 인장케이블
330: 이동장치
340: 연결부재
410,420,430,440,450,460: 데크 세그먼트
Claims (4)
- 주경간의 데크 세그먼트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주탑 주위의 데크 세그먼트에서 발생하는 상기 최대 압축응력을 줄일 수 있는 사장교에 있어서,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주탑(110)과 제2 주탑(120);
상기 제1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제1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3)와 상기 제2 주탑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설치된 제2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4);
상기 제1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3)와 제2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4)에 각각 고정 설치된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210,220);
제1 주탑과 제2 주탑 사이의 주경간에 위치한 데크 세그먼트(410,420,430)의 양 끝단으로부터 제1 주탑과 제2 주탑을 경유하여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에 연결된 인장케이블(320);
상기 제 1,2 주탑에 설치된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데크 세그먼트(440,450,460); 및
상기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와 인장케이블에 연결된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 사이의 힌지연결부(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H)는 상기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외 인접한 데크 세그먼트 사이에 무브먼트 죠인트를 이용하여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와 인장케이블에 연결된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를 연결시키거나,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와 인장케이블에 연결된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를 제1 데크고정용 앵커리지와 제2 데크고정용 앵커리지로부터 주경간쪽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내측교각에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 (a) 교축방향으로 이격된 제1 주탑(110)과 제2 주탑(120)을 각각 설치하고, 제1 주탑(110)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1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3)를 설치하고, 제2 주탑(120)을 중심으로 측경간쪽으로 제2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4)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3)와 제2 데크고정용 앵커리지(114)에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210,220)를 각각 고정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주탑과 제2 주탑 사이의 소정 구간에 데크 세그먼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소정 구간의 한쪽 끝단에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는 제1 주탑을 경유하여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인장케이블(320)에 연결하고 상기 소정 구간의 다른쪽 끝단에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는 제2 주탑을 경유하여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인장케이블(320)에 연결하여 상기 소정 구간의 데크 세그먼트들에는 인장응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제 1,2 주탑에 설치된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데크 세그먼트(440,450,460)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된 다수의 데크 세그먼트와 인장케이블에 연결된 최 압축케이블 데크 세그먼트를 힌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힌지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외 인접한 데크 세그먼트 사이에 무브먼트 죠인트를 이용하여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와 인장케이블에 연결된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를 연결시키거나,
압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주경간 및 측경간에 설치된 데크 세그먼트와 인장케이블에 연결된 최 외측 데크 세그먼트를 제1 데크고정용 앵커리지와 제2 데크고정용 앵커리지로부터 주경간쪽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내측교각에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929A KR101161644B1 (ko) | 2010-08-06 | 2010-08-06 |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929A KR101161644B1 (ko) | 2010-08-06 | 2010-08-06 |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3740A KR20120013740A (ko) | 2012-02-15 |
KR101161644B1 true KR101161644B1 (ko) | 2012-07-03 |
Family
ID=4583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5929A Active KR101161644B1 (ko) | 2010-08-06 | 2010-08-06 |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164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7595B1 (ko) | 2012-11-29 | 2014-04-23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데크세그먼트를 이용한 다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82801B (zh) * | 2014-04-01 | 2015-08-12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公、铁路桥面宽度不一致的节段拼装式公铁两用斜拉桥主梁 |
CN106906751B (zh) * | 2017-04-25 | 2019-01-11 |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 特大斜拉桥主塔弧形段竖向预应力施工方法 |
CN110331668B (zh) * | 2019-07-08 | 2021-02-19 |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 一种无背索斜拉桥双向倾斜v型桥塔施工方法 |
CN113863141B (zh) * | 2021-09-07 | 2023-08-29 | 广东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斜拉桥成梁转换的自锚式悬索桥施工方法 |
CN115538310B (zh) * | 2022-08-31 | 2025-06-24 | 中铁大桥科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塔梁索协同施工的外倾塔斜拉桥的施工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39627A (en) | 1976-09-24 | 1978-04-11 | Sasebo Heavy Ind | Skew bridge that generate no axial force |
KR200205090Y1 (ko) | 2000-06-21 | 2000-12-01 | 주식회사만영엔지니어링 | 교량의 힌지부 보강구조 |
JP2007262796A (ja) | 2006-03-29 | 2007-10-11 |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 斜張吊り架構の斜材架設構造及びその斜材架設工法 |
-
2010
- 2010-08-06 KR KR1020100075929A patent/KR1011616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39627A (en) | 1976-09-24 | 1978-04-11 | Sasebo Heavy Ind | Skew bridge that generate no axial force |
KR200205090Y1 (ko) | 2000-06-21 | 2000-12-01 | 주식회사만영엔지니어링 | 교량의 힌지부 보강구조 |
JP2007262796A (ja) | 2006-03-29 | 2007-10-11 |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 斜張吊り架構の斜材架設構造及びその斜材架設工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7595B1 (ko) | 2012-11-29 | 2014-04-23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데크세그먼트를 이용한 다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3740A (ko) | 2012-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1039B1 (ko) |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 |
KR101161644B1 (ko) |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 |
CN104652293B (zh) | 一种用于加固psc连续箱梁桥的斜拉桥结构及施工方法 | |
KR101335382B1 (ko) |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 |
CN107761542B (zh) | 一种拱斜拉组合体系桥梁及其施工方法 | |
CN101215824A (zh) | 大跨径连续钢构桥后期挠度调控的体外横张预应力装置 | |
KR101373169B1 (ko) | 하이브리드 데크세그먼트를 이용한 단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방법 | |
CN101793010A (zh) | 大吨位多跨组合拱桥带拱整体顶推方法 | |
KR101308992B1 (ko) | 단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방법 | |
KR102035492B1 (ko) | 세미 사장교 구조 | |
CN104652244B (zh) | 一种用于加固psc连续箱梁桥的悬索桥结构及施工方法 | |
CN211815595U (zh) | 用于索塔的下塔柱拉压结构 | |
KR101354641B1 (ko) | 긴장재와 측방 정착블록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 방법 | |
CN113756209A (zh) | 一种大跨径钢梁斜拉顶推施工方法 | |
US7478450B2 (en) |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 |
CN104562944A (zh) | 大跨径叠合梁斜拉桥边钢箱临时锚固体系 | |
KR101387595B1 (ko) | 하이브리드 데크세그먼트를 이용한 다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 방법 | |
KR102244365B1 (ko) | 엑스트라도즈교 구조 | |
CN103556563A (zh) | 钢-rpc组合桥梁 | |
Dai et al. | New Songhua river bridge: a continuous girder, tied arch, hybrid bridge with four rail tracks in Harbin, China | |
KR200278091Y1 (ko) |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 |
CN109972531B (zh) | 一种用于提高贝雷梁临时支架跨度的体外预应力装置 | |
KR101144238B1 (ko) | 세그먼트블록과 프리텐션 및 인장해제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0840409B1 (ko) | 사장 외케이블에 의해 2중편심을 받는 교량 | |
CN114635372B (zh) | 一种用于克服中塔效应的多塔悬索桥加固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